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701558A - 칼라 구성을 결정하는 비디오 밀도계의 장치와 방법(Video densitometer with determination of color composition) - Google Patents

칼라 구성을 결정하는 비디오 밀도계의 장치와 방법(Video densitometer with determination of color com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701558A
KR960701558A KR1019950703287A KR19950703287A KR960701558A KR 960701558 A KR960701558 A KR 960701558A KR 1019950703287 A KR1019950703287 A KR 1019950703287A KR 19950703287 A KR19950703287 A KR 19950703287A KR 960701558 A KR960701558 A KR 960701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ensity
calculating
video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엠. 자이글러 다니엘
엘. 폴쎈 로렌스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에프 와일러
리써치 디벨롭먼트 파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에프 와일러, 리써치 디벨롭먼트 파운데이션 filed Critical 제임스 에프 와일러
Publication of KR96070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15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01N21/5907Densitometers
    • G01N21/5911Densitometers of the scanning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90Plate chromatography, e.g. thin layer or paper chromatography
    • G01N30/95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ignal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주된 표본의 불규칙하게 형성된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 또는 회색 스케일의 측정은 상기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얻도록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변경된 저가의 고속 비디오 디지탈화기는 상기 비디오 영상 신호를 디지탈 포맷으로 변환시키며, 이 디지탈 포맷을 상호작용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표본에서 각각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영역의 순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데 사용된 디지탈 광학 밀도 값으로 변환시킨다.

Description

칼라 구성을 결정하는 비디오 밀도계의 장치와 방법(Video densitometer with determination of color composition)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Claims (54)

  1.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로서,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수단; 강도를 나타내는 상기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spot)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비디오 포맷 영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를 계산하는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의 각각을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상기 수단이 칼라 또는 흑백 비디오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수단이 흑백 비디오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수단이 칼라 비디오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5.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로서,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 적어도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의 일부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디지탈 값을 저장하는 수단; 상기 저장된 디지탈 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보다 더 늦은 비율로 컴퓨터에 송신하는 수단;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비디오 포맷 영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를 계산하는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의 각각을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상기 수단이 흑백 또는 칼라 비디오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수단이 흑백 비디오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수단이 칼라 비디오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9.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 결정 방법으로서,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하나 또는 그 이상의스포트 밀도 계산을위해 표시된 비디오 포맷 영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의 각각을 표시하는 단계를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상기 단계가 칼라 또는 흑백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상기 단계가 고속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단계가 흑백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단계가 칼라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내에 위치하는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택된 각 영역내의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고 그로부터 상기 배경 밀도값 중 하나를 감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16.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 결정 방법으로서, 명암 강도 기준을 갖고 표본에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디지탈 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보다 더 낮은 비율로 컴퓨터에 송신하는 단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한 영역에 대해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스포트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비디오 포맷 영상의 한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상기 단계가 칼라 또는 흑백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가 고속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단계가 흑백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잇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단계가 칼라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영역내에 위치하는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소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택된 영역내의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고 그로부터 상기 배경 밀도값을 감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23. 불규칙적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명암 강도 기준을 갖고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이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의 적어도 실질적인 부분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영역에 대해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표시된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제1 및 제2수평 좌표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수직 레인(lane)을 선택하는 단계; 각 레인 밀도값이 각 레인내 밀도의 주어진 수평선에 대한 디지탈 밀도값의 합을 나타내는, 다수의 레인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각 선택된 수직 레인에 대한 상한 및 하한 수직 좌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레인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24.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명암 강도 기준을 갖고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의 적어도 실질적인 부분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표시된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제1 및 제2수직 좌표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수평 열(row)을 선택하는 단계; 각 열의 밀도값이 각 열내 밀도의 주어진 수직선에 대한 디지탈 밀도값의 합을 나타내는, 다수의 열의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각 선택된 수평 열에 대한 좌측 및 우측 수평 좌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열의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25.