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875Y1 -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보호장치의 타격스프링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보호장치의 타격스프링 조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0875Y1 KR970000875Y1 KR2019940017878U KR19940017878U KR970000875Y1 KR 970000875 Y1 KR970000875 Y1 KR 970000875Y1 KR 2019940017878 U KR2019940017878 U KR 2019940017878U KR 19940017878 U KR19940017878 U KR 19940017878U KR 970000875 Y1 KR970000875 Y1 KR 97000087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airbag
- protection device
- vehicle
- strik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고안은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운전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복원력이 작용되어 스프링을 탄력있게 회동시키는 스프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으로 된 운전자 보호장치는 차량의 핸들 중앙에 내장되어 차량의 충돌시 핸들과 운전자의 사이로 에어백을 방출시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한 종래의 운전자 보호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충격감지장치가 설치되고, 에어백으로 개스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작동장치가 핸들의 중앙부에 내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전자 보호장치는 운행중인 차량이 장애물 또는 자동차의 정면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가 감지하게 되면 이 감지신호가 작동부로 전달되어 에어백에 개스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핸들과 운전자의 사이로 에어백을 방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운전자 보호장치는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가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와 별도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충격감지센서에 전파방해 및 습기가 발생하게 되면 오동작을 일으켜 자동차의 정상 운행시 에어백이 방출되어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약을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에어백을 방출시키게 됨으로써 폭발시 발생하는 화염에 의해 화상을 유발시키고 폭발음에 의해 운전자의 청각을 손상시키게 될 우려가 있었으며, 한 번 폭발하여 방출된 에어백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식 운전자 보호장치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목적으로 본 출원인은 1994년 특허출원 제8527호로 에어백으로 된 운전자 보호장치를 선출원한 바 있으며, 그 개략적인 구성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운전자 보호장치(10)는 핸들(20)의 후향으로 요입된 케이스(21)에 상, 하브라크(22)(23)을 구성하고, 그 내부에 작동부(30)와 에어백(40)을 내장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작동부(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정면에 충돌이 발생하여 핸들에 일정속도 이상의 충격력이 가하여지면 일단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가동수단(31)과, 상기 가동수단(31)의 타단이 하강하면 이와 연동되어 강제로 지지하고 있던 타격부재를 해제시키는 지지수단(32)과; 상기 지지수단(32)에 의해 강제적인 지지력이 해제되면 탄력있게 회동하여 천공핀을 타격하는 타격수단(33)과; 상기 타격수단(33)에 의해 연동되어 개스통의 입구를 천공시키는 천공수단(34)과; 상기 타격수단(33)에 의해 연동되어 개스통의 입구를 천공시키는 천공수단(34)과; 상기 천공수단(34)에 의해 천공된 개스통(35)으로 부터 분출된 개스를 에어백(40)에 저소음으로 균형있게 배출시키는 배출수단(36)을 갖추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30)의 타격수단(33)은 지지수단(32)의 승강 중심으로부터 내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30A)상에 보스(30A-1)가 돌설되고 그 외곽에 스프링(331)이 삽입되며, 상기 보스(30A-1)의 중앙에는 타격부재(332)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스프링(331)의 상단에 일측이 걸려 탄력있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타격수단(33)의 작동과정을 보면, 먼저 스프링(331)에 의해 강하게 탄설된 타격부재(332)의 걸림홈에 지지수단(32)의 베어링이 걸려 타격부재(332)를 강제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충격에 의해 가동수단(31)이 이동하여 가압부재(323)의 단부를 타발하게 되면, 가동수단(31)이 하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베어링을 타격부재(332)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지수단(32)에 의해 강제로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31)에 강하게 탄설된 타격부재(332)가 회동하면서 천공핀(342)의 선단을 타격하여 개스통(35)을 천공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타격수단(33)은 타격부재(332)에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31)이 보스(30A-1)의 높이만큼 그 감김수가 한정되어 타격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어 천공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타격부재의 타발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운전자 보호장치의 타격스프링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베이스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스프링과 이격된 상부에 상부스프링이 구성되고 그 사이에 일방향으로 걸림구가 연장된 스프링을 구성하고, 상기 상부스프링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저면의 중심 하향으로 보스가 구비된 지지커버를 구성하며, 상기 타격부재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그 하단은 하부스프링의 중심을 관통하여 베이스에 체결되며 그 상단은 상부스프링의 중앙을 관통하여 지지커버에 체결되는 중심축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에어백으로 된 운전자 보호장치가 내장된 핸들의 단면도 .
