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121B1 - 전기 커넥터 시스템 및 이의 절연체 변위 단자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시스템 및 이의 절연체 변위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121B1
KR970000121B1 KR1019900005659A KR900005659A KR970000121B1 KR 970000121 B1 KR970000121 B1 KR 970000121B1 KR 1019900005659 A KR1019900005659 A KR 1019900005659A KR 900005659 A KR900005659 A KR 900005659A KR 970000121 B1 KR970000121 B1 KR 970000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housing
housing member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234A (ko
Inventor
티. 로버트 제임스
에이. 실버나겔 레이몬드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해츠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1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시스템 및 이의 절연체 변위 단자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핀 단자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핀 단자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핀 단자의 결합 단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핀 단자의 대향 단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단자의 결합 단부의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모듈 후방 하우징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용 전방 하우징의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용 전방 하우징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 11-11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12도는 단자를 절첩시키기 전의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선 13-13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와 유사하나 와이어 어레이에 단자들을 절첩시킨 후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
제15도는 단자를 절첩시키기 전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선 16-16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와 유사하나 와이어 어레이에 단자들을 절첩시킨 후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셜명
20 : 핀 단자 22 : 원통형 결합 단부
24 :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 28 : 슬롯
29,30 : 핀 접촉 아암 32 : 전방 와이어 수용부
34 : 후방 와이어 수용부 38 : 절첩시 벽
44 : 다각형 애퍼추어 46 : 전방 연부
60 : 소켓 단자 66 : 거싯 벽
70 : 모듈 후방 하우징 75 : 단자 수용 공동
76 : 와이어 수용 애퍼추어 82,83 : 브릿징 벽
86,87 : 제1보스 88,89 : 제2보스
90 : 전방 플러그 하우징 92 :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
96 : 후방 장착 단부
전기 커넥터는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최소한 1개의 단작 장착되어 있는 비도전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들은 다른 단자의 결합(mating)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결합 단부를 포함한다. 각 단자의 대향 단부에는 와이어, 케이블등과 같은 도전성 리드선(lead)에 전기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도체인 결합 단부가 설치된다. 전형적으로, 결합가능한 수 및 암 단자들이 전용 리셉터클(receptacle) 하우징 및 플러그 하우징(plug housing)에 각각 장착된다. 하우징은 단자를 보호하거나 위치 설정하고, 단자를 결합된 상태로 안내하거나, 결합된 상태로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기능들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기 커넥트들은 해당 회로 및 전기 부품들의 소형화에 부응하여 최근 몇 년동안 상당히 소형화되어 왔다. 크기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커넥터는 양질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고, 충분한 변형 방지(strain relief)로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와이어의 분리를 확실히 방지하여야 한다.
전기 산업이 상당히 경쟁적이어서, 성능이 다소 개량되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지 않다. 물론, 조립 및 분해의 용이성과 전체 생산 노동비 사이에는 논리적이고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또한, 용이하게 조립가능한 제품은 쉽게 부적합하게 조립되지 않을 것이다.
소정의 도전성 단자들은 와이어의 단부에서 절연체를 벗겨내고 그곳에 단자를 크림프(crimp)시켜야 하는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조립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절연체 변위 단자(ID 단자 ;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는 단자가 와이어의 도전성 리드와 적합한 전기 접속 상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와이어상에서 절연체를 관통 및 변위시키기 위한 절연체 변위 구조물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ID 단자는 대향 불레이드(blade)에 의해 정해진 슬롯(slot)을 포함한다. 절연된 와이어는 축방향으로 슬롯과 정렬된 적합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횡방향으로 슬롯내로 이동한다. 슬롯내로의 와이어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단자의 블레이드가 절연체를 변위시켜 와이어의 도체와 전기 접속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1985년 4월 23일자로 헬렌 디클레트(Helen Dechelette)에 허여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512,619호에 매우 효과적인 종래 기술의 ID 단자가 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512,619호를 참조하여 기술하였다. 요약하면, 미합중국 특허 제4,512,619호의 단자는 절연된 와이어가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절첩가능한(collapsible) 도체 결합 단부를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512,619호에 기재된 다수의 단자들은 하우징에 장착된다. 그 다음, 대응하는 다수의 절연된 와이어가 축방향으로 각각의 단자의 도체 결합 단부로 이동한다. 와이어들은 단자상의 특정 위치가 내부로 절첩되도록 하는 실용적인 도구의 도움으로 종단될 수 있다. 단자의 절첩된 부분은 와이어내의 도체와 양질의 전기 접속을 달성하도록 와이어 상의 절연체를 충분히 변위시킨다.
전기 커넥터들은 와이어의 도체와 단자 사이에 정확한 접속으로 과잉 변형을 방지해야 한다. 특허, ID 단자의 경우에 우수한 변형 방지 보호체가 중요하다. 또한, 단자가 관련된 하우징내에 정확하게 배치되어 유지되는 것도 중요하다. 이것은 전방 결합 부분 및 서로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후방 덮개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들 사이에 단자가 안전하게 배치되는 2-부분 하우징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그런데 2-부분 하우징은 조립 오류 및 비효율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삽입을 허용하는 예비 하중(pre-load) 위치 및 단자를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적정한 위치를 보장하는 제2록크된 위치를 갖고 있는 2-부분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2-부분 하우징은 예비 하중 위치에서 조립을 위해 납땜될 수도 있다. 그러면, 구매자들은 단자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고 단자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보장하기 위해 2-부분 하우징내로 단자 및 리드선을 삽입시키고, 그들의 완전한 고착 위치 내로 하우징 구성 부품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2-부분 커넥터 어셈블리는 1987년 11월 24일자로 켈린(Klein)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708,662호에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708,662호에 도시된 커넥터는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에, 벗겨진 각각의 와이어 리드선에 크림프된 크림프가능한 단자를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708,662호에 도시된 커넥터는 단자 보유기의 편향가능한 래치 아암을 수용하기 위한 엔벨로프(envelope)를 한정하기 위해 하우징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외부 벽을 갖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엔벨로프의 내부는 2부분으로 떨어져 매치된 래치 보스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제1래치 보스(latch boss)는 엔벨로프의 외부벽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고, 제2래치 보스는 엔벨로프의 내부벽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외부로 연장되는 래치 보스는 외부벽의 전방 연부와의 결합을 위해 단자 보유기의 래치 아암에 외부로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된 크기를 갖는다. 이 복잡한 구조물은 서로 하우징 요소를 분리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한다. 이러한 분리는 종종 1개 이상의 단자가 절연된 리드선에 적정하게 접속되지 않거나 조립 또는 사용중에 손상되는 경우에 필요하다.
