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823B1 -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823B1
KR970000823B1 KR1019930025708A KR930025708A KR970000823B1 KR 970000823 B1 KR970000823 B1 KR 970000823B1 KR 1019930025708 A KR1019930025708 A KR 1019930025708A KR 930025708 A KR930025708 A KR 930025708A KR 970000823 B1 KR970000823 B1 KR 97000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ata
wired
receivin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168A (ko
Inventor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823B1/ko
Publication of KR95001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에서 경보감지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감지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유무선 수신기의 구체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센서수신장치의 구체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수신장치의 폴링제어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수신기의 이상상태 발생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수신장치와 유무선 수신기간의 데이터통신 타이밍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수신장치와 유무선 수신기간의 일 실시예의 데이터통신 타이밍도.
본 발명은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센서로부터 발생된 경보신호를 버스를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경보동작을 감지하는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자동화 시스템은 도난, 화재, 가스누출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며 지정된 장소로 통보를 하는 장치로서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경보 발생을 통보하기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한다.
제1도는 종래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에서 경보감지장치의 블럭도로서, 무선으로 경보를 발생할 경우에는 가입자의 댁내 등에 설치되는 무선센서 송신부(300)와 감시센터(100) 등에 설치되는 무선센서 감지부(101)로 구성된 무선경부 감지장치에 의해 감지한다. 무선센서 감지부(101)가 무선센서 송신부(300)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직접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먼저 무선센서 송신부(300)가 설치된 가입자 댁내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발생된 비상종류에 대응하는 센서부(303)의 다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그러면 제어부(302)는 센서부(303)의 감지에 대응하는 경보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02)로부터 출력된 경보데이터는 RF 송신부(301)로 인가되어 설정된 코딩방식으로 인코딩되고 RF 신호로 변조된 후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된다. 이때 상기 시스템코드는 코드설정부(304)에 각 비상종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게 된다.
무선센서 감지부(101)는 상기 RF 송신부(301)로부터 송신되는 RF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여 복조한 후 제어부(102)로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1)는 코드설정부(104)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신의 시스템코드와 동일한가를 비교한다. 상기 수신한 시스템코드와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코드가 같으면 경보 및 통보회로(105)로서 해당경보를 발생하고 지정된 장소로 비상상황을 통보한다. 따라서 가입자 댁내의 비상상황에 대한 경보가 무선센서 감지부를 통하여 발생되는 동시에 지정된 장소로 통보되는 것이다.
그러나 유선으로 경보를 발생할 경우에는 가입자의 댁내등에 설치되는 유선센서 송신부(200)와 감시센터(100) 등에 설치되는 유선센서 감지부(103)로 구성된 유선경보 감지장치에 의해 감지한다. 유선센서 감지부(103)가 유선센서 송신부(200)로부터 송신된 경보신호를 직접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먼저 유선센서 송신부(200)가 설치된 가입자 댁내에서 다수의 센서(201-20N)에 의해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유선센서 감지부(101)는 비상종류에 대응하는 경보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제어부(102)로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02)는 경보 및 통보회로(105)를 통해 해당경보를 발생하고 지정된 장소로 비상상황을 통보한다. 