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로서,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수단;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수단; 표본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표본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표본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라 구성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칼라 구성 밀도값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26.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경정하는 장치로서,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수단;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수단;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수단;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비디오 포맷 영상의 하나 또는 그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선택된 비디오 포맷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이상의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상기 선택된 비디오 포맷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라 구성 밀도를 계산하는 수단;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의 각각을 표시하는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칼라 구성 밀도값의 각각을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상기 수단이 칼라 비디오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수단이 흑백 비디오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수단이 칼라 비디오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30.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로서,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의 적어도 실질적인 부분을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저장된 디지탈 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보다 더 늦은 비율로 컴퓨터에 송신하는 수단;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수단;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비디오 포맷 영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라 구성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 각각을 표시하는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칼라 구성 밀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상기 수단이 칼라 비디오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수단이 흑백 비디오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복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수단이 칼라 비디오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킬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34.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비디오 포맷 영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한 또는 그 이상의 칼라 구성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 각각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칼라 구성 밀도값의 하나 돈느 그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상기 단계가 칼라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상기 단계가 고속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단계가 흑백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단계가 칼라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39. 제36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내에 위치하는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택된 각 영역내의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고 그로부터 상기 배경 밀도값 중 하나를 감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라 구성 밀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택된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라 구성에 대한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고 그로부터 상기 배경 밀도값 중 하나를 감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42.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적어도 실질적인 부분을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화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디지탈 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보다 더 낮은 비율로 컴퓨터에 송신하는 단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영역에 대해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스포트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비디오 포맷 영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칼라 구성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칼라 구성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상기 단계가 칼라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의 적어도 실질적인 부분을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상기 단계가 고속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단계가 흑백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표본의 비디오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단계가 칼라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47. 제44항에 있어서,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과 관련된 영역내에 위치하는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택된 영역내의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고 그로부터 상기 배열 밀도값을 감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포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49.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로서,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칼라 비디오 카메라로 유도하는 수단; 디지탈 밀도값의 양호한 수가 0과 같은 때까지 비디오 영상의 어두운 강도 한계치 바이어스(threshold bias)를 변경하는 아날로그 전압 수단을 조절하면서 0과 같은 디지탈 밀도값의 수를 반복적으로 세어 비디오 영상의 어두운 강도를 흑색 레벨로 레벨 조절하는 수단; 비디오 신호 명암 강도 기준이 레벨 조절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 강도 범위를 정의하는 점에서, 디지탈 밀도값의 양호한 수가 최고 디지탈 값과 같을 때까지 비디오 영상의 밝은 강도 한계치 바이어스를 변경하는 아날로그 전압 수단을 조절하면서 최고 디지탈 값과 같은 디지탈 밀도값의 수를 반복적으로 세어 비디오 영상의 밝은 강도를 백색 레벨로 베벨 조절하는 수단; 레벨 조절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고속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이용해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디지탈 값을 저장하는 수단; 상기 저장된 디지탈 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보다 더 늦은 비율로 컴퓨터에 송신하는 수단;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디지탈 밀도값을 근거로 표본의 디지탈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수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디지탈 포맷 영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과 각각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과 각각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수단;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각 영역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라 구성 밀도를 계산하는 수단;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 각각을 표시하는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칼라 구성 밀도값 각각을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장치.
