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205Y1 - 블록성형기용 파렛트의 적재 및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성형기용 파렛트의 적재 및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205Y1
KR970000205Y1 KR2019930023689U KR930023689U KR970000205Y1 KR 970000205 Y1 KR970000205 Y1 KR 970000205Y1 KR 2019930023689 U KR2019930023689 U KR 2019930023689U KR 930023689 U KR930023689 U KR 930023689U KR 970000205 Y1 KR970000205 Y1 KR 970000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dy
loading
pallet
firing
rea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583U (ko
Inventor
이익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산기공
이익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산기공, 이익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산기공
Priority to KR2019930023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205Y1/ko
Publication of KR950013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10Sequence control of conveyors operating in comb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7/0055Mould pallets; Moul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6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carriers, e.g. belts
    • B65G25/065Reciprocating floo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65G37/02Flow-sheets for conveyor combinations in warehouses, magazines or worksh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블록성형기용 파렛트의 적재 및 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요부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 전후 이동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제6도는 진공발생장치의 회로구성도.
제7도는 본 고안이 설치되는 전체 작업공정의 평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적재대차 20 : 적재레일
32 : 지지틀 38, 40 : 안내레일
42 : 전후이동체 44 : 감속모터
62 : 흡착구 68 : 상하이동체
88 : 진공발생장치
본 고안은 각종 보도블록이나 외장용 벽돌 등을 성형하여 건조 및 소성시키는 작업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 제품이 분리된 빈 파렛트를 효과적으로 회수하여 적재시키고 또한 성형작업시에는 성형기로 재공급시켜 주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파렛트의 적재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사용되고 있는 블록성형기의 1회 성형시간은 약 40초가 소요되고 성형된 블록을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이를 건조 및 소성시키는 데는 약 120초가 소요된다.
따라서 이를 하루를 기준으로 성형된 블록을 건조 및 소성시키는 작업을 24시간으로 볼때 블록의 성형작업은 약 8시간 만에 완료된다.
그리고 성형작업시 소요된 수많은 파렛트는 비교적 시간이 소요되는 건조 및 소성작업을 위하여 대기하고 있을 때에는 파렛트가 여러대의 적재기 내에 제품이 안치된 상태로 어려층으로 적재되므로 작업공정에 별다른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러나 소성작업을 위하여 제품이 분리된 빈 파렛트는 성형작업이 진행중일때에는 성형기로 재공급시켜 주게 되므로 작업에 별다른 지장을 주지 않게 되나 작업시작 시간으로 부터 약 8시간이 경과하여 성형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성형기에 재공급시켜 줄 필요가 없으므로 앞으로 약 16시간에 걸쳐 계속되는 건조 및 소성작업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빈 파렛트는 별도의 적재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빈 