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353B1 - 선박 상에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 및 이러한 상부 구조층을 가지는 여객선 - Google Patents

선박 상에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 및 이러한 상부 구조층을 가지는 여객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353B1
KR970001353B1 KR1019870000999A KR870000999A KR970001353B1 KR 970001353 B1 KR970001353 B1 KR 970001353B1 KR 1019870000999 A KR1019870000999 A KR 1019870000999A KR 870000999 A KR870000999 A KR 870000999A KR 970001353 B1 KR970001353 B1 KR 970001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strength
layer
deck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818A (ko
Inventor
하르시아 피르조
레반더 카이
베스터룬트 단
Original Assignee
오위 배르트씰래 아베
아르네 발트셰프스키·엘리스 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위 배르트씰래 아베, 아르네 발트셰프스키·엘리스 그란 filed Critical 오위 배르트씰래 아베
Publication of KR870007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8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4Passenger vessels, e.g. cruise vessel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선박 상에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 및 이러한 상부 구조층을 가지는 여객선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의 격자 골조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선실 유니트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선실 유니트의 또 다른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선실 유니트의 바닥 구조를 배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갑판 구조를 배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의 갑판 2 : 격벽
3,3' : 수직기둥(들보) 4,5 : 지지기둥(들보)
6 : 버팀목 7 : 선실 유니트
8 : 통로구역 9 : 선실의 외부격벽
10 : 발코니 유니트 11 : 바닥판
12 : 샌드위치 구조물 13 : 환기 덕트, 배수파이트 등의 시설
14 : 천정 15 : 돌기
16 : 철제갑판 구조 17 : 갑판보강부재(들보)
본 발명은, 조립식 소재를 사용하여 갑판상의 선박의 상부 구조층을 건축하는 방법과, 그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구축된 상부 구조층을 가지는 여객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 구조물을 갖는 조립식 선실 유니트를 설치하여 여객 구역을 조립하고, 이 여객 구역을 들보들로 구성되는 3차원적 격자 또는 프레임 내에 삽입시켜 지지시키는 선실 유니트의 설치 방법과 이와 같은 설치 방법에 의하여 설치된 선실 유니트로 이루어진 여객 구역등을 갖는 여객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있어서, 선실 구역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선박내로 이송하기 이전에 미리 조립된 조립 유니트들을 사용하여 선실구역을 조립하는 기술이 이미 알려져 있다.
선실 유니트처럼, 미리 조립되고, 미리 준비되어진 유니트들을 선박을 조립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선박의 갑판상의 제한된 공간 상에서 수행되어야 할 작업을 점점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동시에, 실질적인 선박 건축과 시공 기간이 현저하게 단축된다.
이와 같은 조립 소재들을 사용하여 선박을 조립함에 있어서 가장 간단한 방법은, 이러한 조립 유니트들을 내하중(耐荷重) 갑판상에 층층으로 쌓아 올리고, 또한 여러줄로 배열시키는 방법이다.
미국 특허 제4528928호에 정의되어져 있는 바와 같은 개량된 기술에서는, 이러한 선실소재(선유니트)들은 바닥구조를 갖는 자기지지 선실 유니트를 그 위에 위치하게 하는 방법도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소재를 지지배열시키는 또 다른 방법이 미국 특허 제3,363,597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측허에 의하면, 선체로 둘러싸여진 공간내에 들보의 복합체가 배열되고, 이 복합체가 선체의 벽들에 지지되고난 후에, 바닥이 없는 독립선실이 이 복합체 내에 매달려지게 된다.
그러나, 순항 여객선이라 통상 불리우는 거대한 여객선의 경우에 있어서는, 대다수의 선실을 선박의 선체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 구조층에 배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왜냐하면, 선실이 높은 곳에 위치하면 할수록, 그 경제적인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더우기, 선체 전체를 덮고 있는 최상부 갑판위에 위치하는 상부 구조층에서는, 배의 선체에서 보다는 훨씬 용이하게, 예를 들어 파노라마식 창문 및 발코니등과 같은 승객의 편의 시설의 레이아웃을 실행할 수 있다.
