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305Y1 - 보온병용 마개 - Google Patents
보온병용 마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0305Y1 KR970000305Y1 KR2019940008110U KR19940008110U KR970000305Y1 KR 970000305 Y1 KR970000305 Y1 KR 970000305Y1 KR 2019940008110 U KR2019940008110 U KR 2019940008110U KR 19940008110 U KR19940008110 U KR 19940008110U KR 970000305 Y1 KR970000305 Y1 KR 97000030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cap
- stopper
- opening
- operation butt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27—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incorporating a dispensing device, i.e. the fluid being dispensed through the stop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슴.
Description
본 고안은 보온병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고, 개폐시 외부 공기와의 순환을 최소화하여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보온병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주지된 바와 같이 보온병은 진공 용기 본체에 내용물을 담고 이를 밀폐시킴으로써, 외부 공기와의 접촉 및 순환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보온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온병은 밀폐용 패킹을 구비한 마개를 채용하여 이루어지는 바, 내용물의 투입 및 유출시에는 상기 마개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보온병의 밀폐만을 고려하여 마개를 설치하게되면, 개방시 용기내의 내압에 의해 마개를 쉽게 열지 못하게 되거나, 무리한 힘에 의해 용기 내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0-10690호(1990. 11. 30)에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보온병용 마개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여전히 내용물의 유출시 마개 전체를 제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0-2428호(1990. 3. 26)에는 보조 마개를 어느 정도만 열고 내용물을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 보온병 마개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보온병 마개는 용기내의 공기와 외부 공기의 순환 및 접촉에 의한 보온 효과의 감소를 고려하여, 마개를 완전히 개방하지 않고 어느 정도만을 열러 내용물의 유출을 행하게 되는 것이나, 이 또한 여전히 마개를 돌려서 개폐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보온 효과의 감소를 수반하게 된다.
(고안의 요약)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내용물의 유출시 그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줌과 아울러, 양호한 보온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마개 자체를 탈거하거나 어느 정도 개방하여 내용물을 유출시키게되는 종래 기술에 의하지 않고, 작동 버튼의 단순한 작동에 의한 열림과, 개방된 주출구 커버의 누름에 의하여 용이한 닫힘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보온병용 마개를 제안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보온병용 마개는 용기와의 밀폐 및 개방을 제어하게 되는 밸브수단을 마련하여, 이를 밸브 작동 버튼의 누름 동작에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작동 버튼의 누름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는 개폐 조절주재를 설치하여 주출구 커버를 개방하도록 구성하되, 상기한 밸브수단과 밸브 작동 버튼 및 개폐 조절부재에 탄성주재를 탄설하여 서로 연동 및 탄성적으로 동작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주출구 커버의 누름에 의해 전술한 개방 동작의 역순으로 용기 내부가 밀폐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보온병용 마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도면 부호 1은 보온병 용기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용기 본체(1)의 내용물 유출구에는 본 고안에 의한 마개가 결합되어 지는바, 이는 상기 용기 본체(1)에 상기 마개의 몸체 커버부(3)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한 몸체 커버부(3)는 상기 용기 본체(1)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용기의 밀폐 및 개방을 조절하게 되는 밸브수단을 구비한 마개 몸체부(5)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한 마개 몸체부(5)에는 내용물의 유출 통로로되는 주출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중앙 부위에 형성된 중공부(53)에는 밸브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밸브수단(7)은 상기 중공부(53)를 따라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지는바, 이는 그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 작동 버튼(9)의 누름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밸브수단(7)은 상기 밸브 작동 버튼(9)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연동하게 되는 밸브 로드(71)와, 이 밸브 로드(71)의 하단부에서 방사상으로 확장 형성되어 마개 몸체부(5)의 하부 외측에 부착된 패킹부재(55: 제2도 참조)와 밀착 결합되어 용기를 밀폐하게 되는 밸브체(73)와, 상기 밸브로드(71)의 상측에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개 몸체부(5)와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밸브체에 복원력을 주게 되는 와셔부재(75)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밸브 작동 버튼(9)은 마개 몸체부(5)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재(91)에 의해 탄지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밸브 작동 버튼(9)에 복원력을 주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밸브 작동 버튼(9)에는 걸림턱(93)이 형성되어 지는 바, 이는 밸브 작동 버튼(9)이 동작 즉, 상기 밸브수단(7)을 밀면서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에, 개폐 조절부재(11)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밸브 작동 버튼(9)의 리턴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걸림턱(93)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개폐 조절부재(11)는 탄성력에 의해 그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개폐 조절부재(11)에 형성된 받침부(13)는 상기 걸림턱(93)에 접촉되어 그의 리턴을 제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걸림턱(93)은 마찬가지로 개폐 조절부재(11)와의 상호 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 조절부재(11)의 슬라이딩 즉, 주출구 커버(15)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바, 이는 상기 걸림턱(93)이 받침부(13)의 선단으로 끼워져 탄성력에 의한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밸브 작동 버튼(9)과 개폐 조절부재(11)는 이들의 작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지지하게 되는 마개 캡부(17)가 마개 몸체부(5)에 조립됨으로써 일체로 구성되어 지는 바, 상기 밸브 작동 버튼(9)은 상기 마개 캡부(17)에 형성된 통공(19)을 통과하여 외측 즉, 마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지며, 상기 걸림턱(93)은 상기 통공(19)에 형성된 가이드홈(21)으로 삽입되어 진다.
