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948B1 -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 Google Patents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948B1
KR970001948B1 KR1019930004254A KR930004254A KR970001948B1 KR 970001948 B1 KR970001948 B1 KR 970001948B1 KR 1019930004254 A KR1019930004254 A KR 1019930004254A KR 930004254 A KR930004254 A KR 930004254A KR 970001948 B1 KR970001948 B1 KR 970001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portion
tail
shield
contact
grou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778A (ko
Inventor
쥬니어 죠셉 안톤 오스왈드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930020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제1도는 헤더와 리셉터클이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를 갖고, 리셉터클 및 한쌍의 회로 조립체가 서로 분해되어 있는 헤더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리셉터클로 사용하기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의 제1실시예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변위 접촉이 있는 제2도의 제1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의 제2의 양호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리셉터클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리셉터클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헤더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헤더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라 헤더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의 제7실시예의 사시도.
제9도는 금속의 평면 스트립내에 본 발명의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회로 조립체 12 : 제1커넥터(리셉터클)
14 : 제2커넥터(헤더) 28 : 스페이서
200, 420, 520 : 제1플랜지 204, 602 : 제1테일 부분
208 : 제2접촉 단부 212, 412 : 제2실드 부재
306 : 제2테일 부분 310, 410 : 제1실드 부재
634 : 원통형 몸체 638 : 대합형 선단
942 : 제1(전면) 이송 스트립 944 : 제2(후면) 이송 스트립
본 발명은 커넥터에 있는 신호 이송 도체 사이의 누화 제어를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가 직각의 리셉터클이거나 직각의 헤더인 것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진보에 따라, 고밀도의 전자 회로 및 부품이 인쇄 배선 기판 또는 인쇄 회로 기판(PCB)상에 놓이게 되었다. 전자 회로 및 부품이 소형화 됨에 따라, 전기 커넥터는 백 판넬(back panel) 또는 마더 보드와 같은 하나의 PCB를 하나 이상의 도터(daughter) 보드와 같은 여러개의 다른 PCB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전형적으로, 이와 같은 커넥터는 고 신호 밀도 용량을 필요로 한다. 즉, 커넥터는 다수의 신호가 커넥터의 단위 체적을 통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도체상에서 전도되는 전기 신호는 인접한 도체상에서 전도되는 신호를 간섭할 수 있다.
임의의 도체상에서 전도되는 전기 신호가 인접한 도체상에 전도되는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이와 같은 간섭 전기 효과를 누화라 한다. 고밀도 커넥터에서 누화의 제어는 특히 중요하다. 이와 같은 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누화를 제어하는 한 가지 방법은, 임의의 고밀도 커넥터의 단자를 접지되거나 선정된 접지 전위에 접속될 인쇄 회로 기판상의 도체 영역에 접속하는 것이다. 이 해결책은 커넥터의 밖에 있다.
미합중국 특허 4,655,518호[레나트 비. 죤슨(Lennart B. Johnson)등], 제4,686,607호(레나트 비. 죤슨) 및 제4,869,677호(레나트 비. 죤슨 등)는 접지 목적 전용의 접촉 부품이 있는 도터 보드/백플레인에 대해 개시하였다. 헤더 접촉 부품은 백플레인상의 접지 또는 선정된 전위에 접속될 수 있는 접촉부를 가진다. 헤더 접촉 부품은 직각의 리셉터를 외벽에 의해 수용되는 접촉부에 닿기 위한 내부 헤더 벽에 의해 수용되는 스프링 접촉부를 갖는다. 다른 접촉부들은 도터 보드에 접속하기 위한 직각의 리셉터를 외벽에 의해 수용되는 접촉부와 일체로 되고 그에 수직이다.
티모디 에이. 렘케(Timothy A. Lemke)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히 제4,601,527호는 커넥터용 내부 실딩 구조 특히 수직 및 각각 헤더에 대해 개시하였다. 실딩 구조는 헤더 하우징의 결합면에 고정된 접지 스트립을 포함한다. 실딩 구조는 하우징의 측벽의 홀내에서 연장된 접촉 빔과 접촉하는 연장된 도체 스프링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접지 샤시에 접속하기 위한 접지 바 접지 스트립에 접속되는 탭을 고정시킨다.