대부분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고가의 사출 성형을 요구하는 복잡한 성형 프로세스에서 사출 성형된다. 가능한 곳에서는 다르게 성형된 요소의 수를 최소화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필요한 성형의 수를 감소시키고, 재고 조절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체 변위 단자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고정되게 결합가능하고, 서로 용이하게 분리가능한 전방 하우징 부분 및 후방 하우징 부분을 갖고 있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요소의 수를 최소화하고, 재고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전기 커넥터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량된 절연체 변위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량된 변형 방지 능력을 갖고 있는 절연체 변위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량된 장력을 갖는 절연체 변위 단자 및 장방형 후방 와이어 결합 부분으로부터 원통형 전방 결합 부분까지 효과적이고 강력한 이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 시스템 및 상이한 시스템 요소에 관련된다. 상기 시스템은 플러그 커넥터용 전방 하우징, 리셉터클 커넥터용 전방 하우징, 전방 하우징과 결합가능한 모듈 후방 하우징, 자가 종단 수 단자 및 자가 종단 암 단자를 포함한다. 단자는 절연되고 노출되지 않은 와이어내의 도체와 전기 접촉이 달성되도록 절첩가능한 절연체 변위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의 각각의 단자는 전방 결합 단부 및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는 축방향으로 이동된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절첩가능한 절연체 변위 접촉부는 단자의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상에 양호하게 배열되고, 단자상에 돌출된 축방향 힘에 응답하여 절첩가능하다. 단자상에 돌출된 축방향 힘은 대량 종단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자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단자의 와이어 수용 단부는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관련하여 와이어의 후방 후퇴 및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와이어상의 절연체와 단자의 록킹 결합을 확실히 하기 위한 변형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변형 방지 구조물은 각각의 단자의 와이어 수용 부분내로 연장되는 편향가능한 캔틸레버식(cantilever)비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각각의 단자의 후방 와이어 수용 부분은 다각형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전방 결합 단부는 핀 단자 또는 핀 수용 소켓 단자를 한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원통형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각형 단면 와이어 수용 단부와 원통형 단면 결합 단부 사이의 각각의 단자 부분은 결합 단부와 와이어 수용 단부 사이의 이동에서 단자의 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소한 1개의 비평면 거싯을 한정할 수 있다.
모듈 후방 하우징은 플러그 커넥터용 전방 하우징 및 제1위치 또는 제2위치 내의 리셉터클 커넥터용 전방 하우징에 장착가능하다. 모듈 후방 하우징과 적절한 전방 하우징 사이의 관련 록킹 위치는 하우징 구성부품이 2개의 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적절한 전방 하우징으로부터 모듈 후방 하우징의 분리를 가능케 하며, 선택적이고 완전하게 해제되도록 용이하게 해제가능한 록킹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록킹 수단은 각각의 전방 하우징 부재상의 편향가능한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래치는 외부로 연장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후방 하우징은 내부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보스를 갖고 있는 브릿징(bridging)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보스들은 전방 및 후방 하우징이 서로 압력을 가할 때, 래치 아암이 내부로 편향되도록 램프된 전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최소한 1개의 보스는 서로 전방 및 후방 하우징을 고정적으로 그러나 이완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후방 인접 록킹 표면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의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는 커넥터의 모듈 후방 하우징내로 미끄러져 삽입된다. 전형적으로, 다수의 이러한 단자는 모듈 후방 하우징내의 분리 단자 수용 공동내로 미끄러져 삽입된다. 각각의 전방 결합 단부는 적절한 전방 하우징내로 미끄러져 삽입된다. 특히, 적절한 전방 하우징은 모듈 후방 하우징 및 모듈 후방 하우징내에 장착된 해당 단자의 결합 단부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위치내의 모듈 후방 하우징에 적절한 전방 하우징을 장착하는 것은 모듈 후방 하우징, 다수의 단자 및 적절한 전방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성 부품의 어셈블리를 한정할 것이다. 이 어셈블리는 다수의 노출되지 않은 와이어에 후속 접속용으로 삽입 또는 저장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와이어가 후방 하우징내에 단자 수용 공동을 삽입시켜서 각각의 단자의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내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와이어들은 후방 하우징의 후방 단부로 축방향 이동될 수 있다. 변형 방지 수단은 해당 단자로부터 와이어의 축 후퇴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와이어가 단자의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로 적당하게 삽입된 후, 모듈 후방 하우징 및 적절한 전방 하우징은 와이어 리드선에 대한 단자를 대량 종단시키는데 적합한 세공의 도움으로 서로 축방향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모듈 후방 하우징으로 향하는 적절한 전방 하우징의 축 이동은 제2장착 위치내로 래치 아암 또는 그외의 다른 접속 수단에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축 이동은 단자의 절첩식 절연체 변위 접촉부분이 각각의 와이어상의 절연체를 절첩하여 변위되도록 함으로써 전도성 리드선과 접촉된다.
커넥터는 손상되거나 적절하게 결합되지 않은 단자를 교체하는 현장 관리자에 의해 선택적이고 용이하게 해제된다. 특히, 전방 하우징의 래치들은 모듈 후방 하우징상의 외부로 배치되고, 내부로 향하는 보스를 용이하게 제거시키도록 서로 내부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모듈 후방 하우징 및 전방 하우징은 단자에 의한 문제점이 해결된 후에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결합시키기 위한 핀 단자는 일반적으로 제1도 내지 제4도의 도면 부호(20)으로 표시된다. 핀 단자(20)은 한 개의 금속성 물질편으로 스탬프되어 형성되는데, 양호하게는 약 0.03cm(0.012inch) 두께의 구리 판 합금이 바람직하다. 핀 단자(20)은 일반적으로 전방 원통형 결합 단부(22),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24) 및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중간 비평면 거싯 이동부(26)을 포함한다. 결합단부(22)는 일반적으로 결합중에 정렬 및 편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활모양 인입 단부와 반원통형으로 구성된 한쌍의 내부로 편향가능한 핀 접촉 아암(29 및 30)을 한정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8)로 구성된다. 반원통형 핀 접촉 아암(29 및 30)의 내부 편향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핀 수용 소켓 단자와 핀 단자(20)의 높은 정상 접촉력 및 양질의 전기 접속을 도와준다.