이는, 국내 및 국제적으로, 실제적인 배의 선체에 관하여는 매우 엄격하게, 배의 디자인 및 건축에 대하여 규제하고 있는 사실에 기인한다.
배의 상부 구조층의 건축에 있어서, 주된 제한요소는, 방화설비등은 별개로 하고, 구조물의 중량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관한 기준에는, 모든 선박은 최소한의 안정성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그로 인하여 매우 무거운 중량의 물체는 흘수선보다 높은 위치에는 위치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상부 구조층은 항상 선실 또는 선실 유니트가 내하중 갑판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건축되었다.
따라서, 갑판은 전체적인 스트렝스와 국부적인 스트렝스 양자를 모두 견디어 낼 수 있도록 강화처리될 것이 요구되어 왔다.
여기에서 전체적인 스트렝스라는 용어는, 선체전반에 걸쳐서 요구되는 구조적인 스트렝스와 강도를 의미하며, 국부적인 스트렝스란, 예를 들어 선실의 바닥에서와 같이, 특정부위에서 발생하는 스트렝스를 견디어 내기 위하여, 국부적으로 요구되는 스트렝스와 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객선의 상부 구조층을 구축하는 신규하고, 더욱 경제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구조층의 구조물의 무게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또한 공간사용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선박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보다 넓은 상부 구조층의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구축방법과 그러한 구축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천정, 바닥판 및 벽으로 구성되는 조립용 건축소재(유니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선박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본 발명의 특징들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여객 구역을, 충분한 국부적인 스트렝스를 구현하는 바닥 구조물을 갖는 조립식 선실 유니트를 설치하여 조립하고, 이들을 들보등으로 구성되는 자기지지식 3차원적 격자 또는 프레임으로 지지시켜 선실 유니트를 설치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버팀목, 들보로 구성되는 자기지지식 3차원적 격자 또는 프레임으로 선체의 상부 구조층을 위한 내하중 프레임을 만들고, 바닥 또는 바닥 구조물을 갖는 자기지지식 선실 유니트를 이 격자 또는 프레임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스트렝스 또는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상부 구조층의 구축에 있어서, 괄목할 만한 중향의 감소를 성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중량의 감소로 인하여, 상부 구조층에 형성되는 선실 유니트등의 수를, 예를 들어 선실층을 한층 더 만드는 등 하여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선박의 상부 구조층의 프레임은, 상부 구조층의 갑판 전체를 덮고 있고, 또한 상부 구조층의 전체적인 스트렝스와 국부적으로 요구되는 국부적인 스트렝스 양자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강화 철판을 사용하여 조립하였다.
통상, 이들은, 예를 들어 철판으로 만들어지며, 갑판의 두께는 5 내지 6mm이고, 교차 버팀목까지를 포함한 전체의 구께는 약 300mm로 되게 구축되었다.
예를 들어, 선실의 바닥에 작용되는 스트렝스와 같이, 이러한 구조가 견디어 내야하는 국부적인 스트렝스는, 이 타입의 구조가 사용되었을때에 필요로 하는 스트렝스를 훨씬 초과하게 된다.
본 발명에 내재되어 있는 기술사상은, 단지 국부적인 스트렝스만이 요구되는 위치에는, 그 곳에서 필요로 하는 스트렝스에 적합한 스트렝스를 갖는 가벼운 구조물을 강철로 된 갑판구조물에 대신하여 사용함으로써, 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시키고자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신규한 구조물은, 배의 갑판 구조에 구멍을 마련하고, 이 구멍이 선실의 기초 구역에 상응하게 하며, 바닥 구조물을 갖는 선실 유니트(선실 소재)를 이들 구멍 안에 위치시키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는, 다음에 기술하는 방법에 의하여, 선실 유니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들보들로 구성되는 3차원적 격자로, 전체 갑판 구조를 대체하게 된다.
이러한 타입의 격자를 사용함으로써, 상부 구조층에서 요구하는 전체적인 스트렝스와 강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 감소 이외에,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장점은, 본 발명에 의하여 구축된 상부 구조층의 여러층 사이에 남겨지는 공간부가, 종래의 기술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어 진다는 점이다,
국제 선박 분유에 의하면, 선박의 갑판은 최고의 방화 분류 A-O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하는데, 이는 철판 두께가 최소한 4mm 이상일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 구조는, 이 방화 분류 A-O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킨다는 것이 공인된 시험에 의하여 입증되었다.