따라서 가입자 댁내의 비상상황에 대한 경보가 유선센서 감지부(103)를 통하여 발생되는 동시에 지정된 장소로 통보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RF 신호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은 무선통신의 특성상 제한된 통신 유효거리(d)내에서만 가능하게 되며 통신유효거리(d)를 벗어날 경우 수신이 불가능하게 되며, 특히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벽, 건물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통신유효거리(d)가 더욱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상황 발생시 송신기에서 RF 신호를 한번만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송수신 경로상의 잡음에 의한 전파 방해로 인하여 수신기에서 비상상황을 감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유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은 M개의 유선센서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센서 한개당 2개의 선로가 필요하므로 총 2M개의 배선이 유선센서 감지부(103)로 직접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유선센서 접속시 많은 배선이 필요하게 되어 설치 및 시공이 복잡하고 확장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정자동화 시스템에서 무선센서의 통신유효거리를 확장할 수 있는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정자동화 시스템에서 센서수신장치와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기간에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센서로부터 발생된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정자동화 시스템에서 유선센서의 배선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유무선 센서로부터 비상상황에 대한 해당 경보데이터를 수신한 후 폴링데이터에 응답하여 데이터버스로 송출하는 다수의 유무선 수신수단과, 상기 데이터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를 할당된 존코드에 의해 순차적으로 폴링하여 상기 해당 경보데이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수신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보감지방법은 센서수신수단에서 복수의 유무선 수신수단을 순차적으로 폴링하여 다수의 유무선 센서로부터 발생한 비상상황에 대한 경보데이터를 데이터통신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감지장치의 블럭 구성도로서, 하나의 센서수신장치(10)와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21-2n)를 2선식 데이터버스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센서수신장치(10)는 데이터버스를 통해 데이터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동되는 버스구동부(11)와, 상기 버스구동부(11)를 통해 존(zone)코드별로 할당되어 있는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21-2n)를 순차적으로 폴링하여 센서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마이컴(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21-2n)는 다수의 유선센서로부터 발생된 이상상태신호를 감지하는 유선센서 감지부(13)와, 다수의 무선센서로부터 발생된 이상상태신호를 감지하여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무선센서 감지부(14)와, 하우스코드(house code)와 존코드(zone code)를 설정하기 위한 코드설정부(15)와, 데이터버스를 통해 데이터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동되는 버스구동부(17)와, 상기 유선센서 감지부(13)로부터 이상상태 발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무선센서 감지부(14)로부터 이상상태 발생신호가 입력될시 하우스코드와 존코드를 비교하여 코드가 맞을 경우 버스구동부(17)를 구동하여 이상상태 발생통보신호를 데이터버스로 출력하는 마이컴(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유무선 수신기의 구체회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센서수신장치의 구체회로도로서, 제2도의 마이컴(12)과 대응되고, 제2도의 버스구동부(11)가 버스구동칩인 버스구동 IC(7), 저항(R5-R7), 콘넥터(8)와 대응되며, 상기 버스구동 IC(7)는 상기 마이컴(12)의 직렬 송수신포트(TDX, RDX)와 송신 인에티블 포트(TX EN)를 통해 연결되고, 모듈라형 콘넥터(8)를 통해 데이터버스로 연결된다. 상기 저항(R5-R6)은 버퍼저항이며, 저항(R7)은 임퍼던스 매칭용 저항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수신장치의 폴링제어 흐름도로서, 초기 전원 온시 상기 센서수신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 리세트 통보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부터 초기센서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초기센서 데이터 수신과정과, 상기 초기센서 데이터 수신과정에서 초기센서 데이터를 수신한 후 현재 센서상태 요구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된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가 유선센서 데이터인지 또는 무선센서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센서 데이터 판별과정과, 상기 센서 데이터 판별과정에서 유선센서 데이터일시 제2프레임 체크코드가 설정된 프레임 체크코드와 동일한가 검사하는 제2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과, 상기 제2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에서 제2프레임 체크코드가 동일할시 상기 수신된 현재 유선센서 데이터의 경보처리를 하는 유선센서 경보처리과정과, 상기 센서 데이터 판별과정에서 무선센서 데이터일시 제1프레임 체크코드가 설정된 프레임 체크코드와 동일한가 검사하는 제2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과, 상기 