KR970002560B1 - 레피어직기용 동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레피어직기용 동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560B1
KR970002560B1 KR1019950011151A KR19950011151A KR970002560B1 KR 970002560 B1 KR970002560 B1 KR 970002560B1 KR 1019950011151 A KR1019950011151 A KR 1019950011151A KR 19950011151 A KR19950011151 A KR 19950011151A KR 970002560 B1 KR970002560 B1 KR 97000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an
shaft
cam
fa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주관
Original Assignee
도주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주관 filed Critical 도주관
Priority to KR101995001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레피어직기용 동력 전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있어 회전판의 작동에 따라 부채꼴기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a도는 부채꼴기어의 우측단부와 구동기어가 이빨맞춤된 상태의 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상태에서 부채꼴기어가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의 단면도.
제3c도는 부채꼴기어의 좌측단부와 구동기어가 이빨맞춤된 상태의 단면도.
제3d도는 제3c도상태에서 부채꼴기어가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축 3 : 부채꼴기어축
4 : 베어링체 6 : 판체
8 : 지지판 10 : 구동축공
12 : 회전판 14 : 중심축공
16 : 절개홈 18 : 볼트
20 : 지지공 22 : 연결채
24 : 지지축공 26 : 결합핀
28, 44 : 베어링 30 : 연결부
32 : 요입홈 34 : 축공
36 : 고정판 38 : 부채꼴기어
40 : 기어이빨 42 : 회동축공
46 : 축핀 48 : 구동기어
50 : 휠
본 발명은 레피어(rapier) 직기에 있어 레피어밸트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부채꼴기어(sector gear)가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되 간단한 구성이면서 동력을 정확히 전달하고,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소형화 한 것이다.
종래 레피어 직기 구동장치중 실용신안공고 91-5302호의 경우 부채꼴 기어를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축에 편심캠을 설치하고, 편심캠을 타고 롤러가 이동하면서 캠가이드를 작동하고, 그에 따라 캠가이드와 연결된 부채꼴기어가 작동하여 구동기어를 구동하고, 구동기어의 작동에 의해 레피어별트가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편심캠의 높낮이는 부채꼴기어의 반지름과 함께 부채꼴기어 회전운동의 이동거리가 결정되며, 캠의 정밀도에 따라 부채꼴기어작동의 정밀도가 정밀도가 정해지게 되므로 캠을 정밀가공 하여야 하고, 따라서 캠의 제작단가가 많이 든다.
또한 부채꼴기어를 작동하기 위해 캠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는 캠가이드가 캠과 밀착 고정 되면서 동력을 부채꼴기어로 전달하여야 하므로 캠가이드르 캠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장치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캠은 사용횟수에 따라 캠 표면의 누적공차가 발생되므로 정밀도는 계속 떨어지게 됨은 물론 캠이 고속회전시 캠과 캠을 타고 작동하는 롤러사이에 이격이 생기므로(아무리 캠가이드를 강력하게 캠쪽으로 밀어준다고 하여도 구동축이 고속회전 하면 캠과 캠가이드 상이에 이격이 생긴다) 캠가이드가 부채꼴기어로 동력을 정확히 전달하지 못한다.
또한 실용신안 공고 제94-1737호의 경우 고정된 구동캠과 복귀구동캠의 구동에 의해 캠볼레버가 동작 및 복귀동작을 하게되고, 캠볼레버의 작동에 의해 부채꼴기어(sector gear)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 고안의 경우 캠의 고속회전시 캠볼레버가 구동캠과 복귀구동캠을 타면서 작동하므로 구동축의 구동력을 부채꼴기어에 회동운동으로 정확히 변환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캠에 의한 부채꼴기어를 작동하므로 캠의 마모에 의해 누적공차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캠과 복귀구동캠을 사용하므로 캠의 제작경비가 더욱 상승하고, 캠에 조금의 오차가 발생하면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캠볼레버가 무리한 힘을 받아 부서지게 된다.
