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36970A -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36970A
KR960036970A KR1019950008378A KR19950008378A KR960036970A KR 960036970 A KR960036970 A KR 960036970A KR 1019950008378 A KR1019950008378 A KR 1019950008378A KR 19950008378 A KR19950008378 A KR 19950008378A KR 960036970 A KR960036970 A KR 960036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oe
filling tube
space
ai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조
Original Assignee
임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조 filed Critical 임성조
Priority to KR101995000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36970A/ko
Publication of KR960036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970A/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방부위에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안착공간(110)이 형성되고 전방부위에는 통로형성돌편(120)으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공기순환경로(121)가 구비된 바닥창(100)과, 상기 안착공간(110)에 안착되어 발뒷굼치의 충격을 흡수 완화하며 양단부가 서로 만나지 않은 상태에서 전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한 형상으로 구부려진 공기충진튜브(200)와, 상기 공기충진튜브(200)가 안착공간(110)에 안착되면 바닥창(100)의 상면에 기밀하게 적층되어 펌핑공간(300)을 형성하는 안창(400)으로 구성하여, 사용시 발뒷굼치에 힘이 작용되면 펌핑공간(300)에 거주하는 공기가 공기형성돌편(120)의 공기순환경로(121)를 따라 바닥창(100)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공기는 발뒷굼치의 힘이 해제되면 공기충진튜브(20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다시 펌핑공간(300)으로 모이면서 발의 충격을 흡수 환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본구조를 보여 주는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가)는 체중이 작용되지 아니한 상태도, 나)는 체중이 작용된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품의 단면구조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평면적인 바닥창과의 관계도이고, 나)는 단면적인 바닥창과의 관계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요부분품에 대한 예시도로서, 가)는 부품의 평면도, 나)는 부품의 단면구조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요부분품에 대한 예시도로서, 가)는 부품의 평면도, 나)는 부품의 단면구조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의 조립관계 및 작용상태도, 제9도 (가)(나)(다)(라)(마)(바)(사)는 본 발명에 의한 주요부분품에 대한 평면적인 예시도, 제10도 (가)(나)(다)(라)는 본 발명에 의한 주요부분품들간의 조립 배치관계를 보여 주는 평면적인 예시도, 제11도 (가)(나)(다)(라)는 본 발명에 의한 주요부분품을 구성하는 일부요소구조를 보여주는 단면적인 예시도.

Claims (36)

  1. 신발을 구성하는 바닥창에 별도부품인 공기충진튜브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공간과, 공기를 유도시킬 수 있는 공기순환경로를 갖추어 바닥창을 구비함과, 상기 바닥창에 공기충진튜브를 안착시키고 그위에 중창(또는 안창)을 덧씌우므로서 공기충진튜브와 바닥창으로부터 공기의 출입에 의한 공기펌핑공간이 형성유지됨과, 해당 공기펌핑공간부위에 체중에 의해 압력이 작용되면 공기가 출입되면서 상기 공기순환경로를 통하여 신발내부의 공기가 순화기능을 갖도록 구비함과, 공기충진튜브로 하여금 완충기능을 수행토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창(100)의 전방부위에 돌편(121)으로 하여금 공기펌핑공간(300)으로부터 펌핑된 공기가 유도될 수 있도록 공기순환경로(1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바닥창(100)과 공기충진튜브(200)의 조립으로 형성되는 공기펌핑공간(300)에 대한 공기의 출입을 위해 관제형의 공기유도관(212)을 갖추어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공기펌핑공간(300)에 공기출입을 위한 통로를 터널형식의 공기통로(211)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의 조립으로 형성유지되는 공기펌핑공간 (300)이 한개이상으로 구획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를 보조공기충진부(210)로 하여금 바닥창(100)에 조립 하였을때 형성유지되는 다수의 구획되는 공간중 2개 이하의 공간을 공기펌핑공간(100)으로 작용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는 하나 이상의 공기가 충진된 밀폐공간을 가지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를 일체의 합성수지제로 제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를 바닥창(100)에 조립하였을때 바닥창(100)외곽으로 한개 이상의 노출부(202)를 갖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바닥창(100) 외곽으로 노출된 부위의 공기충진튜브(200)는 투명소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는 한가지 색상 이상으로 구성되어 외관적으로 투시 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는 평면상 삼방향이 막히고 일방향만이 개방된 구조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는 말굽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바닥창(100)의 안착공간(110)에 공기충진튜브(200)를 안착시키면 최소한 공기펌핑공간(300)으로 작용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신축성 있는 것으로 구비된 것을 신발의 완충/공기순화장치.
  15. 제1항에 이써서, 공기충진튜브(200)를 바닥창(100)에 조립하였을때 체중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자바라(250) 구조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화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에는 그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공간과 보조밀폐공간(500)이 같이 존재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로 하여금 형성유지되는 공기펌핑공간 (300)의 가장자리 부위가 주위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부(2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공기펌핑공간(300)의 공기출입통로에 공기의 유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2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화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공기펌핑공간(300)에 대해 공기입입통로와 공기배출통로를 별도로 갖추어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20. 제1항에 이써서, 공기펌핑능력을 갖춘 공기펌핑공간(300)이 신발의 전방부위와 뒷굼치부위에 구비되도록 갖추어진 공기충진튜브(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21. 제1항에 이써서, 공기충진튜브(200)를 제조함에 있어서 공기충진상태에서 하나의 연통된 공기충진공간을 성형시킨 후 2차 융착가공에 의해 구획접착부(201)로 하여금 다수의 밀폐된 공기충진공간으로 구획되게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공기펌핑공간(300)으로부터 펌핑되는 공기의 유도통로가 펌핑공간보다 좁은 통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의 형태유지를 위해 형성되는 오목접착부(230)는 공기충진튜브(200)의 높이에 대칭된 구조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오목접착부(230)는 원호형 접착구조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오목접착부(230)는 주름진 자바라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오목접착부(230)는 사다리꼴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오목접착부(230)는 원통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공기펌핑공간(300)에 출입되는 공기는 신발내부로부터 인입되어 다시 신발내부에 펌핑될 수 있게 공기순환경로(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공기순환경로(120)를 별도의 공기유도관(212)으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30. 제1항에 있어서, 공기펌핑공간(300)에 신발 외부공기가 인입되어 신발내부에 펌핑될 수 있게 공기순환경로(120)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공기순환경로(120)를 별도로 공기유도관(212)으로 조립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공기펌핑공간(300)에 신발 내부공기가 인입되어 신발외부로 펌핑될 수 있도록 공기순환경로(12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신발 내부공기가 바닥창(100)의 돌편(121)으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순환경로(120)로 공기펌핑공간(300)에 공기가 인입되도록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화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공기펌핑공간(300)으로부터 펌핑되는 공기가 공기유도관(212)으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순환경로(120)를 경우하여 신발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공기유도관(212)의 선단부에 공기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213)가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36. 제1항에 있어서, 공기충진튜브(200)는 평면상 도너츠형태이면서 어느 한 곳 이상의 위치에 공기펌핑공간(300)과 공기의 출입이 가능토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08378A 1995-04-11 1995-04-11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KR960036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378A KR960036970A (ko) 1995-04-11 1995-04-11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378A KR960036970A (ko) 1995-04-11 1995-04-11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970A true KR960036970A (ko) 1996-11-19

