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211Y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211Y1
KR970001211Y1 KR2019940013862U KR19940013862U KR970001211Y1 KR 970001211 Y1 KR970001211 Y1 KR 970001211Y1 KR 2019940013862 U KR2019940013862 U KR 2019940013862U KR 19940013862 U KR19940013862 U KR 19940013862U KR 970001211 Y1 KR970001211 Y1 KR 970001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hole
hand leve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349U (ko
Inventor
와더 손 젠
Original Assignee
와더 손 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더 손 젠 filed Critical 와더 손 젠
Priority to KR2019940013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211Y1/ko
Publication of KR960002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2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에 조립시의 종단면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에서 고정핀에 있는 경사면과 돌출 고정단에 있는 원호면이 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상기 실시예에서 고정핀을 돌출 고정단의 고정구멍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6도는 상기 실시예의 연결 조립체와 연결단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7도는 상기 실시예의 고정핀 하단의 장공에 고리를 걸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제8도는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종단면도.
제9도는 종래의 파이프 연결 장치로서 핸드레버의 핀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연결 조립체 23 : 관통구멍
25 : 돌출 고정단 26 : 고정받침
27 : 충격 방지판 30 : 연결단
31 : 환상의 요홈 40 : 핸드레버
42 : 캠부 51 : 고정핀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파이프를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이프 연결 장치는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쌍의 돌기(2)를 병렬로 위치시킨 2쌍의 돌기(2)를 외주면의 대향 위치에 구비하고, 각 쌍의 돌기(2)사이에는 내측 원주면에 이르는 관통구멍(23)을 설치한 중공형의 연결 조립체(1)와; 상기 연결 조립체(1)의 중공 내부에 끼워 넣으며, 외주면에는 환상의 요홈(4)이 형성된 연결단(3)과; 상단에는 캠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쌍의 돌기(2)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한 핸드레버(5)를 조합한 것이다. 핸드레버(5)를 아래로 눌러 회전시키면, 캠부(6)가 관통구멍(23)을 통하여 연결 조립체(1)내에 들어가고 연결단(3)의 요홈(4)에 들어가서 고정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핸드레버(5)의 캠부(6)를 단순히 연결단(3)의 요홈(4)에 걸어 맞추었을 뿐이고, 기타의 래치 부재는 일체 설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핸드레버(5)가 회전하여 고정된 후에, 때때로 외력으로 인하여 용이하게 위쪽으로 회전하여, 캠부(6)가 요홈(4)에서 이탈하여 상기 연결단(3)이 느슨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제9도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 조립체(1)에 핸드레버(7)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위치의 아래쪽에 돌출 고정단(9)을 설치하고, 상기 돌출 고정단(9)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구멍(11)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핸드레버(7)의 적당한 위치에 상기 돌출 고정단(9)을 끼워서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는 구멍(8) 및 선단에 상기 핀구멍(11)에 끼울 수 있는 핀 모양의 결합고리(14)를 설치하여, 상기 결합고리(14)의 선단을 상기 돌출 고정단(9)의 핀구멍(11)에 끼워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핸드레버(7)의 구멍(8)에 끼워맞추어 나온 연결 조립체(1)를 핀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결합고리(14)를 손으로 잡아서 선단을 상기 핀구멍(11)에 맞추어 끼우는 작업은 항상 쉽게 이루어진다고는 단정할 수 없으며, 상대적으로 파이프의 연결작업에 불편을 초래하는 쉽고, 핸드레버(7)는 드러난 그대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체가 상기 연결 조립체(1)의 근처에서 작동하고 있으며, 핸드레버(7)에 쉽게 충격을 주어 변형 파손되기 쉽다.