파렛트를 적재함에 있어서도 사각 철판으로 되어 비교적 무거운 핀 파렛트가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오면 이를 신속히 회수하여 적재시켜 주어야 하고 다음날의 성형작업시에는 적재된 파렛트를 차례로 복귀용 콘베어 상에 재공급시켜 주어야 하는 제반요건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 설명한 제반요건들을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소성큐빙기와 성형기 사이에 연결설치된 복귀용 콘베어의 타측에 일정길이의 적재레일을 나란히 설치하여 여러대가 연결된 적재대차가 감속모터에 의해 레일상을 활주토록 하고 복귀용 콘베어와 레일상을 가로질러 설치된 지지대의 안내레일 상에는 감속모터와 연결설치된 밀대에 의해 전후 이동토록 된 전후 이동체를 활주가능케 설치하고 전후이동체의 중앙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의 저부에는 수개의 흡착구가 설치된 상하 이동체를 연결하여 복귀용 콘베어를 따라 이동되어 온 빈 파렛트를 상하 이동체의 흡착구가 흡착한뒤 전후이동체를 통하여 적재대차 상에 이동시켜 적층시키거나 또는 적층된 빈 파렛트를 복귀용 콘베어 상에 재공급시켜 주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는 본 고안이 설치되는 성형된 블록의 건조 및 소성장치의 평면구성도로서 전체적인 작업공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성형기(2)로 부터 성형된 제품이 파렛트(4)상에 안치된 상태로 적재기에 상하로 여러층으로 적재되어 적재레일(6)(8)을 통하여 건조로(10)를 통과하게 되면 적재기로 부터 제품이 안치된 파렛트(4)를 분리시켜 소성큐빙기(10)로 이동시켜주고 소성큐빙기(10)는 이동되어온 제품을 파렛트(4)로부터 분리시켜 소성대차 상에 옮겨준뒤 소성대차를 소성로(12)에 통과시켜 제품을 소성시켜 주게되고 빈 파렛트(4)는 복귀용 콘베어(14)를 따라 이동되는데 성형기(2)의 성형작업이 진행중일때는 빈 파렛트(4)가 공급콘베어(16)를 따라 성형기(2)에 재공급되게 하고 성형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빈 파렛트(4)를 별도의 적재대차(18)상에 적재시켜두어 다음날의 성형작업시 재공급시켜 주도록 하는 작업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1, 2도는 본 고안의 정면 및 평면구성도로서 복귀용 콘베어(14)의 전방에 일정길이로 적재레일(20)을 나란히 설치하여 레일(20) 위를 활주하는 여러대의 적재대차(18)위를 서로 연결설치하고 적재레일(20)의 일측에 설치된 감속모터(22)의 구동스프로켓(24)과 레일(20)의 타측에 설치된 피동 스프로켓(26) 사이에는 체인(28)을 연결설치하되 여러대의 적재대차(18)중 중앙에 위치한 적재대차(18)의 저면에 연결편(30)을 돌출형성하여 연결편(30)에 체인(28)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여 주므로서 감속모터(22)가 정역회전하면 회전방향에 따라 여러대의 적재대차(18)가 레일(20)을 따라 좌우활주토록 하였다.
제3, 4도는 본 고안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적재레일(20)의 중앙부에 적재레일(20)과 복귀용 콘베어(14)를 가로 질러 일정높이로 지지틀(32)을 형성하여 전후 지지대(34)(36)가 지지토록 하고 지지틀(32)의 상면에는 좌우 안내레일(38)(40)을 형성하여 레일(38)(40)위를 활주토록된 전후 이동체(42)를 설치한 다음 지지틀(32)의 전면상부에 고정설치된 감속모터(44)의 구동기어(46)을 일측에 연결편(48)이 형성된 작동체(50)의 피동기어(52)와 치합하고 연결편(48)의 단부에는 전후 이동체(42)에 유동가능토록 결합된 밀대(54)의 타측과 핀(56)으로 연결하여 감속모터(44)가 회전하면 작동체(50)의 연결편(48)이 밀대(54)를 밀거나 당겨주어 전후 이동체(42)를 이동시켜 주도록 하였다.
전후 이동체(42)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된 유압실린더(58)의 저부 작동봉(60)에는 수개의 흡착구(62)와 전후에 보조지지편(64)(66)이 설치된 상하 이동체(68)를 연결설치하고 상하 이동체(68)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 안내대(70)(72)는 전후 이동체(42)의 안내로울러(74)(76)사이에 위치토록 하였다.
상하 이동체(68)의 저면에 설치된 수개의 흡착구(62)는 대체로 사각인 상하 이동체(68)의 각 모서리 부분에 위치토록 하여 힘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도록 하고 각 흡착구(62)의 지지봉(78)에는 외면에 스프링(80)을 탄력설치하여 흡착구(62)의 완충역할을 하도록 하였으며 내부에 진공실(82)이 형성된 몸체의 하단에는 원형의 진공패드(84)를 형성하고 몸체의 일측 연결관(86)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통상의 진공발생장치(88)와 연결설치하였다.
