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281Y1 - 키보드와 마우스의 1포트 구현장치 - Google Patents

키보드와 마우스의 1포트 구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281Y1
KR970001281Y1 KR2019940026077U KR19940026077U KR970001281Y1 KR 970001281 Y1 KR970001281 Y1 KR 970001281Y1 KR 2019940026077 U KR2019940026077 U KR 2019940026077U KR 19940026077 U KR19940026077 U KR 19940026077U KR 970001281 Y1 KR970001281 Y1 KR 970001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mouse
signal
por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368U (ko
Inventor
고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40026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281Y1/ko
Publication of KR960015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3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키보드와 마우스의 1포트 구현장치
제1도는 종래의 키보드/마우스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대한 타이밍도로서,
(a)는 키보드에서 키보드제어기로 데이터 전송시의 타이밍도이고,
(b)는 키보드제어기에서 키보드로 데이터 전송시 타이밍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시의 전체 비트 구성도.
제4도는 종래의 트랙볼(Track ball) (또는 마우스)을 구비한 키보드의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키보드/마우스 회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트랙볼(또는 마우스)을 구비한 키보드의 개략도.
제7도는 제4도의 키보드와 마더(Mother)보드가 연결된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6 : 마우스를 가진 키보드 7 : 트랙볼(Track ball)
8 : 키보드 포트 9 : 마우스 포트
10 : 키보드 제어기 20 : 제 1신호반전부
30 : 마우스 신호전송부 35 : 제 2신호반전부
40 : 키보드 신호전송부 50,60 : 키보드/마우스 포트
본 고안은 키보드와 마우스 1포트 구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용 컴퓨터의 데스크탑(Desktop) 및 노트북에서 키보드 포트와 마우스 포트가 별개화된 포트를 1개의 포트로 통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개인용컴퓨터에서 키보드 포트와 마우스포트가 별개로 외부로 나와 있는 회로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 포트 및 마우스 포트 동작신호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키보드제어기(10)와, 4개의 인버터(21,22,23,24)로 구성된 제1 신호반전부(20)와, 상키 키보드제어기(10)에 의해 각 포트의 단자(핀1)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키보드포트(8)와 마우스포트(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동작은 제2도에 도시한 (가)의 타이밍도와 같이 키보드에서 시스템 마더보드(Mother Board)의 키보드제어기(10)로의 데이터 송신은 키보드클록(KCLK)(또는 마우스클록)의 신호레벨이 로우일 경우와 키보드 데이타 클록(KDATA)(또는 마우스 데이타 클록)의 신호레벨이 로우일 경우에 데이타 전송이 시작되고, 또한 제2도 (나)의 타이밍도와 같이 시스템 마더보드의 키보드제어기(10)에서 키보드로의 데이터 송신은 키보드 클록(KcLOCK)(또는 마우스클록)의 신호레벨이 하이일 경우와 키보드 데이터 클록(KcLOCL) (또는 마우스 데이터 클록)의 신호레벨이 로우일 경우에 데이터 전송이 시작되어 데이터가 송신된다.