제2도는 종래 운전자 보호장치 작동부의 평면도 .
제3도는 종래 운전자 보호장치 작동부의 측단면도 .
제4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운전자 보호장치 작동부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 타격수단의 분리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호장치 20 : 핸들
30 : 작동부 37 : 타격수단
371 : 스프링 372 : 타격부재
373 : 지지커버 374 : 중심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작동부의 평면구성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운전자 보호장치의 작동부(30)는 차량의 정면에 충돌이 발생하여 핸들에 일정속도 이상의 충격력이 가하여지면 일단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가동수단(31)과; 상기 가동수단(31)의 타단이 하강하면 이와 연동되어 강제로 지지하고 있던 타격부재를 헤제시키는 지지수단(32)과; 상기 지지수단(32)에 의해 강제적인 지지력이 해제되면 탄력있게 회동하여 천공핀을 타격하는 타격수단(37)과; 상기 타격수단(37)에 의해 연동되어 개스통의 입구를 천공시키는 천공수단(34)과; 상기 천공수단(34)에 의해 천공된 개스통(35)으로 부터 분출된 개스를 에어백(40)에 저소음으로 균형있게 배출시키는 배출수단(36)을 갖추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운전자 보호장치에 있어 본 고안 타격수단(37)은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재(372)를 중앙에 걸 수 있도록 상하로 양분된 스프링(371)을 구성하고, 그 상부에 복개되는 지지커버(373)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커버(373)와 타격부재(372), 그리고 베이스(30A)에 형성된 보스(30A-1)에 중심축(374)을 축설시켜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프링(371)은 걸림돌기(371A-1)를 하향으로 돌설시킨 하부스프링(371A)과, 걸림돌기(371B-1)를 상향으로 돌설시킨 상부스프링(371B)을 상하 이격되게 형성하고 그 사이에 상하 일체로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연장시킨 걸림구(371C)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커버(373)는 상기 스프링(371)의 상부를 복개시킬 수 있도록 판상으로 구성하여 저면의 중심 하향으로 고정홀(373A-1)이 과통된 보스(37A)를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중심축(374)은 상단으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타격부재(372)의 축수공(372a)이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도록 소정길이 단차를 형성하고 상하단에 체결공(374a, 374b)을 소정깊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보면, 먼저 스프링(371)의 하부 걸림돌기(371A-1)를 베이스(30A)에 삽입하고 중앙에 형성된 걸림구(371C)에 타격부재(372)의 타단 일측을 걸리게한 후 그 축수공(372a)과, 보스(30A-1)의 축수공(30A-2)에 중심축(374)의 하단을 삽입하여 베이스(30A)의 하부에서 볼트(375)로 체결한다. 이렇게 체결이 완료되면 중심축(374)의 상단을 지지커버(373)의 보스(373A)에 통공된 고정홀(373A-1)에 삽입한 후 상부로부터 볼트(376)를 체결하고, 이어서 그 타측의 통공(373A-2)에 스크류(377)를 삽입하여 베이스(30A)로부터 입설된 체결대의 체결공(30A-3)과 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본 원인이 선출원한 운전자 보호장치 뿐만 아니라 개스통을 통공시키는 타격수단에 타발력을 제공할 목적으로 스프링이 설치되는 에어백 작동장치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과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동부(30)의 가동전 상태는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재(372)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371)이 감겨지도록한 후 지지수단(32)의 베어링(321)에 한쌍의 타격부재(372)의 걸림홈을 걸어 강제로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한쌍의 타격부재(372)가 지지수단(32)의 베어링(321)에 걸려 강제로 지지된 상태에서 주행중인 자동차의 정면으로 타 자동차 또는 장애물이 접근하여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약40㎞/h)으로 충돌하게 되면 가동수단(31)이 이동하여 가압부재(323)의 선단부를 타발하게 되면 이 가압부재(232)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타격부재(372)를 강제로 지지하고 있던 베어링(321)을 타격부재(372)로부터 하향으로 이탈시켜지는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렇게 지지수단(32)에 의해 강제로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고정된 스프링(371)의 걸림구(371C)에 걸려 강하게 탄설되어 타격부재(372)가 회동하면서 천공핀(341)의 선단을 타격한다. 이렇게 타격을 받은 천공핀(341)이 스프링(342)을 압축시켜면서 개스통(35)의 입구를 신속 정확하게 천공시키게 되면 천공과 동시에 입구측으로 개스가 분산되어 배출수단(36)을 통해 에어백(40)으로 균형있게 공급되어 핸들과 운전자의 정면사이로 방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타격부재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상, 하이중으로 형성하여 타격부재의 순간 타발력을 증대시킴으로써 개스통의 천공속도를 신속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개스통의 신속한 천공 동작은 차량의 충돌사고시 핸들에 내장된 에어백을 신속하게 방출시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안전사고의 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이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타격부재의 타발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하는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운전자 보호장치의 타격스프링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Claims (1)