상하 이동체(68)의 저면 전후에는형 안전판(90)(92)이 내측으로 위치되게 보조지지편(64)(66)을 브라켓(94)(96)으로 연결설치하되 보조지지편(64)(66)의 타측을 상부로 돌출시켜 상하이동체(68)의 양측에 설치된 에어실린더(98)(100)의 작동봉과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02)는 솔레노이드 밸브
(104)는 진공발생기
(106)은 진공파괴용 솔레노이드 밸브
(108)은 에어필터
(110)은 릴리프 밸브
(112)는 소음기
(114)는 야적큐빙기
(116)은 적재기 복귀용 레일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소성큐빙기(10)로 부터 제품이 분리된 빈 파렛트(4)가 복귀용 콘베어(14)를 따라 이동하여 지지틀(32) 아래에 이르게 되면 감속모터(44)가 작동하여 치차결합된 작동체(50)를 일방향으로 수평회전시켜 주게 되므로 작동체(50)의 연결편(48)과 핀(56)으로 연결된 밀대(54)가 전후 이동체(42)를 후퇴시켜 주게 되므로 후퇴시 전후이동체(42)가 이동되어온 빈 파렛트(4)의 직상부에 이르게 되면 전후 이동체(42)가 정지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58)가 작동하여 상하이동체(68)를 하강시켜 주게 되는데 상하 이동체(68)의 하강식에는 보조지지편(64)(66)과 연결설치된 에어실린더(98)(100)가 작동하여 보조지지편(64)(66)의형 안전판(90)(92)이 벌어진 상태가 되며 상하 이동체(68)가 하강하여 흡착구(62)의 진공패드(84)가 파렛트(4)의 상면과 접하게 되면 흡착구(62)와 연결설치된 진공발생장치(8)가 가동되어 솔레노이드밸브(102)A를 통하여 포트A로 압력원이 공급되므로 진공발생기(104)에서 흡착구(62)의 진공실(82)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유지시켜 주므로 빈 파렛트(4)가 상하 이동체(68)의 흡착구(62)에 흡착되는 것이다.
빈 파렛트(4)가 흡착구(62)에 흡착되면 유압실린더(58)의 작동으로 좌우 안내대(70)(72)를 따라 상하 이동체(68)가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시에는 보조지지편(64)(66)과 연결설치된 에어실린더(98)(100)가 역으로 작동하여 보조지지편(64)(66)의 안전판(90)(92)이 파렛트(4)의 전후 저부에 위치토록 하므로서 사용중 정전이나 오작동이 발생하여 흡착구(62)의 흡착력이 떨어져 파렛트(4)가 흡착구(62)로 부터 탈착되더라도 탈착된 파렛트(4)가 전후 안전판(90)(92) 사이에 걸려 더 이상 낙하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비교적 무거운 파렛트(4)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상하 이동체(68)의 상승이 완료되면 지지틀(32)의 감속모터(44)가 역회전하여 작동체(50)의 연결편(48)이 밀대(54)를 당겨주므로서 전후 이동체(42)가 전진하게 되는데 상하이동체(68)의 흡착구(62)에 흡착된 파렛트(4)가 지지틀(42) 아래의 적재대차(18)의 직상부에 이르게 되면 전후 이동체(42)가 정지하고 유압실린더(58)의 작동으로 상하이동체(68)가 하강하게 되는데 적재를 위한 하강시에는 보조지지편(64)(66)과 연결된 에어실린더(98)(100)를 작동시켜형 안전판(90)(92)을 벌려 주도록 하므로서 파렛트(4)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고 하강된 파렛트(4)가 적재대차(18)상에 안치되면 진공발생장치(88)의 솔레노이드밸브(102)B가 작동하여 포트B로 압력원을 공급시켜 주게 되므로 포트B와 연결된 진공파괴용 솔레노이드 밸브(106)가 작동하여 흡착구(62)의 진공실(82)에 공기를 불어 넣어 흡착력이 떨어진 흡착구(62)로 부터 빈파렛트(4)가 탈착되도록 하는 작동이 반복된다.
그리고 1대의 적재대차(18)상에 파렛트(4)가 일정높이로 적재되면 적재레일(20) 일측에 설치된 감속모터(22)를 구동시켜 체인(28)과 연결된 여러대의 적재대차(18)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음 대차(18)가 지지틀(32)의 직하부에 위치케한뒤 파렛트(4)의 적재작업이 계속된다.