또한 레피아직기의 구동장치 특허공고 제93-170호의 경우 모터와 풀리로 연결하고, 풀리와 작동원판을 고정한 다음 작동원판에 이송판을 고정하고, 이송판에 아암을 축고정하고 아암의 타측단부와 연결부를 축고정하되 연결부와 부채꼴형기어가 연동되도록 설치하였다.
이 발명의 경우 캠을 사용치 않고 회전운동을 회동운동으로 전환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소형화 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소형화 하기 위해 아암의 길이를 줄여야 하는데 아암의 길이를 줄이게 되면 이송판의 회동운동에 의해 아암이 더욱 큰 요동운동(이송판의 폭만큼 아암이 움직임)하게 되고, 따라서 아암의 요동운동을 감쇄하지 못해 부채꼴기어와 아암이 쉽게 파손되며, 고속회전시 부채골기어와 아암에 더욱 빠른 요동 및 왕복운동과, 힘의 작용이 더욱 빨라져 부채꼴기어 및 아암이 쉽게 파손된다.
또한, 부채꼴기어 하단 축봉에 부채꼴기어와 고정구를 고정하므로 힘의 작용 거리가(부채꼴기어 하단부 축봉과 아암을 고정하되 힘은 부채꼴기어 이빨부에서 작동하므로) 멀어 조금만 힘을 가해도 고정구가 파손된다.
이송판과 아암에 의해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할 경우 소형화 하면 회전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기계가 쉽게 파손되며 특히 고속운동과 많은 힘을 받게될때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해진다.
그리고 레피어가 고속 왕복운동을 하여야 하고, 레피어밸트가 많은 힘을 받게되므로 소형화하면 기계의 파손 및 왕복운동 단부(왕복운동중 왼쪽으로 진행되던 운동이 반대편으로 변경될때)의 충격을 해소할 수 없는 등의 어려운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채꼴기어를 원활하게 왕복운동 하여 충격을 감쇄 할수 있도록 부채꼴기어축 일측에 구동축을 설치하고, 구동축을 베어링체로 결합하여 지지판에 설치하고, 구동축의 일측단부를 회전판의 중심축공에 고정하고, 회전판의 지지공과 연결체 일측단부의 지지축공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연결체의 타측단부와 고정판에 축고정된 부채꼴기어의 일측으로 축편으로 결합하고, 부채꼴기어의 기어이빨과 구동기어 이빨을 이빨맞춤 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피어직기용 레피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구동축(2)을 부채꼴기어축(3)의 일측에 설치하되, 판체(6)의 일측에 고정된 지지판(8)의 구동축공(10)에 구동축(2)과 베어링체(4)를 설치하고, 구동축(2)의 단부와 회전판(12)의 중심축공(14)을 결합하되 구동축(2)과 회전판(12)이 헛돌지 않도록 고정하고, 구동축(2)과 회전판(12)을 쉽게 분해하기 위해 회전판(12)의 일측에 휠(50)부를 형성하되 휠부(50)에 절개홈(16)를 형성하고, 절개홈(16)의 일측에서 볼트(18)로 절개홈(16)을 밀착하여 회전판(12)을 구동축(2)에 고정한다.
회전판(12)의 다른 일측에 지지공(20)을 형성하고, 연결체(22)의 일측에 지지축공(24)을 형성하여 지지공(20)과 지지축공(24)을 결합핀(26)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지지공(20)에 결합핀(26) 일측을 고정하고, 지지축공(24)에 베어링(28)을 삽입한 다음 베어링(28)에 타측 결합핀(26)을 결합한다.
연결체(22)의 타측에 동일한 모양으로서 두 개가 나란하게 형성된 연결부(30)와 연결부(30) 사이에 요입된 요입홈(32)을 형성하고, 연결부(30) 단부에 축공(34)을 형성하여 판체(6)와 직각 설치된 고정판(36)에 축결합된 부채꼴기어(38)의 기어이빨(40) 하단 피동축공(42)의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44)과 축편(46)으로 결합한다.
