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070Y1 -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070Y1
KR970001070Y1 KR92012158U KR920012158U KR970001070Y1 KR 970001070 Y1 KR970001070 Y1 KR 970001070Y1 KR 92012158 U KR92012158 U KR 92012158U KR 920012158 U KR920012158 U KR 920012158U KR 970001070 Y1 KR970001070 Y1 KR 970001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panel
support frame
panel support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2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676U (ko
Inventor
도시가즈 야마노
Original Assignee
이와베 가네고
분까 셔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베 가네고, 분까 셔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베 가네고
Priority to KR92012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070Y1/ko
Publication of KR940003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패널셔터의 패널지지프레임에 있어서의 상부 가로틀부분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이 패널지지프레임의 세로틀부분에서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이 삽입재장착상태의 상부가로틀부분에서의 단면도.
제4도는 이 삽입재장착상태의 세로틀부분에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지지프레임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상부가로틀과 삽입재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세로틀과 삽입재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패널셔터를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10도는 제8도 및 제9도의 패널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패널지지프레임 10 : 삽입재
15 : 삽입재접촉편부 16 : 완충재
17 : 계합홈 18 : 누름부재.
본 고안은, 패널셔터의 패널면판(面板)으로 되는 유리판이나 합성수지판 등 입재의 장착수단을 개량한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8도는 종래의 패널셔터를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A-A 선면도, 제10도는 제8도 및 제9도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건물의 출입구나 창 등의 셔터개폐용 개구(開口)의 세워 배치된 좌우 1쌍의 가이드레일이며, 이들 가이드레일(1)은 대향면부에 패널이드용의 세로길이방향의 개구를 가지는 중공(中空)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의 상부에는, 패널수납부로 되는 패널수납브래킷(2)이 있다.
이 패널수납브래킷(2)내에는, 정역회전구동되는 패널승강구동계의 스프로켓지않음)이 배치되고, 이 스프로켓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내에 밑으로 늘어져 동되는 좌우 1쌍의 체인(3)이 맞물려 있다.
이들 체인(3)은, 상기 가이드레일(1)의 상호간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수단(段)의 패널지지프레임(4)의 상부 양측을 연계지지하고 있다.
상기 패널지지프레임(4)은, 상부가로틀(상프레임)(5)과 하부가로틀(하프레임) 및 양측의 세로틀(종프레임)(7)과 중간보강프레임(8)과에 의한 일체적 프레임조(構造)로 이루어지고, 그 패널지지프레임(4)에 삽탈(揷脫) 가능한 비드누름부재(9도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지지프레임(4)에 대한 삽입재(10)의 장착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 패널지지프레임(4)의 일측 개구단연부(端緣部)에 선(先)부착비드(11)를 장착 작업이 선부착비드(11)에 상기 삽입재(10)를 접촉시키고, 이어서, 상기 패널지지프레임(4)에 상기 비드누름부재(9)를 끼워 넣고, 이 상태에서, 이 비드누름부재(9)와 상기 삽입재(10)와의 사이에 연질의 후(後) 부착비드(12)를 압입함으로써, 상기 패널지지프레임(4)에 대한 상기 삽입재의 장착고정을 행하고 있다.