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78B1 - 건축용 바닥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78B1
KR970001178B1 KR1019940022443A KR19940022443A KR970001178B1 KR 970001178 B1 KR970001178 B1 KR 970001178B1 KR 1019940022443 A KR1019940022443 A KR 1019940022443A KR 19940022443 A KR19940022443 A KR 19940022443A KR 970001178 B1 KR970001178 B1 KR 970001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oise
material layer
floor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235A (ko
Inventor
김승일
Original Assignee
김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일 filed Critical 김승일
Priority to KR101994002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178B1/ko
Publication of KR96001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바닥재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바닥재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바닥재로 시공한 바닥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재 11 : 흡음재층
12 : 방진재층
본 발명은 건축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바닥미장재 밑에 적층하여 실내활동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감쇄시켜 실내정숙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게 한 건축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딩, 주택 등의 바닥은 타일, 대리석, 인조석, 가공석재 목재, 합성수지판재등으로 마감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닥미장재는 분자의 밀도가 높아 재질이 딱딱하다. 소리와 진동은 재질의 밀도가 높을수록 전파가 잘 되는 것은 흡음성과 흡진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종래의 바닥미장재는 실내에서 걸어다닐 때 발딛는 소리, 움직일 때 나는 소리가 적절히 흡수되지 못하고 바닥에 부딪혀 울림으로써 소음이 크고 울리는 정도도 심할 수밖에 없다.
바닥의 흡음과 내진설계가 미흡한 아파트, 연립주택, 다가구주택의 경우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윗층의 소음이 아래층에 전해져 이웃간에 말썽의 소지가 되곤 하는 사례를 종종 접하게 되는 근본원인은 바로 바닥재의 흡음성과 내진성에 문제가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바닥의 소음과 진동을 줄이는 보편적인 방법은 바닥에 카핏, 연질의 바닥재와 같은 완충재를 덧까는 것인데, 별도의 비용지출이 부담되고, 내구성에도 한계가 있어 반영구적이지 못하며, 먼지가 끼고 미생물이 기생하는 등 비위생적이고, 세탁도 무척 힘들어 유지관리가 쉽지 않을 뿐더러 소음과 흡진능력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바닥미장재 밑에 단지 적층하기만 하면 실내활동시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감쇄시켜 실내정숙도를 높일 수 있는 건축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바닥재는 부직포와 같이 내재공간이 발달된 흡음재층에 고강도 나일론 필라멘트사제 부직망으로 된 방진층을 적층, 가열접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도에서, 바닥재(1)는 흡음재층(11)과 방진재층(12)의 적층구조로 되어 있다. 흡음재층(11)은 방진재층(12)와 열융착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만든 부직포이다. 부직포는 적당히 두껍고, 방수, 방부처리한 것도 무방하다.
방진재층(12)은 카본블랙을 함유한 나일론 필라멘트사로 짠 두터운 부직망을 군데군데 열융착하여 매트로 만든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흡음재(1)와 방진재층(12)을 동일한 규격으로 재단하여 적층한 다음에 피치간격으로 열융착하여 일체화한다. (13)은 이들의 열융착점을 표시한다.
제2도에서, 콘크리트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 목재 마루 등의 기층(2)위에 시공한 방수층(3)에 바닥재(1)가 깔렸고, 바닥재(1) 위로는 몰탈층(4), 접착제층(5), 바닥미장재(6)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바닥재(1)를 깔때는 흡음재층(11)이 위를 보게 하여 한다. 흡음재층(11)은 방진재층(12)에 비해 훨씬 부드럽고 작은 기공이 발달돼 있어 소음을 흡수하는 기능을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하기 때문이다.
바닥재(1)는 그 위에 시공되는 몰탈층(4)과 바닥미장재(6)의 무게에 의해 짓눌려 흡음재층(11)은 비록 두께는 얇아지더라도 흡음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방진재층(12)도 카본블랙함유 나일론 필라멘트사 고유의 높은 강도 때문에 무기력하게 두께가 얇아지지 않아 상당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기층(2)과 몰탈층(4)과의 사이에서 방진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된다.
몰탈층(4)은 현장에서 직접 몰탈을 타설하지 않고 제품화된 몰탈판재를 사용할 시에는 몰탈판재의 저면 또는 흡음재층(11)의 상면에 불침투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방법도 강구할 수 있다.
바닥미장재(6)는 대리석판, 인조석판, 타일, 목판, 합성수지 시트 등이며, 바닥미장재(6)와 몰탈층(4)간의 접합에는 이들에 대하여 다같이 친화성을 가진 강력 접착제(5)를 사용함이 옳다.
이렇게 시공된 바닥구조에서, 걸어다닐 때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은 바닥미장재(6)와 몰탈층(4)을 거쳐 흡음재층(11)과 방진재층(12)으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소음은 흡음재층(11)에 흡수 완화되고, 진동은 흡음재층(11)에 의해 극히 일부가 흡수되고 태반은 방진재층(12)에 의해 차단되어 기층(2)에는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바닥재는 부직포제 흡음재층의 편면에 카본함유 나일론 필라멘트사제 부직망으로 된 방진재층을 접합하여 일체화하여 기층과 몰탈층 사이에 시공토록 구성한 것으로, 실내 활동시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흡수하는 능력과 진동을 감쇄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실내정숙도를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하층의 거주인에게도 천정의 소음과 진동으로부터 편안해질 수가 있다.

Claims (1)

  1. 부직포제 흡음재층(11)의 편면에 카본블랙함유 나일론 필라멘트사로 짠 부직망제 방진재층(12)을 융착한 건축용 바닥재.
KR1019940022443A 1994-09-07 1994-09-07 건축용 바닥재 KR970001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443A KR970001178B1 (ko) 1994-09-07 1994-09-07 건축용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443A KR970001178B1 (ko) 1994-09-07 1994-09-07 건축용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235A KR960010235A (ko) 1996-04-20
KR970001178B1 true KR970001178B1 (ko) 1997-01-29

Family

ID=1939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443A KR970001178B1 (ko) 1994-09-07 1994-09-07 건축용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1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235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970001178B1 (ko) 건축용 바닥재
KR200406912Y1 (ko) 공동주택 층간 차음 바닥재
JP6018846B2 (ja) 遮音床構造及び床衝撃音の低減方法
KR100475210B1 (ko) 방음성 바닥재
KR100759118B1 (ko) 층간 차음용 패널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다층 건물의 바닥구조체
KR100625774B1 (ko) 층간 차음재 및 그 시공 방법
KR101207288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H0544333A (ja) 積層防音床材
KR200386447Y1 (ko) 소음 및 진동 방지용 바닥 방진판
JPH055356A (ja) 防音緩衝材およびこれを有する木質系防音床材
KR200411167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KR200455544Y1 (ko) 공동주택용 층간차음재
KR200315770Y1 (ko) 건물의 바닥충격 방음판넬
JPH0355705Y2 (ko)
JPS63308154A (ja) 防音床材
JP2544007Y2 (ja) 浮き床用防振根太構造
JP2979410B2 (ja) 床構造
JP2554210Y2 (ja) 湿式浮き床構造
KR200376070Y1 (ko) 층간 차음재
KR200394319Y1 (ko) 건축용 스티로폼 패널
KR200322187Y1 (ko) 공동주택의 층간 충격진동흡음판넬
JPH03321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