제1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에서 프레임 체크코드가 동일할시 상기 수신된 현재 무선센서 상태 데이터가 초기 무선센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을시 경보처리를 하는 무선센서 경보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수신기의 이상상태 발생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센서수신장치로부터 폴링데이터를 수신하여 순차적으로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의 리세트 통보 데이터를 상기 센서수신장치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센서수신장치로 리세트 통보 데이터를 송신한 후 다수의 유무선 센서로부터 비상발생에 따른 경보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유무선센서로부터 경보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센서수신장치의 폴링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수신한 비상발생에 따른 경보데이터를 상기 센서수신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수신장치와 유무선 수신기간의 데이터통신 타이밍도이고,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수신장치와 유무선 수신기간의 일 실시예의 데이터통신 타이밍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제2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센서수신장치(10)의 마이컴(12)은 버스구동부(11)를 통해 데이터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21-2N)를 순차적으로 폴링하여 각종 센서로부터 발생된 이상상태 신호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센서수신장치(10)와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21-2N)간의 데이터통신은 제7도와 같은 포맷에 의해 수행한다. 상기 센서수신장치910)은 각 존코드별로 할당되어 있는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21-2N)를 순차적으로 폴링하여 각 유무선 수신기와 n바이트 데이터를 송신하고 m바이트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송수신 데이터의 한 바이트는 11비트로 이루어져 9600bps 속도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수신장치(10)가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21-2N)를 폴링하는 주기시간은 N개의 존과 자신의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여 (N+1)T 시간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형태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을 N(존의 설정수)=3, m(존별 유선센서수)=4, n(존별 무선센서수)=8일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센서수신장치(10)가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21-2N)를 폴링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포맷은 제8도와 같으며, 데이터 송수신시 바이트 구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제3도에서 상기 버스구동 IC(5)의 송신 인에이블 포트(TX EN)가 로우상태에서 수신상태로 되며, 데이터버스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상기 마이컴(16)은 수신포트(RDX)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6)의 송신 인에이블 포트(TX EN)인 경우 상기 마이컴(16)은 송신상태가 되어 상기 송신포트(TX EN)를 통해 데이터버스상에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두개의 딥스위치(SW1, SW2)로 구성된 코드설정부(15)는 상기 딥스위치(SW1)의 스위치조작에 의해 2 =256개의 하우스코드를 설정하고, 딥스위치(SW2)의 스위치조작에 의해 2 =4개의 존코드를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16)은 무선센서로부터 이상상태발생시 상기 딥스위치(SW1)의 값을 읽어들여 하우스코드값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데이터버스를 통해 이상상태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멀티플렉서(1)는 4개의 아날로그 신호(X0-X3) 중 하나를 상기 마이컴(16)의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단자(X)로 출력한다. 이때 기준전압 발생부(2)는 기준전압 Va, Vb를 발생하여 비교기(3, 4)의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로 각각 인가한다. 이로 인해 상기 비교기(3, 4)는 상기 멀티플렉서(1)의 출력단자(X)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상기 기준전압 Va, Vb와 비교하여 상기 마이컴(16)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마이컴(16)은 출력포트(L6-L7)를 통해 점검상태 논리신호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멀티플렉서(1)를 스위칭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3, 4)는 하기 표 2와 같이 출력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6)은 유선센서의 상태를 감지한다. 즉, 상기 마이컴(16)의 출력포트(L6, L7)로 0 출력하게 되면 멀티플렉서(1)는 유선센서 1를 선택하여 출력단자(X)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비교기(3, 4)로 인가되는 전압 V1은 상기 유선센서 1의 상태에 따라 3종류의 전압이 나타난다.