아울러, 상기 밸브 작동 버튼(9)과 마개 캡부(17)와의 사이에는 전술한 개폐 조절부재(11)가 설치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밸브 작동 버튼(9)의 걸림턱(93)에 받침부(13)의 선단이 걸려, 탄성부재(23; 제2도 참조)에 의한 복원력이 방해된 채로 결합되어 진다.
한편, 상기한 개폐 조절부재(11)의 푸시부(25) 선단에는 상기 마개 캡부(17)에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 즉,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출구 커버(15)가 설치되어 지는 바, 이는 마개 몸체부(5)에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51)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유출을 제한하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서의 미 설명 부호 27은 힌지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주출구 커버(15)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보온병용 마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제1도의 A-A선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도는 마개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3도는 마개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바,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 동작을 설명한다.
즉, 본 고안의 보온병용 마개의 닫힌 상태에서는 개폐 조절부재(11)의 받침부(13)가 밸브 작동 버튼(9)의 걸림턱(93)에 걸쳐져 슬라이딩(도면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주출구 커버(15)는 닫쳐져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밸브 작동 버튼(9)은 탄성부재(91)에 의해 직상방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그 저면 일측에는 밸브수단(7)의 밸브 로드(71)가 접촉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밸브 로드(71)에 연결된 밸브체(73)는 탄성력에 의해 방상으로 힘을 받게 되는바, 이는 마개 몸체부(5)에 결합된 패킹부재(55)와 함께 긴밀하게 접촉 결합되어, 용기의 밀폐를 달성하게 된다.
반면, 본 고안의 보온병용 마개의 열린 상태는 상기한 밸브 작동 버튼(9)를 누름에 의해 달성되어 지는 바, 상기 밸브 작동 버튼(9)이 탄성부재(91)의 힘을 이기고 하방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에, 밸브체(73)는 이에 연동하여 탄성부재(77)을 이기고 연동되어 용기의 밀폐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한 개폐 조절부재(11)는 걸림턱(93)의 해체에 따라 탄성부재(23)의 리턴력에 의해 슬라이딩(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주출구 커버(15)는 힌지부(27')를 축으로 회동하여 용기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온병에 내재된 내용물은 패킹부재(55)와 밸브체(73)의 틈새로 유출되어, 주출구(5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주출구 커버(15)를 누르게 되면 상기 개폐 조절부재(11)는 탄성력을 이기고 리턴되어 지는 바, 이때 상기 밸브 작동 버튼(9)는 받침부(13)로부터 해제되어 탄성부재(77)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진다.