선체의 갑판에 고정되고, 또한 필요한 버팀목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3차원적 격자를 사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내하중의 전체적인 스트렝스 및 강도를 갖게할 수 있다.
그러나, 때로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격자에, 측면 지지체로써 작용하며 또한 스트렝스를 증가시키는 벽등을 갖도록 상부 구조층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유리할 경우도 있다.
본 출원인이에 의한 영국 특허공보 GB 2 110 60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부구조층의 길이 방향으로 모든 층을 가로지르며 중앙 구역을 정하고 있는 중간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의 외부벽이 격자 프렝임을 지지하도록 작용하게 되어 있다.
사실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영국 특허 제2 110 603호의 내용을 혁신적으로 개량한 것에 해당하는 것이며, 그 내용을 참고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영국 특허에서의 중간 공간부는 환기 시스템, 출입문 및 배관 등의 장치를 설비하기 위하여 사용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 구조층의 세로방향(횡단 방향)으로는, 선체에 부착되며, 스트렝스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또한 방화벽으로서도 역할하게 되는 장점을 갖는 간막이(격벽)이 배열되어 진다.
본 발명은 또한, 선박의 상부 구조층의 다른 구조물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로서, 예를 들면 2줄의 선실 사이에 넓은 열려진 공간을 갖는 아트리움(Atrium)형 상부 구조층을 들 수 있다.
이때에, 바깥쪽의 길이 방향의 격벽은, 상부 구조층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피복 철판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실시예로서, 바닥구조를 갖는 선실 유니트를 프레임의 바깥쪽 기둥의 사이에, 배의 바깥쪽 방향에서 밀어 넣음으로써,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시킨다.
이 방법에 의하면, 선실 유니트의 설치를 개시하기 전에 미리 프레임을 제작하고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선실 유니트가 위쪽으로부터 설치되고, 따라서 선실 유니트의 하중을 떠받치게 될 프레임의 수평 지지들보가, 하부 선실 유니트를 설치한 연후에 프레임내에 설치된다.
이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선실의 바깥쪽에 위치할 외부 격벽과 창문 소재들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여, 조립식 선실 유니트는 외부벽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필요한 경우에는, 조립식 선실 유니트가 외부벽을 갖도록 미리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발코니, 산책용 갑판 또는 구명보우트등을 여객용 선실 복합체의 외부에 배열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프레임 지지들보를 마련하여, 이들중의 일부를 세로방향으로 여객 구역의 바깥쪽 외부로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객용 선실의 자기지지 바닥구역과 여기에 연관된 통로구역은 주름진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층으로 된, 소위 말하는 샌드위치 구조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타입의 구조는, 그의 중량에 비하여 높은 스트렝스를 부여하며 동시에 매우 높은 절연성을 부여한다.
다음에 기술된 본 발명의 방법은, 조립형 선실 유니트로 구성되는 여객구역의 건축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은, 결과적으로, 선박의 갑판상에서만 선실 유니트를 조립함으로써 건축되어 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건조되어질 상부 구조층의 내하중 프레임은, 3차원적 격자와, 이 격자에 의하여 개방된 채로 남아 있는 갑판 개구부에, 이 격자에 의하여 지지되는 샌드위치 구조로 된 경량의 갑판과로 구성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1)은 배의 선체 전체를 덮고 있는 선체의 최상부 갑판을 나타낸다.
(2)는, 환기 시스템, 출입구 및 배관 등과 같은 서비스 장치들에 속하는 장비 등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층의 여러층에 걸쳐 마련되는 중간 공간부를 설정하는, 상부 구조층의 중앙 격벽을 나타낸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구조층내의 여객 구역의 내하중 프레임은, 수직기둥(들보)(3),(3')과 지지기둥(들보)(4),(5)으로 형성되는 3차원적 격자 또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들 들보들은, 서로 용접되어 연결되어 있는 브레이스 강철비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프레임은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갑판(1)에 고정되고, 격벽(2)에 지지된다.