(1) 유선센서 1이 개방(OPEN)된 경우 : VbV1Va가 되고,
(2) 유선센서 1이 단락(CLOSE)된 경우 : V1VbVa가 되며,
(3) 유선센서 1인 단선된 경우 : V1VaVb가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6)은 출력포트(L6, L7)를 통해 1→10→11의 순서로 출력하게 되면 해당 유선센서의 상태를 감지하여 데이터버스를 통해 센서수신장치(10)로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수신장치(1)는 초기 전원은 시 상대어드레스를 1로 하고 데이터 형태(DATA TYPE 1)를 0로 하고, 짝수 패리티 비트 P를 1로 하여 81H(HEXADECIMAL)를 데이터버스로 송신한다. 이때 신호의 파형은 9번째 비트(D8)는 어드레스를 나타내기 위해 1로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유무선 수신기(21)는 상대 어드레스가 1이므로 자신의 어드레스임을 인지하여 상기 표 1에 도시된 센서수신장치(10)로부터 유무선 수신기(21)로 송신한 데이터(TD11)를 수신한 후 약 3msec가 경과된 시점에서 3바이트의 데이터(RD11-RD13)를 데이터버스로 출력한다. 상기 3바이트의 데이터(RD11-RD13)는 초기 유선센서 1의 상태를 통보하기 위해 04H, F로 및 FCH값으로 각각 설정한다(단, 초기 정상상태의 유선센서가 모두 개방상태로 가정한다). 그러므로 유무선 수신기(21)의 3번째 데이터(RD13)=FCH는 FCC(FRAME CHECK CORD)로 유무선 수신기(21)의 1번째 데이터(RD11)와 2번째 데이터(RD12)를 가산한 값의 보수(COMPLEMENT)를 취한 값으로 캐리는 무시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센서수신장치(10)는 유무선 수신기(21)와 유무선 수신기(23)에 연결되어 있는 초기 정상상태를 인식한다. 그런후 상기 센서수신장치(10)는 DATA TYPE1을 10으로 하여 현재의 센서상태를 요구하고 상기 유무선 수신기(21-23)는 자기 어드레스가 수신되었을 때 DATA TYPE2를 10로 하여 현재 상태를 통보한다. 이때 상기 센서수신장치(10)는 수신된 유선센서의 상태코드를 초기 정상상태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상태 또는 단선을 판단한다.
한편 무선센서로부터 무선센서 감지부(14)를 통해 유무선 수신기(21-23)로 입력되면 상기 유무선 수신기(21-23)는 이 신호를 디코딩하여 하우스코드와 시스템코드를 분석하고 제3도의 딥스위치(SW1-SW2)에 의해 설정된 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하우스코드와 시스템코드를 상술한 표 1과 같이 RD와 RD를 생성하여 상기 센서수신장치(10)로 송신한다. 이때 RD의 b7은 무선이므로 1이 되어야 하고, FCC2는 RD및 RD와 시스템코드를 가산한 값의 보수중에서 하위 5비트값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유무선 수신기(21)는 무선센서로부터 수신한 하우스코드가 0FH이고 시스템코드가 110이며, 수신된 하우스코드값이 딥스위치(SW1)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하우스코드값과 같은 경우에 Zone1의 7번째의 무선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유무선 수신기(21)는 RD11=88H, RD12=OFH 및 RD13=46로 데이터를 설정하여 상기 센서수신장치91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센서수신장치(10)가 리세트된 상태에서 상기 유무선 수신기(21-23)는 DATA TYPE2를 0로 하여 리세트된 상태를 상기 센서수신장치(10)로 통보한다. 이때 상기 센서수신장치(10)는 DATA TYPE1을 1로 하여 리세트된 상기 유무선 수신기(21-23)의 초기센서 상태값을 요구한다. 그러면 상기 유무선 수신기(21-23)는 다시 DATA TYPE2를 1로 하여 초기 센서의 상태값을 상기 센서수신장치(10)로 송신한다. 여기서 센서수신장치(10)와 유무선 수신기(21-23)간의 데이터통신시 9번째 데이터 비트(D8)는 어드레스를 나타내기 위해 1로 세트되어야 하고, RD∼RD데이터의 9번째 데이터 비트가 0로 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센서수신장치(10)와 유무선 수신기(21-23)간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센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동작을 제5도 및 제6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센서수신장치(10)에서 유무선 수신기(21-2N)를 폴링하여 센서의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을 제5도의 흐름도에서 살펴보면, 401단계에서 초기전원이 온 되면 유무선 수신기(21-2N)를 폴링하기 위해 센서수신장치(10)의 마이컴(12)은 상대어드레스, DATA TYPE1, 패리티비트를 버스구동부(11)를 통해 데이터버스로 송신하고 4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2단계에서 마이컴(12)은 유무선 수신기(21-2N)로부터 초기센서 상태를 수신하고 4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3단계에서 마이컴(12)은 현재의 센서상태 요구데이터를 유무선 수신기(21-2N)로 송신하고 4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4단계에서 마이컴(12)은 유무선 수신기(21-2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4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5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선센서 상태 데이터인가 검사하여 유선센서 데이터가 아니면 406단계로 진행하여 FCC2가 일치하는가 검사한다. 