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454B1 - 무인운반차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무인운반차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54B1
KR970000454B1 KR1019940021112A KR19940021112A KR970000454B1 KR 970000454 B1 KR970000454 B1 KR 970000454B1 KR 1019940021112 A KR1019940021112 A KR 1019940021112A KR 19940021112 A KR19940021112 A KR 19940021112A KR 970000454 B1 KR970000454 B1 KR 970000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wire
bumper
rotating pl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461A (ko
Inventor
정도희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454B1/ko
Publication of KR96000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인운반차용 안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범퍼구조에 충격이 가해진 상태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범퍼 2 : 고무아암
3 : 경첩스프링 4 : 축
5 : 회전판 6 : 와이어
7 : 포토센서
본 발명은 무인운반차용 안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충돌시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여 운전시스템을 제어함과 동시에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운반차는 미리 프로그램으로 입력저장된 제어명령에 따라 주행을 하게 되는 바,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외부상황 특히 물체와의 충돌에 대한 대책을 미리 강구하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물적, 인적 손해를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예방수단으로서 종래에는 스폰지 범퍼나 FRP를 이용한 탄성재질로 된 범퍼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일시적으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것에 불가하기 때문에 사고발생시 많은 물적손해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리미트스위치와 같은 센서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무인운반차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은 이들 센서가 외부와의 충돌상황을 완벽하게 감지할 수 없는 데다가 충돌의 경중(輕重)을 가리지 않고 작동함으로써 많은 시간적 낭비를 초래하고 더우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후 차량의 정지시까지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90-11230호에서는 차체의 전방에 강철사 혹은 탄소강화수지등으로 만든 원형의 루우프를 설치하고, 이 루우프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변형됨에 따라 센서가 작동하도록 된 안전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안정장치는 상기 루우프의 장력이 너무 강할 때에는 약한 접촉압력에서는 작용을 하지 않게 되고, 루우프의 장력이 너무 약할 때는 무인운반차의 주행에 따른 흔들림에 의해서도 작용하게 되어 주행중 정지다발 현상이 생기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루우프의 장력을 적절히 유지하여야 하나, 이러한 장력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 루우프가 원형의 구조로 되어 있어 제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통상의 범퍼와, 비교하여 본체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게 되므로써 무인운반차 코너-링하거나 스핀-턴시에 간섭을 많이 받게 되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기 문제점 때문에 상기 원형의 루우프가 나비형상이나 라운드형상으로 변경된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이역시 양측단의 충돌을 감지할 수 없는 사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 루우프에 의한 안전장치는 기본적으로 제어장치의 작동이 안되는 경우에 다른 별도의 기구적인 안전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장애물과 충돌후에는 다시 복원시키기 용이하지 않아 안정장치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이를 감지하여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전달할 뿐아니라 상기 구동장치가 정지될 때까지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도록 된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아암과 경첩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범퍼와 ; 상기 고무아암에 축선회할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판 ; 상기 경첩스프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핀을 일측으로 잡아당겨 유지시켜 주도록 된 와이어 및 상기 고무아암과 경첩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와이어가 이완되어 상기 회전판이 축선회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량이 외부물체와 충돌할 때 범퍼가 몸체로 밀리면서 고무아암과 경첩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경첩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와이어의 고정단의 위치가 회전판쪽으로 변위되며, 이 회전판을 일측으로 잡아당기고 있던 와이어가 이완되면서 회전판이 축선회하면 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여 제어시스템으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범퍼(1)는 차량의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어지되 고무아암(2)과 경첩스프링(3)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의 물체와 충돌시 고무아암(2)이 압축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고무아암(2)의 선단에 위치한 축(4)에 회전판(5)이 설치되어 축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회전판(5)에는 