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548Y1 -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548Y1
KR970000548Y1 KR2019940010328U KR19940010328U KR970000548Y1 KR 970000548 Y1 KR970000548 Y1 KR 970000548Y1 KR 2019940010328 U KR2019940010328 U KR 2019940010328U KR 19940010328 U KR19940010328 U KR 19940010328U KR 970000548 Y1 KR970000548 Y1 KR 970000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branch pipe
insertion hole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778U (ko
Inventor
이일희
Original Assignee
이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희 filed Critical 이일희
Priority to KR2019940010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548Y1/ko
Publication of KR950033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5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저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탄성밴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부재 12 : 요철부
14 : 삽입홀 16 : 직경가변절취부
18 : 링 19 : 연결부
20 : 절취홈 24 : 탄성밴브
26 : 연결편 28 : 외측 탄성밴드
29 : 걸림홈 30 : 본관
32 : 천공홀 34 : 가지관
본 고안은 가지관을 본관에 연결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가지관의 직경에 따라 연결부재의 삽입홀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 변경이 가능한 삽입홀을 가진 연결부재로써, 상기 가지관의 직경에 관계없이 본관과 가지관을 용이하게 접속,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흄관, 맨홀, 진동롤 전압제품관, 파이프 등의 본관에는, 이 보다 직경이 작은 PVC관, 토관, 철근콘크리트관, 주철관 등의 가지관을 접속, 연결시켜 상기 본관으로 이동되는 유체를 상기 가지관으로 분산시키도록 하거나, 상기의 역으로 가지관을 따라 이동되는 유체를 상기 본관으로 집합시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본관와 가지관을 연결, 설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본관의 적정한 위치에 가지관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천공홀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홀에 가지관을 삽입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본관과 가지관의 연결부위에 몰타르 등을 바른 다음, 장시간동안 양생시켜 매립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본관에 가지관을 연결시키는 방식은, 본관의 천공홀에 상기 가지관을 삽입하고, 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부위에 몰타르 등을 바르면서 장시간동안 양생시켜야 하므로써 그 연결작업 및 시공이 어려웠으며 또, 그 시공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에 따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없었고, 특히 상기 가지관을 연결,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위의 천공홀이나 상기 가지관의 직경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가지관과 상기 천공홀의 직경이 항시 같은 상태로하여 시공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상기 가지관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 연결부재의 직경 변경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가지관의 직경에 따라 연결부재를 선택해야만 했고, 이에 따라 상기 가지관의 직경에 따른 여러종류의 연결부재를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목적은 연결부재의 삽입홀측에 가지관의 직경에 따라 연결부재의 삽입홀 직경을 확장시키기 위한 직경가변절취부를 형성하고, 가지관의 직경에 따라 상기 직경가변절취부를 적정하게 절취하여 삽입홀 직경을 확장시킴에 따라 상기 가지관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본관과 가지관을 용이하게 접속,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직경이 큰 본관에 직경이 작은 다수의 가지관을 연결부재로 접속연결하는 본관의 가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홀측에 가지관의 직경에 따라 연결부재의 삽입홀 직경을 확장시키기 위한 직경가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에서, 연결부재(10)를 절두추체형으로 형성하되, 그 일측단에는 본관(30)의 천공홀(32)에 삽입되는 요철부(12)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그 다른 일측단에는 가지관(34)의 외주면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홀(14)이 상기 연결부재(10)의 내주연부에 형성되며 이의 외측으로 직경가변절취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경가변절취부(16)는 수개의 링(18)과 절취홈(20)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18)사이에 형성된 절취홈(20)내의 연결부(19)를 절단하여 링(18)을 절취해냄에 따라 일정한 직경으로 확장된 삽입홀(14)을 얻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0) 상단의 요철부(12) 내측에는 요철부(12)를 외측으로 팽창시켜 본관(30)의 천공홀(32)에 밀봉고정시키는 탄성밴드(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밴드(24)의 양단에 V형의 연결편(26)이 일체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0)의 하단의 지경가변절취부(16) 외측에는 내측으로 압축시켜 가지관(34)의 외주면에 밀봉교정시키는 외측 탄성밴드(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탄성밴드(28)에는 일정간격으로 걸림홈(29)을 형성하여 이 걸림홈(29)이 워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오무라들고 벌어지면서 