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30735A -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30735A
KR960030735A KR1019950000828A KR19950000828A KR960030735A KR 960030735 A KR960030735 A KR 960030735A KR 1019950000828 A KR1019950000828 A KR 1019950000828A KR 19950000828 A KR19950000828 A KR 19950000828A KR 960030735 A KR960030735 A KR 96003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remote control
line
transmit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84067B1 (ko
Inventor
문장수
김한모
Original Assignee
박정구
주식회사 금호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구, 주식회사 금호건설 filed Critical 박정구
Priority to KR101995000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067B1/ko
Publication of KR96003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6Performing a diagnostic of the sens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의 무인자동설비, 공통주택 또는 일반 가정등에 적용되어 예컨대 옥내외 조명등, 전열기기, 가전기기등의 점멸제어는 물론 외부 침입자의 퇴치방안에 적함한 방법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적외선 방식에 의한 원격제어의 통신장해등 종래 기술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주파수 변복조방식의 다중회선 원격제어장치와 방범경보기능을 혼용 일원화한 중앙의 다기능주장치에 제어대상기기의 제어선을 집결접속하여 각 제어대상기기의 지정키를 갖는 리모콘의 해당 키를 누르는 것만으로 근, 원거리에 관계없이 대응하는 제어대상의 점멸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서 실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한편, 침입 예상지역마다 설치된 각 센서의 검출에 의해 침입지역의 국부적인 조명과 함께 침입지역마다 각기 다른 경보음을 발생토록 하여 침입지역의 확인에 따른 퇴치방안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가 있고, 아울러 센서 미검출에 따른 사용자의 육안확인에 의해서도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이 사실을 외부에 알리도록 하므로서 내부인의 신변안전 및 자기보호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법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회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원격 송신부에 관한 블록회로 구성도, 제3도는 제1도의 다기능 주 제어부에 관한 구체적인 블록회로 구성도.

Claims (22)

  1. 송신기마다의 고유등록 보호데이타를 보유하고 제어대상별로 각기 다른 주파수대의 입력군을 부호화하고 보호화된 제어대상기기별 정보를 주파수화하여 무선송신하는 원격송신기(1)와, 상기 원격송신기의 입력신호 및 침입검출 수단의 검출에 따른 신호판별 과정을 통해 입력에 대응한 처리기능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다기능 주제어부(2)와, 상기 원격송신기의 제어 대상수와 일치하는 수의 부하기기 제어선을 접속하기 위한 부하접속부(3)를 구비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격송신기(1)는 적어도 수십개의 제어대상의 지정키(K1∼K30)와 경보상태/해제 모드설정키(A) 및 현관도어록 잠금/해제 모드설정키(B)와 인체감지센서의 전원 온/오프키(C)가 매트릭스 형태로 조합구성된 키입력부(10)와, 원격송신기의 동력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1)와, 상기 키입력부(10)의 입력키별로 각기 다른 주파수대의 입력군을 부호화하는 엔코더(12)와,자기자신의 고유번호에 대한 등록데이타를 기억시키기 위한 메모리(13)와, 상기 엔코더(12)에서 변환출력되는 데이타코드에 따라 각기 다른 발진주파수로 변조하는 송신중폭부(14)와, 상기 송신중폭부(14)에서 중폭변조된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아테나(ANT1)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송신중폭부(14)는 적어도 저항(R1) 콘덴서(C1)의 결합과, 트랜지스터(TR1) 및 발진주파수의 바이어스를 위한 콘덴서(C2∼C4) 및 코일(L1)로 조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원격송신기(1)는 트랜지스터(TR2,TR3)와 저항(R3∼R6)으로 구성된 코드송출안정회로(15)와, 저항(R8)과 콘덴서(C6) 및 제너다이오드(ZD1)로 구성된 리세트회로부(16)를 포함하는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5. 