티모디 에이. 램케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824,383호는 터미네이터에 있는 각각의 또는 일군의 접촉 부품을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인접한 도체간에 누화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 신호 전송의 저하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다수의 도체 케이블 또는 다수의 트레이싱 기판을 위한 커넥터 또는 플러그형 터미네이터의 실딩 구조를 개시하였다. 터미네이터는 일반적으로 U형 채널이 있는 접지 구조를 포함한다. 접촉부품은 채널내로 연장되어 있다. 접지 구조는 이러한 목적의 전용의 접촉 부품에 접속되기 보다는 선정된 전위에 접속된다.
리챠드 에이. 엘코(Richard A. Elco)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898,546호는 직각 커넥터용 접지 실드 장치를 개시하였다. 커넥터 접촉 부품의 교대의 컬럼에 다른 실드 장치가 걸쳐 있다. 각각의 실드 장치는 실드 장치에 의해 걸쳐 있는 하나의 접촉 부품의 테일에 끼워진다. 실드 장치는 접지 또는 선정된 전위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회로 또는 부품이 커넥커내의 누화를 제어하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를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누화를 제어하여 리셉터클 또는 헤더내에서 신호 전송의 저하를 최소화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회로 조립체 및 결합 커넥터내에 있는 다수의 행과 열로 배열된 단자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고밀도의 각이 지거나 직각인 전기 리셉터클 또는 헤더에 사용되는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기술에 의해 명확해질 본 발명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은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에 관한 것으로, 결합 단자 접촉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제1접촉 단부, 제1접촉 단부에 접속되는 평탄한, 세로의 제1테일 부분, 만곡부에서 제1테일 부분에 접속되는 평탄한 세로의 제2테일 부분, 회로 조립체에 접속되고, 제2테일 부분을 종결시키는 제2접촉 단부,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접속되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에 수직인 평탄한 제1실드 부재 및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접속되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에 수직인 평탄한 제2실드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유사 참조 문자는 도면의 유사 요소를 표시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제1회로 조립체(10), 제1회로 조립체(10)에 접속하기 위한 제1커넥터(12), 제1커넥터(12)에 접속하기 위한 제2커넥터(14) 및 제2커넥터(14)에 접속하기 위한 제2커넥터(14)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제1커넥터(12)는 하우징내에 행과 열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20)과 절연 하우징(18)을 갖는 리셉터클로 도시되었다. 제2커넥터(14)는 하우징내에 행과 열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24)와 절연 하우징(22)를 갖는 헤더로서 도시되었다. 리셉터클(12)와 헤더(14)는 둘다 단자(20 및 22)가 만곡부(26)을 갖는 각지거나 직각인 커넥터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12)와 헤더(14)는 둘다 단자(20 및 22)의 적어도 하나의 열내에 적어도 하나의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100)을 포함한다. 단자(20 또는 24)의 임의 수의 열은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100)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12) 또는 헤더(14)는 단지 하나를 포함하는 임의 수의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100)을 가질 수 있다. 양호하게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20 및 22)의 모든 다른 열 안에 하나의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100)이 있다. 양호하게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된 단자와 테일 실드(100)은 단자(20 및 22)의 각각의 열내에 있는 가장 긴 단자(20 및 22) 대신에 사용되고 각각의 열내에 있는 모든 다른 단자의 테일을 실딩한다. 그러나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100)은 단자(20 및 22) 대신에 단자(20 및 22)의 열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100)은 동일한 열내에 있는 모두는 아니지는 다수의 단자의 테일을 실딩한다. 단자(20 및 22)가 회로 조립체(10 및 16)내의 평판 관통 홀(30)에 삽입되어 납땜되기 전에 커넥터(12 및 14)의 단자(20 및 22)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커넥터 조립체는 스페이서(28)을 포함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리셉터클(12)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100)의 제1의 양호한 실시예(200)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200)은 제1접촉 단부(202), 제1테일 부분(204), 제2테일 부분(206), 제2접촉 단부(208), 제1실드 부재(210) 및 제2실드 부재(212)를 포함한다. 제1접촉 단부(202)은 제1도에 도시된 헤더(14)의 하나의 단자(24)의 제1단부와 같은 결합 단자의 접촉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제1접촉 단부(202)는 결합 접촉 단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었다. 그러나, 제1접촉 단부(202)는 제2도의 소켓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평판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제1테일 부분(204)는 평탄하고 세로이며, 테일 부분(204)는 제1접촉 단부(202)와 일체로 접속된다. 제2테일 부분(206)은 평탄하고 세로이며, 제1테일 부분(204)와 만곡부(214)에서 일체로 접속된다. 만곡부(214)는 45o또는 90o와 같은 임의의 각이다. 제2접촉 단부(208)은 제2테일 부분(206)을 일체로 종결한다. 제2접촉단부(208)은 회로 조립체(10)내에 있는 평판 관통 홀(30)에 납땜하는 것과 같이 회로 조립체(10)에 접속될 수 있다면 어떤 모양도 가능하다. 제2도는 제2단부(208)이 평판 관통 홀(30)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경사진 리드인 에지가 있는 평탄한 납땜 테일 단부로서 도시한 것이다.
