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465Y1 - 자동차용 시트 트랙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트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465Y1
KR970001465Y1 KR92013275U KR920013275U KR970001465Y1 KR 970001465 Y1 KR970001465 Y1 KR 970001465Y1 KR 92013275 U KR92013275 U KR 92013275U KR 920013275 U KR920013275 U KR 920013275U KR 970001465 Y1 KR970001465 Y1 KR 970001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ounting bracket
rocker
upper rai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138U (ko
Inventor
엄교수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13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465Y1/ko
Publication of KR940003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4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Reinforcement members preventing slide dislo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트랙
제1도는 종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를 배면에서 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로커의 작용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쿠션 마운팅 브래킷 12 : 로커 마운팅 브래킷
16 : 상부레일 20 : 하부레일
24 : 볼 28 : 부시
30 : 시트 마운팅 브래킷 32 : 걸림공
34, 34.a : 로드 36 : 레버
38, 38a : 로커 40, 42 : 스프링핀
44 : 리턴스프링 48 : 릴리즈 바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 트팩(seat track)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 하부레일의 단면구조를 개선하여 슬라이딩을 원할하게하고 록킹을 안정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상, 하부레일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트랙은 시트를 전, 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그 조정을 가능하도록 하여서 실내공간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 트랙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는데, 상부레일(100)이 시트(도시아됨)를 고정시키는 쿠션 마운팅 브래킷(102)에 리벳(104)으로 체결되고 하부레일(106)이 플로워패널(도시안됨)과 고정되는 로크플레이트(108)에 리벳(110)으로 체결고정되고 이 상부레일(100)과 하부레일(106)의 사이에 로울러(112)가 개지되어 상부레일(100)이 하부레일(106)로부터 전, 후 슬라이딩이 가능하게하고, 이 상부레일(100)의 양측 하단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이루어진 가이드부(114)와 하부레일(106)의 양측 상단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이루어진 가이드부(116)에 리테이너(118)가 끼워진 볼(120)이 개재되어 이 볼(120)이 로울러(112)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는 상부레일(100)의 유경를 방지하도록 하며, 상부레일(100)의 일측면부(122)에 로크 가이드(124)를 부착하고 한 쌍의 시트 트랙(126)의 한 쪽에만 설치되는 레버(128)가 릴리즈 브래킷(130)에 고정되고 이 레버(128)의 후단부가 로크 가이드(124a)에 축설되어 로커(132)와 리턴스프링(134)이 형성되며, 상기 릴리즈 브래킷(130)에 연결고정된 릴리즈바(136)가 로크 가이드(124)에 축설된 회전축(138)과 링크(140)로 연결되고 이 회전축(138)에 로커(132)와 리턴스프링(134)을 개재하여 형성한 것으로, 이는 레버(128)의 작동에 따라 한쌍의 시트 트랙(126)이 릴리즈 바(136)에 의하여 동시에 작용하여 이들 로커(132)가 로크플레이트(108)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 걸림공(142)에 걸려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레버(128)를 상방향으로 당긴 다음, 시트측에 고정된 상부레일(100)을 하부레일(106)에서 전, 후 슬라이딩시켜 탑승자의 체형에 적절하게 맞춘후 상방향으로 당겼던 레버(128)를 놓으면 로커(132)가 로크플레이트(108)에 형성된 걸림공(142)에 걸려지게 되어서 시트가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트 트랙(126)의 구조에서는 상, 하부레일(100, 106)상에 개재되어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로울러(112)가 이 상, 하부레일(100, 106)에서 접촉되는 면적을 넓게 차지하여서 슬라이딩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차량의 충돌에 의하여 이 시트 트랙(126)의 측면이 충격에 따른 변형이 발생되면 상부레일(100)이 옆으로 벌려지면서 이탈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는 수단으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레일(100)을 감싸고 있는 보강플레이트(144)를 용접하여 설치하였다.