이 구조물의 강도는 버팀목(6)에 의하여 더욱 향상된다.
프레임의 폭은, 설치되는 선실 유니트(7)등의 수와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상부 구조층의 중앙 부분을 접하게 되는 중간 공간부는, 그것이 비록 여러가지 장점을 제공하는것이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구조에선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한 중간 공간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스트렝스와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상부 구조층의 세로 방향의 프레임을 제한하고, 상부 구조층의 여러층에 걸쳐 벽등을 배치시킴으로써, 구조물의 스트렝스와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레임의 깅리 방향의 규격에 대하여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그러나, 수직으로 서로 별개로 된 길이가 40m에 달하는 프레임을 연이어 사용하고, 상부 구조층의 여러층에 걸쳐지는 횡단벽을 사용함으로서, 이 부분에 대한 방화 안정성에 대한 기준을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벽들은, 또한, 구조물의 전체적인 스트렝스를 향상시킨다.
제2도는, 여객 구역의 조립 설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선실 유니트(7)는, 외부 기둥(3)과 길이 방향의 지지기둥(5)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이 유니트를 옆에서 밀어넣음으로써, 갑판(1)상에 건축되어진 프레임내로 끼워 넣어진다.
선실 유니트(7)는, 바닥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선실영역에 부가하여, 통로 구역(8)을 더욱 포함하여 미리 제작된다.
선실 유니트는, 프레임의 들보와 기둥 또는 이들에 접속되어 있는 격벽 들에 이들을 용접시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실 유니트를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하여는, 선실 유니트의 바닥구조를 들보(지지기둥)에 필수적으로 지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선실 유니트를 설치한 후에, 선실의 외부 격벽(9)을, *****설치 방법에 따라 (b)방향으로 설치한다.
외부 격벽(9)은, 창문 요소와 일체로 되어 있거나, 또는 반대로 창문 요소가 외부 격벽(9)에 별도로 철치되어 있다.
이어서, 발코니 유니트(10)가 선실 외부에 설치되고(화살표시 c), 선실 조립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횡단 방향의 지지기둥(4)에 그 일부가 지지된다.
발코니 유니트(10) 대신에, 좁은 산책용 통로용 갑판, 구명보우트 등과 같은 다른 장비가, 선실 복합체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도에 나타낸 설치 방법 *****에서는, 발코니 유니트(10)와 외부 격벽(9)이, 조립 단계에서 미리 선실 유니트에 영구적으로 조립되어져 있다. 선실 유니트(7)를 설치한 후에, 여객 고역의 조립을 유사한 소재들을 사용하여 계속하여, 이러한 조립을 아래쪽 방향으로 층층으로 행하여 간다.
또한, 최초의 층의 조립을 완요하여 전기의 개통과 기타의 준비 조작등을 개시할 수 있게한 후에, 다음 층의 조립을 시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도면에는, 모든 선실이, 소위 말하는 외부 신실 타입의 것인 승객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내부 선실도 건축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한 외부 선실을 설치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느아, 외부 선실을 설치하기 전에 먼저 설치되어져야 한다.
제3도는, 제2도와는 달리, 선실 유니트를 위쪽으로부터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에 의하면, 단지 수직기둥(3),(3')과 버팀목(6)만이 선실을 설치하기 전에 미리 설치되어 있다.
일체로 된 통로 구역(8)과 바닥 구조를 가지는 선실 유니트(7)가 위쪽에서 (a')방향으로 상부 구조층내에 설치된다.
선실 유니트를 설치한 후에, 다음 선실 유니트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층의 지지기둥(4),(5)을 설치한다.
이 경우에, 외부 격벽(9)이, 외부로부터 측면 방향(b')으로 프레임 내로 설치되고, 이후에 발코니 유니트(10)와 같은 기타 장치 들이 각 위치에 설치된다(화살표시 c')
이 설치 방법에서도 마찬가지로 외부 격벽(9)과 발코니 유니트(10)들을 선실 유니트(7)를 설치하기 전에 미리 조립하여 놓을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부 구조층 설치 방법은, 종해의 기술과 비교하여 공간과 중향의 감소를 달성한다.