핀 단자(20)의 후방 와이어 수용 단자(24)는 일반적으로 장방향 박스형 단면으로 구성되고, 전방 와이어 수용부(32), 후방 와이어 수용부(34) 및 중간 절첩 접촉 부분(36)을 포함한다. 접촉 부분(36)은 와이어 수용 단부상에 가해진 축력에 응답하여 내부로 절첩되도록 내부에 미리 형성된 한쌍의 대향 절첩 가능한 접촉벽(38 및 39)에 의해 한정된다. 내부 절첩부는 절첩가능한 벽(38)의 단부상의 감소된 폭 부분(40 및 42) 및 절첩벽(39)의 반대 단부상의 감소된 폭 부분(41 및 43)으로 구성된다. 절첩벽(38 및 39)는 다각형 애퍼추어(polygonal apertures; 44)로 구성된다. 각각의 애퍼추어(44)의 전방 연부(46)은 단자(20)에 삽입된 와이어상의 절연체를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제2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20)은 절첩 접촉부(36)을 한정하는 길이방향 부분내의 횡벽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장방형 전방 와이어 수용부(32) 및 장방형 후방 와이어 수용부(34)는 절첩 접촉부를 한정하는 떨어져 있는 2개의 절첩벽(38 및 39)에 의해서만 접속된다. 이 구성에서, 단자(20)의 와이어 수용부(24)의 대향 단부상에 가해진 출력은 내부에 형성된 벽(38 및 39)을 내부 절첩시킨다. 미합중국 특허 제4,512,619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 절첩부는 세심하게 제어되어 감소된 폭 부분(40 내지 43)에 대한 피보팅(pivoting)을 한정하고, 또한 애퍼추어(44)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한 라인에 대한 피보팅을 한정하도록 배치된다. 단자(20)의 와이어 수용 단부(24)상에 가해진 출력에 의해 발생된 내부 절첩은 연부(46)이 커넥터와 전기 접속을 달성하도록 와이어상의 절연체를 관통하여 변위된다. 다각형 애퍼추어(44)의 연부(46)의 구성 및 체적을 와이어내의 도체와 매우 양질로 접촉하도록 선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케넥터의 변형 방지부는 와이어와 단자 사이의 양질의 전기 접속이 와이어상의 후방 힘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못하게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대량 종단 가능한 절연체 변위 단자를 제공하는 주요 커넥터 시스템에서, 와이어가 종단 이전에 충분하게 배치되고, 대량 종단과 전체 배치 사이에서 하강이 없게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종단 이전에 와이어의 견고한 배치를 보장하고, 필요한 변형 방지부를 제공하기 위해, 단자(20)은 탄성 캔틸레버 핑거(finger)의 전방 및 후방 어레이를 갖고 있다. 특히, 모두 4개의 전방 핑거(48 내지 51)은 단자(20)의 와이어 접촉부(24)의 전방 단자(32)로부터 내부 및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캔틸레버된다. 전방 핑거(48 내지 51)의 길이 및 각도 배열은 초기에 편향 및 수용부(24)내로 와이어의 관련된 전방 운동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전방 핑거들은 와이어 삽입의 깊이를 초기에 제어하는 와이어 중지부로서 기능을 한다. 후술한 바와 같이, 종단중에 전방 핑거에 압력을 가하고, 이때 전방 핑거는 변형 방지부에 도움을 준다. 후방 핑거(52 내지 55)는 단자(20)의 와이어 수용 단부(24)의 후방 부분(34)로부터 캔틸레버되고, 약 90°로 분리된다. 후방 핑거(52 내지 55)는 전방 및 와이어 수용 단부(24)내로 연장하도록 캔틸레버된다. 후방 핑거(52 내지 55)는 측벽에 작은 각도로 배열되고, 단자(20)내로 와이어의 전방 삽입에 응답하여 용이하게 편향된다. 그래서, 후방 핑거는 와이어 종단 전후 모두의 후방 하강을 방지하도록 와이어상의 절연체에 압력을 가한다. 90°만큼 떨어져 있는 각각의 셋트내에 핑거를 갖는 2개의 축방향으로 떨어진 핑거 셋트를 설치하는 것은 종단 전후 모두에 와이어의 적절한 축배치 및 예외 변형 방지를 보장시켜 준다.
단자(20)의 거싯 벽(26)은 비평면 테이퍼된 형태이고, 비교적 큰 장방형 단면 와이어 수용부(24)로부터 비교적 작은 원통형 단면 결합 단부(22)까지 한정한다. 거싯 벽(26)은 후방으로 와이어 수용부의 대부분의 단부를 이동시키고, 적어도 약 90°의 원통형 아치(arch)내로 정확하게 연장된다. 와이어 수용 단부(24)의 평면 직선 벽으로부터 결합 단자(22)에 인접한 활모양 구성부내로의 거싯 벽(26)의 이동은 결합 단자(22)와 와이어 수용 단부(24) 사이를 견고하게 상호 접속시킨다. 이 상호 접속의 강도 또는 강성률(rigidity)은 거싯 벽(26)의 전체 길이 및 결합 단부(22)와 와이어 수용 단부(24) 모두에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내부 연장지면 요철(embossment ; 56)에 의해 향상된다. 거싯 벽(26)은 와이어 수용 단부(24)와 결합 단부(22) 사이 이 단면을 감소시킨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전방 결합 단부(62),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64) 및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거싯 벽(66)을 포함하는 소켓 단자(60)을 포함한다. 전방 와이어 수용 단부(62)는 핀 단자(20)의 전방 결합 단부(22)를 수용하도록 원통형 면적을 한정한다. 소켓 단자(60)의 단부(62)의 내부 지름은 핀 단자(20)상의 결합 단부(22)의 접촉 비임(29 및 30)을 내부 편향하도록 선택된다. 그러므로, 소켓 단자(60)의 결합 단부(62)내로의 핀 단자(20)의 결합 단부(22)의 이동은 접촉 비임(29 및 30)의 내부 편향 및 결합 표면의 길이 방향 납땜이 양질의 전기 접속에 의해 최종적으로 높은 정상 접촉력을 달성하게 한다. 소켓 단자(60)의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64)는 상술된 바와 같이, 핀 단자(20)의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24)와 동일하다. 거싯 벽(66)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핀 단자(20)상의 거싯 벽(26)과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유사하다.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플라스틱 물질 및 양호하게는 유리 충전 폴리에스터로 한 개로 성형된 모듈 후방 하우징(70)을 포함한다. 모듈 후방 하우징(70)은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72) 및 전방 결합 단부(74)를 갖고 있는 직선 구조물이다. 다수의 거의 동일한 단자 수용 공동(75)는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전방 및 후방 단부(72 및 74) 사이로 연장된다. 단자 공동(75)는 장방형 단면으로 구성되고, 핀 또는 소켓 단자(20 및 60)의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24,64)를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다. 각각의 단자 공동(75)의 후방 단부는 와이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테이퍼된 통로를 갖고 있는 와이어 수용 애퍼추어(76)을 한정한다.
