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207Y1 -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207Y1
KR0129207Y1 KR2019950009797U KR19950009797U KR0129207Y1 KR 0129207 Y1 KR0129207 Y1 KR 0129207Y1 KR 2019950009797 U KR2019950009797 U KR 2019950009797U KR 19950009797 U KR19950009797 U KR 19950009797U KR 0129207 Y1 KR0129207 Y1 KR 0129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wing
movable
nois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397U (ko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김도형
김동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형, 김동휘 filed Critical 김도형
Priority to KR2019950009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207Y1/ko
Publication of KR960036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6Driving mechanisms, such as ropes, gear, belt, motor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자동그네의 가동기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동기어의 작동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동작이 정확한 가동기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가동기어는 모터(M)의 구동축(10)에 워엄기어(102)를 치합되게 하고, 워엄기어(101)에 치합되는 워엄휘일(103)에 편심되게 작동로드(104)를 설치하여 상기 작동로드(104)가 그네(A)를 전후로 왕복 시키므로 모터와 연동되는 워엄기어 및 워엄휘일의 기계적인 마찰음이 발생하여 소음이 심하게 들리는 단점과 그네의 전후 왕복동작이 불안정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동기어와 감속기어의 외주면을 내면으로 경사지게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착설되는 가동벨트를 요입홈에 대향토록 산형(山形)으로 형성하여 착설시켜 가동기어의 작동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동작이 정확한 가동기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제5도는 가동기어와 가동벨트의 또 다른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구동장치의 기어물림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7도는 종래의 자동그네의 구동장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그네 M : 구동모터
2 : 구동기어 3 : 가동벨트
4 : 제1감속기어 5 : 요입홈
6 : 제2감속기어 7 : 작동로드
8 : 제3감속기어 9 : 스퍼어기어
10 : 엑슬벨트
본 고안은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기어와 감속기어의 외주면에 내측면으로 경사진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착설되는 가동벨트를 요입홈에 대향토록 산형(山形)으로 형성하여 착설시켜 가동기어의 작동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동작이 정확한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유아용 자동그네에 사용되는 구동장치의 구성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의 구동축(101)에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주로 워엄기어(102)를 설치하고, 이에 워엄휘일(103)을 치합시켜 상기 워엄휘일(103)에 편심되게 작동로드(104)를 설치하여 상기 작동로드(104)를 그네(A)의 일측에 연결시켜 워엄휘일(103)의 회전에 따라 작동로드(104)가 그네(A)를 전후로 왕복시키기는 구성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구동축(101)에 고정된 워엄기어(102)와 그네(A)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작동로드(104)가 고정된 워엄휘일(103)이 치합되어 그네(A)를 전후로 구동시키므로 워엄기어(102)와 워엄휘일(103)의 작동시 저속인 상태 즉, 모터의 회전이 느린 상태에서는 금속성의 기계적인 마찰음의 발생이 조금 감소하게 되나, 모터의 회전이 빠른 상태에서는 기계적인 마찰음이 심하게 발생하여 소음이 심하게 들리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모터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만 회전시켜 그네의 전후왕복을 조정함으로 감속비가 일정하지 못하여 그네를 정확하게 동작시키기가 곤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7도에 도시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 48-27096호가 있으며, 이는 공지의 모터에 공지의 모터에 큰 기어와 작은 기어가 동축상에 설치된 감속기어를 체인으로 연동되게 하고, 감속기어(216)에 설치된 크랭크축(218)과 그네를 고정한 축(203)에 형성된 크랭크암(220)을 연결대(222)로 연설하여 일정 속비로 감속된 감속기어(216)의 회전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그네를 전후 이동하는 구성인 것으로, 이는 통상의 감속기어를 체인 구동 방식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므로 작동시 기계적인 마찰에 의한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과 그네를 고정한 축(203)이 회전에 의한 방식이 아닌 회전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대(222)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동일 축상에서 그네를 전후로 움직이도록 한 것이므로 그네의 전후 동작이 매끄럽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네의 작동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그네를 전후로 정확하게 왕복시킬 수 있는 가동기어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고안된 것으로, 모터의 구동축에 착설된 구동기어와 이에 치합되는 감속기어의 외주면을 내면으로 