상기 종래의 파이프 연결 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핸드레버를 적당한 위치로 회전시켜서 연결단을 견고하게 고정하는데, 상기 핸드레버를 핀으로 고정하고, 그 핀 고정 부위가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각각 한쌍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쌍을 이루는 양 돌기 사이에 관통구멍을 형성한 중공형의 조립체와; 상기 각 쌍을 이루는 양 돌기 사이에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관통구멍과 대응하는 말단에 캠부가 형성된 핸드레버와; 하나의 말단은 파이프와 연결되고 다른 말단은 상기 연결 조립체의 한 말단에 삽입되며, 상기 양 관통구멍과 대응하는 둘레에 환상의 요홈을 갖는 연결단을 포함하여; 상기 핸드레버를 회전시키면,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캠부가 상기 환상의 요홈과 결합하고, 또한 상기 핸드레버를 상기 연결 조립체의 벽에 핀으로 결합하여 상기 연결단을 고정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조립체의 관통구멍의 하단 부근에 돌출 고정단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 고정단의 하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원호면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돌출 고정단에 상하로 관통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고정단의 하측 둘레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적당한 높이의 고정받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받침 외측면과 상기 고정구멍 사이에는 간격이 있으며, 상기 돌출고정단의 양측에 상기 돌출 고정단을 차폐하고 동시에 상기 고정받침의 양측 하단의 위치까지 연장된 충격 방지판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레버는 상기 연결 조립체와 대향하는 측면의 중간 부위에 고정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핸드레버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받침에 접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 상단면이 상기 고정구멍과 대향하게 되며; 또한 상기 고정부의 축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힘을 받는 고정핀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핀의 중심선과 고정부의 외측면의 간격이 상기 고정받침 외측면과 상기 고정구멍 사이의 상기 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고정부의 상단면보다 나온 고정핀의 상단이 상기 고정구멍에 삽입되기 쉽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부의 상단면보다 연장되어 나올 수 있는 핀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핀몸체의 상단면에는 상기 돌출 고정단이 구비한 원호면에 맞닿아서 미끄러지면서 이동가능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핸드레버의 하단에 적당한 길이의 정지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지단부와 상기 고정핀의 중심선 사이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고정부 저면보다 연장되어 나온 상기 고정핀의 하단에는 상기 정지단부와 직교하는 방향의 편평면을 구비한 말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편평면에 횡방향의 장공을 형성하며, 상기 장공에 가요성 선재를 적당한 직경으로 감은 링형상의 고리를 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 조립체의 중공 내부에 한 말단파이프와 연결된 연결단의 다른 말단을 삽입하고, 핸드레버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핸드레버의 켐부의 돌출한 부분이 연결 조립체의 관통구멍으로 들어가서 연결단의 환상의 요홈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핀의 하단에 부착된 고리는 정지단부와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지만, 고정핀과 정지단부의 측면의 간격에 대한 고정핀의 하단의 편평면의 폭이나 고리 자체의 외경등이 제한되므로, 고정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핀이 크게 회전할 수 없다. 고정핀이 큰 회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고정핀 상단면의 경사면을 항상 볼록 고정단의 원호면과 바람직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이동가능하게 접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의 중심선과 고정부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L2)과 고정받침 외측면과 고정구멍 사이의 간격(L1)이 같기 때문에, 핸드레버를 회전시켜 고정부의 외측면을 고정받침의 외측면과 접하게 하면, 스프링힘이 기해져 고정핀이 자동적으로 고정구멍에 끼워져 핸드레버를 핀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충격 방지판은 볼록 고정단의 말단보다 적당히 높게 하였고, 볼록 고정단의 측면이나 고정받침의 측면을 전부 덮으며, 핸드레버가 연결단을 고정시킬 때에는 고정부의 양측면을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부의 핀구멍에 삽입된 고정핀도 차폐하며, 고정핀을 보호하여 외부의 물체가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 조립체(20), 연결단(30), 양 핸드레버(40) 및 고정 수단(50)을 조합시켜 구성한 파이프 연결 장치이다.
