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40Y1 - 축전지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40Y1
KR970002240Y1 KR2019930028928U KR930028928U KR970002240Y1 KR 970002240 Y1 KR970002240 Y1 KR 970002240Y1 KR 2019930028928 U KR2019930028928 U KR 2019930028928U KR 930028928 U KR930028928 U KR 930028928U KR 970002240 Y1 KR970002240 Y1 KR 970002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batter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8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519U (ko
Inventor
김환창
Original Assignee
김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창 filed Critical 김환창
Priority to KR2019930028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240Y1/ko
Publication of KR950021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5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축전지용 접속단자
제1a도는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측면설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와 체결되는 와이어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축전지 접속단자 체결부 H : 축전지단자 접속부
W : 와이어단자 체결부 10,10' : 접속부재
11,11' : 연장부 12,12' : 절결부
13,18 : 볼트너트구멍 14,14',20,20' : 볼트너트
15 : 볼트너트체결부 16,16',17,17' : 연장부
21 : 커버 22,22' : 돌출부
23,23' : 테두리
본 고안은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계진동으로인한 접속단자의 이탈 및 접촉저항의 불량을 방지함과 동시 차종에 관계 없이 여러방향에서 단자의 장착이 가능하고 고장시 단자의 일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단자의 기계적 강도를 개량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제너레이터에서 전기를 수급받거나 또는 셀모터나 각종 표시등 및 조명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축전지 단자에 이들 외부의 상기 각종 장치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용 단자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축전지 단자에 결합되어 있는 접속용 단자는 기계적 진동, 특히 주행시의 기계적 진동에 의하여 이탈되거나 아니면 접촉상태의 불량으로 접촉저항을 증대시키므로, 경우 따라서는 축전지가 제대로 충전이 되지 않아 과방전으로 되고, 이로 인하여 시동주에는 충분한 전류를 공급할 수 없게 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축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개량고안한 것으로서는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9-532호의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있다. 즉, 상기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제1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터진 상협하광형의 원통체(1)의 양단부(2)가 볼트너트(3,3')로 고정되게 하고 원통체(1)의 내면(4)에 상하로 지선상의 홈이나 돌기(5)를 다수개 형성하며 원통체(1)의 하광부와 양단부 일측을 외측으로 구부려서 탄성테(6)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축전지 단자와 접속단자의 내부표면의 마찰력을 높여서 원통체(1)가 축전지 단자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탄성테(6)에 의하여 축전지 단자와의 전기적 접촉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어느정도의 탄성테(6)에 의해 접속용 단자의 이탈 및 전기적 접촉을 개선하였다고 하나, 상기 탄성테(6)는 원동체(1)의 일단을 외측으로 구부려지게 금형에 벤딩하여 테두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벤딩시에 테두리 부분이 엷어질 뿐만 아니라, 테두리도 일측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 충분한 탄성력을 얻을 수 없으며, 축전지 단자에 접속단자를 볼트너트(3,3')로 죄어서 결합시킬 때, 점선(가)(제1b도)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단자가 휘어지게 되어 B부분에 기계적 힘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고, 이 힘은 상기 엷은 테두리와 상승작용하여 이부분에 클랙이 발생되어 더욱 탄성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이 클랙은 사용중 기계적 진동에 의하여 점점 더 전개되어 결국은 단자가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탄성력의 빈약으로 인하여 축전지 단자와 접속단자와의 결합력이 떨어져서, 특히 주행시의 기계적 진동에 의해 접촉이 불안정하여 접촉저항이 크게 되는 것은 종전의 경우와 마찬가지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로는 일자형으로 되어 있어 FUSE BOX 등을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와이어 접속부(A)도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일체로 고정되어 한가지밖에 사용할 수 없어 자동차의 생산공장에서는 차종에 따른 사용되는 전기량이나 와이어의 체결위치(각도)에 맞추어 여러 가지의 접속단자를 준비하여야 하였다.
