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25Y1 -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25Y1
KR970002225Y1 KR2019910023957U KR910023957U KR970002225Y1 KR 970002225 Y1 KR970002225 Y1 KR 970002225Y1 KR 2019910023957 U KR2019910023957 U KR 2019910023957U KR 910023957 U KR910023957 U KR 910023957U KR 970002225 Y1 KR970002225 Y1 KR 970002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attery
coupling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3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307U (ko
Inventor
이원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3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225Y1/ko
Publication of KR930016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 트레이 11 : 결합편
12 : 장공 13 : 걸이홈
14,14a : 멈춤편 20 : 클램프 지지봉
21 : 단턱 24 : 삽입봉
25 : 클램프 26 : 고무판
27 : 통공 28 : 요입홈
29 : 코일스프링 30 : 멈춤봉
31 : 클램프 레버뭉치 32 : 장홈
33 : 고정턱 34 : 나사공
35 : 통공 36 : 보울트
37,37a : 멈춤홈 38 : 클램프 레버
39 : 결합봉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램프(CLAMP) 지지봉에 연결된 양 클램프 레버를 90°회동시킴에 따라 클램프 지지봉 하단에 형성된 걸합봉이 배터리 트레이(TRAY) 양측에 형성된 결합편에 체결되어 배터리가 압력판과 클램프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고정되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배터리를 배터리 박스내에 고정시키는 구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트레이(50)에 배터리(미도시)를 올려 놓고 양 클램프 보울트(51)를 배터리 트레이(50)의 바닥에 천공된 장홈(52)에 걸쳐 두고 배터리의 양측으로 배터리 지지앵글(53)을 배치하고, 배터리 클램프(54)를 상기 클램프 보울트(51)에 삽입하여 와셔(55)와 너트(56)로 조여서 배터리를 고정시킨 것으로, 이는 배터리의 장착시에 클램프 보울트(51)에 너트(56)를 일일이 조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 아니라, 배터리를 교환 또는 보수룰 하기 위해서는 이들 조립된 클램프 등을 다시 풀어야 되는 불편함을 가져왔다.
한편 배터리가 배터리 트레이(50)의 바닥에 위치되고 양 클램프 보울트(51)에 너트(56)를 조여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배터리 트레이(50)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발생되면 배터리가 균열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의 고정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며 탈, 장착이 용이하여 교환, 보수 등을 간편하게 하도록 하고 배터리를 탄력적으로 고정되게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배터리가 항상 안정된 위치에서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 클램프 지지봉에 막대형상의 클램프를 결합하고 클램프 지지봉 상단의 고정턱에 클램프 레버 뭉치를 보울트로 고정하여 배터리를 압력판에 재치한 후, 배터리 트레이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편에 상기 클램프 지지봉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봉을 삽입한 다음 클램프 레버를 90°회전시켜 이와 연결된 클램프 지지봉이 회동하여 결합봉이 결합편의 걸이홈에 고정 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을 결합하여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배터리 트레이(10) 양측 하방으로 형성된 결합편(11)은 중심부에 장공(12)이 천공되고 그 하단으로 장공(12)과 교차되고 걸이홈(13)이 형성되며 걸이홈(13) 일측으로 서로 엇물리게 멈춤편(14)(14a)이 각각 형성되며 압력판(15)의 상면에는 경사진 유입부(16)와 유입공(17)이 형성되며 압력판(16) 하면의 네 모서리에는 판스프링(18)을 부착하며 상기 유입공(17) 하단부를 배터리 트레이(10)에 천공된 배수공(19)에 연결하고, 양 클램프 지지봉(20) 상부에 형성된 단턱(21)에는 와셔(22)와 링(23)이 삽입봉(24)에 삽입되며 막대 형상의 클램프(25) 하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고무판(26)이 부착되고 양측에는 통공(27)이 천공되어 상기 삽입봉(24)에 클램프(25)를 결합하고 상기 클램프(25) 양측에 형성된 요입홈(28)에 코일스프링(29)을 삽입한 후 멈춤봉(30)을 조립하되 이 멈춤봉(30)이 코일스프링(29)에 의하여 탄력되게 설치하며 클램프 레버뭉치(31)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 장홈(32)으로 상기 클램프 지지봉(20) 상단에 형성된 고정턱(33)이 삽입되어 고정턱(33)에 형성된 나사공(34)에 통공(35)을 통하여 보울트(36)를 체결하여 클램프 레버뭉치(31)와 클램프 지지봉(20)을 서로 연동되게 하며 클램프 레버뭉치(31) 하단면으로 형성된 멈춤홈(37)(37a)에 멈춤봉(30)이 탄력적으로 걸리게 하며 상기 2 개의 멈춤홈(37)(37a)에 의하여 클램프 레버(38)의 회전을 90°로 제한되게 하며 클램프 지지봉(20) 하단으로 결합봉(39)이 형성되어 이 결합동(39)이 클램프 레버(38)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결합편(11)의 걸이홈(13)에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도면 중 미 설명부호(40)은 레버캡, (B)는 배터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배터리 박스에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클램프 레버(38)를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배터리 트레이(10) 내측에 압력판(15)을 설치하여 유입공(17)의 하단부가 배수공(19)에 연결되게 하고 통상의 배터리(B)를 압력판(15) 상면에 얹어 놓고 클램프 지지봉(20)에 클램프(25)와 클램프 레버뭉치(31)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봉(39)을 장공(12)에 삽입한 다음 양 클램프 레버(38)를 90°회동시킨다.(제2도의 일점 쇄선 참조)