이때 FCC2가 일치되지 않으면 상기 403단계로 돌아가고 FCC2가 일치되었으면 407단계로 진행하여 감지된 해당 경보처리를 하고 다음 센서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403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405단계에서 유선센서 데이터이면 408단계로 진행하여 FCC1가 일치되는가 검사하여 FCC1이 일치되지 않으면 상기 403단계로 진행하여 FCC1이 일치되면 4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9단계에서 상기 유무선 수신기(21-2N)로부터 리세트 통보 데이터가 수신되었는가 검사하여 리세트 통보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4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0단계에서 마이컴(12)은 현재 센서상태와 초기 센서상태와 동일한가 검사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407단계로 돌아가고 동일하면 상기 403단계로 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409단계에서 리세트 통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41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2단계에서 마이컴(12)은 유무선 수신기(21-2N)로부터 초기 센서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403단계로 돌아간다.
또한 센서의 상태를 감지하여 센서수신장치(10)로부터 순차적으로 폴링되어 센서의 이상상태를 통보하는 유무선 수신기(21-2N)의 제어동작을 제6도의 흐름도에서 살펴보면, 센서 501단계에서 유무선 수신기(21-2N)의 마이컴(16)은 코드설정부(15)로부터 설정된 하우스코드와 존코드를 읽어들이고 5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2단계에서 마이컴(16)은 센서수신장치(10)로부터 상대어드레스 DATA TYPE1, 패리티비트 등의 폴링데이터를 수신하고 5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3단계에서 마이컴(16)은 상기 코드설정부(15)에 의해 설정된 패리티비트와 상기 센서수신장치(10)로부터 수신된 패리티비트가 일치하는가 검사하여 일치하면 5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4단계에서 마이컴(16)은 상기 수신한 상대어드레스와 코드설정부(15)에 의해 설정된 존코드가 일치하는가 검사하여 존코드가 일치하면 5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5단계에서 마이컴(16)은 DATA TYPE2를 설정하여 상기 센서수신장치(10)로 송신하고 5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6단계에서 마이컴(16)은 코드설정부(15)에 의해 설정된 하우스코드와 존코드를 읽어들이고 5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7단계에서 마이컴(16)은 유선센서 및 무선센서로부터 유선센서 감지부(13) 및 무선센서 감지부(14)를 통해 센서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5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8단계에서 마이컴(16)은 센서수신장치(10)로부터 상대어드레스, DATA TYPE1, 패리티비트 등의 폴링데이터를 수신하고 5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9단계에서 마이컴(16)은 상기 509단계에서 마이컴(16)은 상기 코드설정부(15)에 의해 설정된 패리티비트와 상기 센서수신장치(10)로부터 수신된 패리티비트가 일치하는가 검사하여 일치하면 5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0단계에서 마이컴(16)은 상기 수신한 상대어드레스와 코드설정부(15)에 의해 설정된 존코드가 일치하는가 검사하여 존코드가 일치하면 51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1단계에서 마이컴(10)은 상기 수신한 DATA TYPE1이 0인가 검사하여 0이면 517단계로 진행하여 초기 센서상태 데이터를 송신하고 506단계로 돌아간다. 그리고 상기 511단계에서 DATA TYPE1가 0이 아니면 512단계에서 마이컴(16)은 DATA TYPE1가 1인가 검사하여 1이면 상기 517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512단계에서 DATA TYPE1가 1이 아니면 상기 506단계로 되돌아가고, 10이면 5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4단계에서 마이컴(16)은 하우스코드가 동일한 무선신호가 수신되었는가 검사하여 무선신호가 수신되었으면 515단계로 진행하여 무선센서 통보 데이터를 센서수신장치(10)로 송신하고 상기 506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514단계에서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유선신호가 수신되었으면 516단계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 또는 화재 등을 검출하기 위한 각종 유무선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이상상태 감지신호를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가 각각 검출한 후 센서수신장치와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간의 폴링방식의 데이터통신으로 상기 센서수신장치로 통보함으로써, 배선 및 시공이 