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567Y1 - 누름 버튼형 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누름 버튼형 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567Y1
KR200159567Y1 KR2019960005404U KR19960005404U KR200159567Y1 KR 200159567 Y1 KR200159567 Y1 KR 200159567Y1 KR 2019960005404 U KR2019960005404 U KR 2019960005404U KR 19960005404 U KR19960005404 U KR 19960005404U KR 200159567 Y1 KR200159567 Y1 KR 200159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product
type switch
display part
switch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975U (ko
Inventor
박영조
Original Assignee
박영조
에스-프라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조, 에스-프라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영조
Priority to KR2019960005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567Y1/ko
Publication of KR970055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9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 코드레스 폰(Cordress Phone), 팩시밀리, 프린터와 같은 각종전기 및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누름버튼형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의 소형화 및 제작원가의 절감, 제품의 박형화에 기여하고 기능을 표시하는 문자 및 기호등이 인쇄된 표시부가 장기간 사용에도 손상을 입지 않아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고, 또한 상기 표시부가 확대되어 보여짐으로써 사용자의 식별 용이성에 의한 편리성의 극대화를 제공할 수 있는 누름버튼형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누름 버튼형 스위치 구조
제1도는 종래의 누름버튼형 스위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며도.
제2도는 제1도에 의한 발췌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의한 발췌확대도.
제5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인쇄표시부의 보임상태를 보여주는 일부발췌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누름버튼 20 : 탄성부
30 : 돌출부 40 : 도전막
50 : 표시부 60 : 투명의 아크릴수지
본 고안은 전화기, 코드레스 폰(Cordress Phone), 팩시밀리, 프린터와 같은 각종전기 및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누름버튼형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의 소형화 및 제작원가의 절감, 제품의 박형화에 기여하고 기능을 표시하는 문자 및 기호등이 인쇄된 표시부가 장기간 사용에도 손상을 입지 않아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고, 또한 상기 표시부가 확대되어 보여짐으로써 사용자의 식별 용이성에 의한 편리성의 극대화를 제공할 수 있는 누름버튼형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누름버튼형 스위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로기판(100)과 실리콘 러버재의 누름버튼(200)의 사이에 도전막(301)을 인쇄한 폴리에스터 필름(300)을 개재설치하되, 상기 누름버튼(200)에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되고 이 폴리에스터 필름에는 돔 모양의 돌기부(302)를 형성시켜 탄성력을 갖게하여 고무재의 취약점인 자체 탄성력의 약한 점을 보강하여 상기 누름버튼(200)에 복귀텐션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러버재의 누름버튼(200)의 상부 표면에는 각각의 기능을 표시하는 문자, 기호 등의 표시부(400)가 인쇄등에 의하여 행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누름버튼형 스위치 구조는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300)에 돔형의 돌기부(302)를 성형하는 공정, 이 돌기부에 도전막(301)을 인쇄하는 공의 부가와 이 폴리에스터 필름(300)의 돌기부(302)와 상기 누름버튼(200)의 돌출부(301)를 일치시켜 그 외부를 접착제에 의해 부착하는 접착 공정등의 제작공정의 복잡함과 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러버재로 이루는 누름버튼(200)은 그 자재값이 비교적 고가이어서 제작원가의 상승 요인으로 지적되었고, 특히 상부표면에 인쇄되는 기호, 문자 등의 표시부(400)는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닿아 지워지는 손상을 입게 되어 사용자에게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크나큰 단점을 갖고 있다.
