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895Y1 -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895Y1
KR970001895Y1 KR2019930026654U KR930026654U KR970001895Y1 KR 970001895 Y1 KR970001895 Y1 KR 970001895Y1 KR 2019930026654 U KR2019930026654 U KR 2019930026654U KR 930026654 U KR930026654 U KR 930026654U KR 970001895 Y1 KR970001895 Y1 KR 970001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heater
power
monito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003U (ko
Inventor
정갑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6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895Y1/ko
Publication of KR950022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9/00Details of vacuu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1/00
    • H01J19/02Electron-emitting electrodes; Cathodes
    • H01J19/04Thermionic cathodes
    • H01J19/14Cathodes heated indirectly by an electric current; Cathodes heated by electron or ion bombardment
    • H01J19/16H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04N5/68Circuit details for cathode-ray displ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28Heaters for thermionic cath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 모니터 구동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블럭도.
제3도는 파워 메니즈먼트모드의 각 모드상태에 따른 수평, 수직동기신호출력상태도.
제4도는 각 모드상태에 따른 오프 및 대기모드 제어부(30)(40)의 출력진리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히터전압공급부 11 : 전압공급부
12 : 트랜스 13 : 제1정류 및 평활부
14 : 제2정류 및 평활부 15 : 제3정류 및 평활부
20 : 브라운관히터 30 : 오프모드 제어부
40 : 대기모드 제어부 50 : 오프모드 구동부
60 : 히터전압 제어부 70 : 스위칭부
80 : 모드표시부
본 고안은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모니터를 사용하던중 잠깐 자리를 비우거나 일시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모드가 절전모드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을 줄이고, 사용자가 작업을 시작하면 바로 화면이 보이도록 하는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모니터 구동장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와, 상기 전원공급부(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1차측으로 받아 2차측으로 교류전원을 발생하는 트랜스(2)와 상기 트랜스(2)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원를 정류 및 평활하여 브라운관 히터(4)를 구동하는 정류 및 평활부(3)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모니터 구동장치는 전원공급부(1)가 트랜스(2)의 1차측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트랜스(2)의 2차측에는 교류전원이 유기되고, 이 교류전원은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로 구성되는 정류 및 평활부(3)를 통해 경유되고 평활되어 브라운관히터(4)를 가열시켜 모니터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모니터 조정은 브라운관히터(4)로 인가되는 전압을 온(ON), 오프(OFF)로만 조정가능하므로 모니터를 켜 놓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니터에 계속적으로 전압이 공급되어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또한 모니터를 오프(OFF)했다가 다시 온(ON)시킬 경우 브라운관히터(4)가 가열되지 있지 않기 때문에 그 히터가 충분히 가열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모니터의 화면은 그 히터가 가열된 후에 보이기 시작하여 사용상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피씨(PC) 및 모니터를 켜놓은 상태에서 어느 일정시간동안 사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 모니터가 동기신호 입력유,무에 따른 모드상태를 판단하여 대기(stand-by) 및 일시정지(suspend)상태일 경우 모니터에 공급되는 전원를 떨어뜨리고, 이 저전력으로 대기(stand-by) 및 일시정지(suspend)기간 동안 브라운관 히터를 가열하여 대기(stand-by) 및 일시정지(suspend)상태가 해제될 경우 화면이 빨리 나타나도록 하는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를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브라운관히터를 가열하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히터전압공급수단과, 오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오프모드제어수단과, 대기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대기모드제어수단과, 상기 오프모드제어수단이나 대기모드제어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오프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상기 히터전압공급수단을 구동하는 오프모드구동수단과, 상기 대기모드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전압공급수단에서 브라운관히터로 공급되는전압을 제어하는 히터전압제어수단과, 상기 각 수단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대기모드제어수단과 히터전압공급수단의 출력에 따라 모드상태를 표시하는 모드표시수단으로 구성한다.
