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17Y1 -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 - Google Patents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17Y1
KR970002217Y1 KR2019940019628U KR19940019628U KR970002217Y1 KR 970002217 Y1 KR970002217 Y1 KR 970002217Y1 KR 2019940019628 U KR2019940019628 U KR 2019940019628U KR 19940019628 U KR19940019628 U KR 19940019628U KR 970002217 Y1 KR970002217 Y1 KR 970002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uxiliary power
power supply
transisto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966U (ko
Inventor
강주성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9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217Y1/ko
Publication of KR960008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
통상 트린 모니터라고 불리우는 종래의 절전형모니터의 전원장치는 크게 나누어 공급전원으로 시스템의 각 부분에 주전원을 공급해주는 주전원회로부와, 절전 모드시 시스템의 소정 부분에만 보조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보조전원회로부와, 상기 주전원회로부와 보조전원회로부의 동작을 전환해주기 위한 전환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절전형모니터 전원장치는, 먼저 시스템이 사용중일때에는 주전원회로부로에서 시스템 각단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어 시스템의 전체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절전 모드시에는 전환회로의 동작에 의해 주전원회로부는 오프되고 보조전원회로부만 구동되어 시스템(중앙처리장치)의 일부분에만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어 절전모드를 수행토록 한다.
상기에서, 주전원회로부와 보조전원회로부는 고가인 PWM(Pulse Width Modulation)IC를 사용하며, 전환회로 역시 고가의 IC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절전형모니터 전원장치는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 및 전환회로가 모두 고가의 PWM IC와 집적회로(IC)를 사용하므로써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되는 결점과, 또 IC를 전량 수입해야하기 때문에 납기문제는 몰론 무역역조등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격이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보조전원회로를 구성하여 원가절감을 꾀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간단한 전환회로부에 의하여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를 용이하게 전환 시킬수 있도록 한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좀더 상세한 목적은 스위칭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전환회로부에 의하여 주전원회로가 구동될때는 보조전원회로를 차단시키고, 보조전원회로가 구동될때는 주전원회로에 공급되는 주전원을 바이패스시켜 주전원회로의 동작을 차단 시킬수 있게 하고, 또 보조전원회로를 고가인 IC를 사용하지 않고 가격이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코스트를 절감시킬 수 있게한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은, 시스템에 주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주전원회로부와, 상기 시스템의 절전모드시 보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회로부와, 상기 주전원회로부와 보조전원회로를 전환시키기 위해 시스템동기신호(II.Svn, V.Svnc)에 따라 전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포토커플러와, 상기 포토커플러에서 출력되는 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전원회로부와 보조전원회로부의 동작을 전환시켜주는 제너다이오드와 분압저항과 다이오드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전환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도.
제2도는 그린 모니터의 상태르 나타낸 도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보조전원회로부 30 : 전환회로부
TR1∼TR3:트랜지스터 ZD1 : 제너다이오드
D1 : 다이오드 R1,R2 : 저항
본 고안은 모니터의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를 간단한 전환회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보조전원회로를 가격이 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원가 절감을 꾀하도록 한 전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회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시스템 동기신호(Sync)에 따라 전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원 콘트롤부(IC)와, 시스템에 주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주전원회로부(10)와, 상기 시스템의 절전모드시 보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회로부(20)와, 상기 주전원회로부(10)와 보조전원회로부(20)를 전환시키기 위해 시스템 동기신호(II.Svnc,V.Svnc)에 따라 전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포토커플러(PC)와, 상기 포토커플러(PC)에서 출력되는 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전원회로부(10)와 보조전원회로부(20)의 동작을 전환시켜주는 제너다이오드(ZD1)와 분압저항(R1)(R2)과 다이오드(D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TR3)로 이루어진 전환회로부(30)로 구성되었다.
상기에서, 보조전원회로부(20)는 상기 전환회로부(30)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3)의 동작에 따라 제어되는 트랜지스터(TR1)와,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출력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3)(R4)과, 상기 분압저항(R3)(R4)으로 분압된 전압에 의해 온/오프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TR2)와 시스템 보조전압(Vcc)을 정전압으로 만드는 제너다이오드(ZD2)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시스템 보조전원(Vcc)을 2차측으로 유기시키는 트랜스(T1)와,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 유기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시스템의 보조전원으로 공급해주는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3)로 구성 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린 모니터의 상태(STATE)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가지로 대별되는바,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온(ON)상태와, 비디오 상태를 나타내는 스텐바이(Stand-by)상태와, 그리고 절전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서스펜드(SusPend)상태와, 오프(OFF)상태가 있다.
이러한 상태중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수평 동기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원 콘트롤부(ICI)의 출력은 로우상태가 된다. 따라서 포토커플러(PC)는 오프가 되며, 이때 주전원회로부(10)는 주전원공급단자로부터 공급된 주전원을 시스템 각단에 공급해주어 시스템의 전체 동작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환회로부(30)는 내부의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정전압으로 만들어진 전압이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후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측에 고전위로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TR3)가 도통된다.