연결 조립체(20)는, 한쪽 말단부에 적당한 내경을 갖는 연결체(21)를 구비하는데, 연결체(21)에는 축방향으로 연결공간(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공간 (22)의 벽에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관통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23)의 양측에는 각각 돌기(24)가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동시에 양 돌기(24) 사이의 아래쪽에 돌출 고정단(25)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 고정단 (25)의 외측면 하단에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원호면(251)이 형성되어있으며, 돌출 고정단(25)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구멍(2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한 받아 같이, 이 돌출 고정단(25) 하단을 따라 연결체(21) 둘레에 원주를 따라서 연장된 적당한 높이의 고정받침(26)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받침(26)의 횡단면에서 이 고정받침(26)의 하단으로부터 연결체(21)의 원주면과 거의 평행을 이루며 아래로 연장된 가상의 선과 고정구멍(252)의 중심선 사이에는 적당한 간격(L1)이 유지된다. 충격 방지판(27)이 연결체(21)의 원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돌출 고정단(25)의 외측말단보다 적당히 높게 하여 돌출 고정단(25)의 측면 전체를 포함하게 하며, 충격 방지판(27)의 하단은 고정받침(26)의 측면 하단의 대응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편, 연결체(21)의 다른 말단은 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신관으로 형성된 것이고, 이것은 종래 기술에 속하는 것이어서 여기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연결단(30)은 제1도,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이며, 연결체(21)의 연결공간(22) 내에 축방향으로 끼워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연결 조립체(20)의 양 관통구멍(23)과 대응하는 외주면 영역에는 적당한 환상의 요홈(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원주면에 나사(32)를 조각하여 파이프(또는 호스 접속구)와 나사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도 종래 기술에 속하는 것이어서 여기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양 핸드레버(40)는, 상기 연결 조립체(20)의 주위 벽의 직경방향 대향 위치에 있는 각 쌍의 돌기(24) 사이에, 각각의 핀(41)이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23)과 대응하는 말단부에 볼록하게 캠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 조립체(20)와 마주하는 측면 중간부에 적당한 높이의 볼록한 고정부(43)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부(43) 상단면과 캠부(42) 사이에는 파인 공간(44)이 있으며, 고정부(43)에는 상단면에서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핀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핀구멍(45)과 고정부(43)의 상단면이 만나는 핀구멍(45)의 둘레에는 링부(45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구멍(45)의 중심선과 고정부(43)의 외측면 사이에는, 고정받침(26)과 고정 구멍의 중심선 사이의 간격(L1)과 같은 거리의 간격(L2)이 있다. 또한, 핸드레버(40)에서 고정부(43)의 아래쪽 부분에는 적당한 길이로 연장된 정지단부(4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정지단부(46)가 연장되어 나온 고정부(43)의 하측은 개방된 공간이며, 정지단부(46)의 측면과 핀구멍(45)의 중심선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유지된다.
고정수단(50)은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외경 및 길이의 직선 봉 형태의 고정핀(51)이다. 각각의 고정핀(51)은 고정부(43)의 핀구멍(45)에 삽입된 부분의 하단에 편평한 말단부(5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말단부(512)의 편평한 면은 거의 정지단부(46)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편평면에는 횡방향의 장공(5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핀(51) 상단의 상기 링부(451) 아래쪽 둘레의 원주면에는, 링부(451)에 접하는 링형의 볼록 테두리(514)를 구비한다. 또한, 볼록 테두리(514) 상측의 핀몸체(515)는 핀구멍(45)의 말단면보다 튀어나와 있으며, 핀몸체(515) 상단면에는 상기 돌출 고정단(25)의 원호면(251)과 대응하는 방향의 절삭된 경사면(5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핀(51)의 볼록테두리(514)의 하측에는 스프링(52)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52)의 하단에 접하여 고정핀(51)의 외면과 핀구멍(45)의 내면과의 사이에 멈춤링(53)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핀구멍(45) 하단 둘레에 프레스가공에 의한 멈춤돌기(531)를 설치하여 멈춤링(53)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공 (513)에 가요성 선재를 밀착시켜 적당한 직경으로 감은 링형의 고리(54)가 부착된다.
그리고, 조립할 때에는, 우선 고정핀(51)을 고정부(43)의 핀구멍(45)에 끼우고, 이 고정핀(51)에 둘레를 감싸도록 스프링(52)을 끼워서 설치한다. 이와 함께, 멈춤링(53)을 고정핀(51)과 핀구멍(45)의 하단 내벽의 사이에 끼워서 고정한다. 나아가 핀구멍(45) 하단에 멈춤돌기(531)를 형성하여 이 멈춤링(53)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핀(51)이 멈춤링(53)의 내측에서 움직이도록 미끄럼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고정핀(51)의 하단부를 프레스 기공하여 정지단부(46)와 거의 직교하는 방향의 편평면을 구비한 말단부(512)를 형성하고, 그 편평면에 횡방향의 장공(513)을 형성한다. 이 장공(513)에 가요성 선재를 밀착된 형태의 적당한 직경으로 감아서 만든 고리(54)를 건다.