상기에서 데이터 전송은 마우스에서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전송시의 전체비트 구성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비트(1비트), 데이터비트(8비트), 패러티비트(1비트), 정지비트(1비트)의 총 11비트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및 동작에 의한 종래 기술의 트랙볼(7)을 가진 키보드(5)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케이블을 가지고서 시스템의 마더보드에서 키보드는 키보드 포트(8)로 마우스는 마우스포트(9)로 별개로 나와 있어 외부포트와 별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PCB)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특히 노트북 등에서는 포트를 2개 인출해야 하므로써 인쇄회로기판 설계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키보드 포트와 마우스 포트를 하나로 통합시킨 키보드와 마우스의 1 포트 구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를 가진 키보드(6)와, 상기 마우스를 가진 키보드(6)에서 출력되는 마우스 및 키보드 동작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탬에의 키보드 제어기(10)와, 상기 시스템내의 키보드제어기(10)에서 데이터 송신시 클록펄스와 데이터펄스 신호가 위상차가 나도록 반전하여 출력하는 다수개의 인버터(21∼24)로 구성된 제1 신호 반전부(20)와, 상기 마우스를 가진 키보드(6)와 상기 키보드 제어기(10)간에 데이터 송수신시 사용자에 의한 키보드 동작신호와 마우스 동작신호를 하나의 단자(핀2)를 통해 구분하여 나머지 단자(핀1, 핀5)를 통해 입출력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로 부터 출력된 키보드 동작신호와 마우스 동작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로우레벨(에를 들면, 키보드 동작신호를 로우(Low)로 하거나 또는 반대로 마우스 동작신호를 로우로 하는 경우) 신호를 반전시켜 마우스 신호전송부(30) 또는 키보드 신호전송부(40)를 동작시키는 인버터로 구성된 제2 신호반전부(35)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에서 구분되어 출력된 마우스 동작신호와 상기 키보드 제어기(10)로 부터 출력된 키보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마우스 신호전송부(30)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에서 구분되어 출력된 키보드 동작신호와 상기 키보드 제어기(10)로부터 출력된 키보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키보드 신호 전송부(4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마우스 신호전송부(30)는 상기 키보드 제어기(10)에서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포트(50)의 핀1, 핀5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제1 및 제3 버퍼(31,33)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의 핀1, 핀5에서 상기 키보드 제어기(10)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제2 및 제4 버퍼(32,34)으로 구성되고, 상기 키보드 신호전송부(40)는 상기 키보드 제어기(10)에서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의 핀1, 핀5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5 및 제7 버퍼(41,43)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포트(50)의 핀1, 핀5에서 상기 키보드 제어기(1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6 및 제8 버퍼(42,44)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5 내지 제8 버퍼(41∼44)는 3상태 버퍼를 사용한다.
상기 제5도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동작은 종래의 키보드 포트(8) 또는 마우스포트(9)에서 사용하지 않는 2번핀을 이용하여 상기 마우스를 가진 키보드(6)에 프로그램된 키보드 동작신호와 마우스 동작신호를 구분한다.
즉, 2번핀에 출력된 신호가 로우신호면 상기 제 2신호반전부(35)를 통해 반전시킨 하이신호를 키보드 신호전송부(40)의 제5 내지 제8 버퍼(41∼44)의 게이트에 인가하여 키보드를 동작시키고, 상기 2번핀에서 출력된 신호가 하이신호이면 마우스 신호전송부(30)의 제1 내지 제4 버퍼(31∼34)의 게이트에 하이신호를 인가하여 마우스를 동작시킨다.
상기 키보드 신호전송부(40)와 마우스 신호전송부(30)의 동작은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과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서 상기 키보드 제어기(10)에서 제1 신호반전부(20)를 통해 상기 마우스를 가진 키보드(6)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와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의 외부적인 개략도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로 통합된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60)가 트랙볼(또는 마우스)(7)를 가진 키보드(6)로 구성된다.
