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982Y1 -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 - Google Patents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982Y1
KR970000982Y1 KR2019930031962U KR930031962U KR970000982Y1 KR 970000982 Y1 KR970000982 Y1 KR 970000982Y1 KR 2019930031962 U KR2019930031962 U KR 2019930031962U KR 930031962 U KR930031962 U KR 930031962U KR 970000982 Y1 KR970000982 Y1 KR 970000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ial
telephone
dial butt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927U (ko
Inventor
박현서
Original Assignee
박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서 filed Critical 박현서
Priority to KR2019930031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982Y1/ko
Publication of KR950021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확대측단면도.
제4도는 종래 다이얼버튼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측단면도.
제6도는 또다른 종래 다이얼버튼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얼버튼 1a : 버튼기초부
2 : 외피 3 : 버튼
4 : 고유문자
본 고안은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택트스위치를 사용하는 푸쉬버튼식의 다이얼버튼에 있어서 각각의 버튼에 해당하는 고유문자를 투명한 버튼내부에 인쇄하여 야간식별이 용이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지워지지 않도록 한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용 다이얼버튼은 다이얼버튼표면상에 고유문자를 인쇄함이 보통이나 오래 사용하다 보면 인쇄된 문자가 지워지게 되므로 사용에 불편을 느끼게 된다.
이를 해소키 위해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버튼(12)을 특정색, 예를 들면 검정색의 불투명한 합성수지로 1차 사출성형한후, 2차로 상기 다이얼버튼(12)의 표면에 이와 상이한 색상, 예를들면 힌색의 합성수지로 복수개의 고유문자(13)를 나타내도록 일정높이로 사출한 다음, 나머지 공간부를 1차 사출성형한 색상과 같은 색상의 합성수지가 충진되도록 사출성형한 것이 있으나 이는 고유문자(13)가 지워질 염려는 없으나 어두운 곳에서는 고유문자(13)의 식별이 곤란하다는 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제6도와 같이 다이얼몸체(21)와 버튼(22)을 투명한 합성수지로 한꺼번에 사출성형한후, 상기버튼(22) 저면에 투명 또는 불투명의 상반되는 바탕색과 고유문자(23)를 인쇄한 다음, 버튼(22)저면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를 통하여 빛을 발산시키므로서 야간에도 고유문자(23)의 식별이 용이한 이른바 광다이얼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광다이얼버튼은 통상적으로 버튼(22) 자체가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이얼버튼을 경사진 방향에서 투시할 경우 고유문자(23)가 일그러진 상태로 투시되거나 또는 일부분만 투시되어 고유문자(23)의 식별이 어려우며, 또한 사용중에는 버튼(22)의 저면부가 스위치접속부와 잦은 마찰을 일으켜서 고유문자가 벗겨져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광다이얼버튼은 다이얼몸체(21)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버튼(22)이 한 번의 사출성형을 통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관계로, 사출성형이 끝난 다음에는 버튼(22)이 냉각될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기다린다음 바탕색과 고유문자(23)를 인쇄해야 되기 때문에 냉각시간지연에 따른 생산성저하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이얼버튼의 고유문자를 버튼내부에 인쇄하여 투시방향에 관계없이 식별이 용이토록 하고, 사용할 때에도 손과의 접촉이 방지되어 지워지지 않는 광다이얼 버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버튼자체를 두 번의 사출성형을 통하여 2중성형하므로서 냉각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향상에 기여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측단면도이며, 제3도는 확대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이얼몸체(1)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되 본래보다 높이가 낮은 복수개의 버튼기초부(1a)를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각각의 버튼기초부(1a) 상단표면에 불투과성도료로 고유문자(4)를 인쇄한후, 버튼기초부(1a) 외측표면에 투명한 합성수지를 2차사출성형하여 외피(2)를 형성하므로서 이들 버튼기초부(1a)와 외피(2)가 합쳐져서 본래의 높이를 갖는 버튼(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이얼버튼저면의 전화기내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야간식별이 용이토록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광다이얼버튼은 각각의 버튼(3)에 해당하는 고유문자(4)가 버튼(3)표면 가까이의 내부에 인쇄되어 있어 사용자의 투시방향에 관계없이 식별이 용이하며, 버튼(3)저면부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야간에도 고유문자(4) 식별이 용이하다.
