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727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727B1
KR100439727B1 KR10-2004-0029778A KR20040029778A KR100439727B1 KR 100439727 B1 KR100439727 B1 KR 100439727B1 KR 20040029778 A KR20040029778 A KR 20040029778A KR 100439727 B1 KR100439727 B1 KR 10043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isplay
bracket
main body
rotata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426A (ko
Inventor
홍유식
김영태
변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7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1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determining the optical axis or position of 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본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 하측에서 벽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하부힌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 상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와 상기 벽면을 연결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벽면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회동결합부에 마련되어 회동저항력을 제공하는 마찰부를 갖는 링크조립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링크조립체 및 상기 고정브래킷과 결합하는 본체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디스플레이본체의 응시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시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본체를 벽면에 장착하는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상부가 형성되어있는 디스플레이본체와 이러한 디스플레이본체를 소정의 설치면에 설치하기위한 설치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최근에 디스플레이본체는 LCD 및 PDP 등과 같은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화상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화상부의 면적은 더 넓어지고 상대적으로 그 두께는 더 얇아지게 되어, 디스플레이본체를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디스플레이본체 등과 같은 대상물을 벽면에 설치할 수 있게 고안된 설치장치가 일본국 특허공개 평11-34493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설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본체(101)와, 디스플레이본체(10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암(ARM)(150)과, 암(150)의 하측과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그 일측이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30)와, 암(150)과 베이스(130)사이에 마련되어 암(150)과 베이스(13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마운팅브래킷(110)을 포함한다.
마운팅브래킷(110)은 일단부가 베이스(130)의 상측에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1링크(113)와, 일단부가 암(150)과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그 타단부가 제1링크(113)의 타단부와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2링크(117)와, 제1 및 제2링크(113,117) 타단부의 결합부에 마련되어 상호 회동을 중지시키는 잠금장치(116)를 포함한다.
잠금장치(116)는 그 내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미도시)이 마련되며, 그 스프링에 의해 제1 및 제2링크(113,117)의 상호 회동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잠금장치는 7단계의 경사각도 중에서 원하는 경사각도에서만 고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잠금장치(116)를 해제시키려면 제1 및 제2링크(113,117)의 판면에 수직방향으로 잠금장치(116)를 이동시켜 스프링을 압축시키면 된다. 이에, 잠금장치(116)가 해제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링크(113,117)는 상호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130)에는 완충부가 마련되어있다. 이러한 완충부는 베이스(130)에 고정된 가스댐퍼(160)와, 일단부가 가스댐퍼(160)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한 쌍의 암(150)사이에 연결된 축(미도시)에 연결되는 와이어(161)를 갖는다. 이에, 잠금장치(116)가 해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본체(101)가 그 자중에 의해 앞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설치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본체와 벽면사이에 암(ARM)과 베이스를 마련하며, 암과 베이스사이에 마운팅브래킷를 더 마련하여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대상물을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회동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마운팅브래킷에 잠금장치를 마련하여 대상물을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해제 자유롭게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베이스에 가스댐퍼와 와이어를 갖는 완충부를 마련하여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대상물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상물의 응시각도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설치장치는 가스댐퍼와 와이어를 갖는 완충부 및 잠금장치 등을 마련하고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대상물의 응시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잠금장치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대상물을 회동시켜야함으로 그 조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잠금장치가 단계적으로 대상물의 회동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상물의 응시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디스플레이본체의 응시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시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벽에 부착된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접힌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펴진 상태의 측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본체 3 : 화상부
