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494B1 -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94B1
KR970000494B1 KR1019940007429A KR19940007429A KR970000494B1 KR 970000494 B1 KR970000494 B1 KR 970000494B1 KR 1019940007429 A KR1019940007429 A KR 1019940007429A KR 19940007429 A KR19940007429 A KR 19940007429A KR 970000494 B1 KR970000494 B1 KR 970000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aft
door
nu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523A (ko
Inventor
김영신
Original Assignee
김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신 filed Critical 김영신
Priority to KR101994000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494B1/ko
Publication of KR95002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Hing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
제1도는 통상의 도어체크의 설치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의 분해도.
제3도는 제2링크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일부를 절개한 제2도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고정판 6 : 화염감지부
7 : 축판 8 : 고정축 세트
61 : 간격유지간 63 : 휴즈
71 : 축공 73 : 화염감지공
81 : 상부 너트 81a,84a,86a : 오른나사
81b,84b,86b : 왼나사 82 : 오일링
83 : 너트고정링 84 : 고정축
84c : 머리 85 : 연결링
85a : 머리공 85b : 연결공
85c : 아암 86 : 하부 너트
본 발명은 도어체크에서 제1링크에 핀으로 접속된 제2링크의 고정단을 문틀에 부착된 브래킷에 연결시켜 고정화하는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좌, 우 개폐식 문에 부품교환없이 두루 사용할 수 있고, 문이 열린 상태를 쐐기나 도어 스토퍼같은 보조수단없이 고정시킬 수 있고 화재로부터도 안전을 지킬 수 있게 한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클로우저로도 불리우는 도어체크는 실린더내의 오일이 외력을 받은 피스톤이 움직여 압력을 가할 때이에 강력히 반발하는 압축 스프링에 대항하여 스므스하게 문이 닫기도록 하는 장치로서, 제1도에서 보듯이, 여닫이식 문(D)에 고정되는 장력제어수단(1)의 윗쪽 축에는 제1링크(2)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제1링크(2)의 타단에는 신축형 제2링크(3)의 일단이 힌지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링크(3)의 타단에는 문틀(F)에 부착하는 브래킷(4)이 힌지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런 구조의 도어체크는 문이 여닫기는 방향에 따라 제1, 2링크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부품의 공용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좌향개폐식 도어용 부품과 우향개폐식 도어용 부품을 따로 준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도어체크는 문을 열어 두려면 쐐기나 도어 스토퍼를 이용해야 했다. 개방상태를 유지할 구조를 따로 갖추지 않은 탓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 우 개폐식 문에 두루 적용할 수 있고, 도어의 개방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며 화재로부터도 안전한 도어체크의 제1링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는 축공과 화염감지공을 천공한 축판의 상면에 자유단이 화염감지공 부근에 놓이도록 한쌍의 간격유지간을 배치하여 핀으로 고정단을 헐겁게 고정하고 자유단간에는 화염감지공을 가로지르게 휴즈를 걸친 화염감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축공에는 도어의 개폐방향선택용 고정축세트를 상부 너트가 간격유지간 사이에 끼어 압박받도록 설치하고 고정판을 이용하여 기존의 브래킷에 고정하도록 구성한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축 세트는, 축공에 내리끼운 오일링에 상부 너트를 내리끼우고 오일링밑으로 나온 상부 너트의 관축단에 고정링을 압입하여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함께 형성된 상부 너트를 고정하며, 각이 진 머리의 위아랫 부분에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형성된 고정축을 상부 너트에 체결하고, 머리에는 연결공이 천공된 아암 일체형 연결링이 머리공을 끼우며, 머리공 아래로 나온 고정축의 하단부에는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형성된 하부 너트를 체결한 것이다.