제2도는 본 고안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운관히터(20)를 가열하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히터 전압공급부(10)와, 오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대기모드제어부(40)와, 상기 오프모드제어부(30)나 대기모드제어부(40)의 출력신호에 따라 오프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상기 히터전압공급부(10)를 구동하는 오프모드구동부(50)와, 저항(R4-R5), 콘덴서(C4), 트랜지스터(Q1-Q3)로 구성되어 상기 대기모드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전압공급부(10)에서 브라운관히터(20)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히터전압제어부(60)와, 저항(R7,R8), 다이오드(D4-D6), 콘덴서(C5) 및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되어 상기 각 부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70)와, 저항(R9-Rl2), 트랜지스터(Q5,Q6), 엘이디(LED1, LED2)로 구성되어 상기 대기모드제어부(40)와 히터전압공급부(10)의 출력에 따라 모드상태를 표시하는 모드표시부(80)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히터 전압공급부(10)는 전원공급부(11)에서 1차측코일(L1)(L2)로 공급되는 전원에 유기되어 2차측 코일(L11)(L12)에 각각 전압(Vcc1)(Vcc2,Vcc3)을 발생하는 트랜스(12)와, 저항(R1), 콘덴서(C1), 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스(12)에서 발생하는 전압(Vcc1)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1정류 및 평활부(13)와, 다이오드(D2), 콘덴서(C2)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스(12)에서 발생하는 전압(Vcc2)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2정류 및 평활부(14)와, 저항(R2), 다이오드(D3), 콘덴서(C3)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스(12)에서 발생하는 전압(Vcc3)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3정류 및 평활부(15)로 구성하며, 상기 트랜스(12)의 2차측코일(L12)은 다른 2차측코일(L11)의 턴 수보다 높게 설정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 파워 메니즈먼트(power management)의 동작은 사용자가 피씨(PC)의 키보드(Keyboard)를 어느 일정시간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피씨(PC)가 자동으로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를 자동으로 끊어주는데 모니터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감지하여 파워메니즈먼트를 동작시키게 된다.
현재 파워메니즈먼트모드는 오프모드(off mode), 대기모드(stand-by mode), 일시정지모드(suspend mode)로 정해져 있고, 모니터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모드상태에 따라 들어오는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사용지가 피씨(PC) 및 모니터를 켜놓은 상태에서 키보드를 어느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으면, 모니터는 제3도와 같은 상태로 들어오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감지하여 모드상태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각 모드상태에 따라 수평, 수직동기의 감지신호를 제4도의 진리표와 같이 제어하여 출력한다.
즉 수평, 수직동기신호가 없음이 감지되면, 모니터는 파워메니즈먼트모드를 오프모드(off mode)로 감지한다.
이에 따라, 오프모드제어부(30)와 대기모드제어부(40)는 제4도의 진리표와 같이 각각 하이(H)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프모드제어부(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오프모드구동부(50)가 구동하면 히터전원공급부(10)의 전원공급부(11)는 트랜스(12)의 1차측코일(L1) (L2)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1차측코일(L1)과 대응하는 상기 트랜스(12)의 2차측 코일(L11)은 편수가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2차측코일(L11)에서 발생하는 전압(Vcc1)을 제1정류 및 평활부(13)를 통해 입력받으므로 그 브라운관히터(20)는 저전력으로 동작된다.
한편, 상기 트랜스(12)의 1차측코일(L2)과 대응하는 상기 트랜스(12)의 2차측 코일(L21)에서 발생하는 전압(Vcc2)(Vcc3)도 떨어지지만 상기 2차측코일(L21)의 턴수가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압(Vcc2)(Vcc3)은 적정수준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2차측코일(L21)에서 발생한 전압(Vcc2)은 제2정류 및 평활부(14)를 거쳐 오프모드구동부(50)로 공급되어 상기 오프모드구동부(50)와 상기 전원공급부(11)는 저전력으로 계속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프모드제어부(30)의 하이(H)출력에 의해 스위칭부(70)의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므로 상기 대기모드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하이(H)신호는 히터전압제어부(60)로 인가되지 않아 그 히터 전압제어부(60)의 트랜지스터(Q1-Q3)는 오프되므로, 상기 2차측코일(L21)에서 발생한 전압(Vcc3)은 상기 브라운관히터(20)로 공급되지 않는다.
