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410B1 - 분리형 광 픽업 - Google Patents

분리형 광 픽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10B1
KR970000410B1 KR1019930030758A KR930030758A KR970000410B1 KR 970000410 B1 KR970000410 B1 KR 970000410B1 KR 1019930030758 A KR1019930030758 A KR 1019930030758A KR 930030758 A KR930030758 A KR 930030758A KR 970000410 B1 KR970000410 B1 KR 970000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fixing part
moving part
optical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468A (ko
Inventor
강태경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410B1/ko
Publication of KR95002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리형 광 픽업
제1도는 일반적인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되는 광 픽업의 이동부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광 픽업을 도시한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을 도시한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이저 다이오드 2 : 시준렌즈
3 : 정형프리즘 4 : 빔 스플리터
5 : 이동부 미러 5' : 펜타프리즘
6 : 대물렌즈 7 : 포커싱 액츄에이터
8 : 트랙킹 액츄에이터 9 : 디스크
10 : 자기헤드 11 : 검출렌즈
12 : 포토 디택터
본 발명은 광기록 장치의 분리형 광 픽업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MOD)나 고해상도의 영상기록용 광 픽업(Pick-Up)에 이용되는 분리형 광 헤드에 있어서의 분리형 광 픽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와 같은 오디오용 광 픽업은 데이터 전송속도가 1.5Mbps정도로 늦기 때문에 일체형 광 헤드를 채용하고 있다.
제1도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되는 광 헤드의 이동부(100)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레이저 빔을 발산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된 빔을 분할하는 빔 스플리터(4), 분할된 빔의 경로를 변경하여 대물렌즈(6)로 조사하는 프리즘 미러(5), 빔을 디스크(9)에 포커싱(Focusing)하는 대물렌즈(6) 및 포커싱 액츄에이터(7), 헤드의 위치를 제어하는 트랙킹 액츄에이터(Tracking Actuator)(8)로, 그리고 반사된 빔을 포커싱하는 검출렌즈(11) 및 빔을 검출하는 포토 디택터(Photo Detector)(12)로 구성된다.
그런데,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나 고해상도의 영상기록용 픽업에서는 데이터 전송속도가 20Mbps 이상으로 빨라야 하므로 헤드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분리형 광헤드를 사용하고 있다.
즉, 수발광부, 신호변환용 광학 부품은 고정부에 위치시키고, 미러, 대물렌즈, 액츄에이터만을 이동부에 두어 헤드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헤드를도시한 블록도이다.
제2도에서 고정부(200)는 레이저 빔을 발산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 발산된 빔을 시준하는 시준렌즈(2), 시준된 빔을 정형하는 정형렌즈(3), 빔을 분할하는 빔 스플리터(4), 디스크에서 반사된 빔을 검출하여 정보를 읽어내는 검출렌즈(11) 및 포토 디택터(12)로 구성되고, 이동부(100)는 고정부(200)의 빔 스플리터(4)에서 입사된 빔을 수직으로 경로를 변경시키는 미러(5), 대물렌즈(6), 포커싱 액츄에이터(7) 및 트랙킹 액츄에이터(8)로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형 광헤드에 있어서, 고정부와 이동부의 광축조정은 이동부의 미러(5)와, 이동부가 장착된 베이스(Base)의 기울기(Tilt)를 조정하여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 맞추게 된다.
즉, 이 경우의 광축조정은 이동부 미러(5)의 3점을 조정하고, 이동부 전체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조정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광헤드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이동부의 미러(5)대신 펜타프리즘(5')를 사용하여 광축을 조정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는 이동부 펜타프리즘(5')의 3점을 조정하여 조립하지만, 디스크의 내측과 외측에서의 광축에 대한 편이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과 더불어 종래의 분리형 광헤드는 고정부와 이동부의 광축을 정확히 조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광헤드의 성능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이동부의 무게를 더욱 줄여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부와 이동부의 광축조정이 용이하고 이동부의 구조가 간단한 분리형 광 픽업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픽업은, 상기 고정부가, 고정부와 이동부의 광축을 조정하기 위한 고정부 미러를 포함하고, 광축조정을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 미러와 이동부 미러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가 고정부 미러에 부착되어 트랙킹을 하기 위한 검류계를 포함하고, 트랙킹을 하기 위하여 상기 검류계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 픽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고정부(200)에 검류계가 부착되는 고정부 미러(20)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부 미러(20)와 이동부에 장착된 이동부 미러(5)를 폴딩(Folding) 미러로 구성하여 광축을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분리형 헤드는 고정부에 고정부 미러(20)을 장착하여 상기 고정부 미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동부에 장착된 미러(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광축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부 미러(2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검류계를 부착하여 트랙킹을 하게 된다.
이것의 광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이저 다이오드(1)에서 발산된 레이저 빔은 시준렌즈(2)를 통하여 평행빔으로 시준되고, 빔 스플리터(4)에서 P파가 투과 되고, 고정부 미러(20)에서 반사되어 이동부로 조사된다.
이동부로 조사된 빔은 이동부 미러(5)에서 반사되어 대물렌즈(6)를 통하여 디스크(9)에 집광된다.
상기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은 이동부 미러(5), 고정부 미러(20)를 거쳐 빔 스플리터(4)에서 반사되는 광이 검출렌즈(11)를 통하여 포토 디택터(12)에 결상되어 디스크 정보를 읽어내게 된다.
상기 이동부(100)는 디스크의 정보를 읽기 위하여 디스크 내측과 외측을 직선으로 이동하므로, 이 이동범위에서 이동부의 광축과 고정부의 광축이 일치되어야한 다.
이 때, 광축이 일치하지 않으면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이 포토 디택터(12)에 결상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의 정보를 읽을 수 없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킹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도이다.
상기 고정부 미러(20)에 검류계(21)를 부착하여 상하방향으로 미러를 회전시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킹을 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에 트랙킹을 위한 액츄에이터가 탑재되지 않으므로, 이동부에서 트랙킹을 위한 코일, 스프링, 자석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지고, 무게가 감소되어 헤드의 이동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광 픽업에 의해 헤드 조립시 고정부와 이동부의 광축조정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트랙킹을 위한 액츄에이터 부품이 고정부에 장착되므로 이동부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무게도 감소하여 고화질의 영상처리용 광기록장치에서 요구되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빔이 발산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 상기빔을 시준하는 시준렌즈(2), 빔을 분할하는 빔 스플리터(4), 디스크에서 반사된 빔을 검출하는 검출렌즈(11) 및 포토 디택터(12)를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빔 스플리터에서 입사된 빔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미러(5), 대물렌즈(6), 포커싱 액츄에이터(7) 및 트랙킹 액츄에이터(8)를 포함하는 이동부로 구성되어, 광디스크 드라이브(ODD)나 고해상도의 영상기록에 이용되는 분리형 광 픽업 (Pick-Up)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고정부와 이동부의 광축을 조정하기 위한 고정부 미러(20)를 포함하고, 광축조정을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 미러(20)과 이동부 미러(5)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고정부 미러(20)에는 트랙킹을 하기 위한 검류계(21)를 장착하되, 상기 검류계(2)는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광 픽업.
KR1019930030758A 1993-12-29 1993-12-29 분리형 광 픽업 KR970000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758A KR970000410B1 (ko) 1993-12-29 1993-12-29 분리형 광 픽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758A KR970000410B1 (ko) 1993-12-29 1993-12-29 분리형 광 픽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68A KR950020468A (ko) 1995-07-24
KR970000410B1 true KR970000410B1 (ko) 1997-01-09