5 : 결합볼트 10 : 링크조립체
11 : 제1링크 15 : 제2링크
20 : 마찰부 21 : 체결볼트
23 : 체결너트 25 : 와셔
27 : 비틀림코일스프링 30 : 고정브래킷
41 : 제1링크브래킷 45 : 제2링크브래킷
50 : 본체브랫킷 51 : 결합수용부
61 : 제1힌지핀 63 : 제2힌지핀
65 : 하부힌지부 67 : 제3힌지핀
70 : 벽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본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 하측에서 벽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하부힌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 상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와 상기 벽면을 연결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벽면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상기 제2링크의 회동결합부에 마련되어 회동저항력을 제공하는 마찰부를 갖는 링크조립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링크조립체 및 상기 고정브래킷과 결합하는 본체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크의 회동결합부를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너트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그 상측에 상기 제1링크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브래킷과, 그 하측에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 하측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브래킷은 그 상측에 상기 제2링크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측은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2링크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링크의 각 회동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본체가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갖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이며,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은 그 일측이 상기 제1링크에 지지되고 그 타측이 상기 제2링크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본체브래킷과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볼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상기결합볼트에 대응하는 결합수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브래킷은 상기 결합수용부의 측면에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안전볼트와, 상기 안전볼트가 체결되는 안전볼트체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부(3)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본체(1)와, 이러한 디스플레이본체(1)를 소정의 설치면에 회동(Tilting)가능하게 설치하기위한 디스플레이설치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설치장치는 디스플레이본체(1)를 지지하는 본체브래킷(50)과, 본체브래킷(50)을 지지하며 벽면(70)에 부착되는 고정브래킷(30)과, 본체브래킷(50)과 고정브래킷(30) 사이에 개재되는 링크조립체(10)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70)에 좌우대칭으로 한 쌍이 마련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본체(1)에 체결됨으로, 이하에서는 좌측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디스플레이본체(1)는 전면에 LCD 및 PDP와 같은 표시소자 등을 이용한 화상부(3)를 가지며 그 배면에는 후술할 본체브래킷(50)의 결합수용부(51)와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볼트(5)가 마련되어있다. 이러한 결합볼트(5)는 머리부가 디스플레이본체(1)의 배면에서 소정 이격간격을 두고 체결되어 있으며, 머리부의 단면적은 그 나사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체브래킷(5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그 일측상부에는 후술할제2링크(15)의 제2핀수용공(16)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핀체결공(53)이 마련되며, 본체브래킷(50)이 제2링크(15)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 제2핀수용공(16)은 한 쌍의 제2핀체결공(53)의 내측면에 수용된다. 그리고, 본체브래킷(50)의 일측하부에는 한 쌍의 제3핀체결공(55)이 마련되어 후술할 고정브래킷(30)의 제2링크브래킷(45)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힌지부(65)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브래킷(50)의 타측에는 디스플레이본체(1)의 배면에 마련된 결합볼트(5)에 대응하는 결합수용부(51)가 마련되어있다. 이러한 결합수용부(51)는 그 상부가 결합볼트(5) 머리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그 하부는 결합볼트(5) 머리부의 단면적보다는 작고 결합볼트(5) 나사부의 단면적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디스플레이본체(1)의 배면에서 소정 이격간격을 두고 결합된 결합볼트(5)의 머리부가 결합수용부(51)의 상부에 삽입된 후 결합볼트(5)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결합수용부(51)의 하부에 끼움으로서 디스플레이본체(1)를 본체브래킷(50)에 간편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브래킷(50)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본체(1)가 외부의 충격 즉,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본체브래킷(50)에는 안전볼트(57)와, 이러한 안전볼트(57)의 체결을 위해 결합수용부(51)의 양측면에 안전볼트체결공(56)이 더 마련된다. 이에, 디스플레이본체(1)의 결합볼트(5)를 본체브래킷(50)의 결합수용부(51)에 결합시킨 후, 본체브래킷(50)에 형성된 안전볼트체결공(56)에 안전볼트(57)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볼트(5)가 결합수용부(51)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결합수용부(51)는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본체(1)와 결합되기 위하여 복수개로형성되어있다.
하부힌지부(65)는 본체브래킷(50)의 제3핀수용공(55)과 후술할 고정브래킷(30)의 제2링크브래킷(45)이 상호 자유회동가능하게 한 쌍의 제3힌지핀(67)으로 연결된다.