이러한 보강플레이트(144)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상승을 가져옴을 물론이거니와 그 중량이 커지게 되고, 아울러 그 구조의 강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재료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함께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로울러(112)의 넓이에 따라 그 구름면을 확보해야 되므로 각 부품간의 체결에도 제약을 받게 되어 조립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볼(120)은 상부레일(100)의 슬라이딩을 하는데는 아무런 보탬을 주지 않고, 단지 상, 하부레일(100, 106)이 슬라이딩시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여 이들 상, 하부레일(100, 106)의 유격을 잡아 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조립공차에 의한 유격발생 및 장기간 사용에 따라 유격 등이 발생되면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이 볼(120)이 상, 하부레일(100, 106)의 사이에서 앞, 뒤로 굴러다니게 되어서 소음이 발생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시트 트랙(126)의 어느 한 쪽의 높이에 차이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릴리즈 바(136)가 수평유지를 못함으로써, 레버(128)에 의한 릴리즈 바(136)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로커(132)의 록킹 및 해제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시트 트랙(126)의 구조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증가되며, 보강플레이트(144)의 용접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되면 상, 하부레일(100, 106)의 슬라이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그 시트 트랙의 구조를 간편하게 함과 아울러 상, 하레일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고 록커의 록킹 및 해제를 안정되게 하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쿠션 마운팅 브래킷에 로커 마운팅 브래킷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에 상부레일을 리벳으로 고정하며 상기 상부레일의 단면을 통상적인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레일이 이 상부레일의 내측에 형성되고 하부레일의 양측이 만곡되어 볼 가이드를 형성하여 이 볼 가이드에 다수개의 볼을 개재하여서 상부레일이 하부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하부레일의 하단부의 내측과 상부 레일의 하단에 형성된 만곡부내에 플라스틱재의 부시를 길이방향으로 개재하여 상, 하부레일의 유격을 방지하고, 상기 하부레일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시트 마운팅 브래킷을 일체로 형성하며 이 하부레일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공을 천공하여 상기 로커 마운팅 브래킷에 축설된 로드에 레버와 로커가 각각 스프링핀으로 고정설치되고 로커에는 리턴스프링이 개재되며 레버에 연결된 릴리즈 바가 반대측의 로드에 고정된 로커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이들 로커가 걸림공에 걸려져 록킹 및 해제를 하게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시트 트랙의 어셈블리중 그 한쪽이 사시도로 도시되는데, 도시되지 않은 다른 한 쪽은 이와 대칭되는 것이다.
제4도는 제3도의 횡단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6도는 반대쪽에 설치된 로커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쿠션 마운팅 브래킷(10)에 로커 마운팅 브래킷(12)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쿠션 마운팅 브래킷(10)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14)에 상부레일(16)을 리벳(18)으로 고정하며, 상기 상부레일(16)의 단면을 통상적인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레일(20)이 이 상부레일(16)의 내측에 형성되어 이 하부레일(20)의 양측이 만곡되어 볼 가이드(22)를 형성하여 이 볼 가이드(22)에 다수개의 볼(24)을 개재하여서 상부레일(16)이 하부레일(2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하부레일(20)의 하단부의 내측과 상부레일(16)의 하단에 형성된 만곡부(26)내에 플라스틱재의 부시(28)를 길이방향으로 개재하여 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할 때, 작용되는 하중으로부터 발생되는 상, 하부레일(16, 20)의 유경를 방지하고, 상기 하부레일(20)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시트 마운팅 브래킷(30)을 일체로 형성하며 이 하부레일(20)의 중앙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공(32)을 천공하고, 상기 로커 마운팅 브래킷(12)에 축설된 로드(34)에 레버(36)와 로커(38)가 각각 스프링핀(40, 42)으로 고정설치되고 이 로커(38)에는 리턴스프링(44)이 비틀림작용에 의하여 탄력개재되며, 레버(36)의 일측 하단에 천공된 연결공(46)에 연결된 릴리즈 바(48)가 반대측의 로드(34a)에 고정된 로커(38a)의 연결공(49)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36)의 작동에 의하여 로커(38)가 반대측의 로커(38a)와 연동되어 걸림공(32)에 걸려져 록킹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시트 마운팅 브래킷(30)의 만곡부의 폭(A)을 상기 상부레일(16)의 내측폭(B) 보다 작게하여 상부레일(16)이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돌출될 때, 간섭을 배제하도록 한 것으로, 도면중 미 설명부호 50은 쿠션브래킷(도시안됨)을 고정하는 고정공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구조에 의한 상부레일(16)의 단면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 하부레일(16, 20)의 유격을 억지하여 볼(24)에 의한 상부레일(16)이 하부레일(20)로 부터 전, 후 슬라이딩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며,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으로 상, 하부레일(16, 20)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부시(28)가 상, 하부레일(16, 20)상에 길이방향으로 개재되어 상방향으로 하중이 발생되더라도 이 부시(28)가 하중에 적절하게 대항함으로써, 상, 하부레일(16, 20)의 유격을 방지하여 상부레일(16)의 슬라이딩을 보다 더 안정되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그 단면구조가 간단하여 재료가 