물론, 이때 상기 밸브체(73)는 스프링(75)의 리턴력에 의해 상방으로 밀착되면서 용기를 밀폐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보온병용 마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보온병용 마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제1도의 A-A선을 절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본체 3 : 몸체 커버부
5 : 마개 몸체부 7 : 밸브수단
9 : 밸브 작동 버튼 11 : 개폐 조절부재
15 : 주출구 커버 17 : 마개 캡부
23, 77, 91 : 탄성부재 71 : 밸브 로드
73 : 밸브체 75 : 와셔부재
93 : 걸림턱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온병용 마개는, 원터치 방식 즉, 밸브 작동 버튼의 누름에 의한 주출구 커버의 개방과 상기 주출구 커버를 누름에 의한 밀폐를 용이하게 실시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종래 방식에는 문제시 되었던 마개 개폐시의 번거로움을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마개를 돌려서 탈거하거나 어느 정도 개방해야만이 내용물의 유출이 가능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방식은 부연 설명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하면 내용물의 유출시 필요 최소한의 공간만을 개방하게 됨으로써, 외부 공기와의 순환을 극소화하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보온 효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 외부와의 순환을 차단하여 내용물을 장시간 동안 초기 주입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 보온병에 있어서, 몸체 커버부(3)와의 사이에 용기 본체(1)가 결합되어 지는 마개 몸체부(5)에 용기의 밀폐 및 개방을 제어하는 밸브수단(7)을 마련하고; 상기 밸브수단(7)에 접촉되어 이를 연동시키는 밸브 작동 버튼(9)을 탄성부재(91)를 개재하여 마개 캡부(17) 상측으로 돌설토록 설치하며, 상기 밸브 작동 버튼(9)의 걸림턱(93)에 의해 차단됨과 아울러, 이 밸브 작동버튼(9)의 누름에 따라 그 수직 방향으로 탄성부재(23)에 의해 복원되는 개폐 조절부재(11)를 마련하여, 상기 마개 캡부(17)에 힌지 결합된 주출구 커버(15)를 개폐토록 연동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용 마개.
- 제1항에 있어서, 밸브수단(7)은 밸브 작동 버튼(9)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연동하는 밸브 로드(71)와, 이 밸브 로드(71)에서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확장 형성되는 밸브체(73)와, 이 밸브체(73)에 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탄성부재(77)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와셔부재(7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용 마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08110U KR970000305Y1 (ko) | 1994-04-18 | 1994-04-18 | 보온병용 마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08110U KR970000305Y1 (ko) | 1994-04-18 | 1994-04-18 | 보온병용 마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9436U KR950029436U (ko) | 1995-11-17 |
KR970000305Y1 true KR970000305Y1 (ko) | 1997-01-16 |
Family
ID=1938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08110U KR970000305Y1 (ko) | 1994-04-18 | 1994-04-18 | 보온병용 마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70000305Y1 (ko) |
-
1994
- 1994-04-18 KR KR2019940008110U patent/KR970000305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9436U (ko) | 1995-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02137B1 (en) | Plug structure for liquid container | |
KR960002843Y1 (ko) | 액체용기 마개 | |
GB2359068A (en) | Bottle closure with push-button operated valve | |
US20210068579A1 (en) | Kettle | |
US6056163A (en) | Liquid dispenser | |
KR970000305Y1 (ko) | 보온병용 마개 | |
KR0132916Y1 (ko) | 보온병용 마개 | |
KR970001164Y1 (ko) | 보온병용 마개 | |
KR200383124Y1 (ko) |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 |
KR200145564Y1 (ko) | 액체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 |
KR970001163Y1 (ko) | 보온병용 마개 | |
JP3620039B2 (ja) | 液体容器の栓体 | |
JP3620040B2 (ja) | 液体容器の栓体 | |
JP3551081B2 (ja) | 液体容器の栓装置 | |
JP3620038B2 (ja) | 液体容器の栓体 | |
KR200186702Y1 (ko) | 물통뚜껑 | |
KR19990008514U (ko) | 보온, 냉 포트용 주출마개 | |
KR200352152Y1 (ko) | 병마개용 캡 | |
KR200173355Y1 (ko) | 진공 보온병용 뚜껑 | |
KR970005837Y1 (ko) | 액체 보관용기 마개 | |
KR200151097Y1 (ko) | 액체용기용 뚜껑 | |
CA3055028A1 (en) | Kettle | |
JP3683214B2 (ja) | 液体容器 | |
JPS6028361Y2 (ja) | まほうびんの栓構造 | |
KR970004738Y1 (ko) | 액체 보관용기 마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