고정브래킷(30)은 얇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일측은 벽면(70)에 부착되고 그 타측상부에는 사각으로 관통된 제1관통공(31)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1링크(11)의 제1핀수용공(1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브래킷(41)에 결합되고, 그 타측하부에는 사각으로 관통된 제2관통공(35)이 형성되어 본체브래킷(50)의 제3체결공(55)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브래킷(45)에 결합된다. 제1링크브래킷(41)은 그 일측이 판 형상으로 고정브래킷(30)의 상측에 형성된 제1관통공(31)에 삽입되어 부착되며, 그 타측은 판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제1링크(11)의 제1핀수용공(1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핀체결공(43)을 가진다. 제2링크브래킷(45)은 그 일측이 판 형상으로 고정브래킷(30)의 하측에 형성된 제2관통공(35)에 삽입되어 부착되며, 그 타측은 판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본체브래킷(50)의 제3핀수용공(55)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3핀체결공(47)을 갖는다.
링크조립체(10)는 디스플레이본체(1)의 배면 상측에서 디스플레이본체(1)와 벽면(70)을 연결하기 위해 제1 및 제2링크(11,15)를 포함한다. 그리고, 링크조립체(10) 제1 및 제2링크(11,15)의 회동결합부에 마련되어 회동저항력을 제공하는 마찰부(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링크조립체(10)는 제1 및 제2링크(11,15)사이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본체(1)가 벽면(7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프링부재는 비틀림코일스프링(27)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마찰부의 회동저항력은 비틀림코일스프링(27)의 이격저항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링크(11)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일단부에는 제1링크브래킷(41)의 제1핀체결공(43)과 회동가능하게 한 쌍의 제1힌지핀(61)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핀수용공(12)이 형성되어있으며, 그 타단부에는 제2링크(15)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체결공(13)이 마련되어있다.
제2링크(15)는 일단부에 본체브래킷(50)의 제2핀체결공(53)과 회동가능하게 한 쌍의 제2힌지핀(63)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핀수용공(16)을 마련하고, 타단부에는 제1링크(11)의 볼트체결공(13)과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수용공(17)이 마련되어있다. 또한, 제2링크(15)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제1링크(11)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제2링크(15)는 제1링크(11)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링크(11)를 수용할 수 있다.
비틀림코일스프링(27)은 후술할 마찰부(20)의 체결볼트(21)에 수용되며 그 일측은 제1링크(11)에 지지되고 그 타측은 제2링크(15)에 지지되어, 제2링크(15)가 제1링크(11)에서 이탈하여 회동하는 것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가진다. 이에, 비틀림코일스프링(27)은 디스플레이본체(1)를 벽면(70)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역할을 하므로, 비틀림코일스프링(27)의 탄성에너지는 디스플레이본체(1)의 자중(W)이 하부힌지부(65)를 중심으로 발생되는 토크(Torque)와 거의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부(20)는 제1링크(11)의 볼트체결공(13)과 제2링크(15)의 볼트수용공(17)에 관통됨과 동시에 비틀림코일스프링(27)에 삽입되는 체결볼트(21)와, 이러한 체결볼트(21)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3)와, 체결볼트(21)와 체결너트(23)사이에 마련되는 다수의 와셔(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체결볼트(21)와 체결너트(23)의 체결에 의하여 마찰부(20)에는 제1 및 제2링크(11,15)가 상호 회동하는 것에 대해 저항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마찰력은 비틀림코일스프링(27)의 탄성력보다 다소 강해야 한다. 이에, 디스플레이본체(1)가 본체브래킷(50)에서 분리된 경우에도 마찰부(20)의 마찰력이 비틀림코일스프링(27)의 탄성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본체브래킷(50)이 고정브래킷(30)에 대한 회동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볼트(21)와 체결너트(23)사이에 마련되는 다수의 와셔(25)는 체결볼트(21)와 체결너트(23)의 체결이 풀려지는 것을 억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상태의 디스플레이본체(1)를 벽면(70)방향으로 소정 가압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본체(1)가 하부힌지부(65)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최대한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본체(1)를 탄성부세시키는 비틀림코일스프링(27)의 탄성력 때문에, 사용자는 작은 힘만으로도 디스플레이본체(1) 벽면(70)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링크(15)가 마찰부(2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1링크(11)를 수용함과 동시에 본체브래킷(50)이 제2링크(15)를 수용함으로서 본체브래킷(50)은 고정브래킷(30)에 거의 접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접혀진 상태는 마찰부(20)의 마찰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도 2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본체(1)를 벽면(70)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본체(1)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향가압력(F1)이 하부힌지부(65)를 중심으로 발생되는 상향가압토크(T1 = F1 x L1)는 마찰부(20)의 마찰력에 의한 마찰에너지(E1)에서 디스플레이본체(1)의 자중(W)이 하부힌지부(65)를 중심으로 발생되는 토크(T2 = W x L2)와 토크(T2)에 반대방향으로 디스플레이본체(1)를 탄성부세시키는 비틀림코일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한 탄성에너지(E2)의 차를 제한 힘보다 다소 크면 된다. 