절감되고 재료가 절감된 만큼의 중량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게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레일(20)의 양 단부에 시트 마운팅 브래킷(30)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아울러 별도의 추가비용이 삭제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이 또한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효과를 갖는 본 고안의 시트 트랙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레버(36)를 상방향으로 당기면 로드(34)에 고정된 레버(36)가 회동되면서 이 레버(36)에 연결된 리리즈 바(48)가 반대측의 로커(38a)와 로커(38)를 함께 회동시켜 이들 로커(38, 38a)가 동시에 걸림공(32)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탑승자는 체형에 맞게 시트 트랙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상부레일(16)이 하부레일(20)에서 볼(24)에 의하여 전, 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탑승자는 적절한 위치를 설정한 다음, 당겼던 레버(36)를 놓게 되면 리턴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하여 로커(38, 38a)는 걸림공(32)에 걸려져 록킹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 트랙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 킬 수 있으며, 또한 재료가 절약되어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얻는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시트를 전, 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록킹되는 시트 트랙에 있어서, 쿠션 마운팅 브래킷(10)에 로커 마운팅 브래킷(12)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쿠션 마운팅 브래킷(10)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14)에 상부레일(16)을 리벳(18)으로 고정하며, 상기 상부레일(16)의 단면을 통상적인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레일(20)이 이 상부레일(16)의 내측에 형성되어 이 하부레일(20)의 양측이 만곡되어 볼 가이드(22)를 형성하여 이 볼 가이드(22)에 다수개의 볼(24)을 개재하며, 하부레일(20)의 하단부의 내측과 상부레일(16)의 하단에 형성된 만곡부(26)내에 플라스틱재의 부시(28)를 길이방향으로 개재하고, 상기 하부레일(20)의 양 단부를 절곡하여 시트 마운팅 브래킷(30)을 일체로 형성하며 이 하부레일(20)의 중앙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공(32)을 천공하고, 상기 로커 마운팅 브래킷(12)에 축설된 로드(34)에 레버(36)와 로커(38)가 각각 스프링핀(40, 42)으로 고정설치되고 이 로커(38)에는 리턴스프링(44)이 비틀림작용에 의하여 탄력개재되며, 레버(36)의 일측 하단에 천공된 연결공(46)에 연결된 릴리즈 바(48)가 반대측의 로드(34a)에 고정된 로커(38a)의 연결공(49)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36)의 작동에 의하여 로커(38)가 반대측의 로커(38a)와 연동되어 걸림공(32)에 걸려져 록킹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시트 마운팅 브래킷(30)의 만곡부의 폭(A)을 상기 상부레일(16)의 내측폭(B) 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
KR92013275U 1992-07-18 1992-07-18 자동차용 시트 트랙 KR970001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275U KR970001465Y1 (ko) 1992-07-18 1992-07-18 자동차용 시트 트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275U KR970001465Y1 (ko) 1992-07-18 1992-07-18 자동차용 시트 트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138U KR940003138U (ko) 1994-02-18
KR970001465Y1 true KR970001465Y1 (ko) 1997-03-10

Family

ID=1933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275U KR970001465Y1 (ko) 1992-07-18 1992-07-18 자동차용 시트 트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4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138U (ko) 199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888B1 (ko)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
US7044543B2 (en) Height-adjustable vehicle seat having a crash locking unit
EP1116624B1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US5507555A (en) Shock energy absorbing mechanism in tilt lock device
US4725032A (en) Seat slide adjuster for vehicles
US3350046A (en) Seat slide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767590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GB2047086A (en) Motor vehicle seat
KR940004349Y1 (ko) 리클라이닝장치의 부착구조
WO1995017316A1 (en) Manual adjuster for a vehicle seat
US8146877B2 (en) Runner for a motor vehicle sea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runner
KR970001465Y1 (ko) 자동차용 시트 트랙
KR20020048486A (ko)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킹시스템
US5083735A (en) Vehicle seat
KR970000211Y1 (ko) 자동차용 시트 트랙(seat track)
KR970000212Y1 (ko) 자동차용 시트 트랙(seat track)
KR970000214Y1 (ko) 자동차용 시트 트랙(seat track)
KR970001466Y1 (ko) 자동차용 시트 트랙
KR970000213Y1 (ko) 자동차용 시트 트랙(seat track)
US3220690A (en) Seat adjusting structure
JP373765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361982B1 (ko) 자동차용 시트트랙의 강도보강구조
JP2561664Y2 (ja) 車両用シート
JP3660239B2 (ja) 自動車の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KR100366582B1 (ko) 차량용 시트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