따라서 클램프 레버(38)와 연동된 결합봉(39)이 90°회동하여 걸이홈(13)에 결착되어 배터리(B)가 압력판(15)과 클램프(25)의 고무판(26) 사이에서 탄력 고정되는 것이며, 한편 클램프 레버(38)는 회동시에 멈춤홈(37a)에 의하여 클램프 레버 뭉치(31)의 회동이 90°로 제한되며, 결합봉(39) 또한 걸이홈(13) 하단에 엇물리게 형성된 멈춤편(14)(14a)에 의하여 결합봉(39)의 회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고정된 배터리(B)에 전해액 또는 엔진룸의 청소시에 발생되는 물 등은 압력판(15)에 형성된 유입부(16)로 유도되어 유입공(17)과 배수공(19)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배터리(B)의 교환, 보수 등을 하기 위하여 배터리(B)를 탈착시키려면 클램프 레버(38)를 90°역회동시킴에 따라 이와 연동된 결합봉(39)이 걸이홈(13)에서 이탈되면서 장공(12)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프 지지봉(20)에 결합된 클램프(25)와 클램프 레버뭉치(31)를 결합편(11)에서 이탈시켜서 배터리(B)를 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클램프 지지봉(20)에 클램프(25)와 클램프 레버뭉치(31)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클램프 레버(38)를 90°정, 역회동시킴에 따라 이와 연동된 결합봉(39)이 결합편(11)에서 결착, 탈착되어 배터리(B)의 탈,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배터리의 탈, 장착이 클램프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거니와 압력판과 고무판 사이에서 배터리의 고정상태가 탄력적으로 유지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배터리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배터리 트레이 내에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배터리 트레이(10) 양측 하방으로 결합편(11)이 형성되며 양 클램프 지지봉(20) 상부에 형성된 단턱(21)에는 와셔(22)와 링(23)이 삽입봉(24)에 삽입되며 클램프(25) 하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고무판(26)이 부착되고 양측에는 통공(27)이 천공되어 상기 삽입공(24)에 클램프(25)를 결합하고 클램프(25) 양측에 형성된 요입홈(28)에 코일스프링(29)과 멈춤봉(30)이 탄력되게 조립하며 클램프 레버 뭉치(31)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 장홈(32)으로 고정턱(33)이 삽입되어 고정턱(33)에 형성된 나사공(34)에 통공(35)을 통하여 보울트(36)를 체결하여 클램프 레버 뭉치(31)와 클램프 지지봉(20)이 서로 연동되게 하며, 상기 클램프 레버 뭉치(31) 하단면에 형성된 멈춤홈(37)(37a)에 의하여 클램프 레버(38)의 회전을 90°로 제한되게 하며 클램프 레버(38)의 작동에 의하여 회동되는 결합봉(39)이 상기 결합편(11)에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봉(39)이 걸이홈(13)이 하단에 엇물리게 형성된 멈춤편(14)(14a)에 의하여 결합봉(39)의 회동을 제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
KR2019910023957U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KR970002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957U KR970002225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957U KR970002225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307U KR930016307U (ko) 1993-07-28
KR970002225Y1 true KR970002225Y1 (ko) 1997-03-20

Family

ID=1932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3957U KR970002225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2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307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646A (en) Fastening device
KR100250079B1 (ko) 스프링 탈.장착기
KR970002225Y1 (ko)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KR970002226Y1 (ko)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KR200433723Y1 (ko) 풀림방지와샤
JPH0725272Y2 (ja) 浄水器の取付け装置
JPS6350513Y2 (ko)
KR100323083B1 (ko) 자동차 배터리 고정 구조물
JPS6214217Y2 (ko)
US5489133A (en) Attachment bracket
SU1764846A1 (ru) Резец с механическим креплением режущей пластины
KR20040005206A (ko) 에어크리너의 힌지타입 클램프
KR0133978Y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장치
KR900005238Y1 (ko) 세척구가 부착된 세라믹 정수기
KR200329716Y1 (ko) 볼트, 너트 안전 조임 판
KR200178451Y1 (ko) 연료 펌프 및 센더 어셈블리 장착구조
KR100507229B1 (ko) 엔진 커버의 장착장치
KR0158348B1 (ko) 피로시험용 부시취부구조
KR870002922Y1 (ko) 동력경운기의 밧데리 고정장치
KR970001258Y1 (ko) 버스 라디에이터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수직필러의 취부구조
JPH03243418A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の支持構造
JPH0319458Y2 (ko)
KR100466519B1 (ko) 차량의 엔진고정 구조
KR0116669Y1 (ko) 오토바이의 바람막이 고정장치
JPH0263929A (ja) ラジェータ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