부채꼴기어(38)의 일측부 어느곳에나 피동축공(42)을 설치할 수 있으나 많은 힘을 전달하면서 빠른 구동력에 견딜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어 이빨(40)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기어이빨(40)과 가까이 피동축공(42)을 설치한다.
부채꼴기어(38)의 기어이빨(40)과 구동기어(48)를 이빨맞춤하여 구동기어(48)의 타측단부에 설치된 레피어밸트구동휠(도시안함)과 결합한다. 회전판(12)의 지지공(20) 반대편에 타측보다 많은 살의 휠(50)을 형성하여 구동축(2)의 동력을 고르게 연결체(22)로 전단한다.
미설명부호
(10)은 부채꼴기어(8)와 부채꼴 기어축(3)의 원활한 회동을 위한 베어링(102)(104)는 키홈(106)은 키홈(102)(104)에 삽입하는 키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축(2)이 베어링체(4)와 결합되어 회전하면 구동축(2)의 단부에 고정된 회전판(12)이 회전하고, 회전판(12)의 회전에 의해 편심지게 형성되어 지지공(20)과 결합된 결합핀(26)이 왕복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핀(6)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결체(22)가 회전하면서 왕복운동하게 되고, 고정판(36)에 설치된 부채꼴기어축(3)과 부채꼴기어(38)의 피동축공(42)에 설치된 베어링(44)과 축공(34)을 축핀(46)으로 결합하여 부채꼴기어(38)가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부채꼴기어(38)와 이빨마춤된 구동기어(48)는 정·역회전하게 되며 구동기어(48)의 결합된 레피어구동벨트구동휠(도시안됨)을 구동하게 된다.
구동축(2) 일측을 가능케 형성하고, 가늘게 형성된 구동축(2)에 키홈(102)을 형성하고, 회전판(12)의 중심축공(14) 내벽에도 키홈(104)을 형성하여 구동축(2)과 회전판(12)의 키홈(102)(104)을 일치한 다음 키(106)를 삽입하고, 볼트(18)를 조이면 절개홈(16)이 밀착되어 구동축(2)과 회전판(12)이 고정된다.
부채꼴기어(38)의 부채꼴기어축(3)과는 다른 일측으로 구동축(2)을 설치하고, 구동축(2)에 설치된 회전판(12)과 연결체(22)를 구동가능하게 연결하되 부채꼴기어(38)의 일측단부중 부채꼴기어축(3)에서 되도록 멀리 피동축공(42)을 형성하여 연결부(30)의 축공(34)과 연결한다.
이에 부채꼴기어(38)의 일측에서 연결체(22)가 부채꼴기어(38)을 앙복운동케함으로 부채꼴기어(38) 하부에서 작동하는 힘보다 적은 동력으로 부채꼴기어(38)를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부채꼴기어(38)의 부채꼴단부에 피동축공(42)이 형성되므로 부채꼴 기어축(3) 주어지는 힘을 분산할 수 있으며, (부채꼴기어축(3)과 연결부(30)와 축공(34)을 가까이에 연결하면 부채꼴기어축(38)의 마찰력이 한곳으로 집중되고 마찰력도 심해진다) 부채꼴기어(38)와 연결부(30)에 주어지는 회전운동의 힘을(지지판(12)이 휠(50)에 의해 원활한 회전운동을 하고, 그 운동에 의해 연결체(22)가 부채꼴(38)의 베어링(44)에 의해 원활하게 작동하므로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바꾸면서 생기는 외력이 거의 소멸되고, 부채꼴기어축(3)에서 멀리 연결체(2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연결체(22)의 운동은 느리게 진행됨)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부채꼴기어(38)의 피동축공(42) 외측을 요입홈(32)에 삽입하여 양측 연결부(30)의 축공(34)와 베어링(44)을 축핀(46)으로 결합하므로 부채꼴기어(38)의 부채꼴기어축(3)에 주어지는 힘이 편중되지 않고, 힘이 골고루 부채꼴기어축(3)에 전달된다.