또한 제1도, 제3도,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54)를 아래로 늘어뜨렸을 때의 원형 단면과 정지단부(46)의 측면이 거의 평행의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여, 고리(54)를 정지단부(46)와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당겨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고리(54)가 고정핀(5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더라도, 제5도 내지 제7도에 (46)측면과의 간격이 작고, 고정핀(51) 하단에 있는 편평면의 폭이나 고리(54) 자체의 외경 때문에, 고리(54)가 정지단부(46)로 인해 제한을 받아 크게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상응하여 고리(54)와 연결된 고정핀(51)도 핀구멍(45) 내에서 큰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단(30)을 축방향으로 연결체(21)의 연결공간(22) 내에 삽입하여, 환상의 요홈(31)을 관통구멍(23)과 대응하게 위치시킨다. 또한 연결체(21)에 있는 쌍을 이루는 양 돌기(24) 사이에서 관통구(23)과 대응하는 장소에 핀(41)으로 핸드레버(40)의 캠부(42)를 결합시킨다.
이렇게 하여, 핀(41)을 중심으로 하여 캠부(42)가 회전할 수 있게하며, 캠부(42)의 비교적 볼록하게 돌출한 원호 형상이 관통구멍(23)을 통하여 연결공간(22)에 들어가게 하며, 또한 환성의 요홈(31)과 결합하여 연결단(30)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고정핀(51)의 하단에 있는 장공(513)에는 고리(54)를 장착하는데, 고리(54)가 고정핀(5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정지단부(46)로 저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리(54) 자체는 크게 회전할 수 없다. 이와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고정핀(51)도 과도한 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정핀(51) 상단의 핀몸체(514)의 상단에 있는 경사면(516) 방향이 소정의 범위내로 유지된다. 즉. 경사면(516)을 적절하게 상기 돌출 고정단(25)의 원호면(251)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핸드레버(40)를 아래쪽으로 눌러내려서 연결단(30)을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제3도,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41)을 중심으로 하여 핸드레버(40)를 직접 눌러 내린다. 고정핀(51)이 핀구멍(45) 내에서 큰 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정핀(51) 상단의 경사면(516) 선단이 우선 돌출 고정단(25)의 원호면(251) 말단부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경사면(516)과 원호면(251)이 적절히 접한 상태에서 핸드레버(40)를 차츰 눌러내려서, 경사면(516)이 유연하게 원호면(251)과 미끄러지게 한다.
이 과정에서 경사면과 원호면(251)은 서로 맞닿기 때문에, 고정핀(51)은 상기 스프링(52)을 압축하는 축방향의 작용력을 만들어 내고, 볼록 테두리(514)가 스프링(52)을 압축하게 된다. 볼록테두리(514)가 스프링(52)을 압축하면 할수록, 고정핀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스프링(52)에 탄성복원력이 축적되고, 그리고 고정핀(51)의 핀몸체(515)가 핀구멍(45)으로 점점 들어가서 원호면(251)의 하단면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핀몸체(515)가 상기 돌출 고정단(25)에 있는 고정구멍(252)의 바로 아래에 이르면, 스프링(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51)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핀몸체(515) 상단이 고정구멍(252) 내에 들어가 결합 고정되어, 핸드레버 (40)를 고정지지하고, 캠부(42)가 환상의 요홈(31)에 결합되여, 연결단(30)을 연결체(21)의 연결공간(22) 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레버(40)를 아래쪽으로 눌려서 회전시키면, 핀몸체(515) 상단이 고정구멍(252)에 삽입되어, 핸드레버(40)를 안정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작이 신속하고 편리하다.