반면, 대기(stand-by) 및 일시정지모드(suspend mode)는 같은 조건으로 동작시키는데, 제3도와 같이 수평, 수직동기신호중 하나의 동기신호만이 감지되면 모니터는 파워 메니즈먼트모드를 대기 및 일시정지 모드로 판단하게 되는데, 이 대기 및 일시정지모드는 오프모드(off mode)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을 만족하면서 화면이 빨리 보일 수 있도록 브라운관히터(20)를 가열시켜야 하므로 오프모드제어부(30)와 대기모드제어부(40)는 제4도의 진리표와 같이 로우(L)신호와 하이(H)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오프모드제어부(30)의 로우(L)출력에 의해 스위칭부(70)의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므로 상기 대기모드제어부(40)의 하이(H)출력은 히터전압제어부(60)의 트랜지스터(Q1-Q3)를 온시킴과 동시에 다이오드(D4)를 통해 오프모드구동부(50)를 구동시켜 오프모드(off mode)로 들어가게 하고, 전원공급부(11)가 트랜스(12)의 1차코일(L1)(L2)에 전원을 공급하면 그 트랜스(12)의 2차측코일(L2)에서 전압(Vcc2)(Vcc3)가 발생하고, 상기 전압(Vcc2)는 제2정류 및 평활부(14)를 거쳐 오프모드제어부(50)로 인가되어 계속 오프모드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전압(Vcc3)은 제3정류 및 평활부(15)를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Q3)를 거쳐 브라운관히터(20)로 인가되어 그 브라운관히터(20)를 계속 가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압(Vcc2)(Vcc3)은 정상상태일 때는 높은 상태로 있다가 파워메니즈먼트모드로 동작될 때 전압이 떨어지는데, 만일 정상상태에서 상기 히터전압제어부(60)의 트랜지스터(Q3)의 불량으로 인해 에미터와 콜렉터가 쇼트가 될 경우 브라운관히터(20)로 높은 전압이 가해져서 많은 전류가 흐르면, 브라운관이 파괴되므로 이때에는 스위칭부(70)의 제너다이오드(D6)가 도통되고 저항(R8)으로 전류를 제한시켜 상기 오프모드구동부(30)를 동작시켜 트랜스(12)의 2차측코일(L11)(L21)에서 발생하는 전압(Vcc1)(Vcc2)(Vcc3)을 모두 일정수준 떨어뜨려 브라운관의 파괴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전압(Vcc2)(Vcc3)를 제2정류 및 평활부(14)와 제3정류 및 평활부(15)로 별도로 정류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트랜스(12)의 2차측코일(L21)의 발생전압(Vcc2)(Vcc3)(Vcc2)Vcc3가 되어야 하는데, Vcc2를 브라운관히터(20)의 공급전압으로 이용하면, 전압이 높아 브라운관히터(20)에 많은 전류가 흘러야 하고, 항상 일정전압이 흘러야 하므로 히터전압제어부(60)의 저항(R4)의 드롭전압이 높고, 자체 소비전력이 높게 되어 온도가 올라간다. 따라서 히터전압을 최소화시켜서 드롭전압을 줄여서 사용해야 한다.
한편 모드표시부(80)는 모니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모드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되는데 정상상태일 때는 대기모드제어부(40)의 로우(L)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Q5,Q6)가 오프되어 엘이디(LED2)가 오프되고, 히터전압공급부(10)의 제1정류 및 평활부(11) 출력에 의해 엘이디(LED1)만 동작되고 대기 및 일시정지모드일 때는 상기 대기모드제어부(40)와 제1정류 및 평활부(11)의 출력신호에 의해 엘이디(LED1)(LED2)가 모두 동작되며, 오프모드일 경우에는 제1정류 및 평활부(11)에서 출력되는 전압(Vcc)이 매우 낮으므로 엘이디(LED1)는 오프되고, 상기 대기모드제어부(40)의 하이(H)출력에 의해 엘이디(LED2)만 동작되게 된다.