즉, 본 고안의 고유문자(4)는 버튼(3)의 중간부분인 버튼기초부(1a)와 외피(2)사이에 인쇄되어 있어 그 만큼 고유문자(4)와 버튼(3)표면과의 편차가 적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느 방향에서 투시하더라도 고유문자(4)가 선명하게 투시되어 식별이 용이하다.
또한, 사용중에는 사용자의 손과 고유문자(4)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되므로 고유문자가 벗겨질 염려가 없으며, 이는 버튼(3)저면부가 스위치접속부와 잦은 마찰을 일으키더라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이얼버튼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버튼(3)이 두 번의 사출성형을 통하여 분리형성되므로서 그 만큼 냉각시간이 짧고 이로 인해 고유문자(4)의 인쇄시간도 단축되어 제품의 생산성향상에 기여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기용 다이얼버튼의 고유문자(4)를 버튼(3)내부에 인쇄하여 사용자의 투시방향에 관계없이 식별이 용이하고,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의 손과 고유문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되어 지워지지 않는다.
또한, 버튼(3)자체를 두 번의 사출성형을 통하여 2중성형하므로서 그 만큼 고유문자인쇄를 위한 냉각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복수개의 버튼(3)을 구비하는 전화기의 다이얼몸체(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몸체(1)에는 상기 버튼(3)의 본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투명한 합성수지재의 버튼기초부(1a)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1차 사출성형되어지며, 상기 1차 사출성형된 버튼기초부(1a)의 상단 표면에 불투과성도료를 사용하여 고유문자를 인쇄한 후,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상기 버튼기초부의 외표면을 외피(2)를 2차사출성형하여 버튼(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
KR2019930031962U 1993-12-31 1993-12-31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 KR970000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962U KR970000982Y1 (ko) 1993-12-31 1993-12-31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962U KR970000982Y1 (ko) 1993-12-31 1993-12-31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27U KR950021927U (ko) 1995-07-28
KR970000982Y1 true KR970000982Y1 (ko) 1997-02-14

Family

ID=1937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962U KR970000982Y1 (ko) 1993-12-31 1993-12-31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9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27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9414B1 (en) Illumination ke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4937408A (en) Self-illuminating panel switch
EP0674330B1 (en) Keyto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keytop
US4997998A (en) Key cap for a keyboard
CA1259433A (en) Pushbutton keyboard assembly
US6498311B1 (en) Multi-layer keys with translucent outer layer
KR100908127B1 (ko) 발광장치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부재
KR970000982Y1 (ko) 전화기용 광다이얼버튼
KR100762402B1 (ko) 필름 탄성에 의하여 키감을 구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및 그 제조방법
JP2003242854A (ja) 照光式樹脂キートップ付きキーシート
KR200226736Y1 (ko) 필름인서트키패드와아크릴키탑조합형키패드
JP2000231852A (ja) フィルム付きキートップ
JPH0527783Y2 (ko)
CN211719483U (zh) 一种具有荧光字符的手机双色侧按键
JPH0896654A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KR200159567Y1 (ko) 누름 버튼형 스위치 구조
KR100425499B1 (ko) 문자식별이 용이한 통신용 단말기의 키패드 및 그 성형방법
JPS63152826A (ja) キ−スイッチ構造
KR200323756Y1 (ko) 이동 전화기의 키 패드용 키 탑
JPH0817283A (ja) ラバーコンタクトスイッチ
KR100450342B1 (ko) 필름으로 코팅된 키버튼
JPS6122519A (ja) 透光表示体とその製造方法
KR100366795B1 (ko) 통신 단말기의 투명버튼 구조
JPH0455382Y2 (ko)
JPH0728761Y2 (ja) 押釦式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