적재대차(18)상에 적재된 파렛트(4)를 성형작업이 진행되는 성형기(2)로 공급시켜 주고자 할때에는 적재작업과 마찬가지로 적재대차(18)상에 적재된 빈 파렛트(4)를 차례로 흡착구(62)로 흡착하여 상하이동체(68)가 상승하면 감속모터(44)의 작동으로 전후 이동체(42)를 후퇴시켜 복귀용 콘베어(14) 상에 이르게 한뒤 상하이동체(68)를 하강시키고 흡착구(62)의 진공실(82)에 공기를 불어넣어 흡착구(62)로 부터 파렛트(4)가 탈락되게 하므로서 탈착된 파렛트(4)가 복귀용 콘베어(14)와 공급콘베어(16)을 따라 성형기(2)에 재공급시켜 주게 되며 이러한 작동은 자동제어시스템(도시안됨)에 의하여 콘트롤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통상 하루의 작업시간을 기준으로 작업시작 후 약 8시간 만에 완료되는 제품성형작업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건조 및 소성작업으로 인하여 빈파렛트(4)가 발생되더라도 이를 전후 이동체(42)에 연결설치된 상하 이동체(68)의 흡착구(62)가 흡착하여 여러대의 적재대차(18)상에 적재하여 보관토록 하고 필요시에는 성형기(2)에 차례로 재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1개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품의 성형작업과 성형된 제품의 건조 및 소성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제품의 성형 및 이를 건조와 소성시키는 작업이 1개의 라인으로 구성된 통상의 블록의 성형과 건조 및 소성장치에 있어서, 소성큐빙기(10)와 성형기(2) 사이에 설치된 복귀용 콘베어(14)의 전면에 일정길이에 적재레일(20)을 나란히 형성하여 레일(20)위에 감속모터(22)의 체인(28)과 연결된 여러대의 적재대차(18)를 좌우 이동가능케 설치하고 적재레일(20)의 중앙부에 레일(20)과 복귀용 콘베어(14)를 가로 질러 설치된 지지틀(32)의 안내레일(38)(40)에는 전후 이동체(42)를 설치하여 전후 이동체(42)에 연결설치된 밀대(54)를 감속모터(44)와 치차 결합된 작동체(50)의 연결편(48)과 연결하고 전후 이동체(42)의 중앙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8)의 저부에는 수개의 흡착구(62)가 통상의 진공발생장치(88)와 연결설치된 상하이동체(68)를 연결하여서된 블록성형기용 파렛트의 적재 및 공급장치.
KR2019930023689U 1993-11-10 1993-11-10 블록성형기용 파렛트의 적재 및 공급장치 KR9700002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689U KR970000205Y1 (ko) 1993-11-10 1993-11-10 블록성형기용 파렛트의 적재 및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689U KR970000205Y1 (ko) 1993-11-10 1993-11-10 블록성형기용 파렛트의 적재 및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583U KR950013583U (ko) 1995-06-15
KR970000205Y1 true KR970000205Y1 (ko) 1997-01-10

Family

ID=1936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689U KR970000205Y1 (ko) 1993-11-10 1993-11-10 블록성형기용 파렛트의 적재 및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2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968A (ko) * 2016-07-05 2016-11-16 주식회사 알씨산업 다층 보도블럭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968A (ko) * 2016-07-05 2016-11-16 주식회사 알씨산업 다층 보도블럭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583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91901A (en) Brick stacker
US3833132A (en) Pallet loading apparatus
US3930573A (en) Accumulating conveyor and control means
US3986620A (en) Palletizing apparatus for piece goods
JPH0134688B2 (ko)
US3675801A (en) Apparatus for conveying, handling, loading, and unloading of palletized materials
US4027823A (en) Loading-unloading apparatus for a vehicle
US4260309A (en) Palletizer
KR970000205Y1 (ko) 블록성형기용 파렛트의 적재 및 공급장치
US4030618A (en) Semi-automatic palletizer
ITGE970072A1 (it) Macchina per la movimentazione di oggetti quali materiali grezzi, semilavorati, parti finite, ed in particolare lamiere metalliche o
US3342349A (en) Mechanical handling equipment
JPS58100024A (ja) パレツト荷積装置
US3231101A (en) Pallet handling machine
US3142389A (en) Pallet loading mechanisms
US3203560A (en) Article layer stacking apparatus
JP2006315829A (ja) 自動倉庫
EP1056663B1 (en) Conveying system
US3412874A (en) Automated tile handling system
JP3388422B2 (ja) 台車段積装置
US3157294A (en) Pallet loading mechanisms
CN219546627U (zh) 一种自动化装卸车系统
GB2068881A (en) Loading bales from a baling press onto a vehicle or into a container
JPH0442019Y2 (ko)
JPS61106321A (ja) 荷物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