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808Y1 -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808Y1
KR970000808Y1 KR2019940019486U KR19940019486U KR970000808Y1 KR 970000808 Y1 KR970000808 Y1 KR 970000808Y1 KR 2019940019486 U KR2019940019486 U KR 2019940019486U KR 19940019486 U KR19940019486 U KR 19940019486U KR 970000808 Y1 KR970000808 Y1 KR 970000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boat
motor
motor cycle
hydraulic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365U (ko
Inventor
최윤택
Original Assignee
최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택 filed Critical 최윤택
Priority to KR2019940019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808Y1/ko
Publication of KR960007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3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측부구체를 절단하여 요부를 보인 측면도 .
제3도는 본 고안의 부구체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유압장치부와 조향키간의 결합상태를 보인 발췌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조향키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조향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우트 2 : 바퀴보호체
2a, 2b : 바퀴보호체의 전, 후면부 3 : 공기튜브
4 : 고정봉 5 : 바아
5a : 로울러 5b : 노
7 : 조향키 8 : 고정부재
8a : 체결구 9 : 핀
10 : 유압모우터 11 : 스크류우
12 : 외체 13 : 조절너트
14 : 래칫홈 15 : 저지구
16 : 모우터싸이클 16a : 짐받이
17a, 17b : 전, 후륜 18 : 지지프레임
19 : 체인 20 : 유압장치
21 : 유압탱크 22 : 유압펌프
22a : 스프로켓휘일 22b : 고정구
22c : 체결구 23 : 유체변환레버
24 : 유압호스 25 : 후륜커버
25a : 지지대 26 : 기어
27 : 조향핸들
본 고안은 수륙 양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모우터싸이클용보우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모우터 싸이클에 부구체를 설치함에 있어 부구체가 간편히 부착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모우터싸이클로 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이 보다 안정되고 강한 힘으로 스크류에 절달되어 강한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본원 출원인에 의해 기 제안된 국내실용신안공고 제90-10280호(1990. 11. 8 공보)의 개량고안인 것이다.
본인에 의해 기 제안된 상기의 구조는 평상시 지상에서는 모우터싸이클로, 그리고 필요시에는 부구체를 부착설하므로써 수상용 모우터보우트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경제성과 사용성의 향상을 가져왔던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조의 것은 경세성과 사용면에 있어서는 좋은점을 가지고 있으나 다음의 미비점(보안되어야 할 점)이 발견되었다.
즉 모우터싸이클로 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이 추진용 스크류에 전단됨에 있어서 후륜타이어에 로울러의 회전력이 1차 기어박스에 전달되고, 이 기어박스로 부터 재차 회전력이 스크류까지 전달되어 추진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구동력이 미약하여 보우트의 추진력이 약했던 것이다.
본원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고려하고 동시에 이와 관련된 일부의 구조를 개선하므로서 제작성및 사용성이 향상된 구조의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를 제공하고자 것으로 이하 그 구조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토대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보우트이다.
이 보우트(1)는 제3도의 평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내부에는 후술하는 모우터 싸이클(16)의 엔진부 및 후륜(17a)이 끼워져 탑재되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상태의 바퀴보호체(2)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 바퀴보호체(2)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는 원통형의 공기튜브(3)가 나란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공기튜브(3) 및 바퀴보호체(2)로 이루어지는 보우트(1)의 후측상부로는 모우터싸이클(16)의 짐받이(16a)측에 보우트(1)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봉(4)이 길게형성되어 이 고정봉(4)에 보우트(1)가 결합되고, 이 고정봉(4)의 양측끝부에는 로울러(5a)와 노(5b)를 갖는 바아(5)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바아(5)를 회전시켜 로울러(5a)가 지면에 닿게 된 상태에서는 모우터싸이클(16)이 탑재된 상태의 보우트(1)를 수상으로 옭기는데 용이하고, 비상시(모우터싸이클 고장시)에는 노(5b)를 이용하여 보우트(1)를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향키(7)는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질로된 후면부(2 b)의 상단에 체결구(8a)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8)측에 핀(9)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후술하는 모우터싸이클(16)측에 설치된 유압장치(20)로 부터 강제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유압모우터(10)의 축에 스크류(1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조향키(7)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파이프로 길게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부재(8)측에 핀(9)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외체(12)내에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외체(12)상부에 별도로 설치된 조절너트(13)에 의해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조절너트(13)의 조임과 해제에 따라 조항키(7)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향키(7)를 보호유지하고 있는 외체(12)는 고정부재(7)측에 전후로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고정부재(7)의 원주둘레 끝부에형성된래칫홈(1 4)내에 저지구(15)가 끼워져 소정의 각도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조향키(7)의 회전 및 각도조절을 위한 장치는 기존의 보우트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구조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모우터싸이클(16)에 설치된 구조를 살펴본다.