상부 너트에 고정축의 오른나사를 체결하는가 또는 왼나사를 체결한가에 따라 문의 개폐방향이 달라지고, 문이 어느 각도 이상으로 열리면 상부 너트에 대한 고정축의 체결상태가 강화돼 너트고정링과 하부 너트 사이에서 연결링이 압박을 받아 오도가도 못하게 갇힘으로써 문은 열린 채로 머물게 된다.
그리고 화염감지부는 화재시 감지공으로 유입되는 화염에 의해 휴즈가 녹아서 상부 너트를 압박하던 간격유지간을 풀어 상부 너트를 해방시킴으로써 장력제어수단의 복귀력만으로도 문이 닫힐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제2도 이하의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2도에서, 제2링크 고정장치(A)는 고정판(5)과 축판(7) 및 고정축 세트(8)로 구성된다. 고정판(5)은 아래로 직각되게 꼬부라진 선단(52)을 갖고, 후단 모서리부근에는 브래킷용 체결공(51)이 천공한다.
축판(7)은 제2링크의 공정축을 설치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앞끝의 위로 직각되게 꼬부려 고정판(5)의 선단 안쪽에 맞대로 보울트(9)로 체결한다.
판면에는 축공(71)과 화염감지공(73)을 천공한다. 축공(71)은 고정축 세트(8)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화염감지공(73)은 화재발생시 화기의 유입을 유도하여 화염감지부(6)를 기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화염감지부(6)는 한쌍의 간격유지간(61)과 접속부(62) 및 하나의 휴즈(63)으로 구성된다. 간격유지간(61)은 축공(71)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하여 축판(7) 위에서 고정축의 상단에 체결된 상부 너트를 압박하여 부자유스럽게 만드는 것으로, 고정단은 핀으로 헐겁게 고정하고 자유단인 접속부(62)끼리는 휴즈(63)로 연결한다. 휴즈(63)는 화염감지공(73)위를 가로지르게 설치하여 화염에 노출되기 쉽게 한다.
고정축 세트(8)는 제2링크의 고정단을 지지하면서 도어체크가 좌향개폐형인가 또는 우향개폐형인가를 결정하는 결정인자이며, 위로부터 축판(7)의 판면 위에서 고정축의 상단을 체결하여 밑빠짐을 방지하는 상부 너트(81)와 제2링크고정용 고정축(84), 고정축(84)의 회전을 방지하며 제2링크에 연결되는 연결링(85), 그리고 연결링(85) 밑에서 고정축(84)의 하단에 체결하여 윗빠짐을 방지하는 하부 너트(86)로 구성된다.
고정축(84)은 중간에 머리(84c)가 형성되어 있고, 이 머리(84c)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오른나사(84a)를 그리고 하부에는 왼나사(84b)를 부여한다. 그리고 고정축(84)은 연결링(85)의 머리공(85c)에 삽입된 후에는 멋대로 회전되선 곤란하므로 머리(84c)는 각지게 한다.
연결링(85)의 머리공(85a)은 상기 고정축(84)의 머리(84c)를 삽입하여 겉돌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각공으로 하고, 외면 일측에는 제2링크 연결용 아암(85c)을 일체상으로 형성하고 여기다 연결공(85b)을 천공한다.
상, 하부 너트(81,86)는 오른나사(81a,86a)와 왼나사(81b,81b)를 동시에 형성한다. 이는 상기 고정축(84)의 오른나사(84a)와 왼나사(84b)를 모두 수용하기 위한 조치이다.
제2, 3도는 브래킷(4)에 제2링크 고정장치(A)를 부착하고, 연결링(85)에 제2링크(3)의 고정단을 고정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조립순서와 부착 및 제2링크(3)의 고정단을 고정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진행한다.