이러한 중량의 감소는, 지지기둥(4),(5)사이의 바닥구조가 자기 지지되는, 소위 말하는 샌드위치 타입의 경량 구조로 되어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며, 이러한 구조는, 중량이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요구되는 국부적인 스트렝스를 확실하게 제공한다.
공간의 절약은, 이러한 새로운 구조가 별개의 교차들보(보강부재)(17)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하며, 그 결과로 그의 수직 규격이 공간의 손실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기둥(4),(5)이 바닥구조 강화재의 기능을 수행하며, 선실의 바닥 높이가 이들 기둥 가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갑판구조물(바닥 구조물)의 종단면도이다.
이 갑판(바닥 구조물)은, 주름진 금속판의 양쪽에 얇은 금속판이 접합되어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샌드위치 구조(12)는, 그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뛰어난 스트렝스와 강도를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바닥 구조물의 상부인 선실의 내부쪽은, 적절한 소재로 마련된 바닥판(11)으로 되어 있다.
바닥 구조물 아래에는, 환기 덕트, 배수 파이프 등의 시설(13)과 같은, 각 선실을 위한 서어비스 장치가 설치된다.
바닥 구조물은 지지기둥(4),(5)의 돌기(15)등에 의하여 지지되어 프레임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윗쪽 선실의 바닥판(11)으로부터 아래쪽 선실의 천정(14)까지인 두 선실 사이의 수직 중간 공간(h)이 대략 200mm 두께로 된다.
제5도에서, (16)은 철제 갑판구조를 나타내고, (17)은 갑판 보강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설치된 선실 유니트는 바닥 구조물에 고정 붙임된다.
다시 말하여, 샌드위치 구조가 조립 선실과 그의 통로 구역에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이는 매우 효과적인 건축방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용하면, 선실과 통로를 선박의 갑판상에서만 조립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골조가 먼저 건축되고, 이후에 샌드위치 구조로 이루어지는 갑판의 바닥 구조물이 프레임내의 지지기둥상에 설치된다.
또한, 이 경우에, 소망하는 구조의 경량화와 공간 절약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어 지는 것이 아니며,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여러가지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서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Claims (15)

  1. 선체 전체를 덮고 있는 상부 갑판(1)상에 위치하며, 각각 다수개의 선실 유니트(7)등으로 구성되는 승객구역이 구축되며, 그의 국부적 스트렝스 및 전체적 스트렝스는 각각 최소의 국부적 스트렝스 및 최소의 전체적 스트렝스와 동일한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층의 중앙부에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격벽(2)에 의한 대칭축의 측면상에 양쪽으로 2개이상 지지되어 형성되며, 그의 스트렝스가 상기 상부 구조층에 요구되는 전체적 스트렝스를 구현하는 3차원적 격자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적 격자 구조물내에, 상기 3차원적 격자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되고 그의 스트렝스가 상기 최소의 국부적 스트렝스와 동일한 바닥구조를 가지는 미리 조립된 선실 유니트를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선실 유니트가 상기 3차원적 격자 구조물내에 설치된 후 선실 유니트용 외부 격벽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상에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층은 그의 각층을 수직으로 통하는 중간공간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환기덕트, 출입구, 배관 및 기타 장치가 상기 중간공간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적 격자 구조물은 상기 상부 구조층의 상부 갑판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갑판에 고정되며 선박의 길이방향 및 횡단방향으로 간격을 구도 떨어져 있는 여러 세트의 수직기둥(3),(3')과, 상기 수직기둥(3),(3')에 유지되는 수평 지지기둥(4),(5)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 두개씩의 이웃한 기둥들 사이로 수평 방향으로 하나의 선실 유니트를 끼워넣으므로써 상기 수직기둥(3),(3') 및 상기 수평 지지기둥(4),(5)으로 구성되는 단위체 내에 선실 유니트를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상에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차원의 격자 구조물은 상기 상부 갑판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며 또한 그 갑판에 고정된 수직기둥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선실 유니트를 상기 상부 갑판상에 놓일 때까지 이웃한 기둥들 사이로 내려 놓음으로써 최하부층의 선실 유니트를 설치하는 과정과, 수평 지지기둥을 상기 수직기둥에 고정하는 과정과, 상부층의 선실 유니트는 상기 수직 기둥들 사이로 내려서 상기 수평 지지기둥에 얹혀놓음으로써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상에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