Family

ID=6655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378A KR960036970A (ko) 1995-04-11 1995-04-11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369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31A (ko) * 2000-05-02 2000-08-05 박종화 충격흡수돌기가 구비되고 아웃솔과 미드솔이 일체로이루어지는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WO2005004657A1 (en) * 2003-07-12 2005-01-20 E & O Korea Co., Ltd. Pumping device of shoes
KR100799383B1 (ko) * 2006-09-01 2008-01-30 김옥태 신발
KR20230001062A (ko) * 2021-06-25 2023-01-04 삼덕통상 주식회사 아웃솔 구조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31A (ko) * 2000-05-02 2000-08-05 박종화 충격흡수돌기가 구비되고 아웃솔과 미드솔이 일체로이루어지는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WO2005004657A1 (en) * 2003-07-12 2005-01-20 E & O Korea Co., Ltd. Pumping device of shoes
US7395615B2 (en) 2003-07-12 2008-07-08 Pispos Co., Ltd. Pumping device of shoes
KR100799383B1 (ko) * 2006-09-01 2008-01-30 김옥태 신발
KR20230001062A (ko) * 2021-06-25 2023-01-04 삼덕통상 주식회사 아웃솔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3865B1 (ko) 신발류용 에어백
EP1916918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pherical support elements
CN102202537B (zh) 具有支撑组件的鞋类物品
US7748141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ies having elastomeric support columns
KR0140071B1 (ko) 반응 에너지 유체 충전 토로이드 장치를 갖춘 신발 창
US5771611A (en) Transparent, lighted sole construction
US5979078A (en) Cushioning device for a footwear so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960013827B1 (ko) 뒷꿈치에 탄성삽입물이 들어있는 운동화
US5901467A (en) Shoe construction including pneumatic shock attenuation members
US6848201B2 (en) Shock absorption system for a sole
US4918841A (en) Athletic shoe with improved midsole
KR100614503B1 (ko) 완충 장치가 내장된 신발
KR20200009056A (ko) 등급화된 응답을 갖는 중창
CO4830463A1 (es) Sistema absorbente de impactos para calzado
JP3517168B2 (ja) 靴底の緩衝構造
KR20030063363A (ko) 스프링 쿠션 신발의 유체유동 시스템
EP0571103B1 (en) Mid-sole or sole of shoes
KR960036970A (ko) 신발의 완충/공기순환장치
KR100907740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EP0298449A2 (en) Tubular cushioning system for shoes
KR200146192Y1 (ko)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KR100397304B1 (ko) 신발 구조체
RU2180792C2 (ru) Объемная воздушная прокладка для союзки ботинка (варианты)
JPH0420606B2 (ko)
KR102220593B1 (ko)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