먼저, 축판(7)의 축공(71)에 오일링(82)이 올려끼우고 오일링(82)에는 축판(7)위에서 상부 너트(81)를 내리 끼운다. 이때 상부 너트(81)는 간격유지간(61) 사이로 끼워서 억압당해 겉들지 않도록 가둔다. 이어서 오일링(82) 밑으로 드러난 상부 너트(81)의 관축단에 너트고정링(83)을 압입하여 상부 너트(81)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축(84)은 왼나사(84b)를 위로가게하여 상부 너트(81)의 왼나사(81b)에 체결한다. 그리고 고정축(84)의 머리(84c)에 연결링(85)의 머리공(85a)을 끼우고 고정축(84)의 오른나사(84a)에는 하부 너트 (86)의 오른나사(86a)를 체결하여 연결링(85)을 안정시킨다. 이때 연결링(85)은 아암(85c)이 가급적 제2링크의 고정단쪽을 향하게하여 제2링크(3)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고, 하부 너트(86)는 약간 느슨하게 체결하여 연결링(85)이 선회할 수 있게 한다.
그후, 축판(7)의 선단(72)을 연결판(5)의 선단(52) 안쪽에 대고서 나사(9)로 고정하고, 연결판(5)의 후단은 브래킷(4)의 저면에 올려대고 나사로 체결하여 제2링크 고정장치(A)를 부착한다.
연결링(85)의 아암(85c)와 제2링크(3)의 포크형 접속단(32)내의 삽입하고 양측의 연결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핀(31)을 꽂아 연결한다. 문의 개페방향을 달리하려면 고정축(84)을 상기와는 반대로 오른나사(84a)를 상부 너트(81)의 오른나사(81a)에 체결고저축(84)의 아래쪽에 놓이는 왼나사(84b)에 하부 너트(86)의 왼나사(86b)를 체결한다.
고정축(84)의 각이 진 머리(84c)가 역시 각이 진 연결링(85)의 머리공(85a)에 삽입되어 있고 연결링(85)은 제2링크(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축(84)은 제멋대로 돌지 못한다.
이와같이 제2링크 고정장치(A)로 문틀(F)과 문(D)과의 사이에 도어체크(C)를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축(84)은 문(D)이 여닫히는 각도만큼 제자리에서 선회하면서도 고정축(84)은 상, 하부 너트(81,86)의 각기 다른 나사방향 때문에 축판(7)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문(D)을 어느 각도 이상으로 열면 고정축(84)이 상부 너트(81)에 더욱 체결된다. 이에 따라 느슨한 상태이던 연결링(85)은 너트고정링(83)과 하부 너트(86)와의 사이에서 압박을 받아 그 이상 선회할 수 없는 지경이 이른다. 이때가 바로 문(D)의 개방각의 제한폭이면서 거기서 열린 문(D)이 정지되는 점이다.
문(D)이 열린 상태에서 불시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승하는 화기중 일부가 감지공(73)을 통해 들어가 휴즈(63)를 녹인다. 휴즈(63)가 끊어지면 상부 너트(81)를 억압하던 간격유지간(61)이 자유로와지고 상부 너트(81)에 대한 구속력도 약화된다. 이런 상태에서는 장력제어수단(1)의 복귀압력만으로도 충분히 문(D)이 닫힐 수가 있다. 그래서 화재로부터 안전해지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도어체크용 제2링크 고정장치는 문의 개폐방향에 따라 상부 너트에 대한 고정축의 체결나사의 방향만 선택하면 된다. 따라서 문의 개폐방향에 구애됨이 없이 하나의 도어체크로 설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또, 문이 열릴 때는 상부 너트에 대한 고정축의 체결정도가 강화된다. 이에 따라 너트고정링과 하부 너트와의 사이에서 연결링은 압박을 받아 오도가도 못하게 갇히게 되어 문이 열린 상태가 저절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쐐기나 도어 스토퍼없이 열린 문을 고정할 수 있는 편리함이 돋보인다.