  50.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명암 강도 기준을 갖고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 디지탈 밀도값의 양호한 수가 0과 같을 때까지 비디오 영상의 어두운 강도 한계치 바이어스를 변경하는 아날로그 전압 수단을 조절하면서 0과 같은 디지탈 밀도값의 수를 반복적으로 세어 비디오 영상의 어두운 강도를 흑색 레벨로 레벨 조절하는 단계; 비디오 신호 명암 강도 기준이 레벨 조절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 강도 범위를 정의하는 점에서, 디지탈 디지탈 밀도값의 양호한 수가 최고 디지탈 값과 같을 때까지 비디오 영상의 밝은 강도 한계치 바이어스를 변경하는 아날로그 전압 수단을 조절하면서 최고 디지탈 값과 같은 디지탈 밀도값의 수를 반복적으로 세어 비디오 영상의 밝은 강도를 백색 레벨로 레벨 조절하는 단계; 레벨 조절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디지탈 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보다 더 늦은 비율로 컴퓨터에 송신하는 단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는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밀도값을 근거로 표본의 디지탈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스포트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디지탈 포맷 영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하나 또는 그이상의 칼라 구성 밀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된 칼라 구성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51.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명암 강도 기준을 갖고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 디지탈 밀도값의 양호한 수가 0과 같을 때까지 비디오 영상의 어두운 강도 한계치 바이어스를 변경하는 아날로그 전압 수단을 조절하면서 0과 같은 디지탈 밀도값의 수를 반복적으로 세어 비디오 영상의 어두운 강도를 흑색 레벨로 레벨 조절하는 단계; 비디오 신호 명암 강도 기준이 레벨 조절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 강도 범위를 정의하는 점에서, 디지탈 밀도값의 양호한 수가 최고 디지탈 값과 같을때까지 비디오 영상의 밝은 강도 한계치 바이어스를 변경하는 아날로그 전압 수단을 조절하면서 최고 디지탈 값과 같은 디지탈 밀도값의 수를 반복적으로 세어 비디오 영상의 밝은 강도를 백색 레벨로 레벨 조절하는 단계; 저 해상도 모드가 레벨 조절을 위해 사용되고 고 해상도 모드가 데이타 수집을 위해 사용되는 점에서,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고속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이용해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값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는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밀도값을 근거로 표본의 디지탈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스포트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디지탈 포맷 영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배경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스포트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영역에 대히 칼라 구성 밀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칼라 구성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52.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명암 강도 기준을 갖고 표본과 관련된 빛의 광학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 디지탈 밀도값의 양호한 수가 0과 같을 때까지 비디오 영상의 어두운 강도 한계치 바이어스를 변경하는 아날로그 전압 수단을 조절하면서 0과 같은 디지탈 밀도값의 수를 반복적으로 세어 비디오 영상의 어두운 강도를 흑색 레벨로 레벨 조절하는 단계; 비디오 신호 명암 강도 기준이 레벨 조절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 강도 범위를 정의하는 점에서, 디지탈 밀도값의 양호한 수가 최고 디지탈 값과 같을 때까지 비디오 영상의 밝은 강도 한계치 바이어스를 변경하는 아날로그 전압 수단을 조절하면서 최고 디지탈 값과 같은 디지탈 밀도값의 수를 반복적으로 세어 비디오 영상의 밝은 강도를 백색 레벨로 레벨 조절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 신호를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의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 강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을 강도의 역을 계산하고 상기 역값의 log10값을 계산하여 밀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밀도값을 근거로 표본의 디지탈 포맷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스포트 밀도 계산을 위해 표시된 디지탈 포맷 영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선택된 영역의 왼쪽 및 오른쪽 수직 모서리상에 위치하는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고, 상기 왼쪽 및 오른쪽 수직 모서리 밀도의 합을 합산된 디지탈 밀도값의 수로 나누고, 상기 선택된 영역내에 포함된 디지탈 밀도값의 수를 곱하여 배결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스포트 밀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포맷 영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해 칼라 구성 밀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스포트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칼라 구성 밀도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스포트 밀도를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택된 영역내의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고 상기 배경 밀도값을 감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칼라 구성 밀도를 계산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택된 영역내에 상기 칼라 구성과 관련된 디지탈 밀도값을 합산하고 그로부터 상기 배결 밀도값을 감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주된 표본 빛 흡수 영역의 집적된 칼라 구성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703287A 1993-02-04 1994-02-03 칼라 구성을 결정하는 비디오 밀도계의 장치와 방법(Video densitometer with determination of color composition) KR9607015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13,515 1987-02-11
US1351593A 1993-02-04 1993-02-04
PCT/US1994/001305 WO1994018800A1 (en) 1993-02-04 1994-02-03 Video densitometer with determination of color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1558A true KR960701558A (ko) 1996-02-24