게다가 파손되기 쉬운 와아어 접속부(A)와 축전지 접속단자 부분(C)이 일체로 되어 있어 이들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접속단자 전체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축전지 단자(pole)와 축전지의 전조와의 이음부분의 틈에서 유출하는 황산가스에의한 축전지 단자의 접속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통상단자 상측부에 고무커버를 씌우게 되나, 오히려 이 커버 때문에 축전지 내부로부터 상기 틈새를 통하여 유출한 황산가스나 이 커버내에 밀폐상태로 머물게 되어 오히려 단자의 부식을 촉진시키는 역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접속단자의 탄성력을 크게하여 기계적 진동에 의한 이탈 및 접촉저항의 문제점을 개선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차종에 관계없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축전지 단자의 틈새를 통하여 유출되는 황산가스를 접속부위와 차단되게 하고, 또한 단자의 특정부위에 클랙의 발생이 없어 단자의 수명을 길게 하도록 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상협하광되게 상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상,하 2개의 원통형 축전지 단자접속부재를 중심이 일치되게 소정간격으로 배치한 축전지단자 접속부와, 상기 상하 축전지단자 접속부재의 일측을 절결하고, 이 절결부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절결부 간격이 유지되도록 외측에 소정폭을 유지한채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그의 연장된 상하의 양 선단부를 구부려서 일체가 되도록 접속하여 상기 상,하 접속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부의 측방에서 전후로 관통되는 볼트너트 체결부를 부착하여 축전지단자에 접속단자를 조이어서 체결하도록한 축전지단자 체결부와, 상기 축전지단자 체결부의 연장부와 대향되는 상기 접속부재의 위치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하의 접속부재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접속함과 동시에 다시 평행방향으로 구부려서 연장하고 이 연장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을 형성한 와이어단자 체결부와, 상기 와이어단자 체결부에 체결되는 와이어단자를 구비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전지용 접속단자에는 축전지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의 하측에 고무 등의 커버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축전지 내부에서 유출되는 황산가스 등에 의한 축전지단자 및 그의 접속단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탄성력을 가지는 테두리가 상하로 배치되는 결과로 되어 탄성력을 휠씬 크게 할 수 있어 접속단자의 이탈방지 및 접속저항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테두리가 원통체의 단부를 외부로 전개시켜서 형성하는 종래의 것과는 달리 중심이 비어 있는 원형판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돌출시켜 축전지단자와 접속되는 원통체를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돌출되지 않은 부분이 남게 되어 테두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테두리가 제조과정에서 엷어져서 탄성력을 잃거나 기계적 손상에 의해 클랙을 발생하는 일도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와이어단자도 접속단자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분리되어 볼트너트에 의해 체결되게 구성한 것이어서 차종에 따른 설치위치 및 소요되는 전기량에 따라 필요한 와이어단자 만을 바꾸어서 체결하면 되므로 하나의 접속단자로 다양한 차종의 축전지단자 접속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손상이 되더라도 와아어단자부나 축전지 접속단자부의 어느 하나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황산가스 등에 의한 축전지단자 및 접속단자의 부식도 가스가 유출하는 축전지전조와 축전지단자 사이의 접합부의 틈새를 커버가 차단하도록 전속단자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어 효율적으로 접속부로의 가스의 통로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유출가스가 커버내의 포위되어 밀폐되는 일도 없어 단자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중심이 비어있는 원판부의 내측을 축전지의 단자(일명 폴(pole))에 맞게 하광상협으로 구부려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2개의 접속부재(10,10')를 상하로 일정간격(P) 떨어지고 중심축이 일치되게 배열하여 축전지단자의 접속부(H)를 형성한다.
축전지의 단자(또는 pole)의 형상에 따라 상기 상측부의 접속부재(10)는 하측부의 접속부재(10')보다는 구멍의 직경이 작으며 이는 상,하 양 접속부재의 떨어진 간격에 따른 떨어진 공간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상형하광의 축전지의 단자의 외형과 실질적으로 대응되게하여 상측 및 하측의 구멍의 크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 접속부재(10,10')의 일측방을 절결하여 일정폭(L)의 절결부(12,12')를 형성하고, 이 상,하 절결부(12,12')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의 외측으로 절결부의 폭(L)을 유지한채 연장한 일정폭(T)의 연장부(11,11')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11,11')의 상, 하 양 선단부는 상하의 접속부재의 연장부(11,11')가 서로 만나도록 구부려서 이들이 일체가 되도록 접속되어 상기 상,하 접속부재(10,10')를 일정간격(K) 유지하도록 일측에서 보지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1,11')의 측방에는 전후로 관통되어 볼트너트(14,14')가 체결되는 볼트너트 구멍(13)이 형성된 볼트너트 체결부(15)가 형성되어 축전지 단자에 접속단자를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조여서 형성하도록 하는 축전지 접속단자 체결부(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전지 접속단자 체결부(C)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하 접속부재(10,10')는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하의 연장부(16,16')가 접속되게하여 상기 상,하 연장부(11,11')접속부재(10,10')를 다른 일측에서 일정간격으로 지지토록 하고, 이어 접촉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시 구부려 연장하고, 이 수평방향으로의 연장부(17,17')에 상,하로 볼트너트구멍(18)이 형성되어 와이어단자 체결부(W)를 구성하고 이 볼트너트구멍(19)은 자동차의 차종이나 모델에 따라, 일자형 직사각형 또는 