제1테일 부분(204)와 제2테일 부분(206)은 그 자체에 다른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양호하게는, 제1테일 부분(204)와 제2테일 부분(206)은 평행한 측면 또는 에지를 갖는 평탄 스트립 모양이다.
제1실드 부재(210)은 제1테일 부분(204) 및 제2테일 부분(206)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접속된다. 제2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제1실드 부재(210)은 제1테일 부분(204)와 일체로 접속된다. 더 나아가, 제1실드 부재(210)은 제1테일 부분(204)와 제2테일 부분(206)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제2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제1실드 부재(210)은 전기적으로 비일체로 제2테일 부분(206)을 접촉한다. 여기서 사용된, 일체라는 용어는 다른 부품과 단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양 부품이 동일한 부품으로부터 형성되고 두개의 각기 디른 부품으로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원래의 두개의 별개인 2개의 부품이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임의의 영구적인 방식으로 함께 접속될 때 일체로 된다. 여기서 사용된 비일체이라는 용어는 두개의 부품이 서로 접촉 또는 접속되어 상당한 노력이나 부품의 파손없이 분리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유사하게, 제2실드 부재(212)는 제1테일 부분(204)와 제2테일 부분(206)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접속된다. 제2도에 도시된 제2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2실드 부재(212)는 제1테일 부분(204)와 일체로 접속된다. 더 나아가, 제2실드 부재(212)는 제1테일 부분(204)와 제2테일 부분(206)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제2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제2실드 부재(212)는 전기적으로 또 비일체로 제2테일 부분(206)과 접촉한다.
제1실시예에서, 제1테일 부분(204)는 제1플랜지(216)과 제2플랜지(218)을 갖는다. 플랜지(216 및 218)은 제1테일 부분(204)의 말단 측면 또는 에지로부터 연장된다. 제1실드 부재(210)은 제1플랜지(216)과 일체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실드 부재(212)는 일체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제2플랜지(218)에 접속된다. 제2테일 부분(206)을 제1플랜지(220)과 제2플랜지(222)를 갖는다. 플랜지(220 및 222)는 제2테일 부분(206)의 말단 측면 또는 에지로부터 연장된다. 제1실드 부재(210)은 비일체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제1플랜지(220)에 접촉한다. 제2실드 부재(212)는 비일체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제2플랜지(22)에 접촉한다.
제1실드 부재(210)은 제1테일 부분(204)와 제2테일 부분(206)에 대해 수직이다. 제2실드 부재(212)는 제1테일 부분(204)와 제2테일 부분(206)에 대해 수직이다. 제2실드 부재(212)는 제1실드 부재(210)에 대해 평행이고 이격되어 있다.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200)에서와 같이 동일한 열내에 있는 단자(20)의 테일을 둘러싸기 위한 포멧(224)는 제1실드 부재(210), 제2실드 부재(212), 제1테일 부분(204) 및 제2테일 부분(206)에 의해 한정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100)의 제2실시예(300)을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300)이 제1변위 접촉부(326)과 제2변위 접촉부(328)을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300)은 제1실시예(200)과 동일하다. 제1변위 접촉부(326)은 간섭 형태로 수용하여 제2테일 부분(30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슬롯을 갖는다. 제1변위 접촉부(326)은 만곡부에서 제1실드 부재(310)과 일체로 접속된다. 제2변위 접촉부(328)은 간섭 형태로 수용하여 제2테일 부분(306)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슬롯을 갖는다. 제2변위 접촉부(328)은 만곡부에서 제2실드 부재(312)와 일체로 접속된다. 변위 접촉부(326 및 328)과 같은 변위 접촉부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변위 접촉부(326 및 328)과 같은 변위 접촉부는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실드 부재를 제1테일 부분에 접속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제4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100)의 제3의 실시예(400)이 도시되어 있다. 제2의 실시예(300)에서 제1실드 부재(410)이 비일체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제1플랜지(416)에 접촉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3의 실시예(400)의 제1실시예(200)과 동일할 수 있다. 제2실드 부재(412)는 비일체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제2플랜지(418)에 접촉한다. 제1실드 부재(410)은 일체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제1플랜지(420)에 접속된다. 제2실드 부재(412)는 일체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제2플랜지(422)에 접속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체로 된 접지 테일 실드(100)의 제4의 실시예(500)을 도시한다. 