모듈 후방 하우징(70)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상부 및 하부벽(78 및 79)와 반대측벽(80 및 81)을 포함한다. 브릿징 벽(82 및 83)은 이들 사이에 래치 수용 엔벨로프(84 및 85)를 한정하도록 각각의 측벽(80 및 81)에 따라 배치되어 지지된다. 브릿징 벽(82 및 83)은 각각 전방으로 배치되어 내부로 연장하는 제1보스(86 및 87) 및 후방으로 배치되어 내부로 연장하는 제2보스(88 및 89)로 구성된다. 전방으로 배치된 제1보스(86 및 87)은 서로 일직선상에 있고, 서로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관련된 측벽(80 및 81)로 향하여 연장된다. 후방으로 배치된 록킹 보스(88 및 89)는 일반적으로 서로 일직선상에 있고, 서로 관련된 측벽(80 및 81)로 향하여 연장된다. 제7도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수용 엔벨로프(84 및 85)를 통하여 연장되는 측벽(80 및 81)의 외부 표면은 거의 평면이고, 보스 또는 그와의 다른 표면은 불규칙적이지 않다. 후에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측벽(80) 및 81)의 외부 표면의 평면 구성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다른 하우징 구성 부품에 의해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장착 및 선택적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전방으로 인접한 모든 보스(86 내지 89)의 표면은 보스(86 내지 89)와 맞물려 있는 해당 래칭 구조물의 편향을 용이하게 하도록 램프(ramp)된다. 후방으로 인접한 후방 보스(88 및 89)의 표면은 설명한 해당 래치 구조물을 단단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해 록킹 표면을 한정하도록 각각 브릿징 벽(82 및 83)에 직교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방 플러그 하우징(90),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모듈 후방 하우징(70)은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전방 플러그 하우징(90) 또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에 의해 선택적으로 쌍을 이룰 수 있다.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은 전방 결합 단부(94) 및 모듈 후방 하우징(70)에 록크 장착가능한 후방 장착 단부(96)을 포함한다. 다수의 단자 수용 공동(98)은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의 전방 및 후방 단부(94 및 96)의 중간으로 연장된다. 단자 수용 공동(98)은 소켓 단자(60)의 결합 단부(62) 또는 핀 단자(20)의 결합 단부(22)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구성된다.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은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의 후방 단부(96)이 전방 단부(74)에 인접한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각각의 측벽(80 및 81) 사이에 겹치게 하기 위해 외부 폭을 정하도록 서로 떨어져 배치된 반대의 측벽(100 및 101)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은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의 후방 단부(96)이 전방 단부(74)에 인접한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벽(78 및 79) 사이에 미끄러져 삽입되게 하기 위해 외부 높이를 한정하는 대향 상부 및 하부벽(102 및 103)을 포함한다.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은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의 후방 단부(96)으로부터 미끄러져 배치된 위치에서 각각의 측벽(100 및 101)로부터 캔틸레버되어 후방으로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한 록킹 래치(104 및 105)로 구성된다. 래치(104 및 105)는 각각 외부로 배치된 전방 램프 표면(106 및 107)을 포함한다. 전방 램프 표면(106 및 107) 사이에 한정된 최대 외부 폭은 보스(86 내지 89)의 후방으로 브릿징 벽(82 및 83)의 내부로 인접한 표면 사이의 내부 면적에 충분히 대응한다.
래치(104 및 105)는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제1보스(86 및 87)상의 후방으로 인접한 경사진 표면에 맞물리게 하기 위해 각각 래치(104 및 105)의 상부 및 하부 종단부와 인접한 후방으로 인접 결합 표면(108 및 109)를 포함한다. 래치(104 및 105)는 제2보스(88 및 89)의 후방으로 인접한 록킹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의 길이 방향 축에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에 배치된 록킹 표면(110 및 111)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의 후방 단부(96)은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전방 단부(74)를 향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 축 이동은 램프된 전방 표면(106 및 107)이 후방 하우징(70)상에 제1보스(86 및 87)의 전방으로 인접하여 램프된 표면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래치(104 및 105)의 내부 편향을 발생시킨다. 서로를 향하여 충분히 이동하는 전방 플러그 하우징(90)과 모듈 후방 하우징(70)은 편향가능한 래치(104 및 105)상에 후방으로 인접한 결합 표면(108 및 109)가 모듈 후방 하우징(70)에 관련하여 제1위치내의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을 장착시키기 위한 각각의 제1보스(86 및 87)상에 후방으로 인접하여 경사진 표면에 결합되게 해준다. 모듈 후방 하우징(70)으로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이 축 이동하면, 래치(104 및 105)의 전방 램프 표면(106 및 107)이 제2보스(88 및 89)의 전방으로 인접한 램프 표면과 접속됨으로써, 각각의 래치(104 및 105)의 제2내부 편향을 발생시킨다. 서로를 향해 충분히 축 이동하는 전방 플러그 하우징(90) 및 모듈 후방 하우징(70)은 래치(104 및 105)의 후방으로 인접하여 직교방향으로 배열된 록킹 표면(110 및 111)이 각각의 제2보스(88 및 89)의 후방으로 인접한 록킹 표면에 결합하게 해준다. 이 록킹 결합이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으로부터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돌발적인 분리를 방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측벽(80 및 81)의 충분한 평면 외부 구성은 래치(104 및 105)가 모듈 후방 하우징상의 보스(86 내지 89)와 서로 자유롭게 내부로 용이하게 편향되게 해준다. 그리므로, 필요한 경우에,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은 모듈 후방 하우징(7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분리는 전형적으로 손상된 단자 또는 적절하게 종단되지 않은 리이드선을 대체 또는 보수할 수 있다.
