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25221A -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개선된 보정특징을 갖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및 수기문자 인식을 위한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개선된 보정특징을 갖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및 수기문자 인식을 위한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25221A
KR960025221A KR1019950061544A KR19950061544A KR960025221A KR 960025221 A KR960025221 A KR 960025221A KR 1019950061544 A KR1019950061544 A KR 1019950061544A KR 19950061544 A KR19950061544 A KR 19950061544A KR 960025221 A KR960025221 A KR 960025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frame
character
newly
recog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3193B1 (ko
Inventor
요시까즈 이께바따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60025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33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 사이의 위치관계를 인식하는 것; 상기 인식된 위치관계를 소정관계를 기준하여 상기 분할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단독으로 혹은 후에 수기되는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문자 이외의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우크를 인식하는 것;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분할을 변경시키는 소정 유형임을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변경지시 스트로우크 중 어떤것으로 확정하는 것; 및 상기 변경지시 스트로우크에 따라 상기 분할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문자 및 부호중 어떤것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로우크의 분할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개선된 보정특징을 갖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및 수기문자 인식을 위한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보정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수기문자 인식을 스트로우크 분할 보정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문자 인식용 스트로우크 분할보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3A도 내지 제3E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영문자 인식을 위한 스트로우크 분할 보정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40)

  1. 문자 및 부호중 어떤것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로우크의 분할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트로우크는 기구를 태블릿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수기되고, 문자나 부호중 어떤것을 구성하는 상기 스트로우크의분할은 상기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소정 형상을 갖는 프레임에 의해 식별되어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상기 스트로우크는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방법에 있어서, 이전에 수기된 상기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위치관계를 소정관계를 기준하여 상기 분할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는 판단하는 단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새로이수기된 스트로우크를 단독으로 혹은 후에 수기되는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문자 이외의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우크 인식하는 단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스트로우크를 상기 분할을 변경시키는 소정 유형임을 식별하는 하나이상의 변경지시 스트로우크중 어떤것으로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지시 스트로우크에 따라 상기 분할을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및 부호중 어떤것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로우크의 분할부를 변경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사이의 위치 관계의 상기 인식은 태블릿상에 설정된, X-Y 좌표에 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2개 이상의 프레임을 연결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연결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중 하나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는 상기 다른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한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원래의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모든 상기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고 상기 원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을 나눌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나눌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상기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2개의 새로운 프레임으로 나누는 단계, 및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중 하나에 의해 에워 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가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별개로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중 다른것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가 다른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의 경계선을 월경하는 어던 스트로우크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경계선을 월경하는 스트로우크가 있는 경우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이 상기 월경하는 스트로우크의 다수부를 포함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월경하는 스트로우크가 상기 월경하는 스트로우크의 다수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스트로우크와 협력하는 한 문자를 구성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에 추가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추가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가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와 협력하여 한개의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삭제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삭제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와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사이의 위치관계의 상기 인식은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가 상기 프레임을 월경하는 월경점 뿐만 아니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시작점 및 종점에 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단독으로 혹에 후에 수기되는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문자 이외의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우크로 인식하는 상기 인식 단계는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시작점과 종점사이의 시간차가 소정치보다 클때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한개의 문자를 구성할 상기 스트로우크의 경계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이전에 수기된 상기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위치관계를 소정관계를 기준하여 상기 분할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단독으로 혹은 후에 수기되는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문자 이외의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우크를 인식하는 단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분할을 변경시키는 소정 유형임을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변경지시 스트로우크중 어떤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변경지시 스트로우크에 따라 상기 분할을 변경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스트로우크를 기준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사이의 위치 관계의 상기 인식은 태블릿상에 설정된 X-Y좌표에 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2개 이상의 프레임을 연결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중 하나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는 상기 다른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한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원래의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모든 상기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고 상기 원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을 나눌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나눌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상기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2개의 새로운 프레임으로 나누는 단계, 및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중 하나에 의해 에워 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가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별개로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중 다른것에 의해 에워 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가 다른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의 경계선을 월경하는 어떤 스트로우크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경계선을 월경하는 스트로우크가 있는 경우,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이 상기 월경하는 스트로우크의 다수부를 포함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월경하는 스트로우크가 상기월경하는 스트로우크의 다수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스트로우크와 협력하는 한 문자를 구성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에 추가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추가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가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와 협력하여 한개의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삭제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삭제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와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사이의 위치관계의 상기 인식은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가 상기 프레임을 월경하는 월경점 뿐만 아니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시작점 및 종점에 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단독으로 혹에 후에 수기되는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문자 이외의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우크로 인식하는 상기 인식 단계는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시작점과 종점사이의 시간차가 소정치보다 클때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한개의 문자를 구성할 상기 스트로우크의 경계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방법.