스프링이 내장되도록 설치되어져 이완과 압축에 따른 2위치를 갖도록 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압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차량의 충돌시 이완상태로 축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범퍼(1)와 차체 사이에 경첩스프링(3)이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경첩스프링(3)에 설치된 와이어(6)가 회전판(5)의 일측과도 연결되어, 이 회전판(5)이 내장된 스프링을 압축시키도록 잡아당겨줌으로써, 내장된 스프링의 복원력과 와이어(6)의 텐션이 평형을 유지하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범퍼(1)가 외부물체와 충돌하면서 고무아암(2)과 경첩스프링(3)이 압축되므로써, 상기 경첩스프링(3)에 설치된 와이어(6)의 고정단이 회전판(5)쪽으로 변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6)가 이완되며 상기 회전판(5)이 내장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범퍼(1)의 일측에 포토센서(7)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축선회된 회전판(5)을 감지하여 제어시스템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 축선회된 회전판(5)을 감지하여 제어시스템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작동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범퍼(1)가 외부물체와 충돌시에는 범퍼(1)가 차체로 밀리면서 고무아암(2)과 경첩스프링(3)이 압축되고, 이러한 압축상태에서 상기 경첩스프링(3)이 압축되면서 와이어(6)의 고정단이 회전판(5)으로 변위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6)는 이완되어 일측에 연결된 회전판(5)이 내장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고무아암(2)에 위치한 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범퍼(1)에 설치된 포토센서(7)에 의해 감지되어 차량의 제어시스템에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는 범퍼가 외부물체와 충돌하면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을 뿐아니라 충돌후 차량의 제어반응 시간동안 고무아암의 압축에 의해 충격을 감쇄시켜줄 수 있어 차량 충돌에 의한 물적손해를 최소화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에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아암(2)과 경첩스프링(3)으로 지지되는 범퍼(1)와 ; 상기 고무아암(2)에 축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판(5) ; 상기 경첩스프링(3)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6)을 일측으로 잡아당겨 유지시켜 주도록 된 와이어(6) 및 상기 고무아암(2)과 경첩스프링(3)이 압축됨과 동시에 와이어(6)가 이완되어 상기 회전판(5)이 축선회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수단(7)으로 구성된 무인운반차용 안전장치.
KR1019940021112A 1994-08-25 1994-08-25 무인운반차용 안전장치 KR97000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112A KR970000454B1 (ko) 1994-08-25 1994-08-25 무인운반차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112A KR970000454B1 (ko) 1994-08-25 1994-08-25 무인운반차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61A KR960008461A (ko) 1996-03-22
KR970000454B1 true KR970000454B1 (ko) 1997-01-11

Family

ID=1939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112A KR970000454B1 (ko) 1994-08-25 1994-08-25 무인운반차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4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61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5917A (en) Apparatus for use in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6682098B2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load on a vehicle occupant
US20040251366A1 (en) Electric seat belt retractor system
US5167296A (en) Safety device for vehicles
US7654564B2 (en) Protection device activation controller
US4159848A (en) Linear locking seat belt retractor
KR970000454B1 (ko) 무인운반차용 안전장치
CN110758302B (zh) 保险杠
CA2238223C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losing motion of vehicular sliding door
US3804430A (en) Safety belt tensioning arrangement
KR101469133B1 (ko) 충돌 예방 시스템 테스트용 더미 시스템
CN112360258B (zh) 车门限位器
CN212101874U (zh) 一种agv叉车叉齿防撞检测机构及其agv叉车
KR101887271B1 (ko)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US5048637A (en) Bumper system for automatic guided vehicles
US8042959B2 (en) Forward folding mirror assemblies
US6213420B1 (en) Safety belt apparatus with an acceleration sensor
JP2001055866A (ja) 戸挟み検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引き戸
KR0156470B1 (ko) 에어백이 삽입된 리어범퍼
US1185193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ized flap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JPS6220736A (ja) 自動車のシ−ト装置
JPH10119823A (ja) フード跳ね上げ装置
CN218892533U (zh) 安全带规范佩戴检测装置及安全带系统
US6352305B1 (en) Vehicle seat equipped with a device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impacts from the rear
CN115723699A (zh) 一种智能驾驶汽车碰撞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