더우기 최근에 이르러 제품의 소형화에 의해서 누름버튼형 스위치도 최소화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른 기능의 표시 즉, 기호, 문자 등의 표시부도 최소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시력이 안좋은 사람에게는 그 식별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도 내포하고 있고 시력장애자는 더욱이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누름형 버튼 스위치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자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누름버튼으로 형성하고 이 누름버튼의 돌출부 하면에 도전막을 인쇄하여 접점을 일체형으로 이루어서 종래의 구조에서 단점으로 지적된 제조원가의 상승 및 제조 공정의 복잡 및 난점을 일소시키어 제품의 소형 및 박형화를 극대화하고 동시에 기존과 같이 상기 수지버튼의 상면에 기능을 표시하는 기호, 문자 등의 인쇄를 행하여 표시부를 형성하되, 그 위에 투명의 아크릴수지로 인서트 성형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표시부가 손상을 입지 않아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고 상기 투명아크릴 수지를 볼록렌즈 형상으로 성형함에 의한 표시부가 확대되여 보여짐으로 시력이 안좋은 사람에게도 용이한 식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력장애자에게 있어서도 상기 아크릴수지에 점자를 추가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누름형 버튼의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적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특징적 목적을 구체화하는 기술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체탄성을 갖는 합성수지판에 여러개의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누름버튼(10)이 탄성부(20)에 의해 일체로 연결 성형되어 신축성을 갖도록 하되, 상기 누름버튼(10)의 하부에 성형되는 돌출부(30)에 도전막(40)을 인쇄하여 접점자체가 일체형으로 이루고, 상부표면에 통상 행해지는 표시부(50)를 투명의 아크릴수지(60)로 인서트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표시부(50)를 덮는 투명의 아크릴수지(60)는 볼록렌즈식으로 성형하여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의 표시부(50)가 확대되어 표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의 아크릴수지(60)는 점자를 추가 성형하여 시력 장애자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색 성형이 가능하여 외관미를 살릴수 있어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70은 회로기판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존의 누름버튼형 스위치가 갖는 단점, 즉, 누름버튼이 고가의 실리콘 러버재로 제조되는 관계로 제품원가의 상승요인, 구성부재의 복잡으로 인한 제조공정의 복잡 및 조립의 난점, 누름버튼의 기능을 표시하도록 인쇄된 표시부가 장기간 사용시에 지워져 사용자에게 식별이 어려운점 및 제품소형화에 따른 표시부의 최소화로 인한 시력이 안좋은 사용자에게 불편한점, 그리고 시력장애자용으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한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자체탄성을 갖는 합성수지판에 여러개의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누름버튼( 10)이 탄성부(20)에 의해 일체로 연결 성형되어 신축성을 갖고, 상기 누름버튼(10)의 하부에 성형되는 돌출부(30)에 도전막(40)이 인쇄되어 접점자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10)의 상부표면에 통상 행해지는 표시부(50)를 투명의 아크릴 수지(60)로 인서트 성형하여 이루되, 상기 투명의 아크릴수지(60)는 볼록렌즈로 성형하여 상기 표시부(50)가 확대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형 스위치 구조.
KR2019960005404U 1996-03-20 1996-03-20 누름 버튼형 스위치 구조 KR200159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404U KR200159567Y1 (ko) 1996-03-20 1996-03-20 누름 버튼형 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404U KR200159567Y1 (ko) 1996-03-20 1996-03-20 누름 버튼형 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75U KR970055975U (ko) 1997-10-13
KR200159567Y1 true KR200159567Y1 (ko) 1999-10-15

Family

ID=1945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404U KR200159567Y1 (ko) 1996-03-20 1996-03-20 누름 버튼형 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5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048A (ko) * 2001-07-03 2001-11-14 오종현 컨트롤패널의 누름버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누름버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75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7847B2 (en) Elastomer keypad and bezel
US4839474A (en) Switches and keyboards
US5729221A (en) Keypad configuration
US6997572B2 (en) Illumination structure for pushbutton and electronic device with pushbutton having illumination structure
US4386254A (en) Rocker switch
US4184321A (en) Electronic wristwatch with calculator having improved conductive packing sheet switch element
TW388897B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KR200159567Y1 (ko) 누름 버튼형 스위치 구조
JP4111607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
KR100762402B1 (ko) 필름 탄성에 의하여 키감을 구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및 그 제조방법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KR100528493B1 (ko) 이동 전화기의 키 패드용 키 탑 및 그 제조방법
US20010052380A1 (en) Laminate key sheet
JPH11126536A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および押釦スイッチ
KR200323756Y1 (ko) 이동 전화기의 키 패드용 키 탑
KR200377204Y1 (ko) 일체형 아크릴 키패드
KR970006941B1 (ko) 전화기의 투명 키 버튼 유니트
KR20100082175A (ko) 키패드 및 키패드 어셈블리
JPH06349377A (ja) プッシュボタンスイッチ
KR200229192Y1 (ko) 인쇄물이 탈부착되는 전화버튼이 구비된 전화기
KR200180269Y1 (ko) 셀룰라폰의 키패드
US6207907B1 (en) Keypad with individual keys made from transparent plastic
CN111029195A (zh) 键盘及其按键结构
JPH09139143A (ja) ラバーコンタクトスイッチ
KR1007610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위치 일체형 키패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