송시기마다의 고유등록 보호데이타를 보유하고 제어대상별로 각기 다른 주파수대의 입력군을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제어대상기기별 정보를 주파수화하여 무선송시하는 원격송신기(1)와, 수신안테나(ANT2)로부터 수신되는 송신RN(1)의 출력정보를 증폭 및 검파하여 입력신호별로 각각의 신호레벨로 변환하는 원격수신부(20)와, 침입 예상지역마다 설치된 다수의 센서들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처리하여 침입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처리부(21)와, 상기 원격수신부(20) 및 센서처리부(21)의 입력을 판별하여 입력에 대응한 처리기능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로부터 침입자 검출판단의 유무에 따라 경보돌입에 관한 각기 다른 주기의 경보음(CHIRP)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2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로부터 처리된 제어대상기기의 점멸제어 유무 및 침입자 검출판단의 유무에 따라 각기 다른 주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표시부(2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로부터 처리된 제어대상기기의 점멸제어유무및 침입자 검출판단의 유무에 따라 해당 지정의 릴레이를 스위칭시키는 릴레이구동부(25)와, 상기 릴레이구동부(25)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기기의 제어선을 개페하는 릴레이 및 이의 접점부(26)를 구비한 다기능 주제어부(2)를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릴레이구동부(25)의 입출력포트가 적어도 각각6포트이고, 각각6포트의 입,출력포트를 갖는 릴레이구동부(25)가 적어도 5개로 구성(25a∼25e)되며, 각각의 릴레이구동부(25)에는 적어도 6대의 제어대상기기를 스위칭하기 위한 대응 갯수의 동일한 릴레이 및 이의접점부(26)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릴레이구동부(25) 및 릴레이 및 이의접점부(26)의 수는 제어대상기기수에 따라 적절한 임의 수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릴레이 및 이의 접점부(26)의 각각에는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상태 유무를 표시하는 발광소자(LED2)가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9. 제9항에 있어서, 원격수신부(20)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고주파의 주파수를 중폭하기 위한 고주파 중폭부(20a)와, 상기 중폭부(20a)의 출력과는 발진주파수의 혼합 검파작용으로 중간주파수를 추출하는 발진부(20b)와, 상기 발진부(20b)의 중간주파수에서 검파 추출한저주파를 중폭하기 위한 저주파중폭부(20c)와, 상기 저주파중폭부(20c)에서 출력되는 구형파를 상, 하강시간이 짧은 개개의 스위칭 신호레벨로 변환하는 쉬미트 트리거회로(20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원격수신부(20)의 고주파 중폭부(20a)는 콘덴서(C1∼C11)와 저항(R9∼R13)및 트랜지스터(TR4)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발진부(20b)는 코일(L2)과 콘덴서(C12∼C17), 저항(R14∼R18) 및 트랜지스터(TR5)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저주파중폭부(20)는 저항(R19∼R21)과 콘덴서(C18∼C19) 및 OP 중폭기(OP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쉬미트 트리거회로(20d)는 저항 (R22∼R26)과 OP 중폭기(OP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경보발생부(23)는 콘덴서(C26∼C28)와 저항(R30∼R31) 및 다이오드(D4)와 제너다이오드(ZD2)로 구성된 정전압회로(30)와, 일정주기의 경보음 주파수를 생성하는 경보발진기(31)와, 상기 경보발진기(31)의 출력측에는 콘덴서(C29,C30)와 저항(R33,R34)과 다이오드(D5,D6) 및 트랜지스터(TR6,TR7)로 구성된 중폭부(32)와, 이 중폭부(32)의 출력기간 동안에만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SP)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센서처리부(21)는 검출기(21a)의 입력측으로 인체감지기(21b)와, 인체감지기의 감도 조절 가변저항(VR1)과, 콘덴서(C32∼C37) 및 저항(R39∼R42)의 조합회로와, 출력시간 지연조절 가변저항(VR2) 및 콘덴서(C39), 그리고 저항(R43) 및 콘덴서(C40)와의 두 CR회로를 전원입력부(V1) 사이에 병렬 게재하고,저항(R45)과 광도전셀(CDS)과 인체감지기(21b)의 출력상태를 자동, 오프 또는 계속동작으로 선택전환 하기 위한 선택스위치(SW4)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검출기(21a)의 출력단에는 저항(R46∼R48)과 트랜지스터(TR10)로 구성된 스위칭회로와, 이 스위칭회로의 스위칭동작 유무에 따라 침입감지신호의 로직신호를 다이오드(D7)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22)에 전송하도록 하는 동시 침입유무를 표시하는 발광소자(LED3)를 연결 구상하며, 상기 두 CR회로와 전원입력단(V1) 사이에 콘덴서(C41,C42)로 구성된 평활회로를 연결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16. 제5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각 센서(S1∼Sn) 및 센서처리부(21)의 각 출력단에 역방향 다이오드(D7,D11,D12)를 게재하여 이들 센서(S1∼Sn)(21b)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2)에서 액티브 하이로 인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17. 