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패널지지프레임(4)에 대한 삽입재(10) 장착을 위하여 선부착비드(11)와 후부착비드(12)를 필요로 하고, 이들 비드에 의하여 상기 삽입재(10)의 장착작업이 숙련을 요하여 매우 번잡하고, 패널조립작업성이 나쁘다는 점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최소한 후부착비드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삽입재의 장착고정을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양호한 수법으로 행할 수 있어서, 패널조립작업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는, 패널지지프레임에 삽입재를 삽입지지시키는 패널셔텨의 삽입재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지지프레임에 있어서의 내주면측 일측면에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재의 주연부(周緣部) 일측면과 접촉하는 삽입재접촉편부와, 상기 패널지지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내주면측 일측면과 대향하는 내주면측 타측면에 배설되어 있으며, 이 내주면측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측 일측면에 향하여 돌출하는 계합단부(段部)와, 상기 삽입재접촉편부에 주연부 일측면이 접촉한 상기 삽입재에 있어서의 주연부 타측면과 상기 패널지지프레임에 있어서의 내주면측 타측면과의 사이에서 삽입재의 주연부 타측면에 따라서 개구하는 계합홈과 상기 게합단부와 계합가능한 계지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계합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계합되어 상기 삽입재를 상기 삽입재접촉편부와의 사이에서 협압(挾壓)지지하는 누름부재와를 구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의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에서는, 패널지지프레임의 삽입재접촉편부에 삽입재 일측면 주연부를 접촉시키고, 이 상태에서, 이 삽입재의 타측면에 따라서 상기 패널지지프레임의 계합홈에 누름부재를 삽입계합시킴으로써, 그 누름부재의 상기 삽입재접촉편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삽입재를 협압지지한다. 그러므로, 비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삽입재를 상기 패널지지프레임에 간단 또는 확실하게 양호한 수법으로 장착고정할 수 있어서, 패널조립작업성의 향상을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패널셔터의 패널지지프레임에 있어서의 상부 가로틀부분의 사시도, 제2도는 이 패널지지프레임의 세로틀부분에서의 분해사시도이며, 이들에 도시된 패널지지프레임(4)은, 제8 도 및 제10도의 경우와 동일하게 일체적 프레임조구조로 조립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상부가로틀(상프레임)(5)과 일측의 세로틀(종프레임)(7)만을 도시하고, 하부가로틀(하프레임)(6)과 타측의 세로틀(7) 및 중간보강프레임(8)은 도시를 생략한다. 여기서,도시하지 않은 하부가로틀(6)과 타측의 세로틀(7)은, 상부가로틀(5) 및 일측의 세로틀(7)에 대하여 후술하는 구성과 동일 구성이다.
제1도에 나타낸 패널지지프레임(40의 상부가로틀(5) 및 제2도에 나타낸 세로틀(7)은, 그들의 일측벽부(4a) 및 (7a)의 내향단부(內向端部)에 일체 절곡형성되고, 삽입재(10)의 주연부 일측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삽입재접촉편부(15)를 가지고 있다. 이 삽입재(10)와의 사이의 삽입재파손방지나 빗물방지처리를 위하여 완충재(16)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완충재(16)는, 상기 삽입재(10)가 유리 이외의 예를 들면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상부가로틀(5) 및 세로틀(7)의 타측벽부(4b) 및 (7b)의 각 내측에는, 상기 삽입재접촉편부(15)의 완충재(16)에 주연부 일측면을 접촉시킨 상기 삽입재(10)의 타측면에 따라서 개구하는 계합홈(17)이 일체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로틀(5) 및 세로틀(7)의 각 내측면부에는 상기 완충재(16)에 접촉한 삽입재(10)와 상기 타측벽부(4b)(7b)와의 사이에서 이 타측벽부(4b), (7b)에 평행하는 중간칸막이벽부(4c), (7c)가 일체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중간칸막이벽부(4c), (7c)는 상기 타측벽부(4b), (7b)와의 사이에서 상기 계합홈(17)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계합홈(17)의 개구단연부에는, 상대방향으로 돌출하는 계합단부(17a)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계합홈(17)에는, 상기 삽입재접촉편부(15)의 완충재(16)와의 사이에서 상기 삽입재(10)를 협압지지하기 위한 누름부재(18)가 착탈가능하게 삽입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누름부재(18)의 배면에는, 상기 계합홈(17)의 홈폭에 대응한 간격으로 병행하는 1쌍의 다리편(片)(18a)이 일체돌출설치되고, 또한, 이 다리편(18a)의 선단부에는 상기 계합홈(17)의 계합단부(17a)에 계탈가능하게 계합시키기 위한 계지돌출부(18b)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18)는, 그 다리편부(18a)가 상대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예를 들면 합성수지 등에 의하여 일체형성되어 있다.