제1 및 제2실드 부재(510 및 512)가 제1섹션(530) 및 제2섹션(532)를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4의 실시예(500)은 제1실시예(200)과 동일하다. 제1섹션(530)은 완전하게 제1테일 부분(504)의 제1 및 제2플랜지(516 및 518)과 일체로 접속된다. 제2섹션(532)는 제2테일 부분(506)의 제1 및 제2플랜지(520 및 522)와 일체로 접속된다. 각각의 실드 부재(510 및 512)의 제1 및 제2섹션(530 및 532)는 상호 비일체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100)의 제5, 제6 및 제7의 실시예(600,700 및 800)을 각각 도시한다. 제5, 제6 및 제7의 실시예(600,700 및 800)은 참조번호(602,702 및 802)로 각각 지정된 제1테일 부분을 위한 세개의 다른 설계를 도시한다. 이들 제1테일 부분(602,702 및 8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에 있을 수 있다. 제1테일 부분(202,602 및 702)가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5 및 제6실시예(600 및 700)은 각각 제1실시예(200)과 동일하다. 제1테일 부분(302 및 702)가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7실시예(800)은 제2실시예(300)과 동일하다.
제5실시예(600)의 제1테일 부분(602)는 세로의 슬릿(636)이 원통형 몸체(634)를 형성하는 판금의 평탄 스톡으로부터 감겨 있다. 제1테일 부분(602)는 대합형 선단 또는 테이퍼된 선단(638)을 가져서 제1테일 부분(602)의 결합 커넥터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제6실시예(700)의 제1테일 부분(702)는 제1테일 부분(702)에 필요한 두께인 제1두께를 갖는 판금의 평탄스톡으로 형성되었다. 판금은 제1테일 부분(704)의 하부 표면과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700)의 나머지를 형성하기 위해 쉬트로부터 금속층을 제거하도록 다음에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700)는 연삭된 쉬트로부터 절단되거나 다듬어진다. 제1테일 부분(701)는 양호하게 절단되어 세로 축에 수직인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제1테일 부분(702)는 또한 제1테일 부분(702)의 결합 커넥터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된 선단(738)을 가진다.
제7실시예(800)의 제1테일 부분(802)는 원통형 핀으로서 제1테일 부분(804)에 납땜 또는 용접되어 있다. 제1테일 부분(802) 원추형 선단(838)을 가져서 제1테일 부분(802)의 결합 커넥터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100)의 각각의 실시예는 적절한 금속의 평탄 스톡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도시하자면 제9도는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200)으로서 하나 또는 일련의 후속적인 다듬는 단계 및 만곡시키거나 접는 단계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형태로 초기에 다듬어진 평탄 스톡의 평면도이다. 후속적인 다듬는 단계중에, 제1접촉 단부(202)의 나머지는 쇄선(940)상에서 제1 또는 전면 이송 스트립(942)로부터 절단된다. 제2접촉 단부(208)는 제2 또는 후면 이송 스트립(944)에 접속된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된다. 쇄선(946)은 제2도에 도시된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200)의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 접힌 평탄 금속 영역을 지시한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되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를 이용할 수 있는 자들은 이에 여러가지 수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에 있어서, 결합 단자 접촉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제1접촉 단부, 제1접촉 단부에 접속되는 평탄한 세로의 제1테일 부분, 만곡부에서 제1테일 부분에 접속되는 평탄한 세로의 제2테일 부분, 회로 조립체에 접속되고, 제2테일 부분을 종결시키는 제2접촉 단부,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접속되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에 수직인 평탄한 제1실드 부재 및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접속되고 제2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에 수직인 평탄한 제2실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
  2. 제1항에 있어서, 제2테일 부분은 제1 및 제2플랜지를 갖고 있고, 이 플랜지들은 제2테일 부분의 말단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제2실드 부재는 제1플랜지와 비일체로 접촉하고, 제2실드 부재는 제2플랜지와 비일체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3. 제1항에 있어서, 제2테일 부분은 제1 및 제2플랜지를 갖고 있고, 이 플랜지들은 제1테일 부분의 말단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제2실드 부재는 제1플랜지와 비일체로 접촉하고, 제2실드 부재는 제2플랜지와 비일체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4. 제1항에 있어서, 제1실드 부재는 제1테일 부분에는 일체로 접속되고, 제2테일 부분에는 비일체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5. 제1항에 있어서, 제1실드 부재는 제2테일 부분에는 비일체로 제2테일 부분에는 일체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6. 제1항에 있어서, 제1실드 부재는 제1섹션 및 제2섹션을 갖고 있고, 제1섹션은 제1테일 부분에 일체로 접속되며, 제2섹션은 제2테일 부분에 일체로 접속되고, 제1 및 제2섹션은 서로 비일체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로 된 접지 단지 및 테일 실드.