  5. 선체 전체를 덮고 있는 상부 갑판(1)상에 위치하며, 각각 다수개의 선실 유니트(7)등으로 구성되는 승객구역이 구축되며, 그의 국부적 스트렝스 및 전체적 스트렝스는 각각 최소의 국부적 스트렝스 및 최소의 전체적 스트렝스와 동일한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층의 중앙부에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격벽(2)에 의한 대칭축의 측면상에 양쪽으로 2개이상 지지되어 형성되며, 그의 스트렝스가 상기 상부 구조층에 요구되는 전체적 스트렝스를 구현하는 3차원적 격자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적 격자 구조물내에 그의 국부적 스트렝스가 상기 최소의 국부적 스트렝스와 동일한 샌드위치 구조의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적 격자 구조물내에 바닥층을 가지지 않는 미리 조립된 선실 유니트를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선실 유니트가 상기 3차원적 격자 구조물 내에 설치된 후 선실 유니트용 외부 격벽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갑판이 최하부층 선실에 대한 바닥층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 구조물은 기타 선실에 대한 바닥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상에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물은 주름진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의 양쪽면을 덮은 얇은 금속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선체와, 선박의 선체 전부를 덮는 상부 갑판과, 상기 상부 갑판위로 연장되며, 그것의 국부적 스트렝스 및 전체적 스트렝스는 각각 최소의 국부적 스트렝스 및 최소의 전체적 스트렝스와 동일한 상부 구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거대 여객선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층은 그의 전체적 스트렝스가 상기 최소의 전체적 스트렝스와 동일한 3차원적 격자 구조물과, 상기 3차원적 격자 구조물 내에 층층으로 위치하는 다수개의 선실 유니트와,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덕트 및 파이프부재들을 포함하는 중간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최하층을 제외한 상부층의 각 선실은 상기 3차원적 격자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되는 바닥 구조를 가지며, 또한 그 바닥 구조의 국부적 스트렝스는 상기 최소의 국부적 스트렝스와 동일하고, 각 선실 유니트는 벽과 천정 구조 및 복도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선실 유니트 각 층의 복도 부분들은 서로 연결되어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여객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물은 가벼운 소재의 물질로 된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양쪽면을 덮는 금속 시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여객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주름진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여객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의 격자 구조물은 상기 갑판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기둥들 및 상기 수직기둥들에 장착되는 수평 지지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최하층을 제외한 상부층 선실의 바닥층이 상기 수평 지지기둥 상에 놓임으로써 격자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여객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층의 선실은 외부 격벽을 가지며, 상기 지지기둥들은 또한 상기 격벽의 외부에 있는 발코니 또는 통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여객선.
  12. 제7항에 있어서, 조립된 각각의 선실 유니트는 바닥 구조물을 포함하는 거대 여객선.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적 격자 구조물은 상부 갑판으로 부터 위로 연장되며 그 위에 장착된 여러 세트의 수직기둥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기둥 세트들은 선박의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으며, 하나의 선실이 두개의 이웃한 기둥 세트를 사이로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여객선.
  14. 선체와, 선박의 전체 선체를 덮는 갑판, 및 상기 갑판위로 연장되며, 그것의 국부적인 스트렝스와 전체적인 스트렝스는 적어도 각각 최소 국부 스트렝스 및 최소의 전체적 스트렝스와 동일한 상부 구조층을 가지며, 상기 상부 구조층은, 상기 갑판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수직기둥들과 상기 수직기둥들에 장착되는 수평 지지기둥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격자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격자 구조물의 전체적 스트렝스는 최소한 상기 최소 전체적 스트렝스와 동일하고, 상기 선박은 또한 격자 구조물 내의 다른 한쪽 상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및 하부층 선실들을 가지며, 상부층의 각 선실은 수평 지지기둥 상에 놓이고 그것의 국부적인 스트렝스가 최소한 상기 최소 국부적 스트렝스와 동일한 바닥층을 가지며, 상부층의 각 선실은 또한 외부 격벽을 가지고, 수평 지지기둥들은 또한 외부 격벽의 바깥쪽에 있는 발코니 또는 통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여객선.