즉, T1 > E1 - (E2 - T2)이어야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비틀림코일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한 탄성에너지(E2)는 디스플레이본체(1)의 토크(T2)와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결국에는 상향가압토크(T1)는 마찰부(20)의 마찰력에 의한 마찰에너지(E1)보다 다소 크면 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상태의 디스플레이본체(1)를 벽면(70)에 반대방향으로 소정 가압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본체(1)가 하부힌지부(65)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본체(1)를 탄성부세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27)의 탄성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본체(1)가 벽면(70)에 반대방향으로 급격하게 회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펴진 상태는 마찰부(20)의 마찰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브래킷(50)과 고정브래킷(30)사이의 제1 및 제2링크(11,15)와 하부힌지부(65)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디스플레이본체(1)가 소정각도 회동한 후 더 이상의 회동을 차단하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된다.
이에, 도 2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본체(1)를 벽면(70)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본체(1)의 상측을 가압하는 하향가압력(F2)이 하부힌지부(65)를 중심으로 발생되는 하향가압토크(t1 = F2 x L1)는 마찰부(20)의 마찰력에 의한 마찰에너지(E1)에서 디스플레이본체(1)의 자중(W)이 하부힌지부(65)를 중심으로 발생되는 토크(T2 = W x L2)와 토크(T2)의 반대방향으로 디스플레이본체(1)를 탄성부세시키는 비틀림코일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한 탄성에너지(E2)의 차를 제한 힘보다 다소 크면 된다. 즉, t1 > E1 - (T2 - E2)이어야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비틀림코일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한 탄성에너지(E2)는 디스플레이본체(1)의 토크(T2)와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결국에는 하향가압토크(t1)는 마찰부(20)의 마찰력에 의한 마찰에너지(E1)보다 다소 크면 된다. 그러므로, 상향가압토크(T1)와 하향가압토크(t1)는 거의 일치하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본체(1)를 상향 혹은 하향 회동(Tilting)시킬 때 거의 같은 힘을 제공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본체(1)를 상향 혹은 하향 회동시 제공하는 힘의 차이에서 오는 불편함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본체(1)의 응시각도를 원하는 만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벽면(70)과 링크조립체(10)사이에 고정브래킷(30)을 따로 마련하였으나, 링크조립체(10)가 벽면(70)에 회동가능하게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링크조립체(10)와 디스플레이본체(1)사이에 본체브래킷(50)을 따로 마련하였으나, 링크조립체(10)가 디스플레이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직접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링크(11,15)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20)를 마련하였지만, 고정브래킷(30)과 제1링크(11)사이의 회동지점에 마찰부를 마련할 수도 있으며, 본체브래킷(50)과 제2링크(15)사이의 회동지점에 마찰부를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링크(11,15)사이의 마찰부(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27)을 마련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본체(1)와 벽면(70)사이에 마련된 제1 및 제2링크(11,15)의 회동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 등의 스프링부재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본체(1)에 디스플레이설치장치가 좌우대칭으로 한 쌍이 마련되어있지만, 디스플레이본체의 크기에 따라 하나 혹은 셋 이상의 디스플레이설치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본체(1)가 본체브래킷(50)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볼트(57) 및 안전볼트체결공(56)이 마련되지만, 이러한 안전볼트(57) 대신 나사형상이 없는 안전핀(미도시)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안전핀수용공(미도시)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본체와 벽면사이에 제1 및 제2링크와 스프링부재 및 마찰부를 마련하여, 구조가 간단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며, 작은 힘만으로도 디스플레이본체의 응시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본체를 상향 및 하향 회동시킬 때 거의 같은 힘이 들도록 설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응시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응시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디스플레이본체의 응시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시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8)