- 지지수단(32)에 의해 강제적인 지지력이 해제되면 탄력있게 회동하여 천공핀(341)을 타격하는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운전자 보호장치에 있어서, 베이스(30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스프링(371A)과 이와 이격된 상부에 상부스프링(371B)이 구성되고, 그 사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타격부재(372)의 타단이 걸리도록 걸림구(371C)가 구성된 스프링(371)과; 상기 상부스프링(371B)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저면의 중심 하향으로 고정홀(373A-1)을 관통시킨 보스(373A)가 구비된 지지커버(373)과; 상기 타격부재(372)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그 하단은 하부스프링(371A)의 중심을 관통하여 베이스(30A)에 체결되며, 그 상단은 상부스프링(371B)의 중앙을 관통하여 지지커버(373)에 체결되는 중심축(374)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운전자 보호장치의 타격스프링 조립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17878U KR970000875Y1 (ko) | 1994-07-19 | 1994-07-19 |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보호장치의 타격스프링 조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17878U KR970000875Y1 (ko) | 1994-07-19 | 1994-07-19 |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보호장치의 타격스프링 조립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4770U KR960004770U (ko) | 1996-02-16 |
KR970000875Y1 true KR970000875Y1 (ko) | 1997-02-12 |
Family
ID=1938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17878U KR970000875Y1 (ko) | 1994-07-19 | 1994-07-19 |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보호장치의 타격스프링 조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70000875Y1 (ko) |
-
1994
- 1994-07-19 KR KR2019940017878U patent/KR97000087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4770U (ko) | 1996-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275567B1 (en) | Vehicle bonnet hinge | |
CN103612611B (zh) | 一种防侵入可溃缩踏板总成及该踏板总成的小腿保护系统 | |
US5069479A (en) | Air bag device | |
KR970000875Y1 (ko) |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보호장치의 타격스프링 조립구조 | |
KR100241145B1 (ko) | 스티어링휠 내장형 에어백 시스템 | |
KR960003754Y1 (ko) | 에어백으로 된 핸들내장형 운전자 보호장치의 조립구조 | |
KR970001744B1 (ko) | 에어백으로된 핸들내장형 보호장치 | |
KR200327001Y1 (ko) | 자동식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 장치 | |
KR100461383B1 (ko) | 승용차의 앞좌석 탑승자 보호장치 | |
KR100510106B1 (ko) | 에어백 시스템 | |
KR960003755Y1 (ko) | 에어백으로 된 핸들부착형 운전자 보호장치의 부착구조 | |
KR100217646B1 (ko) | 후방유리 파편에 의한 승객 부상방지 장치 | |
KR200331130Y1 (ko) | 스티어링휠 내장형 에어백 시스템 | |
KR0151670B1 (ko) |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 |
KR20040106866A (ko) | 자동식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 장치 | |
CN213619679U (zh) | 一种碰撞传感器 | |
KR200341506Y1 (ko) | 에어백 시스템 | |
KR200370961Y1 (ko) | 에어백 시스템 | |
KR20030074519A (ko) | 스티어링휠 내장형 에어백 시스템 | |
KR19980046387U (ko) | 차량용 조향축의 충격흡수식 하강장치 | |
KR100357793B1 (ko) |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슬라이딩 구조 | |
KR200304915Y1 (ko) | 차량용스티어링칼럼의충격에너지흡수플레이트 | |
KR20020038314A (ko) | 충돌방지형 스티어링 칼럼 구조 | |
KR200142769Y1 (ko) | 충격흡수식 스티어링장치 | |
KR20060061025A (ko) | 스티어링컬럼의 컬랩스 하중 감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21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