Family

ID=2176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287A KR960701558A (ko) 1993-02-04 1994-02-03 칼라 구성을 결정하는 비디오 밀도계의 장치와 방법(Video densitometer with determination of color composition)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746945A4 (ko)
JP (1) JPH08506896A (ko)
KR (1) KR960701558A (ko)
AU (1) AU685087B2 (ko)
CA (1) CA2155437A1 (ko)
FI (1) FI953711A (ko)
NO (1) NO952947L (ko)
NZ (1) NZ262032A (ko)
WO (1) WO1994018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341Y1 (ko) * 1995-05-04 1998-12-15 구자홍 캠코더용 액정모니터부의 빛가리개
US7062077B1 (en) 1999-10-29 2006-06-13 Helena Laboratories Corporation Scanner densitometer and data evaluation method
EP1096252A3 (en) * 1999-10-29 2002-01-02 Helena Laboratories Corporation Scanner densitometer and data evaluation method
JP5750301B2 (ja) * 2011-04-28 2015-07-22 山善株式会社 分取液体クロマトグラフ装置
JP6566660B2 (ja) * 2015-03-04 2019-08-28 山善株式会社 薄層クロマトグラフ用分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5108A (en) * 1974-01-18 1977-03-29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hysical parameters of selected objects
US3999047A (en) * 1972-09-05 1976-12-21 Green James E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color algebra for analyzing scene regions
US3911212A (en) * 1974-07-30 1975-10-07 Toyo Ink Mfg Co Threshold device for converting video signal to binary video signals and method of determining threshold level
US3922532A (en) * 1975-03-14 1975-11-25 Artek Syst Corp Cell counter
US4320415A (en) * 1979-06-14 1982-03-16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phoretic mobility of cells
JPS5661650A (en) * 1979-10-24 1981-05-27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nalyzing device of cell
US4592089A (en) * 1983-08-15 1986-05-27 Bio Image Corporation Electrophoretogram analytical image processing system
EP0151974A3 (en) * 1984-01-27 1987-05-0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pot quantitation
US4741043B1 (en) * 1985-11-04 1994-08-09 Cell Analysis System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mage analyses of biological specimens
US4845552A (en) * 1987-08-20 1989-07-04 Bruno Jaggi Quantitative light microscope using a solid state detector in the primary image plane
US5194949A (en) * 1990-01-16 1993-03-16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Video densitometer
DE69021191T2 (de) * 1990-01-16 1995-12-07 Res Dev Foundation Videodensit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4018800A1 (en) 1994-08-18
EP0746945A4 (en) 1997-08-27
AU6133994A (en) 1994-08-29
FI953711A0 (fi) 1995-08-03
NO952947L (no) 1995-09-18
NZ262032A (en) 1997-10-24
AU685087B2 (en) 1998-01-15
JPH08506896A (ja) 1996-07-23
NO952947D0 (no) 1995-07-25
CA2155437A1 (en) 1994-08-18
EP0746945A1 (en) 1996-12-11
FI953711A (fi) 199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nney A method for estimating windbreak porosity using digitized photographic silhouettes
Endlich et al. An automatic method for determining the mixing depth from lidar observations
CA1173179A (en) Write and edit circuitry for electronic marking of displayed tv signal images
KR920005020A (ko) 수서 정보의 기계적 판독을 위한 개선된 분할 프로세스
JPH04213965A (ja) 写真再生のためのカラー修正方法及び装置
JP2009192332A (ja) 3次元処理装置における3次元データ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3次元処理装置
Zobel Sensitivity analysis of computer‐based diameter measurement from digital images
KR960701558A (ko) 칼라 구성을 결정하는 비디오 밀도계의 장치와 방법(Video densitometer with determination of color composition)
US4959869A (en) Method for determining binary coding threshold value
US4911551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eal or virtual distance of a light source from a measurement plane
CA1145069A (en) Automatic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analysing apparatus
Maalen-Johansen Precision of subpixel measurements in videometry
JPH08106534A (ja) 移動物体検出装置
DE69021191T2 (de) Videodensitometer.
ATE29587T1 (de) Farbdichtemessgeraet.
JPS6223353B2 (ko)
EP0288132B1 (en) System for digitizing the trajectory of a target point of a moving beam
KR870000631B1 (ko) 피구(皮丘)면적의 측정장치
Shippey et al. Shade correction of side-scan sonar imagery by histogram transformation
JPS6180961A (ja) 画信号処理方法
SE7904466L (sv) Sett och anordning for kompaktering av teckendata vid fotosettning
Morita Visual Characteristics of Tanakas Relief Representation Method Through Observation of Eye Movement
CN1338616A (zh) 景深简易测试方法及装置
KR900006529Y1 (ko) 주사기용 커서 인식 장치
SU658410A1 (ru) Способ регистрации оптических изображ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