제8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은 각각의 상부벽(102 및 103)으로부터 캔틸레버된 한쌍의 편향가능한 록킹 구조물(112 및 113)을 포함한다. 록킹 구조물(112 및 113)은 후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2)의 전방 단부상에 해당 록킹 구조물을 결합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각각 전방으로 배치된 록킹 부재(114 및 115)를 포함한다.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으로부터 캔틸레버된 록킹 구조물(112 및 113)은 결합된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로부터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이 결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록킹 구조물(112 및 113)의 편향을 허용한다.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면,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는 전방 결합 단부(124) 및 후방 장착 단부(126)을 포함한다. 다수의 단자 공동(128)은 전방 및 후방 단자(124 및 126) 사이로 연장되고, 상술한 핀 또는 소켓 단자(20 또는 60)의 전방 결합 단부(22 및 62)를 수용하기 위해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는 한쌍의 대향된 측벽(130 및 131)과 한쌍의 대향된 상부 및 하부벽(132 및 133)을 포함한다.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의 후방 단부(126)과 인접한 측벽(130 및 131)에 의해 한정된 외부 면적은 후방 단부(126)이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각각의 측벽(80 및 81)상에 미끄러져 삽입된다. 유사하게,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의 후방 단부(126)과 인접한 상부 및 하부벽(132 및 133)에 의해 한전된 외부 면적은 후방 단부(126)이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상부 및 하부벽(78 및 79) 사이에 미끄러져 삽입된다.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는 측벽(130 및 131)로부터 각각 캔틸레버되고,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상의 상술한 래치(104 및 105)와 거의 동일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탄성가능한 래치(134 및 135)를 포함한다. 래치(134 및 135)는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에 관련하여 설명하고 후술한 바와 같이,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가 가각 2개의 교호 장착 위치의 모듈 후방 하우징(70)에 장착되게 한다.
측벽(130 및 131)은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의 전방 결합 단부(124)에 인접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록킹 보스(136 및 137)로 구성된다. 보스(136 및 137)은 전방으로 인접하여 램프된 표면(138 및 139) 및 후방으로 인접한 록킹 표면(140 및 141)을 각각 포함한다. 램프된 표면(138 및 139)는 상술한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상의 편향가능 래치(112 및 113)의 전단 램프된 표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후방으로 인접한 록킹 표면(140 및 141)은 전방 플러그 하우징(90) 및 결합된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를 단단하게 유지하도록 래치(112 및 113)상의 후방으로 인접한 록킹 표면(114 및 115)를 록크하여 접촉시킨다.
제11도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는 각각 상부 및 하부벽(132 및 133)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전방으로 인접하는 정지벽(142 및 143)을 포함한다. 전방으로 배향된 패널 래치(114 및 145)는 상부 및 하부벽(132 및 133)으로부터 편향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캔틸레버된다. 특히, 패널 래치(144 및 145)는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의 후방 단부(126)에 인접한 상부 및 하부벽(132 및 133)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각각의 정지벽(142 및 143)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패널 래치(144 및 145)는 각각 전방으로 인접하여 램프된 벽(146 및 147) 및 스텝되어 후방으로 인접한 록킹 벽(148 및 149)를 포함한다. 정지벽(142 및 143)과 패널 래치(144 및 145)는 패널(150)에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를 단단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는 패널 래치(114 및 115)가 내부로 편향되게 하는 패널(150)내의 적절한 애퍼추어(152)에 압력을 가한다. 패널 애퍼추어로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가 충분히 이동하면, 패널(150)은 전방으로 인접한 정지벽(142 및 143) 및 후방으로 인접하여 스텝된 록킹 벽(148 및 149) 사이에 접촉되게 해준다. 패널(150)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인접하여 스텝된 록킹 벽(148 및 149)의 특정 부분은 패널(150)의 두께에 따라 변한다.
상술한 커넥터 시스템은 모듈 후방 하우징(70)내에 핀 또는 소켓 단자(20 또는 60)의 후방 단부(24 또는 64)를 초기에 배치시킬 때에 사용된다. 특히, 후방 단부(24 또는 64)는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해당 단자 수용 공동(75)에 압력을 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핀 또는 소켓 단자(20 또는 60)의 후방 단부(24 및 64)는 서로 거의 동일하고, 각각의 핀 및 단자(20 및 60)에 대해 견고하게 제공된 후방 하우징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모듈 후방 하우징(70)은 플러그 단자(20) 또는 소켓 단자(6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핀 또는 소켓 단자(20 및 60)의 후방 단부(24 및 64)가 모듈 후방 하우징내에 장착된 후에, 적절한 전방 하우징이 장착된다. 특히, 장착된 핀 단자(20)을 갖고 있는 모듈 후방 하우징(70)은 장착된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를 가질 수 있다. 장착된 소켓 단자(60)을 갖고 있는 모듈 후방 하우징(70)은 장착된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이러한 선택적인 구성에서, 적절한 전방 하우징(90 또는 92)의 후방 단부(96 또는 126)은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전방 단부(74)로 삽입된다. 모듈 후방 하우징(70)으로 전방 하우징(90 또는 92)이 삽입 이동되면, 핀 또는 소켓 단자(20 또는 60)의 전방 결합 단부(22 및 62)는 각각 관련된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 또는 전방 플러그 하우징(92 또는 90)의 단자 수용 공동(128 및 98)로 삽입된다. 또한,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 또는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으로 모듈 후방 하우징(70)이 축 이동하면, 캔틸레버된 편향가능한 래치(134, 135 또는 104, 105)는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브릿징 벽(82 및 83) 및 관련된 측벽(80 및 81) 사이에 한정된 엔벨로프(84,85)내로 미끄러져 이동된다. 래치(134, 135 또는 104, 105)의 후방으로 인접하여 램프된 표면은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브릿징 벽(82 및 83)상의 제1보스(86 및 87)의 전방으로 인접하는 램프면에 접촉된다. 래치(134, 135 또는 104, 105)가 해당 내부 편향에 의해 충분히 축 이동하면, 래치(134, 135 또는 104, 105)상의 전방으로의 변화는 램프된 접촉면이 제1보스(86 및 87)의 해당 후방으로 인접하여 램프된 접촉면에 접촉되게 해준다. 이것은 견고하게 접촉된 플러그 또는 소켓 단자(20 및 60)에 의해 모듈 후방 하우징(70)에 관련하여 제1장착 위치내의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 또는 전방 플러그 하우징(90)을 견고하게 접촉시킨다. 제12도, 제13도,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되었으나 종단되지 않은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154 또는 156)은 후속 와이어 삽입 및 대량 종단을 위한 위치에 저장 또는 장착될 수 있다.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서브 어셈블리(154 또는 156)은 모듈 후방 하우징(70)의 후방 단부(72)내의 애퍼추어(76)내로 와이어(158)을 삽입시킴으로써 종단된다. 와이어(158)이 축 이동하면, 와이어(158)은 단자(20 및 60)의 와이어 수용 단부(24 및 64)내로 이동하게 된다. 와이어(158)이 축 이동하면, 단자(20 및 60)의 와이어 수용 단부(24 및 64)내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후방 캔틸레버된 핑거(52 내지 55)가 와이어(158)의 계속된 이동을 위해 외부로 편향되게 된다. 그러나, 캔틸레버된 핑거(52 내지 55)의 각도 배열 및 전방으로 연장되는 방위는 핑거가 와이어(158)상의 절연체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고, 모듈 후방 하우징(70)으로부터 와이어(158)의 후방 하강을 방지한다. 축 이동은 편향가능한 후방 핑거(52 내지 55)보다 측벽에 대한 큰 각을 한정하는 전방 핑거(48 내지 51)에 의해 초기에 정지된다.