소정각도로 구브러진 와이어 접속단자(19,19')가 볼트너트(20,20')에 의해 소정각도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하측에는 고무 등으로 된 커버(21)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축전단자와의 접속부(H)는 접속부가 형성되는 소재의 원판부(구멍이 비어 있는)를 상측으로 구부려부쳐 형성된 돌출부(22 22')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부의 하단부위에 남아 있게 되는 테두리(23,23') 부위는 제조시에 엷어지는 등의 일이 없어 설계치 그대로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하로 2개 접속부재(10,10')가 배치되어 접속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탄성력이 배가되고 클랙이 발생하는 일도 없거니와, 축전지단자 체결부(C)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11,11')도 상,하 접속부재(10,10')로부터 연장시에 측면으로 충분한 폭(T)을 갖게하여 연장이 가능하고, 접속부재의 상하 연장부로서 체결부(C)를 형성하기 때문에 체결부위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각 축전지단자의 크기에 맞추어 축전지단자에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볼트너트로 조여서 체결하더라도 이 체결부위가 종래와 같이 휘어지는 일이 없어 단자끼리의 접촉력의 증대로 인하여 접촉저항이 대폭적으로 작아지며, 또한 와이어단자 체결부(W)는 축전지단자 체결부(C)와는 분리되게 하고 이를 볼트너트(20,20') 등을 사용하여 체결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각종 종류이나 각 모델에 맞추어 사용되는 전기량이나 설치각도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와이어단자 만을 준비하면 한 모델의 축전지 접속단자로서 모든 자동차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특히나 대량의 전기를 사용되는 전기자동차 등에서 몇 개의 축전지끼리 직병렬로 접속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도 이에 맞는 와이어 단자(일자형)을 사용하면 적응시킬 수 있으며, 접속단자의 하측에 고무 등의 커버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축전지 내부에서의 유출되는 황산가스로부터도 유효적절하게 단자의 부식을 방지한다.

Claims (2)

  1. 상협하광되게 상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상,하의 원통형 축전지 단자접속부재를 중심이 일치되게 소정간격으로 배치한 축전지단자 접속부와, 상기 상하 축전지단자 접속부재의 일측을 절결하고, 이 절결부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절결부 간격이 유지되도록 외측에 소정폭을 유지한채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그의 연장된 상하의 양 선단부를 구부려서 일체가 되도록 접속하여 상기 접속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부의 측방에서 전후로 관통되는 볼트너트 체결부를 부착하여 축전지단자에 접속단자를 조이어서 체결하도록한 축전지단자 체결부와, 상기 축전지단자 체결부의 연장부와 대향되는 상기 접속부재의 위치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하의 접속부재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접속함과 동시에 다시 평행방향으로 구부려서 연장하고 이 연장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을 형성한 와이어단자 체결부와, 상기 와이어단자 체결부에 체결되는 와이어단자를 구비한 축전지용 접속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 접속단자에는 하측으로 고무 등의 커버가 부가하여 설치되어 있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19930028928U 1993-12-21 1993-12-21 축전지용 접속단자 KR970002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928U KR970002240Y1 (ko) 1993-12-21 1993-12-21 축전지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928U KR970002240Y1 (ko) 1993-12-21 1993-12-21 축전지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519U KR950021519U (ko) 1995-07-28
KR970002240Y1 true KR970002240Y1 (ko) 1997-03-20

Family

ID=1937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8928U KR970002240Y1 (ko) 1993-12-21 1993-12-21 축전지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2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519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3466B1 (en) Corner-mounted battery fuse
US20170149225A1 (en) Busbar holding structure
KR97000224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3826657B2 (ja) ヒューズボックスユニット
KR100755031B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US7358702B2 (en) Storage battery with auxiliary terminals
JP2020205185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
KR013235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H0356997Y2 (ko)
KR200187920Y1 (ko) 발전기의 터미널 조립구조
JP2584267Y2 (ja) 電気接続箱の取付装置
US4363983A (en) Automotive-type voltage regulator and support assembly structure
CN219534737U (zh) 一种用于电池包的防护式安装结构
KR100488664B1 (ko) 밧데리 터미널 구조
KR102664643B1 (ko) 통전성능 개선형 전원공급장치
KR0132937Y1 (ko)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구조
JPH0356998Y2 (ko)
WO2021014975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KR200180580Y1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JPH0733373Y2 (ja) フュージブルリンクボックス付蓄電池
KR200176553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571476Y2 (ja) 電気接続箱
KR100399751B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JP2020205184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
KR100603907B1 (ko) 납축전지의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