한편, 분리할 때에는, 제4도,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으로 고리(54)를 당겨서 고정핀(51)이 핀구멍(45)에서 스프,링(52)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게 하여, 핀몸체(515) 상단을 고정구멍(252)에서 이탈시키고, 그런 후 핸드레버(40)을 위쪽으로 올리면, 캠부(42)가 핀(4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캠부(42)의 비교적 볼록 돌출한 부분이 환상의 요홈(31)으로부터 이탈한다. 이때, 고리(54)를 당기던 손을 놓으면, 핀몸체(515) 상단이 스프링(5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부(43) 상단면으로 나온다. 계속 핸드레버(40)을 위쪽으로 올리면, 캠부(42)가 관통구멍(23) 내를 이동하여 환상의 요홈(31)로부터 완전히 이탈하고, 핸드레버(40)를 용이하게 위쪽으로 회전시켜서 연결단(30)을 분리해 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러한 분리과정에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손가락으로 고리(54)를 당기면, 고정핀(51)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핀몸체(515)의 상단이 고정구멍(252)으로부터 이탈하지만, 고리(54)를 당겨서 고정핀(51)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핸드레버(40)의 정지단부(46)는 적당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핀 (51) 축방향과 직각 방향에서 고리(54) 자체의 좌우 회전은 정지단부(46)에 막혀서 회전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며, 이에 상응하는 고정핀(51) 자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도 제한되기 때문에, 고정핀(51)이 적절하게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54)를 걸어서 당길 때, 고리(54)의 선재는 장공(513)내에서 몰리게 되지만, 고리(54)의 선재는 가요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선재가 서로 눌리어 탄력을 저장하며, 핸드레버(40)가 회전을 마치고 고리(54)에서 손을 놓으면, 고리(54)의 선재가 탄성 복원하여 밀착배열된 상태를 회복하여 고리(54)가 장공(513)에 걸리게 되고, 고리(54)가 자연히 아래로 늘어뜨려져, 손으로 당기기 쉬운 상태가 된다.
또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핸드레버(40)를 회전시켜, 연결단(30)을 고정하였을 때, 핸드레버(40)에 있는 고정부(43)의 외측면이 고정받침(26)의 측면과 접하여, 핀구멍(45)의 중심과 고정부(43)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L2), 즉, 고정핀(51)의 축선 중심과 고정부(43)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L2)이 유지된다. 한편, 돌출 고정단(25)의 고정구멍(252)의 중심선과 고정받침(26)의 측면의 사이의 간격(L1)도 유지된다.
따라서, 고정부(43)의 외측면과 고정받침(26)의 측면을 접하게 하여 고정하면, 고정핀(51)이 고정부(43)의 핀구멍(45)에 삽입되기 때문에, 고정핀(51)이 중심과 고정받침(26)의 간격이 부호(L1)이 되어, 고정핀(51)을 정확하게 고정구멍(252)에 대응시켜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요한 것은 고정부(43)와 고정받침(26)은 모두 강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핸드레버(40)의 고정부(43)가 고정받침(26)에 접하여 고정되면, 그 이상으로 압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간격(L1, L2)을 항시 같게 유지하여, 고정핀(51)과 고정구멍(252)을 필요에 따라 정확하게 대응시켜 끼우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핸드레버(40)가 과도하게 회전함으로써 고정핀(51)이 고정구멍(252)의 둘레에 충격을 주는 일이 없으며, 핀몸체(515)나 고정구멍(252)에 충격에 의한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이 핀구멍(45)의 중심과 고정부(43)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L2) 및 연결체(21)의 고정구멍(252)의 중심과 고정받침(26)의 측면의 간격(L1)을 동일하게 하는 것은, 제조할 때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 충격 방지판(27)을 돌출 고정단(25)의 가장 높은 말단보다도 적당히 더 높게 형성하고, 돌출 고정단(25)의 측면이나 고정받침(26)의 측면을 전부를 덮게하여, 핸드레버(40)가 연결단(30)을 고정 지지할 때에, 고정부(43)의 양 측면을 차폐시킨다. 이렇게 하면, 고정부(43)에 있는 핀구멍(45)에 삽입된 고정핀(51)의 핀몸체(515)도 양쪽의 충격 방지판(27)에 의해 차폐되어, 핀몬체(515)가 보호되어, 충격 방지판(27)의 외측에 있는 물체에 의해 충격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핸드레버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파이프와 접합된 연결단을 견고하게 고정하며, 핸드레버는 자동적으로 핀에 의해 고정시킬수 있고, 그 핀 부위를 충격방지판으로 외력으로 인한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각각 한쌍의 돌기(24)를 구비하고, 상기 쌍을 이루는 양 돌기(24) 사이에 관통구멍(23)을 형성한 중공형의 연결 조립체(20)와; 상기 각 쌍을 이루는 양돌기(24) 사이에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관통구멍(23)과 대응하는 말단부에 캠부(42)가 형성된 핸들레버(40)와; 하나의 말단은 파이프와 연결되고 다른 말단은 상기 연결 조립체(20)의 한 말단에 삽입되며, 상기 양관통구멍(23)과대응하는 둘레에 환상의 요홈(31)을 갖는 연결단(30)을 포함하여: 상기 핸드레버(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캠부(42)가 