와이어(158)이 모듈 후방 하우징(70) 및 장착된 단자(20 및 60)의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24 및 64)에 적절하고 완전하게 삽입된 후에, 대량 종단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모듈 후방 하우징(70)은 적절한 전방 플러그 하우징(90) 또는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에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 축 이동은 적절한 응용 세공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전방 플러그 하우징(90) 또는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에 관련하여 모듈 후방 하우징(7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각각 제2보스(88 및 89)상의 전방으로 인접하여 램프된 표면과의 결합 때문에 래치(104, 105 또는 134, 135)의 내부 편향을 발생시킨다. 충분한 축방향 이동은 래치(104, 105 또는 134, 135)상의 전방으로 인접하는 록킹 표면이 각각 제2보스(88 및 89)상의 후방으로 인접하는 록킹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하게 해준다. 전방 플러그 하우징(90) 또는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에 관련하여 제1 및 제2위치 사이의 모듈 후방 하우징(7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핀 또는 소켓 단자(20 및 60)의 와이어 수용 단부(24 또는 64)는 절첩에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4,512,619호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접촉부(36)의 절첩은 다각형 애퍼추어(44)상의 절연체 변위 연부(46)이 와이어(158)상의 절연체를 대체하고, 도체에 견고하게 접촉되도록 절첩가능한 접촉벽(38 및 39)가 내부로 유효하게 겹치게 해준다. 단자(20 및 60)의 절첩은 전방 핑거(48 내지 51)을 편향시키기에 충분한 힘으로 전방으로 각각의 와이어(158)의 단부에 압력을 가한다. 전방 핑거(48 내지 51)은 변형 방지부에 접촉되어 절연에 도움을 준다. 모듈 후방 하우징(70)상에 제2보스(88 및 89)에 의한 래치(104, 105 또는 134,135) 사이에 록킹 접촉부는 와이어(158)에 의한 접촉시 단자(20 및 60)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주요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가동된 대량 종단이 단지 구성 부품의 축방향 이동, 즉 하우징 구성 부품(70, 90 및 92) 및 와이어(158)의 축방향 이동에 관련하여 단자(20,60)의 축방향 이동을 필요로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구성 부품의 효과적인 축방향 이동은 동시에 모든 단자 및 각각의 커넥터의 모든 와이어의 대량 종단을 달성한다.
단자(20 및 60) 및 와이어(158) 사이에 형성된 전기 접속부를 초기 또는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전하지 않은 접속이 종료되거나 장착, 저장 또는 사용중에 손상을 입은 단자(20 및 60)이 종단되는 경우에, 주요 커넥터 시스템은 비교적 용이하게 보수 또는 대체된다. 특히, 전방 플러그 하우징(90) 또는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는 모듈 후방 하우징(70)상의 보스(86 내지 89)에 의해 접촉부의 내부 및 외부로 래치(104, 105 또는 134, 135)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모듈 후방 하우징(70)으로부터 용이하게 접촉되지 않게 될 수 있다. 특히, 제7도에 도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80 및 81)의 외부 표면은 충분하게 편평하게 평면형으로 구성되며, 래치(104, 105 또는 134, 135)의 내부 편향이 필요한 경우에 분리 및 적절한 보수를 용이하게 해준다.
모듈 후방 하우징(70),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 및 단자(20 또는 60)으로 형성된 전기 리셉터클 커넥터(156)은 적절한 애퍼추어(152)를 갖고 있는 패널(150)에 장착된다. 특히, 커넥터(156)은 패널(150)내의 애퍼추어(152)에서 전방으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패널 래치(144 및 145)가 내부로 편향되게 하여 패널은 편향 가능한 패널 래치(144 및 145)의 정지벽(142 및 143)과 후방으로 변하는 스텝된 록킹 벽(148 및 149) 사이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모듈 후방 하우징(70) 및 이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58)은 패널의 한 측면상에 배치된다.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의 전방 단부(124)은 패널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모듈 후방 하우징(70), 전방 플러그 하우징(90) 및 이들 사이에 접촉된 다수의 단자(20 또는 60)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54)는 패널 장착된 리셉터클 커넥터(156)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특히, 플러그 커넥터(154)는 리셉터클 커넥터(152)로 향하여 축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므로, 결합 래치(112 및 113)의 전방 단부가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상의 전방 램프된 표면(138 및 139)에 의한 접촉에 의해 외부로 편향된다. 패널로 향한 플러그 커넥터(154)의 충분한 축방향 이동은 결합 래치(112 및 113)상의 록킹 표면(114 및 115)가 결합 록크(136 및 137)상의 록킹 표면(140 및 141)에 록킹되도록 접촉시킨다. 비결합(unmating)은 서로를 향해 결합 래치(112 및 113)의 후방 단부(116 및 117)에 단지 압력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으므로, 록킹 표면(114 및 115)가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92)상의 록킹 표면(140 및 141)에 의한 접촉에서 벗어나 서로 떨어져 편향되게 한다.