  21. 문자 및 부호중 어떤것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로우크의 분할을 변경하는 장치로서, 상기 스트로우크는 기구를 태블릿에 접촉하는것에 의해 수기되고, 문자나 부호중 어떤 것을 구성하는 상기 스트로우크의 분할은 상기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소정 형상을 갖는 프레임에 의해 식별되어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는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장치에 있어서, 이전에 수기된 상기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인식하는 수단, 상기 인식된 위치관계를 소정관계를 기준하여 상기 분할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새로이수기된 스트로우크를 단독으로 혹은 후에 수기되는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문자 이외의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우크를 인식하는 수단,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분할을 변경시키는 소정 유형임을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변경지시 스트로우크 중 어떤것으로 확정하는 수단, 및 상기 변경지시 스트로우크에 따라 상기 분할을 변경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및 부호중 어떤것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로우크의 분할부를 변경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 사이의 위치 관계의 상기 인식은 태블릿상에 설정된, X-Y 좌표에 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수단은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2개 이상의 프레임을 연결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연결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중 하나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는 상기 다른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한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수단, 및 상기 원래의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모든 상기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고 상기 원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수단을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을 나눌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상기 나눌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상기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2개의 새로운 프레임으로 나누는 수단, 및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중 하나에 의해 에워 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가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별개로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중 다른 것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가 다른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수단은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의 경계선을 월경하는 어떤 스트로우크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상기 경계선을 월경하는 스트로우크가 있는 경우,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에 상기 월경하는 스트로우크의 다수부를 포함하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및 상기 월경하는 스트로우크가 상기월경하는 스트로우크의 다수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스트로우크와 협력하여 한 문자를 구성하는 것을 인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수단은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에 추가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상기 추가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에 추가하는 수단, 및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가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와 협력하여 한개의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삭제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및 상기 삭제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와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을 삭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 사이의 위치관계의 상기 인식은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가 상기 프레임을 월경하는 월경점 뿐만 아니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시작점 및 종점에 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단독으로 혹에 후에 수기되는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문자 이외의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우크로 인식하는 상기 인식하는 수단의 상기 인식은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시작점과 종점사이의 시간차가 소정치보다 클때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한개의 문자를 구성할 상기 스트로우크의 경계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이전에 수기된 상기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인식하는 수단, 상기 인식된 위치관계를 소정관계로 기준하여 상기 분할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단독으로 혹은 후에 수기되는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문자 이외의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우크를 인식하는 수단,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분할을 변경시키는 소정 유형임을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변경지시 스트로우크중 어떤것으로 확정하는 수단, 상기 변경지시 스트로우크에 따라 상기 분할을 변경하는 수단, 및 상기 분할된 스트로우크를 기준으로 문자를 인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 사이의 위치 관계의 상기 인식은 태블릿상에 설정된 X-Y좌표에 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수단은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2개 이상의 프레임을 연결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중 하나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는 상기 다른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한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수단, 및 상기 원래의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모든 상기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고 상기 원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수단은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을 