Family

ID=1937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758A KR970000410B1 (ko) 1993-12-29 1993-12-29 분리형 광 픽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4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68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556B1 (ko) 광학디스크 장치
US4688201A (en) Focusing and tracking apparatus for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US5220550A (en) Optical beam system for optical disk drives
JPH04341932A (ja) 光学ヘッド
US5060213A (en) Separation type optical head
US5172356A (en) Separation type optical pickup device
KR970000410B1 (ko) 분리형 광 픽업
US20030231573A1 (en) Optical pickup device
KR100230227B1 (ko) 광픽업
US6055221A (en) Galvano-mirror optical head capable of adjusting relative positions
EP0137237A1 (en) Pickup fo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142741A (ja) 光学デイスク装置の位置決め機構
JPS6122448A (ja) 光学ヘツド位置決め機構
JP2574219B2 (ja) 光デイスク装置
US6278551B1 (en) Optical pickup capable of optically sensing a direction of a beam deflected by a deflecting device based on a partial component of the beam incident on the deflecting device
JPS62162241A (ja) レンズアクチユエ−タ
HU208587B (en) Method for tracking an optical scanner on the track of a data carrier and optical scanner performing said method
KR940007285B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KR100224749B1 (ko) 분리형 광학헤드
JPH0629776Y2 (ja) 光ピツクアツプ
JP2843154B2 (ja) 光学ヘッド
KR970000083Y1 (ko) 광픽업용 스캐닝 장치
JPH02246023A (ja) 光テープ装置
SU756472A1 (ru) Устройство слежения за информационной дорожкой носителя оптической записи.1 x* ___
JPS62200538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