제3도는 삽입재장착상태의 상부가로틀에서의 단면도, 제 4도는 삽입재장착상태의 세로틀부분에서의 단면도이며,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삽입재(10)를 패널지지프레임(4)에 장착고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패널지지프레임(4)의 삽입재접촉편부(15)의 완충재(16)에 삽입재(10)의 주연부 일측면을 접촉시키고, 이 상태에서, 이 삽입재(10)의 타측면에 따라서 상기 패널지지프레임(4)의 계합홈(17)에 누름부재(18)를 삽입계합시킨다. 이 경우, 누름부재(18)의 다리편(18a)를 상기 계합홈(17)에 압입하면, 그 다리편(18a)의 계지돌출부(18b)가 상기 계합홈(17)의 계합단부(17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다리편(18a)이 상대방향으로 탄성변형하고, 또한 통과후에는 상기 다리편(18a)이 탄성복원함으로써, 이 다리편(18a)의 계지돌출부(18b)가 상기 계합홈(17)의 계합단부(17a)의 내측에 탄성계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계합홈(17)에 삽입계합된 상기 누름부재(18)는, 상기 완충재(16)와의 사이에서 상기 삽입재(10)를 협압지지한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지지프레임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상부가로틀과 삽입재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세로틀과 삽입재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계합홈(17)은, 상부가로틀(5) 및 세로틀(7)의 삽입재접촉편부(15)에 접촉시킨 삽입재(10)와, 상기 상부가로틀(5) 및 세로틀(7)의 각 타측벽부(4b) 및 (7b)와의 사이에서 형성되고, 그들 타측벽부(4b), (7b)의 개방단 내연부(內緣部)에 계합단부(17a)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간 칸막이벽부(4c), (7c)가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합홈(17)에 게탈가능하게 삽입계합되는 누름부재(18)는, 누름면판(180)의 배면에 일체돌출설치한 하나의 다리편(18a)의 선단측에 굴곡편부(18c)를 일체로 절곡형성하고, 또한, 상기 다리편(18a)에는 상기 계합단부(17a)와 계탈가능하게 계합시키기 위한 계지돌출부(18b)를 일체형성한 도시예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상부가로틀(5)의 타측벽부(4b)의 개방단(하단)에는 외향콜러부(4d)가 일체형성되고, 이 외향콜러부(4d)에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부재(18)의 누름면판(180)을 압접지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로틀(7)의 삽입재접촉편부(15)측에는, 그 타측벽부(7b)의 계합단부(17a)측에 향하여 돌출하고,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18)의 굴곡편부(18c)의 선단을 압접계합시키기 위한 돌출부(17b)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패널지지프레임(4)의 삽입재접촉편부(15)에 삽입재(10)의 주연부 일측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삽입재(10)의 주연부 타측면과 상기 패널지지프레임(4)의 타측벽부(4b), (7b)와의 사이에 형성된 계합홈(17)에 누름부재(18)의 굴곡편부(18c)측을 압입하면, 상하의 가로틀(도면에서는 상부가로틀(5)만을 나타냄) 측의 누름부재(18)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누름면판(180)의 일측연부와 굴곡편부(18c)의 선단부가 삽입재(10)에 압접계합하고, 또한, 상기 누름면판(180)의 타측연부가 외향콜러부(4d)에 압접지지되는 동시에, 다리편(18a)의 계지돌출부(18b)가 계합단부(17a)에 탄성계합한 상태로 된다. 한편, 세로틀(7)측의 누름부재(18)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굴곡편부(18c)의 선단부가 상기 돌출부(17b)에 압접계합하고, 또한 다리편(18a)의 계지돌출부(18b)가 상기 세로틀(7)의 계합단부(17a)에 탄성계합하고, 누름면판(180)의 일측단부가 삽입재(10)에 압접계합하는 동시에, 상기 누름면판(180)의 타측단부가 상기 세로틀(7)의 타측벽부(7b)의 선단에 압접계합한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앞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패널지지프레임(4)이 제8도에 나타낸 중간보강프레임(8)을 가지는 경우, 이 중간보강프레임(8)의 양측을, 제1도~제4도 또는 제5도~제7도에서 설명한 구조로 하여, 상기 각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요령으로 삽입재(10)를 누름부재(18)에 의하여 장착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패널지지프레임의 삽입재접촉편부에 삽입재의 일측 주연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삽입재의 타측연부에 따라서 상기 패널지지프레임의 게합흠에 누름부재를 삽입계합시킴으로써, 그 누름부재가 상기 삽입재접촉편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삽입재를 협압지지하므로, 