이때, 엘이디(LED1)는 녹색(Green)이고, 엘이디(LED2)가 적색(Red)이라면, 정상상태모드에서는 녹색(Green)이 표시되고, 대기 및 일시정지모드에서는 녹색과 적색의 혼합색인 노란색(Yellow)이 표시되며, 오프모드에서는 적색이 표시되므로 각 모드에 따라서 색상구분이 가능하게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모드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잠깐 자리를 비우거나 사용치 않을 경우 절전모드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하고, 대기 및 일시정지모드가 해제될 경우 화면이 빨리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지루하게 기다리는 것을 없애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브라운관히터를 가열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히터전압공급수단과, 오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오프모드제어수단과, 대기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대기모드제어수단과, 상기 오프모드제어수단이나 대기모드제어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오프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상기 히터전압공급수단의 전원발생을 떨어뜨리는 오프모드구동수단과, 상기 대기모드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전압공급수단에서 브라운관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히터전압제어수단과, 상기 각 수단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대기모드제어수단과, 히터전압공급수단의 출력에 따라 모드상태를 표시하는 모드표시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모드구동수단은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전압공급수단은 전원공급부(1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1차측코일(L1)(L2)로 받아 2차측코일(L11)(L12)에 각각 전압(Vcc1),(Vcc2,Vcc3)을 발생하는 트랜스(12)와, 상기 트랜스(12)의 2차측코일(L11)(L12)에서 발생하는 전압(Vcc1),(Vcc2),(Vcc3)을 각각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1, 제2, 제3 정류 및 평활부(13)(14)(1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1)는 상기 오프모드구동수단의 제어를 받아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KR2019930026654U 1993-12-07 1993-12-07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KR970001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654U KR970001895Y1 (ko) 1993-12-07 1993-12-07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654U KR970001895Y1 (ko) 1993-12-07 1993-12-07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003U KR950022003U (ko) 1995-07-28
KR970001895Y1 true KR970001895Y1 (ko) 1997-03-17

Family

ID=1937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654U KR970001895Y1 (ko) 1993-12-07 1993-12-07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8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003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3464A (en) Power saving apparatus for use in peripheral equipment of a computer
US6054981A (en) Power saving modes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US7875998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of display device
EP1420332A2 (en) Power controlling system
JP2000181430A (ja) モニタの節電回路及び節電方法
KR100426696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5961648A (en) Heater preheating device for cathode ray tube
KR970001895Y1 (ko)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
KR100248289B1 (ko) 초절전형 모니터의 전원회로
JPH0923649A (ja) 電源回路
KR100371164B1 (ko) 절전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
KR100208993B1 (ko) 절전형 모니터의 순간 제어 장치
KR100195619B1 (ko) 컴퓨터 영상표시장치의 전원관리모드 전환방법
KR20000015102U (ko) 대기전원시 소비전력 절감장치
KR970000259B1 (ko) Ac 파형을 이용한 모니터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970001361B1 (ko) 대기전원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절전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03101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회로
KR100195618B1 (ko) 컴퓨터 영상표시장치의 전원관리모드 전환방법
KR0130508Y1 (ko) 입력전원에 따른 전원 스위칭 제어장치
KR100688471B1 (ko) 램프의 조도 조절을 위한 동작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조도 조절 장치
KR930004818Y1 (ko) 수평 스타트 회로 제어장치
KR101044963B1 (ko) 엘이디 제어 회로용 전원 공급 장치
KR970002217Y1 (ko)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
KR100326752B1 (ko) 세탁기의스위칭소자제어방법
KR950000438Y1 (ko)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