전원스위치 온시마다 일정기간(2초)의 경과 유무에 따라 자동/수동 리세트를 실행하기 위한 전원셋팅기능의 제1과정과, 모드변경 스위칭(SW1)의 온/오프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송신기의 제1과정과, 모드변경 스위치(SW1)의 온/오프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송신기의 등록과 송신기 등록유무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여부를 판별하는 송신기등록 및 판별기능의 제2광정과, 자체진단 스위치(SW2)의 온/오프에 따라 경보기능의 각 라인별 설치된 센서의 이상상태 여부를 검사하여 이상상태 유무를 판별하는 경보자체진단기능의 제3과정과, 키입력부(10)의 경보/해제 모드설정키(A)에 의해 경보상태 또는 해제상태를 선택하고 선택된 경보모드에서의 모든변경 스위치(SW1) 및 자체진단 스위치(SW2)가 모두 오프된 조건에서만 경보상태로 진입하여 침입예상지역에 설치된 각각의 감지기로부터 검출되는 입력신호 판별에 따라 알람경보 및 해당 침입지역의 주변 조명 또는 경보상태를 계속유지하고 모드설정키(A)가 오프시 또는 모드변경 스위치(SW1) 및 자체진단 스위치(SW2)의 어느 하나라도 온시에는 경보해제상태로 유지하는 방범기능의 제4과정과, 키입력부(10)의 지정키의 입력을 판별하여 해당 제어대상기기를 점멸하는 부하단 제어기능의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화선 원격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방법기능의 제4과정중 경보모드에서 타임스위치(SW3)의 선택된 시간동안 지연이 이루어지고, 지연시간 내에서는 각 센서의 입력을 무시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방범기능의 제4과정중 경보해제모드에서 타임스위치(SW3)에 의해 선택된 지연시간은 인체감지기(21b)에 의한 조명램프의 점등기간으로 병행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경보/해제 모드설정키(A)를 설정된 소정 시간 이상으로 누름시에는 경보/해제모드에 관계없이 경보모드를 임의로 실행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부하단 제어기능인 제5과정의 실행조건은 모드변경 스위치(SW1)와 자체진단 스위치(SW1)가 모두 오프상태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자체진단모드의 제2과정에서 각 센서(S1∼Sn)(21b)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이상이나 배선 단선시에는 해당 센서의 이상이나 배선 단선을 수리할 때까지 출력표시 및 경보음 발생을 계속 유지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00828A 1995-01-19 1995-01-19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KR0184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828A KR0184067B1 (ko) 1995-01-19 1995-01-19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828A KR0184067B1 (ko) 1995-01-19 1995-01-19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735A true KR960030735A (ko) 1996-08-17
KR0184067B1 KR0184067B1 (ko) 1999-05-15

Family

ID=1940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828A KR0184067B1 (ko) 1995-01-19 1995-01-19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418A (ko) * 2018-12-24 2020-07-1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공간보안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418A (ko) * 2018-12-24 2020-07-1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공간보안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4067B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4787A (en) Remote intrusion alarm condition advisory system
US4257038A (en) Coded security system
US5640141A (en) Surveillance and alarm device for room spaces
US4755792A (en) Security control system
US4924211A (en) Personnel monitoring system
US4462022A (en) Security system with radio frequency coupled remote sensors
US6243000B1 (en) Wireless rolling code security system
US6359558B1 (en) Low power audible alarm relay device for a rolling code security system
US5500639A (en) Satellite unit identification system
US4847542A (en) Automatic garage door operator with remote load control
US4996517A (en) Household alarm system
CA2648068A1 (en) Wireless linking of smoke/co detection units
US4631527A (en) Transmitter-receiver coded security alarm system
US5898368A (en) Test indicator control circuit for security alarm device
KR200222068Y1 (ko) 방범 창호 시스템
GB2137749A (en) Intruder Detection System
JPS585898A (ja) 警報装置
KR960030735A (ko) 방범경보 겸용 다중회선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S61100893A (ja) 住宅用監視装置
EP0453957B1 (en) Remote-control home electronics device
KR100353495B1 (ko) 유무선 방범 창호 시스템
KR200292171Y1 (ko) 적외선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KR200281233Y1 (ko) 전화선을 이용한 무선방식의 양방향 원격제어 및감시장치.
JP3380608B2 (ja) 防犯システム
AU736177B2 (en) Walk-test control circuit for security alarm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