이때 보조전원회로부(20)내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이 상기한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측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Vcc전원은 도통된 트랜지스터(TR1)가 구동되지 않아 보조전원회로부(20)는 동작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서스펜드모드(절전모드)가 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동기신호(II.Svnc)는 존재하지만 수직 동기신호(V.Sync)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 콘트롤부(ICI)는 이를 인식하고 보조전원회로부(20)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하이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렇게 출력되는 하이신호에 의해 포토커플러(PC)는 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한 포토커플러(PC)의 동작에 의해 전환회로부(30)내의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정전압으로 변환된 고전위가 상기한 포토커플러(PC)내의 포토 트랜지스터(PH2)의 에미터를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TR3)는 베이스에 인가되는 저전위에 의해 오프되며, 동시에 주전원회로부(10)도 인가되는 주전원공급의 차단으로 인해 오프된다.
한편, 상기한 스위칭 트랜지스터(TR3)가 오프되면 보조전원회로부(20)내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는 시스템 전원(Vcc)이 고전위로 인가되므로 도통되고, 그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도 고전위가 인가되어 도통된다.
이와 같은 상태, 다시말해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된 상태에서는 트랜스(T1)의 일차측으로 시스템 전원(Vcc)이 흐르게 되며 아울러 2차측으로 전압이 유기되므로, 이렇게 2차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반파다이오드(D3) 및 평활 콘덴서(C3)로 정류 및 평활시켜 보조전원으로 시스템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절전 모드시에는 주전원회로부(10)는 오프되고, 보조전원회로부(20)만이 구동을하여 시스템에 보조전원을 공급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회로로 구성된 전환회로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동작을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전원회로부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므로써 코스트를 절감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정정)주전원회로부(10), 보조전원회로부(20) 및 상기 주전원회로부(10)와 보조전원회로부(20)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전환회로부(30)를 구비한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회로부(30)를 시스템 동기신호에 응하여 스위칭 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TR3)와,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역방향으로 전기적 접속되는 다이오드(D1)와,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와 상기 주전원회로부(10)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너다이오드(ZD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의 전환회로.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회로부(20)는 상기 전환회로부(30)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3)의 동작에 따라 제어되는 트랜지스터(TR1)와,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출력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3)(R4)과, 상기 분압저항(R3)(R4)으로 분압된 전압에 의해 온/오프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TR2)와, 시스템 보조전압(Vcc)을 정전압으로 만드는 제너다이오드(ZD2)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시스템 보조전원(Vcc)을 2차측으로 유기시키는 트랜스(T1)와,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 유기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시스템의 보조전원으로 공급해주는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
KR2019940019628U 1994-08-02 1994-08-02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 KR970002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628U KR970002217Y1 (ko) 1994-08-02 1994-08-02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628U KR970002217Y1 (ko) 1994-08-02 1994-08-02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966U KR960008966U (ko) 1996-03-16
KR970002217Y1 true KR970002217Y1 (ko) 1997-03-20

Family

ID=1939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628U KR970002217Y1 (ko) 1994-08-02 1994-08-02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2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966U (ko) 199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2385A (en) Quickly restartable power supply apparatus
KR100199831B1 (ko) 영상기기의 절전 제어회로
JPH07123709A (ja) 電源装置
KR950016289A (ko) 대기상태의 소비전력 절감회로
KR100282333B1 (ko) 모니터의 절전 회로
US5555167A (en) Power supply apparatus with a power-saving function
KR970002217Y1 (ko) 주전원회로와 보조전원회로의 전환회로
JPH05304733A (ja) 電 源
KR200160752Y1 (ko) 모니터의 절전모드회로
KR970004252A (ko) 스위칭형 전원 장치
KR100202948B1 (ko) 모니터에 있어서 쇼트시 전원보호회로
KR20010083414A (ko) 모니터의 절전 기능 회로
JP3213577B2 (ja) 電源回路
KR200161887Y1 (ko) 마이컴 제어를 통한 영상신호 제어회로
KR100201955B1 (ko) 보조전원을 이용한 소비전력 절전회로
KR100271277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전장치
KR960014152B1 (ko) 디스플레이 데이타 채널방식의 모니터 초절전 회로
KR100359935B1 (ko) 전원공급장치의기동회로
KR960008249Y1 (ko) 소비전력 절감회로
KR20040019216A (ko) 디스플레이 전원 장치
KR100335085B1 (ko) 모니터의 dpm회로
KR100370057B1 (ko) 전압공급 스위칭을 위한 스탠바이 제어회로
KR970022719A (ko) 모니터의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보호회로
KR910008722Y1 (ko) 쵸퍼트랜스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원 공급회로
KR20000015102U (ko) 대기전원시 소비전력 절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