요약하면,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결합가능한 전방 단부 및 동일한 후방 단부 와이어수용 단부를 갖고 있는 접철가능한 자가 종단 핀 및 소켓 단자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컨넥터 시스템은 핀 및 소켓 단자의 동일한 와이어 수용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단자 공동을 갖고 있는 모듈 후방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넥터 시스템은 제1 및 제2교호 위치내의 모듈 후방 하우징에 장착가능한 전방 플러그 하우징 및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을 포함한다. 적절한 전방 플러그 하우징 또는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은 제1위치에서 모듈 후방 하우징에 장착되고, 절연된 와이어 단자의 모듈 하우징 및 와이어 수용 단부에 삽입된다. 적절한 세공의 도움에 의해, 모듈 후방 하우징은 단자의 접촉부가 와이어상의 졀연체를 교체하고, 커넥터에 의한 전기 접촉을 달성하도록 내부로 접철하게 하는 전방 플러그 하우징 또는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을 향해 축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전방 플러그 하우징 또는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을 향하여 모듈 후방 하우징이 축방향 이동하면, 서로에 대해 제2위치내의 전방 및 후방 하우징 구성 부품을 록킹하게 보유한다.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는 모듈 후방 하우징상의 해당 래칭 구성 부품에 의한 접촉없이 내부로 전방 플러그 하우징 또는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의 래칭 부재에 단지 압력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은 패널에 리셉터클 커넥터를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한 패널 래치 부재를 포함한다. 결합 록킹 부재는 해제가능하나 패널 장착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견고한 록킹 접촉을 위해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한정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상술한 단자는 양호한 단자이나 다른 단자 구성도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양호한 단자는 다른 하우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록킹 부재에서의 변형도 가능하다.

Claims (16)

  1. 전방 결합 단부 및 후방 와이어 장착 단부를 갖고 있는 다수의 수 단자, 수 단자의 전방 결합 단부와 결합하는 전방 결합 단부 및 수 단자의 상기 와이어 장착 단부와 동일한 후방 와이어 장착 단부를 갖고 있는 다수의 암 단자 및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이들 사이에 연장되어 그 내부의 1개의 상기 단자에 장착되는 1개의 단자 수용 공동을 각각 갖고 있는 결합 절연체 리셉터클 하우징 수단 및 플러그 하우징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리셉터클 및 플러그 하우징 수단이 별도로 상호 동작하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리셉터클 및 플러그 하우징 부재가 상기 전방 단부 및 제1록킹 구조물, 암 단자와 수 단자중 1개의 단자의 전방 결합 단부와 장착되도록 그 사이에 연장되는 상기 단자 수용 공동의 한 부분을 갖고 있는 후방 장착 단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후방 리셉터클 및 플러그 하우징 부재가 각각 동일하고, 동일한 후방 하우징 부재가 모듈로 구성되고, 소정의 한 전방 하우징 부재의 후방 장착 단부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록킹 구조물과 상호 동작하는 동일한 제2록킹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후방 와이어 장착 단부와 절첩식 절연체 변위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의 후방 와이어 장착 단부가 전방 와이어 결합부, 후방 와이어 결합부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절첩식 절연체 변위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후방 하우징 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와 전기 접촉시켜서 절연체 변위 접촉부를 축방향으로 절첩시키기 위해 상기 전방 하우징 부재와 대응하여 신축 이동을 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후방 하우징 부재가 편평한 외부 표면을 갖고 있는 1개의 벽, 상기 편평한 표면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된 1개의 브릿징 벽과 상기 브릿징 벽에서 상기 편평한 표면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록킹 보스를 갖고 있는 상기 제2록킹 구조물을 포함하고, 전방 플러그 하우징 부재의 상기 제1록킹 구조물이 상기 브릿징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록킹 보스와 선택적이고 교대로 결합가능한 편향 래치를 갖게 되어, 상기 제1록킹 보스와 상기 래치중 1개의 래치가 결합되면, 상기 전방 하우징중 선택된 하우징을 상기 모듈 후방 하우징에 고착되고, 그 사이에 1개의 단자가 유지되며, 래치를 제2록킹 보스와 록킹 결합시키기 위한 위치로 선택된 전방 하우징을 이동시키면, 각각의 상기 단자의 절연체 변위 접촉부가 절첩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전방 리셉터클 및 플러그 하우징 부재가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전방 리셉터클 하우징 부재가 패널내에 형성된 애퍼추어에 록킹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7. 전방 결합 단부 및 절연된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해 다수의 측벽을 갖고 있는 전방 와이어 결합부, 그 사이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측벽을 갖고 있는 후방 와이어 결합부 및 상기 단자가 축방향으로 압축될 때에 상기 와이어와 전기 결합하는 그 사이로 연장되는 축방향 절첩식 절연체 변위부를 갖고 있는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를 포함하는 스탬프되어 형성된 금속 절첩식 절연체 변위 단자에 있어서, 와이어의 전방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전방 와이어 결합부의 상기 벽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캔틸레버식 와이어 정지 핑거 및 그 위에 절연체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후방 와이어 결합부의 상기 벽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캔틸레버식 변형 방지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식 핑거가 절연체 변위부의 접철 전후에 와이어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를 확실하게 정지시켜서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되어 형성된 금속 절첩식 절연체 변위 단자.
  8. 제7항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와이어 결합부의 상기 측벽이 장방형 단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가 전방 및 후방 와이어 결합부 사이에 연장되어 이들을 접속시키는 한 쌍의 병렬로 이격되어 배치된 절연체 변위 단자.
  9. 제8항에 있어서, 후방 와이어 결합부가 90°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와이어의 절연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4개의 변형 방지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 단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전방 결합 단부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후방 와이어 수용 단부가 장방형 단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가 결합 단부와 서로 대응하여 와이어 수용 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비평면형 거싯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 단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전방 결합 단부가 핀 단자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 단자.
  12. 제7항에 있어서, 단자의 전방 결합 단부가 소켓 단자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체 변위 단자.