간편해지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유선센서의 수를 확장할 시 센서수신장치로의 배선이 필요없이 확장가능하며, 센서수신장치와 유무선 수신기의 거리가 멀거나 장애물이 있을 경우 센서의 상태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가입자 댁내에서 발생한 비상상황에 대한 경보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선센서로부터 발생된 이상상태신호를 감지하는 유선센서 감지부(13)와, 상기 다수의 무선센서로부터 발생된 이상상태신호를 감지하여 복조하여 출력하는 무선센서 감지부(14)와, 하우스코드와 존코드를 설정하기 위한 코드설정부(15)와, 데이터버스를 통해 데이터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동되는 버스구동부(17)와, 상기 유선센서 감지부(13)로부터 이상상태 발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무선센서 감지부(14)로부터 이상상태 발생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하우스코드와 존코드를 비교하여 코드가 맞을 경우 버스구동부(17)를 구동하여 이상상태 발생통보신호를 상기 데이터버스로 출력하는 마이컴(16)과, 상기 데이터버스를 통해 데이터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동하기 위한 버스구동부(11)와, 상기 버스구동부(11)를 통해 상기 존코드별로 할당되어 있는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21-2N)를 순차적으로 폴링하여 센서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마이컴(1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센서 감지부(13)는, 상기 마이컴(16)의 제어에 의해 다중화하여 상기 다수의 유선센서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다중화수단과, 상기 다중화수단으로부터 선택 출력된 유선센서의 상태를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유선센서의 상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유선센서 검출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설정부(15)는, 상기 마이컴(16)에 연결되어 하우스코드를 설정하는 딥스위치(SW1)와, 상기 마이컴(16)에 연결되어 존코드를 설정하는 딥스위치(SW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4. 센서수신수단과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을 데이터버스로 연결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방법에 있어서, 초기 전원 온시 상기 센서수신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 리세트 통보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부터 초기센서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초기센서 데이터 수신과정과, 상기 초기센서 데이터 수신과정에서 초기센서 데이터를 수신한 후 현재 센서 요구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된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가 유선센서 데이터이고 제2프레임 체크코드가 설정된 프레임 체크코드와 동일할시 정보처리를 하는 경보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방법.
  5. 센서수신수단과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을 데이터버스로 연결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방법에 있어서, 초기 전원 온시 상기 센서수신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 리세트 통보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다수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부터 초기센서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초기센서 데이터 수신과정과, 상기 초기센서 데이터 수신과정에서 초기센서 데이터를 수신한 후 현재 센서상태 요구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다수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된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가 무선센서 데이터일 시 제1프레임 체크코드가 설정된 프레임 체크코드와 동일한가를 검출하는 제1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과, 상기 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에서 프레임 체크코드가 동일할시 상기 수신된 현재 무선센서 상태 데이터가 초기 무선센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을시 경보처리를 하는 경보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에서 제2프레임 체크코드가 동일할시 상기 리세트 통보 데이터 수신여부를 검출하는 리세트 통보 데이터 검출과정과, 상기 리세트 통보 데이터 검출과정에서 리세트 통보 데이터가 검출될시 초기 유선센서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초기 유선센서 상태 수신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방법.