상기 제6도의 키보드(6)에 연결된 시스템 마더보드의 블러구성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 또는 하이레벨의 키보드 및 마우스 동작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일반적인 주변 인터페이스(80)와, 상기 키보드(6)에서 전송되는 신호로인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와 상기 제 2신호반전부(35), 마우스 신호전송부(30) 및 키보드 신호전송부(40)를 하나의 블록으로 나타낸 로직부(70)와, 이 로지구(70)에 연결된 키보드 제어기(10)로 구성되어, 키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의 2번 핀을 통해 로우신호를 동작시키고, 마우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2번핀을 통해 하이신호로 동작시키도록 상기 일반적인 주변 인터페이스(80)에 프로그래밍을 한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키보드 포트와 마우스 포트를 공용화하고, 트랙볼을 가진 키보드에서 키보드 라인과 마우스 라인을 공용화 하는 분야에서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키보드포트와 마우스포트 공용화로 재료비를 절감하고, 노트북 등에서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키보드 회사에서 트랙볼을 가진 키보드 생산시 재료비절감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마우스를 가진 키보드(6)와, 상기 마우스를 가진 키보드(6)에서 출력되는 마우스 및 키보드 동작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내의 키보드 제어기(10)와, 상기 시스템내의 키보드 제어기(10)에서 데이터 송신시 클록펄스와 데이터펄스 신호가 위상차가 나도록 반전하여 출력하는 다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제 1신호 반전부(20)와, 상기 마우스를 가진 키보드(6)와 상기 키보드 제어기(10)간의 데이터 송수신시 사용자에 의한 키보드 동작신호와 마우스 동작신호를 하나의 단자를 통해 구분하여 나머지 다른 단자를 통해 입출력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로 부터 출력된 키보드 동작신호와 마우스 동작신호중에서 어느 하나의 로우레벨 신호를 반전시켜 마우스 신호전송부(30) 또는 키보드 신호전송부(40)를 동작시키는 제2 신호반전부(35)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에서 구분되며 출력된 마우스 동작신호와 상기 키보드 제어기(10)로 부터 출력된 키보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마우스 신호전송부(30)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에서 구분되여 출력된 키보드 동작신호와 상기 키보드 제어기(10)로 부터 출력된 키보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키보드 신호전송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의 1포트 구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신호전송부(30)는 상기 키보드 제어기(10)에서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포트(5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및 제 3 버퍼(31,33)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에서 상기 키보드 제어기(1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및 제 4버퍼(32,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의 1포트 구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신호전송부(40)는 상기 키보드 제어기(10)에서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5 및 제 7버퍼(41,43)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50)에서 상기 키보드 제어기(1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6 및 제8버퍼(42,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의 1 포트 구현장치.
KR2019940026077U 1994-10-06 1994-10-06 키보드와 마우스의 1포트 구현장치 KR970001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077U KR970001281Y1 (ko) 1994-10-06 1994-10-06 키보드와 마우스의 1포트 구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077U KR970001281Y1 (ko) 1994-10-06 1994-10-06 키보드와 마우스의 1포트 구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368U KR960015368U (ko) 1996-05-17
KR970001281Y1 true KR970001281Y1 (ko) 1997-02-22

Family

ID=1939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077U KR970001281Y1 (ko) 1994-10-06 1994-10-06 키보드와 마우스의 1포트 구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2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368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1956B (zh) 以位元時脈與平行資料轉換發送及/或接收序列資料的方法與系統
US5263172A (en) Multiple speed synchronous bus having single clock path for providing first or second clock speed based upon speed indication signals
US5469473A (en) Transceiver circuit with transition detection
US6715094B2 (en) Mult-mode I/O interface for synchronizing selected control patterns into control clock domain to obtain interface control signals to be transmitted to I/O buffers
KR20090120449A (ko) 시리얼 i/o 버스트 게이팅을 이용한 저전력 serdes 아키텍처
US61782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urce synchronous data transfer
US10447248B2 (en) Semiconductor circuit
US5025414A (en) Serial bus interface capable of transferring data in different formats
US55353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rite signals
US9535454B2 (en) Computing module with serial data connectivity
US5235602A (en) Synchronous/asynchronous i/o channel check and parity check detector
EP0292943B1 (en) Digital input/output circuit capable of sending and receiving data in different modes
US5367300A (en) Serial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architecture
KR100933667B1 (ko) 버스 반전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70001281Y1 (ko) 키보드와 마우스의 1포트 구현장치
US5056110A (en) Differential bus with specified default value
US6959398B2 (en) Universal asynchronous boundary module
US4878058A (en) Multi-protocol data conversion
KR0146326B1 (ko) 전전자 교환기용 프로세스 정합보드와 퍼스널 컴퓨터를 정합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
US7757031B2 (en) Data transmission coordinating method and system
KR940009736B1 (ko) 마우스 및 키보드의 호환장치
JP2000307561A (ja) バスシステム装置
KR930007593Y1 (ko) 장치간 데이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KR970007157Y1 (ko) 시스템버스와 다수 병렬포트 사이의 인터페이스 장치
US20060095632A1 (en) Data transmission coordinating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