  7. 제1항에 있어서, 제2테일 부분을 수용하는 슬롯을 갖고, 만곡부에서 제1실드 부재에 접속되는 제1변위 접촉부 및 제2테일 부분을 수용하는 슬롯을 갖고, 만곡부에서 제2실드 부재에 접속되는 제2변위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8. 제1항에 있어서, 제1접촉 단부는 소켓 또는 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9. 행과 열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에 있어서, 결합 단자 접촉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제1접촉 단부, 제1접촉 단부에 접속되는 평탄한 세로의 제1테일 부분, 만곡부에서 제1테일 부분에 접속되는 평탄한 세로의 제2테일 부분, 회로 조립체에 접속되고, 제2테일 부분을 종결시키는 제2접촉 단부,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접속되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에 수직인 평탄한 제1실드 부재 및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접속되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에 수직인 평탄한 제2실드 부재를 포함하여,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가 행과 열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열들 중의 한 열내에 있는 단자들 중의 한 단자로서 사용될 때 제1 및 제2실드 부재와 제1 및 제2테일 부분이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와 동일한 열내에 있는 다수 단자의 테일을 둘러싸는 포켓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로 된 접지 단자와 테일 실드.
  10. 결합 커넥터와 회로 조립체를 상호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 하우징내에 행과 열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 결합 단자 접촉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제1접촉 단부, 제1접촉 단부에 접속되는 평탄한 세로의 제1테일 부분, 만곡부에서 제1테일 부분에 접속되는 평탄한 서로의 제2테일 부분, 회로 조립체에 접속되고, 제2테일 부분을 종결시키는 제2접촉 단부,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접속되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에 수직인 평탄한 제1실드 부재 및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접속되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제1테일 부분과 제2테일 부분에 수직인 평탄한 제2실드를 포함하는, 열들 중의 한 열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실드 부재와 제1 및 제2테일 부분이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와 동일한 열내에 있는 다수 단자의 테일을 둘러싸는 포켓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19930004254A 1992-03-20 1993-03-19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KR970001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415992A 1992-03-19 1992-03-19
US07/854,159 1992-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778A KR930020778A (ko) 1993-10-20
KR970001948B1 true KR970001948B1 (ko) 1997-02-19

Family

ID=2531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254A KR970001948B1 (ko) 1992-03-20 1993-03-19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10354A (ko)
EP (1) EP0561202B1 (ko)
JP (1) JP3391499B2 (ko)
KR (1) KR970001948B1 (ko)
DE (1) DE69302511T2 (ko)
HK (1) HK165796A (ko)
SG (1) SG46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3206A (en) * 1993-04-05 1995-04-04 Teradyne, Inc.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2899944B2 (ja) * 1993-07-27 1999-06-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多芯コネクタ
JPH07122335A (ja) * 1993-10-20 1995-05-1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高速伝送用コネクタ
NL9400321A (nl) * 1994-03-03 1995-10-02 Framatome Connectors Belgium Connector voor een kabel voor hoogfrequente signalen.