  15. 제14항에 있어서, 각 선실은, 벽 및 천장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된 유니트이며, 상기 각 선실 유니트는 복도 부분을 포함하며, 각 층의 선실 유니트의 복도 부분들은 서로 통하여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여객선.
KR1019870000999A 1986-02-11 1987-02-07 선박 상에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 및 이러한 상부 구조층을 가지는 여객선 KR970001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860628 1986-02-11
FI860628A FI84999C (fi) 1986-02-11 1986-02-11 Fartygskonstruk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818A KR870007818A (ko) 1987-09-22
KR970001353B1 true KR970001353B1 (ko) 1997-02-05

Family

ID=852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999A KR970001353B1 (ko) 1986-02-11 1987-02-07 선박 상에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 및 이러한 상부 구조층을 가지는 여객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79552A (ko)
JP (1) JP2579927B2 (ko)
KR (1) KR970001353B1 (ko)
DE (1) DE3704225C2 (ko)
FI (1) FI84999C (ko)
FR (1) FR2594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1407A1 (de) * 1987-12-07 1989-06-29 Bremer Vulkan Schiffbau Marine-hilfsschiff
US4974376A (en) * 1988-11-16 1990-12-04 Nielsen David R Temporary shelter
US5233808A (en) * 1990-06-19 1993-08-10 Masa-Yards Oy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DE4119422C1 (ko) * 1991-06-13 1993-01-07 Lloyd Werft Bremerhaven Gmbh, 2850 Bremerhaven, De
DE4139542C2 (de) * 1991-11-30 1999-12-30 Thyssen Nordseewerke Gmbh Schiff, insbesondere Handelsschiff
DE19532107C2 (de) * 1995-08-31 1997-10-16 Thyssen Nordseewerke Gmbh Schiff mit im Schiffsrumpf angeordneten, sich horizontal erstreckenden ebenen Flächenelementen
US6016636A (en) * 1998-06-04 2000-01-25 Hopeman Brothers Marine Interiors Llc Modular ship's cabin and method of installation
FI113033B (fi) 1999-11-22 2004-02-27 Kvaerner Masa Yards Oy Sovitelma laivaa varten
FI20020588A (fi) * 2002-03-27 2003-09-28 Kvaerner Masa Yards Oy Järjestelmä ja menetelmä vesikulkuneuvossa tai muussa rakenteessa
FI116971B (fi) * 2003-03-07 2006-04-28 Aker Finnyards Oy Menetelmä ja hyttikansijärjestely suuressa matkustaja-aluksessa
FI121992B (fi) * 2005-04-21 2011-07-15 Stx Finland Oy Menetelmä ja rakentamisjärjestelmä kelluvan rakenteen valmistamiseksi
US9663937B2 (en) * 2007-06-07 2017-05-30 Gary B. Goldman Modular hous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in a structural framework
US7617790B2 (en) * 2007-10-17 2009-11-17 Crystal Cru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passenger amenities on a cruise ship
US20100058675A1 (en) * 2008-09-10 2010-03-11 Conxtech, Inc. Building-insert module and associated methodology
US20120111253A1 (en) * 2010-11-10 2012-05-10 Terry George Aff Integrated hull and support structure for watercraft
SE537901C2 (sv) * 2014-01-31 2015-11-17 My First Home Ab Byggnad med moduler samt metod för att uppföra en sådan byggnad
GB2541764B (en) * 2015-04-15 2018-04-11 Ocado Innovation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of buildings or storage
ES2642160B1 (es) * 2016-05-11 2018-05-08 Gabadi, S.L. Procedimiento de construcción de instalaciones habitables para artefactos flotantes, instalación habitable y contenedor
CN110696998B (zh) * 2019-08-29 2021-09-28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64000吨木屑船的侧翼的分段、制作、装配方法
CN111776164B (zh) * 2020-05-22 2022-02-2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舷侧外板片体高精度快速定位方法