이상과 같이 구동축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전환함에 있어 캠을 사용치 않으면서 소형화하고 회전력을 유연하게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므로 부채꼴기어축중 부채꼴기어축과 가장 먼 거리에 연결체가 설치되므로 작용되는 힘을 부채꼴기어 전체로 분산 하므로 부채꼴기어를 안전하게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정확히 전달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마모시 베어링만 교체하면 되므로 누적공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고, 고속회전이나 큰 동력에도 회전운동을 무리하지 않게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므로 기계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지판(6)에 설치된 구동축(2)에 회전판(12)을 고정하고, 회전판(12)의 외측에 지지공(20)을 형성하고, 지지공(20)과 연결체(22)의 일측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고정판(3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부채꼴기어(38)의 피동축공(42)과 연결체(22)의 타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레피어직기용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12)의 지지공(14) 타측부에 휠(50)를 형성하고, 휠(50)에서 절개부(16)를 형성하여 볼트(18)로 절개부(16)를 압착하여 구동축(2)와 회전판(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레피어직기용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의 연결체(22)와 부채꼴기어(38)의 결합에 있어서, 피동축공(42)을 부채꼴기어(38) 일측 상단부에 형성하고, 피동축공(42)에 베어링(44)을 설치하고, 요입홈(32)에 의해 동일한 모양으로 양분된 두 개의 연결부(30)의 단부에 형성된 축공(34)을 베어링(44)과 일치한 다음 축판(46)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피어 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19950011151A 1995-05-03 1995-05-03 레피어직기용 동력 전달장치 KR97000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151A KR970002560B1 (ko) 1995-05-03 1995-05-03 레피어직기용 동력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151A KR970002560B1 (ko) 1995-05-03 1995-05-03 레피어직기용 동력 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560B1 true KR970002560B1 (ko) 1997-03-06

Family

ID=1941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151A KR970002560B1 (ko) 1995-05-03 1995-05-03 레피어직기용 동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56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2045A (en) Intermittent drive mechanism
KR20070026151A (ko) 기계적으로 스캐닝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용 모터 구동기구
US4103556A (en) Mechanical movement mechanism
KR970002560B1 (ko) 레피어직기용 동력 전달장치
EP0006082B1 (en) Apparatus for translating rotary movement to rectilinear movement
JP4700047B2 (ja) 楕円孔をパイプ壁に切削形成するための装置
US5099706A (en) Variable speed transmission
US3831458A (en) Intermittent feed mechanism
KR870000764B1 (ko) 직선구동장치
KR100250945B1 (ko) 레피어직기의 그리퍼헤드를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장치
JPH01180799A (ja) ストローク調節装置を備えたプレス機械
KR200325626Y1 (ko) 백래쉬 방지용 기어유닛
SU1420287A1 (ru) Мальтийский механизм
SU1019149A1 (ru) Механизм дл преобразовани непрерывного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 во вращательное движение с остановками
JP3294044B2 (ja) 苗植付機構
KR0129207Y1 (ko)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
KR200197135Y1 (ko) 레피어 직기용 동력전달장치
US3472082A (en) Valve lapping apparatus
KR840002221B1 (ko) 유압모터
KR870000222B1 (ko) 수동겸 반자동 동력제어장치
SU1110971A1 (ru) Механизм преобразовани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 в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ое - кулачковый механизм Ващука
SU104772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рывистой подачи картона печатно-высекальной машины
SU1681030A1 (ru) Поршнева машина
SU586284A1 (ru) Винтова передача
SU1161749A1 (ru) Механизм дл преобразовани непрерывного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 во вращательное с остановк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