FR2726128B1 (fr) * 1994-10-19 1996-12-27 Radiall Sa Connecteur electrique multivoie sans barriere electromagnetique entre les voies
DE4446098C2 (de) * 1994-12-22 1998-11-26 Siemens Ag Elektrischer Verbinder mit Abschirmung
US5564949A (en) * 1995-01-05 1996-10-15 Thomas & Betts Corporation Shielded compact data connector
DE19713867A1 (de) * 1997-04-04 1998-10-08 Bosch Gmbh Robert Steckerleiste für elektronische Geräte
US6227882B1 (en) 1997-10-01 2001-05-08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electrical isolation in a condensed area
US6780054B2 (en) 1998-01-15 2004-08-24 The Siemon Company Shielded outlet having contact tails shield
US6132255A (en) * 1999-01-08 2000-10-17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and insulation
US6174202B1 (en) * 1999-01-08 2001-01-16 Berg Technology, Inc. Shielded connector having modular construction
US6116926A (en) * 1999-04-21 2000-09-12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electrical isolation in a condensed area
US6527587B1 (en) 1999-04-29 2003-03-0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Header assembly for mounting to a circuit substrate and having ground shields therewithin
AU732218B3 (en) * 1999-05-28 2001-04-12 Adc Gmbh Multi-contact electrical connector
JP3397303B2 (ja) * 1999-06-17 2003-04-14 エヌイーシートーキ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05068A (ja) * 2001-04-04 2002-10-1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用端子及びキャリア付端子材
US6695627B2 (en) 2001-08-02 2004-02-24 Fci Americas Technnology, Inc. Profiled header ground pin
US6743049B2 (en) * 2002-06-24 2004-06-01 Advanced Interconnections Corporation High speed, high density interconnection device
US8197262B2 (en) 2010-03-26 2012-06-12 Tyco Electronic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JP5756608B2 (ja) * 2010-07-15 2015-07-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469723B2 (en) * 2011-03-01 2013-06-25 Advanced Testing Technologies, Inc. Re-configurable electrical connectors
CN205790477U (zh) * 2014-12-05 2016-12-07 希捷科技有限公司 电气连接器、直角电气连接器及电气设备系统
CN205960252U (zh) * 2016-07-12 2017-02-1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TWI669858B (zh) * 2018-07-10 2019-08-21 美商莫仕有限公司 Intermediate transfer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combination
CN110707493B (zh) 2018-07-10 2021-08-31 莫列斯有限公司 中介转接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CN210137029U (zh) 2019-08-13 2020-03-10 纽陲客股份公司 嵌入式插接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9372A (en) * 1966-04-15 1968-08-27 Ibm High density connector package
EP0107288B1 (en) * 1982-09-07 1986-03-19 AMP INCORPORATED (a New Jerse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terminating flat shielded electrical cable
US4869677A (en) * 1984-08-17 1989-09-26 Teradyne, Inc. Backplane connector
US4655518A (en) * 1984-08-17 1987-04-07 Teradyne, Inc. Backplane connector
US4601527A (en) * 1985-01-18 1986-07-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hielded header and cable assembly
US4686607A (en) * 1986-01-08 1987-08-11 Teradyne, Inc. Daughter board/backplane assembly
US4824383A (en) * 1986-11-18 1989-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rminator and corresponding receptacle for multiple electrical conductors
US4867707A (en) * 1987-10-19 1989-09-19 W. L. Gore & Associates, Inc. Coaxial shield integrated contact connector assembly
US4846727A (en) * 1988-04-11 1989-07-11 Amp Incorporated Reference conductor for improving signal integrity in electrical connectors
US4898546A (en) * 1988-12-16 1990-02-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round plane shield device for right angle connectors
US4914062A (en) * 1989-02-15 1990-04-03 W. L. Gore & Associates, Inc. Shielded right angled header
US5197893A (en) * 1990-03-14 1993-03-30 Burndy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printed circuit boards
AU7736691A (en) * 1990-06-08 1991-12-1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133679A (en) * 1990-06-08 1992-07-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2511D1 (de) 1996-06-13
JPH0685483A (ja) 1994-03-25
EP0561202B1 (en) 1996-05-08
KR930020778A (ko) 1993-10-20
DE69302511T2 (de) 1996-09-12
SG46433A1 (en) 1998-02-20
HK165796A (en) 1996-09-13
JP3391499B2 (ja) 2003-03-31
EP0561202A1 (en) 1993-09-22
US5310354A (en) 199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948B1 (ko)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KR960002136B1 (ko) 접지 구조물을 갖고 있는 커넥터
US5135405A (en)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EP0460976B1 (en)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228864A (en)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496180A (en) Surface mountable card edge connector
US4331370A (en) Connection system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471548B2 (en) Shielded header
US6572410B1 (en) Connection header and shield
US4992052A (en) Modular connector system with high contact element density
EP1719210B1 (en) Connector apparatus
US6042394A (en) Right-angle connector
EP0555933A1 (en) Coaxial connector module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20010044235A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5151036A (en)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141453A (en)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261829A (en)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EP0393251B1 (en) Modular connector system with high contact element density surface mounted connectors
JPH02177278A (ja) 電気接続装置およびヘッダー
US5259772A (en)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256082A (en) Coaxial ribbon cable connector
EP0556072A1 (en) Circuit board connector
EP0739061B1 (en) Right-angle connector with separate right-angle tail-unit
AU616256B2 (en) Modular connector system with high contact element density surface mounted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