  1. 화상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본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 하측에서 벽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하부힌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 상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와 상기 벽면을 연결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벽면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회동결합부에 마련되어 회동저항력을 제공하는 마찰부를 갖는 링크조립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링크조립체 및 상기 고정브래킷과 결합하는 본체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크의 회동결합부를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너트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그 상측에 상기 제1링크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브래킷과, 그 하측에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 하측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브래킷은 그 상측에 상기 제2링크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측은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2링크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링크의 각 회동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본체가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갖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이며,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은 그 일측이 상기 제1링크에 지지되고 그 타측이 상기 제2링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본체브래킷과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볼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상기 결합볼트에 대응하는 결합수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브래킷은 상기 결합수용부의 측면에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안전볼트와, 상기 안전볼트가 체결되는 안전볼트체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4-0029778A 2004-04-29 2004-04-29 디스플레이장치 KR100439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778A KR100439727B1 (ko) 2004-04-29 2004-04-29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778A KR100439727B1 (ko) 2004-04-29 2004-04-29 디스플레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541A Division KR100461184B1 (ko) 2002-05-28 2002-05-28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426A KR20040044426A (ko) 2004-05-28
KR100439727B1 true KR100439727B1 (ko) 2004-07-12

Family

ID=3734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778A KR100439727B1 (ko) 2004-04-29 2004-04-29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42B1 (ko) * 2006-09-08 2007-10-09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평판형 tv용 벽걸이식 거치대
KR100918169B1 (ko) 2007-09-04 2009-09-17 구재호 오토바이 배달박스용 캐리어
JP6408663B2 (ja) * 2017-08-01 2018-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取り付け構造
CN115911862A (zh) * 2021-08-26 2023-04-04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基站天线的安装装置和夹紧装置
KR102386224B1 (ko) * 2021-08-27 2022-04-12 화려한덕후들(주) 실시간 예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426A (ko) 200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184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867108B1 (ko)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및 설치장치용 지그
KR100753607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512718B1 (ko) 모니터장치
EP1959185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523131B2 (en) Tilter for positioning an electronic device
EP1312851B1 (en) Monitor support
KR100461185B1 (ko) 모니터장치
KR100482007B1 (ko) 모니터장치
JP5457172B2 (ja) ディスプレイ取付け装置
US6695274B1 (en) Mounting device for a display
US20110147546A1 (en) Adjustable Display Arm
JP2007206684A (ja) フラットパネル型電子ディスプレー取付装置
JP2012500373A (ja) 支持装置
KR100439727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100188764A1 (en) Adjustable rear view mirror
CN1326391C (zh) 视频显示设备的基座组件
JPH11303850A (ja) チルトヒンジ
EP1790901B1 (en) A tilting monitor
KR101395447B1 (ko) 디스플레이 기기
JP3756764B2 (ja) チルトテレスココラムの支持構造
KR200395052Y1 (ko) 틸팅 힌지구조
JP4266805B2 (ja) ディスプレイの方向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