  13. 절연체 변위부를 갖는 전방 결합 단부 및 후방 와이어 장착 단부를 갖고 있는 1개의 축방향으로 절첩가능한 절연체 변위 단자 및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상기 단자를 장착시키기 위해 이들 사이로 연장되는 1개의 단자 수용 공동을 갖고 있는 결합 절연체 하우징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장착하도록 그 사이로 연장하는 상기 단자 수용 공동과 별도로 상호 동작하는 제1 및 제2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수단 및 제1 및 제2교호 대응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고정 장착하기 위한 록킹 수단을 포함하고, 절연체 변위부가 배치된 와이어를 전기 접촉하도록 상기 단자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상기 하우징 부재의 이동에 응답하여 축방향으로 절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록킹 수단이 상기 제1하우징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브릿징 벽을 포함하고, 상기 브릿징 벽으로부터 나머지 상기 제1하우징 부재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보스를 갖고 있으며, 제2하우징 부재가 제1 및 제2보스와 선택적이고 교대로 결합가능한 편향 래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보스와 상기 래치의 결합부가 제1위치에 상기 하우징 부재를 고착하고, 상기 제2보스와 상기 래치의 결합부가 제2위치에 하우징 부재를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하우징 부재가 상기 하우징 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보스로부터 떨어져 상기 래치의 편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상기 보스에 대향하게 배치된 편평한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6.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의 와이어 수용 단부가 다수의 캔틸레버식 핑거를 갖고 있고, 와이어의 전방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를 한정하는 전방 와이어 결합부 및 떨어져 있는 다수의 위치에 와이어를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캔틸레버식 편향가능 변형 방지 핑거를 갖고 있는 후방 와이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로 절첩가능한 접촉벽이 전방 및 후방 와이어 결합부 중간에 배치됨으로써, 편향가능한 변형 방지 핑거가 상기 단자의 절연체 변위 접촉벽의 내부 절첩 전후로 와이어를 고착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00005659A 1989-04-20 1990-04-19 전기 커넥터 시스템 및 이의 절연체 변위 단자 KR970000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0,635 1989-04-20
US07/340,635 US4955816A (en) 1989-04-20 1989-04-20 Electrical connector system and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234A KR900017234A (ko) 1990-11-15
KR970000121B1 true KR970000121B1 (ko) 1997-01-04

Family

ID=2333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659A KR970000121B1 (ko) 1989-04-20 1990-04-19 전기 커넥터 시스템 및 이의 절연체 변위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55816A (ko)
EP (1) EP0393879B1 (ko)
JP (1) JPH07118338B2 (ko)
KR (1) KR970000121B1 (ko)
DE (1) DE69021922T2 (ko)
ES (1) ES207630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6230A (en) * 1991-04-09 1992-05-26 Molex Incorporated Coaxial cable connector
DE4216162C2 (de) * 1991-07-26 1996-04-04 Standard Establishment Mechanische Verriegelung an einer Steckverbindung zwischen einem elektrischen Schalter und einem Verbindungsstecker
US5125851A (en) * 1991-09-23 1992-06-30 Molex Incorporated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DE69205985T2 (de) * 1992-11-26 1996-04-25 Molex Inc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mit Isolierungsverdrängung.
DE69317049T2 (de) * 1993-09-18 1998-07-23 Molex Inc Flacher Schneidklemmkontakt für elektrische Verbinder
JP2597289Y2 (ja) * 1993-11-08 1999-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6203293B1 (en) * 1997-06-04 2001-03-20 Asmo Co., Ltd. Electric fan apparatus,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intermediate terminal
DE19834203A1 (de) * 1998-07-29 2000-02-03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Zweiteiliges Gehäuse für einen elektrischen Verbinder
TWI353431B (en) * 2008-11-21 2011-12-01 Au Optronics Corp Back light unit and lamp socket thereof
WO2013039657A2 (en) * 2011-09-14 2013-03-21 Interplex Industries, Inc. Large deflection constrained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and connector
SE536777C2 (sv) * 2012-12-10 2014-08-05 Scania Cv Ab Elektrisk kopplingsanordning för en maskin
EP2892114B1 (en) 2013-12-11 2018-11-14 LG Innotek Co., Ltd. Motor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a moto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19060C3 (de) * 1971-04-20 1979-07-12 Bunker Ramo Corp., Oak Brook, Ill. (V.St.A.) Steckverbindung
FR2358676A1 (fr) * 1976-07-13 1978-02-10 Labo Electronique Physique Dispositif d'affichage d'information comportant une cellule de cristal liquide
US4445748A (en) * 1980-04-03 1984-05-01 Amp Incorporated Mass termination of densely grouped conductors
GB2124041B (en) * 1982-07-23 1985-11-27 Molex Inc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nvironmental sealing means therefor
DE3376242D1 (en) * 1982-07-23 1988-05-11 Molex Inc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nvironmental sealing means therefor
JPS6019111A (ja) * 1983-07-13 1985-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分配器
US4713021A (en) * 1985-05-17 1987-12-15 Amp Incorporated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using same
US4708662A (en) * 1986-06-20 1987-11-24 Amp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with pre-staged terminal re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1922D1 (de) 1995-10-05
EP0393879B1 (en) 1995-08-30
KR900017234A (ko) 1990-11-15
EP0393879A2 (en) 1990-10-24
US4955816A (en) 1990-09-11
EP0393879A3 (en) 1992-03-04
ES2076307T3 (es) 1995-11-01
DE69021922T2 (de) 1996-04-18
JPH02299181A (ja) 1990-12-11
JPH07118338B2 (ja)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6596A (en) Stress relief apparatus for electrical connectors
US4915641A (en) Modular drawer connector
KR100231122B1 (ko) 개선된 배치 수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
EP0702429B1 (en) Polarizing system for a blind mat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232288B1 (en) High durability drawer connector
EP0561405B1 (en) Hybrid input/output connector having low mating force and high cycle life and contacts and latching system therefor
EP0907221A2 (en) Cable interconnection
KR970000121B1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및 이의 절연체 변위 단자
US20100048054A1 (en) Connector
US6435891B1 (en) Mechanically assisted blind mate electrical connector
JPH04277471A (ja) 電線用コネクタ
US4737888A (en) Receptacle assembly and mounting bracket for circuit board connections
US20230387627A1 (en) Poke-in wire connector for power connector assembly
JP2595011Y2 (ja) ソケット型多極コネクタ
JPH01232680A (ja) 圧着コネクタ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US6428366B1 (en) Electrical terminal socket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S63138678A (ja) 電気コネクタ
JPH09289059A (ja) コネクタ
EP0510229B1 (en)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ve latch
US6394855B1 (en) In-line multi-plug self-aligning connector
GB2248528A (en) Wire-to-wire shielded electrical connecting means
JPH05211071A (ja) 電気コネクタの圧接端子
US11539154B2 (en) Power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
US20240006779A1 (en) Direct Wire Contact
WO2008045922A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oci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