상기 관통구멍(23)을 통과하여 상기 환상의 요홈(31)과 결합하고, 상기 핸드레버(40)를 상기 연결조립체(20)의 벽에 핀으로 결합하여 상기 연결단(30)을 고정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조립체(20)는 관통구멍(23)의 하단 부근에 돌출 고정단(25)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 고정단(25)이 하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원호면(251)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돌출 고정단(25)에 상하로 관통하는 고정구멍(2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고정단(25)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적당한 높이의 고정받침(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받침(26) 외측면과 상기 고정구멍(252) 사이에는 간격(L1)이 있으며, 상기 돌출 고정단(25)의 양측에 상기 돌출 고정단(25)을 차폐하고 동시에 상기 고정받침(26)의 양측 하단의 위치까지 연장된 충격방지판(27)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레버(40)는 상기 연결 조립체(20)와 대향하는 측면이 중간 부위에 고정부(43)를 구비하는데, 상기 핸드래버(40)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43)가 상기 고정받침(26)에 접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43) 상단면이 상기 고정구멍(252)과 대향하게 되며: 또한 상기 고정부(43)의 축방향으로 스프링(52)에 위해 힘을 받는 고정핀(51)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핀(51)의 중심선과 고정부(43)의 외측면의 간격(L2)이 상기 간격(L1)과 동일한 파이프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51)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부(43)의 상단면보다 연장되어 나올 수 있는 핀몸체(515)을 형성하고, 상기 핀몸체(515)의 상단면에는 상기 돌출 고정단(25)에 있는 원호면(251)과 맞닿아서 미끄러지면서 이동가능한 경사면(516)을 형성한 파이프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버(40)의 하단에 적당한 길이의 정지단부(46)를 구비하고, 상기 정지단부(46)와 상기 고정핀(51)의 중심선 사이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고정부(43)의 저면보다 연장되어 나온 상기 고정핀(51)의 하단에는 상기 정지단부(46)와 직교하는 방향의 편평면을 구비한 말단부(512)를 형성하고, 상기 편평면에 횡방향의 장공 (513)을 형성하며, 상기 장공(513)에 가요성 선재를 적당한 직경으로 감은 링형상의 고리(54)를 건파이프 연결장치.
KR2019940013862U 1994-06-15 1994-06-15 파이프 연결장치 KR970001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862U KR970001211Y1 (ko) 1994-06-15 1994-06-15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862U KR970001211Y1 (ko) 1994-06-15 1994-06-15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349U KR960002349U (ko) 1996-01-19
KR970001211Y1 true KR970001211Y1 (ko) 1997-02-21

Family

ID=1938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862U KR970001211Y1 (ko) 1994-06-15 1994-06-15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2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380B1 (ko) * 2019-12-30 2021-09-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용 커넥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349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9228A (ko) 캡 장치
US20020019161A1 (en) Circular connector
RU2001112989A (ru) Цилиндровый замок с противовзлом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0185773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길이조절장치
JP2020509838A (ja) 器具ハンドル上の迅速連結装置
KR970001211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0869138B1 (ko) 맨드렐 척
US4711519A (en) Assembly including an optical fiber secured in a wall
US20110049817A1 (en) Tool holder
EP2713381B1 (en) Push-button switch, selector switch, and fixing component therefor
JP2642897B2 (ja) 快速パイプ継手
JP2019175910A (ja) カバー、シール装着装置およびシール装着方法
CN210430214U (zh) 一种插座的插孔组件
US10753027B2 (en) Washing machine
JP4673889B2 (ja) 遠心力作動式スリーブクラッチ
CN211862653U (zh) 一种马桶盖板铰接结构
CN213205298U (zh) 汽车拉索组件端部卡合结构
JP4062894B2 (ja) 衝撃工具
KR200419376Y1 (ko) 밀대홀더
KR200166079Y1 (ko) 혁대버클
CN218447639U (zh) 内窥镜的按键模组及内窥镜
CN211684221U (zh) 印章卡具
CN216788942U (zh) 一种洗衣机包装螺栓组件
KR200155610Y1 (ko) 부탄가스용기의 어댑터
KR200196295Y1 (ko) 무선단말기용 안테나 고정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