나눌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상기 나눌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상기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2개의 새로운 프레임으로 나누는 수단, 및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중 하나에 의해 에워 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가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별개로 상기 나뉘어진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별개로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중 다른것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스트로우크가 다른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수단은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의 경계선을 월경하는 어떤 스트로우크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상기 경계선을 월경하는 스트로우크가 있는 경우, 상기 나뉘어진 새로운 프레임이 상기 월경하는 스트로우크의 다수부를 포함하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및 상기 월경하는 스트로우크가 상기월경하는 스트로우크의 다수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스트로우크와 협력하여 한 문자를 구성하는 것을 인식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수단은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에 추가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상기 추가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에 추가하는 수단, 및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가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와 협력하여 한개의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하는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삭제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하는 수단, 및 상기 삭제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와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을 삭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에워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 사이의 위치관계의 상기 인식은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가 상기 프레임을 월경하는 월경점 뿐만 아니라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시작점 및 종점에 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를 단독으로 혹에 후에 수기되는 스트로우크와 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진 상기 문자 이외의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우크로 인식하는 상기 인식하는 수단의 상기 인식은 상기 새로이 수기된 스트로우크의 시작점과 종점사이의 시간차가 소정치보다 클때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한개의 문자를 구성할 상기 스트로우크의 경계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기문자 인식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61544A 1994-12-28 1995-12-28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개선된 보정 특징을 갖는 수기 문자 인식 장치 및 수기 문자 인식을 위한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보정 방법 KR100233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27473 1994-12-28
JP6327473A JP2845149B2 (ja) 1994-12-28 1994-12-28 手書文字入力装置および手書文字入力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221A true KR960025221A (ko) 1996-07-20
KR100233193B1 KR100233193B1 (ko) 1999-12-01

Family

ID=1819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1544A KR100233193B1 (ko) 1994-12-28 1995-12-28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개선된 보정 특징을 갖는 수기 문자 인식 장치 및 수기 문자 인식을 위한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23793A (ko)
EP (1) EP0727754B1 (ko)
JP (1) JP2845149B2 (ko)
KR (1) KR100233193B1 (ko)
DE (1) DE6952573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0891B2 (en) 2003-04-09 2010-07-06 Tegic Communications, Inc. Selective input system based on tracking of motion parameters of an input device
US7610194B2 (en) * 2002-07-18 2009-10-27 Tegic Communications, Inc. Dynamic database reordering system
CA2392446C (en) * 1999-05-27 2009-07-14 America Online Incorporated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6970599B2 (en) * 2002-07-25 2005-11-29 America Online, Inc. Chinese character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US7821503B2 (en) * 2003-04-09 2010-10-26 Tegic Communications, Inc. Touch screen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7030863B2 (en) 2000-05-26 2006-04-18 America Online, Incorporated Virtual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7286115B2 (en) * 2000-05-26 2007-10-23 Tegic Communications, Inc. Directional input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6501855B1 (en) * 1999-07-20 2002-12-31 Parascript, Llc Manual-search restriction on documents not having an ASCII index
JP3974359B2 (ja) * 2000-10-31 2007-09-12 株式会社東芝 オンライン文字認識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オンライン文字認識プログラム
WO2003023696A1 (en) 2001-09-12 2003-03-20 Auburn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of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RU2251736C2 (ru) * 2002-12-17 2005-05-10 "Аби Софтвер Лтд."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зачеркнутых символов при распознавании рукописного текста
WO2004079526A2 (en) 2003-02-28 2004-09-16 Gannon Technologies Group Systems and methods for source language word pattern matching
EP1661059B1 (en) * 2003-07-21 2010-10-06 Gannon Technologies Group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disorders affecting fine motor skills using handwriting recognition
