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33132A -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33132A
KR960033132A KR1019950003277A KR19950003277A KR960033132A KR 960033132 A KR960033132 A KR 960033132A KR 1019950003277 A KR1019950003277 A KR 1019950003277A KR 19950003277 A KR19950003277 A KR 19950003277A KR 960033132 A KR960033132 A KR 960033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layer
encoding
vertical
motion vector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5741B1 (ko
Inventor
권순각
김재균
안치득
Original Assignee
양승택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0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741B1/ko
Publication of KR96003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04N19/517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한 두 계층의 부호화구조에서 하위계층의 화면을 상위계층의 화면으로 상향변환할 경우에 하위계층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는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간용 이동벡터를 간편하게 얻으며 또한 부가적인 이동벡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위계층에서 부호화되는 이동벡터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보상 상향변환을 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위계층으로부터 부호화정보화 복호화된 화면을 입력받으면 하위계층에서 복호화된 화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형보간하는 제1단계 (31,32); 상기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보상 보간하는 제2단계(33 내지 38); 및 수직 재표본화를 수행하여 상향변환된 화면을 출력하는 제3단계(39,40)를 포함하여 보간용 이동벡터를 간편하게 얻으며 또한 부가적인 이동벡터를 전송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 보상 상향변환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구성도,
제2도는 상향변환 과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Claims (12)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고해상도 화면을 하향 변환하는 하향 변환 수단(11); 상기 하향 변환 수단(11)의 출력을 입력받아 부호화 및 국부 복호화하는 하위계층 부호화 수단(12); 상기 하위계층 부호화 수단(12)으로부터 국부 복호화된 화면을 입력받아 상향 변환하는 상향변환 수단(13); 외부로부터 고해상도 화면을 입력받고 상기 상향 변환 수단(13)으로부터 상향 변환된 화면을 입력받아 부호화하는 상위계층 부호화 수단(14); 및 상기 상ㆍ하위계층 부호화 수단(12,14)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중화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다중화 수단(15)을 구비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하위계층으로부터 부호화정보와 복호화된 화면을 입력받으면 하위계층에서 복호화된 화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형보간하는 제1단계(31,32); 상기 제1단계(31,32) 수행 후, 상기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보상 보간하는 제2단계(33 내지 38); 및 상기 제2단계 (33 내지 38) 수행 후,수직 재표본화를 수행하여 상향변환된 화면을 출력하는 제3단계(39,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33 내지 38)의 부호화 정보는, 이동벡터의 방향성과 이동벡터의 갯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장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3. 제1항이 있어서, 상기 제2단계(33 내지 38)는, 하위계층에서 이동벡터가 부호화되는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33); 상기 제4단계(33) 수행 후, 하위계층에서 이동벡터가 부호화되지 않으면 현재화면내에서 수직방향 선형보간하는 제5단계(34); 및 상기 제4단계(33) 수행 후, 하위계층에서 이동벡터가 부호화되면 하위계층의 이동벡터를 선형변환하여서 현재 프레임의 두 필드 서로간의 수직보간용 이동벡터를 구한 후에 수직보간용 이동벡터의 수직변위가 짝수이면 이웃한 필드로부터 이동보상 수직보간을 하고, 수직보간용 이동벡터의 수직변위가 짝수가 아니면 이웃한 필드로부터 이동변위에 이웃한 수직화소들을 이용하여 선형 수직보간하는 제6단계(35 내지 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35 내지 38)의 하위계층의 이동벡터를 선형변환하는 과정은, 하위계층의 부호화 이동벡터의 방향성 (순방향 또는 역방향)과 이동벡터의 개수 (프레임 또는 필드 이동벡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35 내지 38)의 이동보상 수직보간은, 이동벡터가 부호화될 때 현재 매크로블럭(51,52)의 이동보산상 예측 매크로블럭(56,57,58)으로부터의 직접적 이동보상 수직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35 애지 38)의 이웃한 필드로부터 이동변위에 이웃한 수직화소들을 이용하여 선형 수직보간하는 과정은, 위화소와 아래화소를 평균 값으로 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 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7.