또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그 화염에 의해 휴즈가 녹아 상부 너트를 압박하던 간격유지간을 풀어 상부 너트를 놔주므로서 장력제어수단만의 복귀력으로도 문이 닫힐 수 있는 상태로 반전되기에 화재피해를 줄일 수가 있다

Claims (2)

  1. 고장판(5)에 축공(71)과 화염감지공(73)을 천공한 축판(7)을 부착하고, 축판(7)위에는 자유단이 화염강지공(73) 부근에 놓아도록 한쌍의 간격유지간(61)을 배치하여 핀으로 고정단을 헐겁게 고정하고 자유단간에 온 화염감지공(73)을 가로지르도록 휴즈(63)를 걸쳐 화염감지부(6)로 하며, 상기 축공(71)에는 도어의 개폐방향 선택용 고정축 세트(8)를 상부 너트(81)가 간격유지간(61)과의 사이에 끼어 압박받도록 설치한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세트(8)는 축공(71)에 하향 끼움되는 오일링(82)에 오른나사(81a)와 왼나사(81b)가 함께 형성된 상부 너트(81)를 내리끼우고 오일링(82)밑으로 나온 상부 너트(81)의 관축단에는 너트 고정링(83)을 압입하여 윗빠짐을 방지하며, 각이 진 머리(84c)의 위 아랫부분에 오른나사(84a)와 왼나사(84b)를 형성한 고정축(84)을 상부 너트(81)의 상향 체결하고, 머리(84c)에는 연결공(85b)이 천공된 아암(85c) 일체형 연결링(85)의 머리공(85c)을 끼우며, 머리공(85c) 아래로 나온 고정축(84)의 하단부에는 오른나사(86a)와 왼나사(86b)가 형성된 하부 너트(86)를 체결하여서 된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
KR1019940007429A 1994-04-09 1994-04-09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 KR970000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429A KR970000494B1 (ko) 1994-04-09 1994-04-09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429A KR970000494B1 (ko) 1994-04-09 1994-04-09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523A KR950029523A (ko) 1995-11-22
KR970000494B1 true KR970000494B1 (ko) 1997-01-13

Family

ID=1938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429A KR970000494B1 (ko) 1994-04-09 1994-04-09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126A (ko) * 2002-12-09 2004-06-16 이동명 도어클로우져
KR101065400B1 (ko) * 2009-04-03 2011-09-16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방화문 자동 화재 안전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523A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184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065400B1 (ko) 방화문 자동 화재 안전핀
US20100212380A1 (en) Antitheft-quick lock device for bicycle parts
JPH0577831B2 (ko)
KR970000494B1 (ko) 도어체크의 제2링크 고정장치
US4671014A (en) Door barricade system
RU2633234C2 (ru) Петельный узел
NL2003464C2 (nl) Beveiligd scharnier voor de ophanging van poorten en deuren.
GB2064639A (en) Improvements in Window Fasteners
WO2019172787A1 (en) A hinge arrangement, in particular a hidden hinge arrangement
US2981970A (en) Double acting spring hinge
US7343644B2 (en) Hardware for a fully-glazed door
KR100439727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457891B1 (ko) 도어 클로저용 도어의 잠금장치
JP4472062B2 (ja) 固定装置
KR200164847Y1 (ko) 밀폐된 공간내에서 볼트를 체결하는 구조
EP0810341B1 (en) Hinge assembly
KR100315054B1 (ko) 도어클로즈용 도어의 걸림장치
KR950005085B1 (ko) 착탈 자재한 힌지
GB2282850A (en) Security device for limiting the opening of a door
KR102395133B1 (ko) 내장형 전도방지수단을 구비한 출입문
SE1950586A1 (sv) Karmplatta samt gångjärn och slutbleck innefattande karmplattan och metod för förstärkning av inbrottskydd vid befintligt byggelement
CN213237767U (zh) 一种固定空调外机的扣紧组件
KR0135865Y1 (ko) 자동차 도어체크의 토크 테스트용 지그
KR100364174B1 (ko) 습분 분리 재열기 파티션 커버의 개폐용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