비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삽입재를 상기 패널지지프임에 간단 또한 확실하게 양호한 수법으로 장착고정할 수 있어서, 패널조립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패널지지프레임에 삽입재를 삽입지지시키는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지지프레임에 있어서의 내주면측 일측면에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재의 주연부(周緣部) 일측면과 접촉하는 삽입재저촉편부와, 상기 패널지지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내주면측 일측면과 대항하는 내주면측 타측면에 배설되어 있으며, 이 내주면측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측 일측면에 향하여 돌출하는 계합단부(段部)와, 상기 삽입재접촉편부에 주연부 일측면이 접촉한 상기 삽입재에 있어서의 주연부 타측면과 상기 패널지지프레임에 있어서의 내주면측 타측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삽입재의 주연부 타측면에 따라서 개구하는 계합홈과, 상기 계합단부와 계합가능한 계지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계합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계합되어 상기 삽입재를 상기 삽입재접촉편부와의 사이에서 협압(挾壓)지지하는 누름부재와를 구비한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재접촉편부에는 완충재가 장착되고, 이 완충재에 상기 삽입재가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
KR92012158U 1992-07-03 1992-07-03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 KR970001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158U KR970001070Y1 (ko) 1992-07-03 1992-07-03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158U KR970001070Y1 (ko) 1992-07-03 1992-07-03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76U KR940003676U (ko) 1994-02-21
KR970001070Y1 true KR970001070Y1 (ko) 1997-02-17

Family

ID=1933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2158U KR970001070Y1 (ko) 1992-07-03 1992-07-03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0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76U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21224A (ja) グラスラン溝形成用の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H07503207A (ja) 自動車のガラス板をぬぐう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KR100713816B1 (ko) 도어
US10625587B2 (en) Vehicle door sash structure
KR970001070Y1 (ko) 패널셔터의 삽입재장착장치
KR0167594B1 (ko) 창 또는 문의 프레임에 유리판 또는 충전 플레이트용 지지스트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홀더
JP2534719Y2 (ja) シャッター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取付構造
KR20170140483A (ko) 차량의 도어 아웃벨트의 엔드피스 체결구조
KR200313637Y1 (ko) 렉산시트 지지용 프레임
JPH04105394U (ja) パネルシヤツターの嵌込材取付装置
KR19980011460U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및 도어 인 사이드 벨트 웨더 스트립 고정구조
KR200221573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유리창 고정장치
JP3002457B1 (ja) 建 具
KR0125269Y1 (ko) 차량의 센터 필러용 커버
JPS61282116A (ja) ウインドウパネル周縁モ−ルの取付構造
KR0115709Y1 (ko) 차량의 도어 글래스 지지용 가이드 고정구조
JP3635781B2 (ja) 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200155386Y1 (ko) 차량의 웨더스트립 이탈방지구조
KR910004033B1 (ko)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KR200148111Y1 (ko)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양끝단 크립구조
KR200202647Y1 (ko) 차량의 루프몰딩 마운팅구조
JPS5810555B2 (ja) 車両用窓ガラス保持具
KR0126336Y1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마운팅용 클립
JPS6030144Y2 (ja) 自動車のピラ−トリムの取付構造
KR200312106Y1 (ko) 모헤어 노출을 방지한 창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