WO2024086225A1 (en) * 2022-10-20 2024-04-25 Royal Caribbean Cruises Ltd. Modular ship cabi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2605A (en) * 1934-03-22 1939-03-28 Budd Edward G Mfg Co Deck house
US3229433A (en) * 1962-08-28 1966-01-18 William H Miles Structural sandwich panel deck
US3363597A (en) * 1966-07-27 1968-01-16 Gen Dynamics Corp Ship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3525186A (en) * 1968-08-02 1970-08-25 Dominick A Lombardo Multi-story trailer building with lifting means
BE757239A (fr) * 1968-09-04 1971-04-08 Maxwell William J Habitation a cellules multiples amovibles
CA944527A (en) * 1969-03-20 1974-04-02 Kazuo Ohta Steel structure for prefabricated buildings
US3638380A (en) * 1969-10-10 1972-02-01 Walter Kidde Constructors Inc Modular high-rise structure
JPS5119661B2 (ko) * 1971-08-10 1976-06-18
JPS5425716B2 (ko) * 1974-02-04 1979-08-30
JPS5425716A (en) * 1977-07-28 1979-02-26 Hitachi Ltd Magnetic head
FI62984C (fi) * 1980-10-24 1987-02-17 Waertsilae Oy Ab System foer hyttelement i fartyg.
FI81532C (fi) * 1981-10-13 1993-09-08 Waertsilae Oy Ab Passagerarfartyg. passagerarfartyg
US4594817A (en) * 1982-08-31 1986-06-17 Mclaren Charles L Modular sleeping units
DE3305322A1 (de) * 1983-02-16 1984-08-16 Blohm + Voss Ag, 2000 Hamburg Schiff mit mehreren decks und entlang den decks verlaufenden laengs- und quertragelementen
DE69113918T2 (de) * 1990-08-06 1996-04-0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Bildung und Anordnung von Funktionsmodu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818A (ko) 1987-09-22
FI84999C (fi) 1992-02-25
FI84999B (fi) 1991-11-15
FI860628A0 (fi) 1986-02-11
US4779552A (en) 1988-10-25
FR2594088A1 (fr) 1987-08-14
FR2594088B1 (ko) 1994-07-13
DE3704225C2 (de) 1997-06-12
FI860628A (fi) 1987-08-12
DE3704225A1 (de) 1987-08-13
JPS62191295A (ja) 1987-08-21
JP2579927B2 (ja) 1997-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353B1 (ko) 선박 상에 상부 구조층을 설치하는 방법 및 이러한 상부 구조층을 가지는 여객선
CN102216539B (zh) 单元式建筑物系统
KR101292110B1 (ko) 룸 배열, 선박, 빌딩 및 룸 배열을 건축하기 위한 방법
US4658747A (en) Ship with several decks having longitudinal and lateral support elements arranged in a grid
FI78036C (fi) Anordning foer hyttelement.
CN101426680B (zh) 船舶用舱室模块
US4838190A (en) Passenger ship
FI121992B (fi) Menetelmä ja rakentamisjärjestelmä kelluvan rakenteen valmistamiseksi
CN112550605A (zh) 一种集装箱船横舱壁支撑结构
US3978630A (en) Central tower building with ground constructed hoisted and supported floors
US7047897B2 (en) System and method in water-craft
KR101078097B1 (ko)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 배치구조 및 배치방법
US6457431B1 (en) Balcony arrangement for a ship
US3420011A (en) Suspended triangular grid roof structure
AU2008300441B2 (en) Enclosed bridge
GB2121452A (en) Steel structure of superimposed modules
US4069634A (en) Ground effect vehicle structure
CN220978924U (zh) 一种用于既有建筑增设施工升降机的接料平台
SK121693A3 (en) Building modules arrangement mainly in mobile object of multistore construction
WO2003033339A1 (de) Wasserfahrzeug mit tragwerk in skelettbauweise
FI89397B (fi) Foerfarande foer konstruktion av stormoduler och modul tillverkad med detta foerfarande
SU744084A1 (ru) Вис чее покрытие
WO1999055580A1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JPH03231091A (ja) 客船の居住区構造
JPH09137502A (ja) 構造物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