경사지게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착설되는 가동벨트를 요입홈에 대향토록 산형(山形)으로 형성하여 착설시켜 가동기어의 작동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동작이 정확한 가동기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구동모터(M)의 구동축에 착설된 구동기어(2)에, 대소기어가 동축으로 축설된 제1감속기어(4), 제2감속기어(6)와, 제3감속기어(8)를 각 감속기어의 작은기어(11a)(11b)가 다른 기어의 큰기어와 각각 치합되게 케이스(B)에 핀 유착시켜 구동기어(2)의 회전동력이 점차 감속되어 회전 운동하게 구성하되, 상기 구동기어(2)와 각각의 감속기어(2)(4)(8) 및 작은기어(11a)(11b)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 형상의 요입홈(5)을 형성하고, 이에 착설되는 가동벨트(3)는 요입홈(5)과 대향되게 단면이 "◆" 형상의 산형(山形)으로 형성하여 착설시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3감속기어(8)의 동축상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작동로드(7)가 삽설되어 케이스(B)에 유착되며 이 작동로드(7)는 그네(A)의 일측에 삽설되어 모터(M)의 구동으로 그네(A)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5도는 구동기어(2)와, 감속기어(4)(6)(8)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구동기어(2)와, 감속기어(4)(6)(8)의 외주면에 요입홈(5)을 형성하지 않고 통상의 스퍼어기어(9)로 구성하고, 이에 착설되는 벨트를 스퍼어기어(9)에 대향토록 엑슬벨트(10)로 구성하여 착설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의 그네(A) 상부에 좌우로 고정되는 것으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모터(M)가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기어(2)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2)에 가동벨트(5)로 치합된 제1감속기어(4), 제2감속기어(6), 제3감속기어(8)가 작은기어(11a)(11b)에 큰 기어가 치합되어 있으므로 정속도로 감속되어 원하는 회전수를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3감속기어(8)의 동축상에 고정된 작동로드(7)가 편심되게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네(A)가 전후로 왕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구동기어에 수개의 감속기어가 벨트로 착설되어 연동되므로 저속 상태에서는 물론 고속 상태에서도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고 원하는 회전수를 얻을 수 있어 그네를 전후로 정확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구동모터(M)에 대소기어가 동축으로 축설된 다수개의 감속기어를 체인으로 연결하여 구동하는 공지의 자동그네 구동장치에 있어서, 대소기어가 동축으로 축설된 다수개의 감속기어(4)(6)(8)의 외주면으로 내측으로 경사진 "<" 형상의 요입홈(5)을 형성하고, 이에 착설되는 가동벨트(3)는 요입홈(5)과 대향되게 단면이 "◆" 형상의 산형(山形)으로 형성하여 착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
KR2019950009797U 1995-05-09 1995-05-09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 KR0129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797U KR0129207Y1 (ko) 1995-05-09 1995-05-09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797U KR0129207Y1 (ko) 1995-05-09 1995-05-09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397U KR960036397U (ko) 1996-12-16
KR0129207Y1 true KR0129207Y1 (ko) 1999-10-01

Family

ID=1941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797U KR0129207Y1 (ko) 1995-05-09 1995-05-09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2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3028279A2 (pt) * 2011-05-03 2019-09-24 Cheng Ming Chen dispositivo e método para controle automático de balanç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397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1790A1 (en) Internal ring gear, driving assembly and application device
KR0129207Y1 (ko) 유아용 자동그네의 구동장치
JP2003236899A (ja) 射出成型品取出機及び取出システム
CA2179237A1 (en) Diaphragm pump including improved drive mechanism and pump head
HU207383B (en) Crank drive with epicyclic gear swivel pin particularly piston power- and working-machines
JP4700047B2 (ja) 楕円孔をパイプ壁に切削形成するための装置
WO2000004289A3 (en) Diaphragm pump including improved drive mechanism and pump head
KR100986127B1 (ko) 볼쐐기식 감속기
CN110031949B (zh) 一种单动力源驱动多棱镜的转镜系统
CN106352043A (zh) 随动式驱动减速机
CN87206444U (zh) 活齿谐波减速机
KR101538638B1 (ko) 왕복기어 동력전달장치
JP2002005248A (ja) 減速装置及び減速装置を備えたモータ
DE69909131D1 (de) Exzentergetriebe
JPH0432665Y2 (ko)
CN210600046U (zh) 基于公转的自转驱动结构及所应用的挤压机
CN111577849A (zh) 一种自动变速同步带轮箱
JP2634102B2 (ja) 伝動装置
CN219221216U (zh) 一种带有调节齿轮传动松紧度的减速机构
CN219673215U (zh) 一种减速机
JPH08296704A (ja) 調和形減速機構
JP2780326B2 (ja) 減速装置
KR970002560B1 (ko) 레피어직기용 동력 전달장치
CN112539251A (zh) 基于公转的自转驱动方法、结构及所应用的挤压机
JPS612844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