도면부호 20은 상기한 스크류우(11)가 설치된 유압모우터(10)에 유체를 강제이송시키는 유압장치이다.
이 유압장치(20)는 제1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가 저장된 유압탱크(21), 유체를 상기한 조향키(7)의 하단에 설치된 유압모우터(10)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믄 유압펌프(22) 및 유체의 이송방향을 변화시켜 스크류우(4)의 회전방향을 정, 역회전 시키도록 된 유체변환레버(23)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21), (22), (10)간에는 유체의 이송순환이 가능하도록 유압호스(24)가 접속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유압탱크(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펌프(2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각각 분리된 상태로서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유압탱크(21)는 상면 일측에 설치된 막대형의 지지대(21a)가 모우터싸이클(16)에 기존설치된 지지프레임(18)에 결합된다.
또한, 유압펌프(22)는 펌프(22)의 축에 스프로켓휘일(22a)이 설치되고 (제4도에 있어서 후면에 은선으로 표시됨)이 스프로켓휘일(22a)은 기존하는 모우터싸이클(16)의 체인(19)과 맞물려져 모우터싸이클(16)의 구동시 체인(19)이 회전할때 이 회전력에 의해 유압펌프(22)가 구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펌프(22)의 상부에는 유압펌프(22)를 지지프레임(18)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22b)가 설치되어 있으며 체결구(22c)의 조임에 의해 지지프레임 (18)측에 고정된다.
유체변환레버(23)는 유압펌프(22)와 유압모우터(10)사이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레버(23a)가 설치되어 예로서 레버(23a)를 중앙위치에 놓게되면 중립상태가 되고,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유체가 정방향으로 이송되므로써 유압모우터(10) 및 스크류 (11)가 정회전하여 보우트(1)가 전방으로 추진하도록 되고,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유체가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유압모우터(10) 및 스크류(11)가 역회전하여 보우트(1)가 후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후륜(17b)의 후부에는 90°각도로 절곡이 가능한 후륜커버(25)가 지지판(25a)에 의해 후륜(17b)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후륜(17b)이 회전할때 바퀴보호체(2)와 접촉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조향키(7)의 하단에 설치되는 유압모우터(10)를 조향키(7)의 하단에 외부로 돌출되게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모우터(10)를 종방향으로 세워 조향키(7)의 내부에 설치하고 유압모우터(10)와 스크류(11)간에 한쌍의 베벨기어(26)를 서로 접속시켜 동력이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접속되는 기어(26)의 비를 서로 다르게 하여 스크류(11)의 회전이 가속 되도록 하므로서 보우트(1)의 추진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7은 조향키(7)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향핸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모우터싸이클로 사용될 때는 보우커(1) 및 모우터 사이클에 설치된 유압장치들 그리고 후륜커버를 해탈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면 되고, 예로서 수상용 보우트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 보우트(1)의 공기튜브(3)에 공기가 빠진 상태에서 지면에 펼쳐 깔고 모우터싸이클(16)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압장치(20)를 설치한 후, 상기한 지면에 깔린 보우트(1) 상부의 소정위치로 이동시킨 후 후륜커버(25)를 세워 모우터싸이클(16)을 세우고 이어서 공기튜브(3)에 공기를 주입시킴과 동시에 봉(4)을 모우터싸이클(16)의 후측 짐받이(16a)측에 고정하면, 모우터싸이클 (16)에 보우트(1)가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조향키(7)가 부착된 고정부재(8)를 후면부(26)의 상부에 끼운후 체결구(8a)로서 조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봉(4)좌우방측에 설치된 바아(5)를 조절하여 로울러(5a)가 지면에 접촉되게 세운후 전방으로 밀게 되면 후륜(17b)이 지상에 떠받들어져 있는 상태로서 전륜(17a) 및 로울러(5a)의 회전에 의해 이동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수상에 위치하게 되면 원통형으로된 2개의 공기튜브(3) 및 바퀴보호제(2)의 부력에 의해 모우터싸이클(16)이 탑재된 보우터(1)는 부유하게되며, 그후 모우터싸이클(16)을 가동시키면 엔진구동력을 체인(19)이 전달받아 후륜(17b)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유압펌프(22)는 축에 설치된 스프로켓휘일(22a)이 체인 (19)과 맞물려 있음에 따라 유압펌프(22)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유압탱크(21)내에 저장된 유체는 유압호스(24)를 통해 유압모우터(10)를 강제회전시킴에 따라 스크류(11)가 회전하여 보우트(1)가 추진하게 된다.