  7. 센서수신수단과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을 데이터버스로 연결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방법에 있어서, 초기 전원 온시 상기 센서수신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 리세트 통보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부터 초기센서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초기센서 데이터 수신과정과, 상기 초기센서 데이터 수신과정에서 초기센서 데이터를 수신한 후 현재 센서상태 요구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된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의 프레임 체크코드가 설정된 프레임 체크코드와 동일할시 해당 경보를 발생하여 처리하는 경보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 수신과정은, 센서수신장치로부터 폴링데이터를 수신하여 순차적으로 다수의 유무선 수신기의 리세트 통보 데이터를 상기 센서수신장치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센서수신장치로 리세트 통보 데이터를 송신한 후 다수의 유무선 센서로부터 비상발생에 따른 경보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유무선 센서로부터 경보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센서수신장치의 폴링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수신한 비상발생에 따른 경보데이터를 상기 센서수신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방법.
  9. 센서수신수단과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을 데이터버스로 연결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방법에 있어서, 초기 전원 온시 상기 센서수신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 리세트 통보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부터 초기센서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초기센서 데이터 수신과정과, 상기 초기센서 데이터 수신과정에서 초기센서 데이터를 수신한 후 현재 센서상태 요구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무선 수신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된 현재 센서상태 데이터가 유선센서 데이터가 유선센서 데이터인지 또는 무선센서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센서 데이터 판별과정과, 상기 센서 데이터 판별과정에서 유선센서 데이터일시 제2프레임 체크코드가 설정된 프레임 체크코드와 동일한가 검사하는 제2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과, 상기 제2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에서 제2프레임 체크코드가 동일할시 상기 수신된 현재 유선센서 데이터의 경보처리를 유선센서 경보처리과정과, 상기 센서 데이터 판별과정에서 무선센서 데이터일시 제1프레임 체크코드가 설정된 프레임 체크코드와 동일한가 검사하는 제2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과, 상기 제1프레임 체크코드 검사과정에서 프레임 체크코드가 동일할시 상기 수신된 현재 무선센서 상태 데이터가 초기 무선센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을시 경보처리를 하는 무선센서 경보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방법.
KR1019930025708A 1993-11-29 1993-11-29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7000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5708A KR970000823B1 (ko) 1993-11-29 1993-11-29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5708A KR970000823B1 (ko) 1993-11-29 1993-11-29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168A KR950015168A (ko) 1995-06-16
KR970000823B1 true KR970000823B1 (ko) 1997-01-20

Family

ID=1936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708A KR970000823B1 (ko) 1993-11-29 1993-11-29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489A (ko) * 2007-08-21 2009-02-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트래킹 모듈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빌딩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168A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0311A (en) Remote sensing systems
US7756917B2 (en) Two wir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801626A (en) Alarm communications system with supervision signal RSSI analysis
CA1270041A (en) Security and alarm system
US4550312A (en) Remote sensing systems
US4847595A (en) Alarm system
US4589120A (en) Unique start bit for data transmissions
US6778082B2 (en) Smoke detector system for a house
US4675668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over building wiring
US4761648A (en) Remote sensing systems
EP0451276B1 (en) Serial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etermination of polarity thereof
US4847577A (en) Security and alarm system employing a particular pulse width discriminator
KR970000823B1 (ko)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경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4847593A (en) Transmission circuit of fire protection/security system
US6603387B1 (en) Programming of RF transmitter identification data by monitoring power
JP3326019B2 (ja) 火災報知設備の端末機器
US4665384A (en) Signal-transmitting junction unit of hazard alarm system
JPH0341878B2 (ko)
JPH08111891A (ja) 通信システム
JPS59236A (ja) 信号衝突検出方式
JP3261266B2 (ja) 火災感知器
JP2702766B2 (ja) 遠隔制御装置
JPS60140943A (ja) 回線監視方式
JPH05207556A (ja) 多重伝送システム
JP2868303B2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