EP1661062A4 (en) * 2003-09-05 2009-04-08 Gannon Technologies Group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THROUGH THE USE OF HANDWIRE IDENTIFICATION
CN1947155B (zh) * 2004-04-27 2012-03-28 株式会社日立医药 图像描绘装置及其方法
SE528063C2 (sv) * 2004-11-12 2006-08-22 Zi Decuma Ab Metod och anordning för segmenteringsbaserad igenkänning
WO2007082187A2 (en) * 2006-01-11 2007-07-19 Gannon Technologies Group, Llc Pictographic recognition technology applied t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handwritten arabic text
US8225203B2 (en) 2007-02-01 2012-07-17 Nuance Communications, Inc. Spell-check for a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8201087B2 (en) 2007-02-01 2012-06-12 Tegic Communications, Inc. Spell-check for a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8452108B2 (en) 2008-06-25 2013-05-28 Gannon Technologies Group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recognition using graph-based pattern matching
TWI457793B (zh) * 2008-08-08 2014-10-21 Ind Tech Res Inst 即時動作辨識方法及其慣性感測與軌跡重建裝置
US8769427B2 (en) * 2008-09-19 2014-07-01 Google Inc. Quick gesture input
US8819597B2 (en) * 2009-04-10 2014-08-26 Google Inc. Glyph entry on computing device
US8478777B2 (en) * 2011-10-25 2013-07-02 Google Inc. Gesture-based search
US8504842B1 (en) 2012-03-23 2013-08-06 Google Inc. Alternative unlocking patterns
US9792038B2 (en) * 2012-08-17 2017-10-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eedback via an input device and scribble recognition
CN104573663B (zh) * 2015-01-16 2017-12-05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一种基于鉴别性笔画库的英文场景文字识别方法
JP7247496B2 (ja) * 2018-09-14 2023-03-2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1857A (en) * 1984-06-29 1988-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gnition system for run-on handwritten characters
US4764972A (en) * 1985-05-23 1988-08-16 Nec Corporation Continuous characters recognition system
US4972496A (en) * 1986-07-25 1990-11-20 Grid Systems Corporation Handwritten keyboardless entry computer system
JP2619429B2 (ja) * 1987-11-05 1997-06-11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接触文字の分離方法
JP2835178B2 (ja) * 1990-11-28 1998-12-14 株式会社東芝 文書読取装置
US5161245A (en) * 1991-05-01 1992-11-03 Apple Computer, Inc. Pattern recognition system having inter-pattern spacing correction
US5455901A (en) * 1991-11-12 1995-10-0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deferred translation
US5592566A (en) * 1992-05-27 1997-01-07 Apple Compu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ized recognition
US5341438A (en) * 1992-07-22 1994-08-2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and classifying unconstrained handwritten characters
JPH06208654A (ja) * 1993-01-08 1994-07-26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ペン入力図形編集システム
JPH06242885A (ja) * 1993-02-16 1994-09-02 Hitachi Ltd 文書編集方法
US5517578A (en) * 1993-05-20 1996-05-14 Aha! Softwa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and manipulating electronic representations of handwriting, printing and drawings
JPH06337957A (ja) * 1993-05-28 1994-12-06 Toshiba Corp 手書き文字入力装置及び修正記号認識方法
JP2660795B2 (ja) * 1993-06-14 1997-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手書き入力編集方法
JPH0744655A (ja) * 1993-08-03 1995-02-14 Sony Corp 手書き入力表示装置
US5500937A (en) * 1993-09-08 1996-03-1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n inked object while simultaneously displaying its recognized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25731T2 (de) 2002-09-12
EP0727754B1 (en) 2002-03-06
EP0727754A3 (en) 1997-05-02
JPH08185480A (ja) 1996-07-16
DE69525731D1 (de) 2002-04-11
EP0727754A2 (en) 1996-08-21
JP2845149B2 (ja) 1999-01-13
KR100233193B1 (ko) 1999-12-01
US5923793A (en) 199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25221A (ko)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개선된 보정특징을 갖는 수기문자 인식장치 및 수기문자 인식을 위한 스트로우크 분할에 대한 보정방법
EP15646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digital ink query
KR890017630A (ko) 문자 인식장치 및 방법
JPH11120293A (ja) 文字認識/修正方式
JP2013033416A (ja) 文字認識装置、文字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541288A (zh) 手写文档处理设备和方法
JP5661549B2 (ja) 帳票上の文字を認識する文字認識装置、マスク処理方法、および、マスク処理プログラム
JP2003178257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を入力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10446308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设备
JP2842263B2 (ja) 住所読み取り装置
JPS6330991A (ja) 文字認識装置
JPH03142691A (ja) 表形式文書認識方式
JPS6337490A (ja) 文字認識装置
JPS6180477A (ja) 文書清書装置
JP2746345B2 (ja) 文字認識の後処理方法
KR970049822A (ko) 필기체 다중 문자 인식방법
TW277123B (en) Auto segmentation method of continuous on-line hand written Chinese character
JP2929919B2 (ja) 光学文字切出し装置
JPS6376080A (ja) 線図形分離装置
JPS5875278A (ja) 文字・記号認識装置
JPH06348909A (ja) 手書き入力認識装置およびその認識方法
KR910014839A (ko) 문자인식의 후처리장치
KR910010356A (ko) 문자 판독 장치
KR940012182A (ko) 문자인식에서 좌,우 거리모양을 이용한 후보문자 분류방법
JPS62251888A (ja) 文字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