체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관(30)의 천공홀(32)에 외측의 요철부(12)를 삽입한 상태에서 탄성밴드(24)의 연결편(26)내에 수공구(탄성밴드 확장기)를 넣고 외측으로 벌리게 되면, 이 탄성밴드(24)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요철부(12)를 팽창시키게되고 이 팽창되는 요철부(12)가 본관(30)의 천공홀(32)에 밀봉 압착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0)를 본관(30)에 삽입고정한 다음, 이 연결부재(10)의 내측에 형성된 직경가변절취부(16)에 가지관(34)을 삽입하고 워엄을 이용하여 상기 외측 탄성밴드(28)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 외측 탄성밴드(28)가 직경가변절취부(16)를 압박하게 되며 이 압박력에 의해서 상기 삽입홀(14)에 삽입되는 가지관(34)의 외주면이 상기 연결부재(10)에 밀봉 상태로 압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0)에 가지관(34)을 조립할 수 없는 직경의 경우네는 연결부재(10)의 직경가변절취부(16)에 형성된 다수의 절취홈(20)중에서 상기 가지관(34)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절취홈(20)에 칼 등을 집어 넣고 상기 연결부(19)를 절취하여 제거하며 이 연결부(19)가 절취되면, 상기 연결부재(10)에 형성된 직경가변절취부(16)의 삽입홀이 상기 가지관의 직경만큼 넓어지게 되면 이 넒어진 삽입홀에 상기 가지관(34)을 삽입하고 이를 상기한 방법으로 상기 외측 탄성밴드(28)를 작동시키고 이의 오무라드는 작용으로 상기 직경가변절취부(16)의 삽입홀(14)이 가지관(34)의 외주면을 압착밀봉하게 되며 상기 연결부재(10)에 직경이 넓은 가지관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는 연결부재(10)의 삽입홀측에 가지관(34)의 직경에 따라 연결부재(10)의 삽입홀(14) 직경을 확장시키기 위한 직경가변절취부(16)를 형성하고, 가지관(34)의 직경에 따라 상기 직경가변절취부(16)를 알맞게 절취하여 삽입홀 직경을 확장시켜 상기 가지관을 연결,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지관(34)의 직경에 관계없이 상기 본관과 가지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속,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연결부재의 삽입홀측에 가지관의 직경에 따라 연결부재의 삽입홀 직경을 확장시키는 직경가변절취부를 형성하므로써, 상기 본관에 연결설치되는 가지관의 직경에 따라 직경가변절취부를 알맞게 절취하여 삽입홀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 확장 변경되는 직경가변절취부에 의해서 가지관의 직경에 관계없이 상기 본관과 가지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속연결할 수 있으며 그 연결작업이 용이하므로써 시공시간을 종래에 비하여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정정)직경이 큰 본관(30)에 직경이 작은 다수의 가지관(34)을 연결부재(10)로 접속 연결하는 본관의 가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의 삽입홀(14)측에 가지관(34)의 직경에 따라 연결부재의 삽입홀 직경을 확장시키기 위한 직경가변수단인 직경가변절취부(16)를 형성하고, 이 직경가변절취부(16)에는 상기 삽입홀(14)의 확장을 위한 여러개의 링(18)과 연결부(19), 절취홈(20)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
KR2019940010328U 1994-05-10 1994-05-10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 KR970000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328U KR970000548Y1 (ko) 1994-05-10 1994-05-10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328U KR970000548Y1 (ko) 1994-05-10 1994-05-10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78U KR950033778U (ko) 1995-12-18
KR970000548Y1 true KR970000548Y1 (ko) 1997-01-27

Family

ID=1938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328U KR970000548Y1 (ko) 1994-05-10 1994-05-10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5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78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7666A (en) Tongue and groove snap-fit pipe coupling
EP0939854B1 (en) Connector for an expandable tubing string
US2935349A (en) Seal
KR960003936A (ko) 가지관 라이닝 공법
KR19980081171A (ko) 도관부품 사이의 차단접합부와 이러한 접합부 내에 사용가능한금속제의 긴 틈새가 있는 밴드
WO1995011402A1 (en) Pipe coupling
CA2010202A1 (en) Internal expansion coupling device
CA2079950C (en) Pipe jointing system
US45642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 discontinuity in a tubular assembly
WO2002077507A3 (en) Method of laying pipe-in-pipe structures and device for use therein
US5741015A (en) Pipe to manhole seal
KR970000548Y1 (ko) 본관에의 가지관 연결장치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WO2002050466A1 (en) Pipe connecting device
JP3769367B2 (ja) 既設管のライニング方法
KR970001421Y1 (ko) 맨홀 및 콘크리트관과의 가지관 연결장치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20060117086A (ko) 하수관의 분기관 연결구
JPH022142Y2 (ko)
JP2769111B2 (ja) マンホ−ルと導管の接続等に用いる継手及びその圧着治具
DK0882649T3 (da) Fremgangsmåde til forbindelse af en underdel af en emballagebeholder med et lukkeelement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CA2268155C (en) Connector for an expandable tubing string
KR200215365Y1 (ko) 수도관의 내면에 압착된 폴리에틸렌 갱생관의 절단부밀착장치
EP3953633B1 (en) Seal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