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고해상도 화면을 하향 변환하는 하향 변환 수단(11); 상기 하향 변환 수단(11)의 출력을 입력받아 부호화 및 국부 복호화하는 하위계층 부호화 수단(12); 상기 하위계층 부호화 수단(12)으로부터 국부 복호화된 화면을 입력받아 상향 변환하는 상향 변환 수단(13); 외부로부터 고해상도 화면을 입력받고 상기 상향 변환 수단(13)으로부터 상향 변환된 화면을 입력받아 부호화하는 상위계층 부호화 수단(14); 및 상기 상ㆍ하위계층 부호화 수단(12,14)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중화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다중화 수단(15)을 구비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하위계층으로부터 부호화정보와 복호화된 화면을 입력받아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보상 보간하는 제1단계(31,33 내지 38); 상기 제1단계(33 내지 38) 수행후, 수평방향으로 선형보간하는 제2단계(32); 및 상기 제2단계(32) 수행 후, 수직 재표본화를 수행하여 상향변환된 화면을 출력하는 제3단계(39,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 보상 상향변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31,33 내지 38)의 부호화 정보는, 이동벡터의 방향성과 이동벡터의 갯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31,33 내지 38)는, 하위계층에서 이동벡터가 부호화되는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33); 상기 제4단계(33) 수행 후, 하위계층에서 이동벡터가 부호화되지 않으면 현재화면내에서 수직방향 선형보간하는 제5단계(34); 및 상기 제4단계(33) 수행 후, 하위계층에서 이동벡터가 부호화되면 하위계층의 이동벡터를 선형변환하여서 현재 프레임의 두 필드 서로간의 수직보간용 이동벡터를 구한 후에 수직보간용 이동벡터의 수직변위가 짝수이면 이웃한 필드로부터 이동부상 수직보간을 하고, 수직보간용 이동벡터의 수직변위가 짝수가 아니면 이웃한 필드로부터 이동변위에 이웃한 수직화소들을 이용하여 선형 수직보간하는 제6단계(35 내지 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35 내지 38)의 하위계층의 이동벡터를 선형변환하는 과정은, 하위계층의 부호화 이동벡터의 방향성(순방향 또는 역방향)과 이동벡터의 갯수(프레임 또는 필드 이동벡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 (35 내지 38)의 이동보상 수직보간은, 이동벡터가 부호화될 때 현재 매크로 블록(51,52)의 이동보상 예측 매크로블럭(56,57,58)으로부터의 직접적 이동보상 수직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35 내지 38)의 이웃한 필드로부터 이동변위에 이웃한 수직화소들을 이용하여 선형 수직보간하는 과정은, 위화소와 아래화소를 평균한 값으로 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03277A 1995-02-20 1995-02-20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KR0175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277A KR0175741B1 (ko) 1995-02-20 1995-02-20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277A KR0175741B1 (ko) 1995-02-20 1995-02-20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132A true KR960033132A (ko) 1996-09-17
KR0175741B1 KR0175741B1 (ko) 1999-05-01

Family

ID=1940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277A KR0175741B1 (ko) 1995-02-20 1995-02-20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7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678A (ko) * 1997-06-05 1999-01-25 샤운 엘. 맥클린토크 입력 비디오 시퀀스를 스케일링하고 복원하기 위한 방법과 비디오 객체면을 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입력 비디오 시퀀스를 복원하기 위한 디코더 장치
KR100332294B1 (ko) * 1998-02-17 2002-04-12 모리시타 요이찌 영상 및/또는 음성기록장치 및 방법
KR100763205B1 (ko) * 2006-01-12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역변환을 사용하여 모션 예측을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890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코덱의 공간 스케일러빌리티 구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678A (ko) * 1997-06-05 1999-01-25 샤운 엘. 맥클린토크 입력 비디오 시퀀스를 스케일링하고 복원하기 위한 방법과 비디오 객체면을 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입력 비디오 시퀀스를 복원하기 위한 디코더 장치
KR100332294B1 (ko) * 1998-02-17 2002-04-12 모리시타 요이찌 영상 및/또는 음성기록장치 및 방법
KR100763205B1 (ko) * 2006-01-12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역변환을 사용하여 모션 예측을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5741B1 (ko) 199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2677B2 (en) Motion picture encoding device and motion picture decoding device
KR100964526B1 (ko) 전환 효과를 위한 멀티미디어 코딩 기술
KR920009234A (ko) 인터레이스 동화상 신호의 압축방법
US4488175A (en) DPCM Video signal processing technique with spatial subsampling
JPH031688A (ja) 高能率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その復号化装置
KR101557163B1 (ko) 영상처리시스템에서의 영상 변환 장치 및 방법
KR19980032098A (ko) 블록간 예측 부호화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JPH11243547A (ja) 動き補償符号化装置及び動き補償符号化方法
KR960033132A (ko) 호환적 영상부호화를 위해 하위계층의 부호화정보를 이용한 이동보상 상향변환 방법
JPH0393377A (ja) 高能率符号化装置
JP3784086B2 (ja) 映像信号符号化・復号化装置及び符号化・復号化方法
KR20110007991A (ko) 영상처리시스템에서의 영상 변환 장치 및 방법
KR0166927B1 (ko) 영상 디코더 회로
KR0120729B1 (ko) 공간영역 계층 부호화 장치에서의 움직임 정도 구분 방법
JPH0622291A (ja) 解像度変換可能な復号方法と装置
KR960039999A (ko) 초저속 전송을 위한 영상처리 시스템
JP3907623B2 (ja) 映像信号符号化・復号化装置及び符号化・復号化方法
JP2011015260A (ja) 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3154454B2 (ja) インタレース画像信号の符号化法
KR100213273B1 (ko) 영상부호기의 반화소 움직임 추정장치
KR0129576B1 (ko) 영상 복호기에 있어서의 반픽셀 움직임 보상회로
KR100813989B1 (ko) 복수개의 주사 패턴을 이용한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및 그 장치
KR960036793A (ko) 에러 신호의 선택적 부호화 장치
JPH10178643A (ja) 信号圧縮装置
JP2007110748A (ja) 動き補償予測方法、映像信号復号方法、映像信号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