이때, 진행방향을 조절하고자 하면 조향핸들(27)을 좌우회전시키면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이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전진을 하던중 후진을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유압펌프(22)와 유압모우터(10)의 사이에 설치된 유체변환레버(23)를 후진측으로 변환시키면 유체의 이송이 변환됨에 따라 유압모우터(10)가 역회전을 하게 되어 후진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은 보우트(1)를 공기충진식으로 그리고 모우터싸이클(16)이 탑재가능하게 구성하여 모우터싸이클(16)의 구동력에 의해 모우터싸이클(16)이 탑재된 보우트(1)가 움직일수 있도록 하므로서 수륙양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모우터싸이클(16)로 부터 발생하는 동력원을 스크류(11)에 전달하되 유압장치(20)들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구동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제작 및 사용성이 향상되고, 추진력이 향상된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를 제공 받은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모우터싸이클(16)의 엔진부와 후륜이 끼워지는 바퀴보호체(2)의 양측부에 원통형의 공기튜브(3)를 설치하여 보우트(1)를 구성하고, 이 보우트(1)의 상부에 통상의 모우터싸이클(16)을 탑재하여 동력을 갖는 수상용보우트로 겸용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보우트(1)는 양측 공기튜브(3)의 후측상부에 고정봉(4)을 설치하여 모우터싸이클(16)측에 고정시키도록 되고, 이 고정봉(4)의 좌우 양측 끝부에 로울러 (5a)와 노(5b)를 갖는 바아(5)를 회전가능하게 끼워 설치하며, 바퀴보호체(2)의 전, 후면부(2a)(2b)는 두꺼운 강질의 판으로 하여 후면부(2b)에 스크류우(11)가 설치된 조향키(7)를 설치하되 상기한 스크류우(11)는 조향키(7)의 하단에 설치된 유압모우터 (10)의 축에 설치되어 같이 회전하도록 되며, 상기한 모우터싸이클(16)에는 상기한 유압모우터(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장치(20)로서 유압탱크(21)와 유압펌프(22) 및 유압변속레버(23)를 설치하되, 유압펌프(22)는 축에 스프로켓휘일(22a)을 설치하여 모우터싸이클(16)의 체인(19)과 맞물림시켜 모우터싸이클(16)의 구동시 체인(19)에 맞물림된 스프로켓휘일(22a)이 회전하므로서 유압펌프(22)가 작동하여 스크류우11)가 설치된 유압모우터(1)가 회전하므로서 보우트(1)에 추진력이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유압변속레버(23)는 유압펌프(22)와 유압모우터(10)사이에 설치되며, 이 유압변속레버(23)에 의해 전, 후진이 될 수 있도록 된 모우터싸이클용보우트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유압모우터(10)는 조향키(7)의 하단내부에 세워져 설치되며, 기어비가 다른 한쌍의 베벨기어(26)의 접속에 의해 스크류(11)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의 구조.
KR2019940019486U 1994-08-01 1994-08-01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의 구조 KR970000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486U KR970000808Y1 (ko) 1994-08-01 1994-08-01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486U KR970000808Y1 (ko) 1994-08-01 1994-08-01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365U KR960007365U (ko) 1996-03-13
KR970000808Y1 true KR970000808Y1 (ko) 1997-02-10

Family

ID=1938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486U KR970000808Y1 (ko) 1994-08-01 1994-08-01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8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87B1 (ko) * 2009-01-28 2011-03-09 조원진 고무보트를 이용한 간이 수륙양용 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87B1 (ko) * 2009-01-28 2011-03-09 조원진 고무보트를 이용한 간이 수륙양용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365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2203A (en) Small, personal, all terrain vehicle
US5547406A (en) Floatation device with propeller and rudder driven by a bicycle
US5397142A (en) Bicycle, in particular an all-terrain bicycle
CN107249979A (zh) 水上自行车
US4789365A (en) Aquacycle
US7914028B2 (en) Occupant propelled vehicle
KR970042078A (ko) 자전거의 변환 전진구동 주행장치
EP0597399A1 (en) Land vehicle floating and steerable in water
KR970000808Y1 (ko) 모우터싸이클용 보우트의 구조
US20070108716A1 (en) Trial bidirectional wheels, tires and vehicles
CA2204755A1 (en) Portable apparatus for using bicycles as a type of watercraft
KR20140036719A (ko) 조립식 레저용 보트
US3922005A (en) Occupant-propelled vehicle and drive system therefor
KR100972940B1 (ko) 수륙양용자전거
GB2193935A (en) Device for moving trailers, caravans and the like
JP2019156363A (ja) 原付バイクの回転動力取り出し装置、同装置を用いた発電装置、及び水上走行装置
US5580288A (en) Belt driven pedal boat
JP2838747B2 (ja) 分解が容易なレクリエーション用人力ウォータサイクル
KR19990044746A (ko) 해안공사용 수륙양용차
KR200280180Y1 (ko) 레저용보트의 추진장치 및 레저용 보트
KR200399567Y1 (ko) 수상 자전거
KR101150420B1 (ko) 인력추진보트
KR850000942B1 (ko) 수륙 양용차(水陸兩用車)
KR950005865Y1 (ko) 육상주행용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장치
US5058506A (en) Bidirectional drive and brak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