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814B1 -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814B1
KR960016814B1 KR1019930019214A KR930019214A KR960016814B1 KR 960016814 B1 KR960016814 B1 KR 960016814B1 KR 1019930019214 A KR1019930019214 A KR 1019930019214A KR 930019214 A KR930019214 A KR 930019214A KR 960016814 B1 KR960016814 B1 KR 96001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band
signal
signals
encoding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637A (ko
Inventor
박상규
장현식
안치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3001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814B1/ko
Publication of KR95001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using subband decomposi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오디오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난청자용 신호처리에 대한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난청자용 신호처리에서 사용하는 가중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A/D 변환부 2 : 오디오 부호화부
3 : 전송부
본 발명은 난청자용 오디오 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디오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A/D 변환부, 2는 오디오 부호화부, 3은 전송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방송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를 디지트 전송방식으로 방송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전송대역폭을 줄이기 위해 오디오 신호를 압축해서 보내는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틀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A/D 변환부(1), 상기 A/D 변환부(1)에 연결되어 입력된 디지틀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오디오 부호화부(2), 상기 오디오 부호화부(2)에 연결되어 부호화 결과 값을 전송하는 전송부(3)로 구성된다.
제2도는 종래의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는 서브 밴드 부호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처리해야 할 1152개의 디지틀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4) 한편으로는 입력된 신호들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입력된 신호들의 주파수 성분값을 구하고(5), 다른 한편으로는 입력된 신호들에 대해 서브밴드 필터링을 수행하여(6) 동일 주파수 대역을 갖는 32개의 각 서브밴드에 속하는 신호들을 계산한 다음 각 서브밴드에 속하는 36개의 신호들중 각 12개의 신호별로 최대값을 찾아낸다(7).
상기 과정 (5)와 (7)의 수행에 의해 구한 주파수 성분 값들과 서브밴드별 12개의 신호들 중 최대값을 이용하여 신호가 인간의 청각에 감지되지 않는 레벨을 나타내는 차단 문턱값을 서브밴드별로 계산한다(8).
서브밴드별 차단 문턱값을 기준으로 차단 문턱값 이하의 신호만을 갖는 서브밴드에 대해서는 영(0) 비트를 할당하고, 차단 문턱값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서브밴드에 대해서는 신호 레벨과 차단 문턱값의 비율에 따라 서브밴드별로 양자화 비트를 할당 한 다음(9) 결과에 따라 각 서브밴드에 속하는 신호들을 양자화한다(10). 그리고, 서브밴드별 차단 문턱값과 양자화 비트할당값, 양자화 결과값 들에 대한 정보들을 다중화하여 전송을 하기 위한 단일 비트 열 형태로 만든다(11). 새로운 입력에 대하여 상기 과정을 다른 새로운 오디오 입력 신호가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하고 종료한다.
난청자는 소리를 들을때 정상인에 비해서 소리에 대한 감지능력이 약하며, 특히 고주파 신호에 대해 감지능력이 현저히 약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방송되는 오디오 음을 들을때 많은 불편을 안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현재의 오디오 방송의 경우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상기의 부호화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별도의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기능의 구현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난청자용 오디오 채널을 방송하는데 있어서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오디오 채널을 부호화하는 기존의 방식에 덧붙여 난청자를 위한 고주파 신호처리 기능을 오디오 방송시 난청자만을 위해 고주파 신호레벨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별도의 오디오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난청자용 오디오 신호를 만들어 내는 방법과 부호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부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틀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입력된 신호들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입력된 신호들의 주파수 성분값을 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입력된 신호들에대해 서브밴드 필터링을 행한 후 난청자용 신호 처리를 행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다음 각 서브밴드에 속하는 신호들중 최대값을 찾아내어 주파수 성분 값들과 서브밴드별 신호들 중 최대값을 이용하여 신호가 인간의 청각에 감지되지 않는 레벨을 나타내는 차단 문턱값을 서브밴드별로 계산하여 양자화 비트를 할당 한 다음 다중화하여 전송을 하기 위한 단일 비트 열 형태로 만들어 새로운 오디오 입력 신호가 나타나지 않을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3도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밴드 부호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로서, 상기 종래의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에 난청자용 신호처리를 추가하여 저주파 서브밴드에서 고주파 서브밴드까지의 각 신호들에 대해서 서브밴드별로 가중치를 주어 난청자가 듣기 어려운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서브밴드의 신호들을 상대적으로 크게 해줌으로써 난청자가 보다 쉽게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난청자용으로 고주파 성분을 증폭시키기 위해서는 주파수 별로 신호처리를 해야 하는데, 상기한 기존의 서브밴드부호화 방법에는 이미 주파수 별로 신호를 나누는 서브밴드 필터링(6)과 과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것을 그대로 이용하여 주파수 밴드별로 난청자용 신호처리를 하고자 한다.
상기 제2도의 서브밴드 필터링을 수행하여 동일 주파수 대역을 갖는 32개의 각 서브밴드에 속하는 신호들을 계산한 다음(6) 각 서브밴드에 속하는 신호들에 대해서 난청자가 듣기 쉽도록 각 서브밴드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난청자용 신호처리를 수행하고(12) 난청자용 신호처리를 거친 각 서브밴드의 주파수 성분 값들과 서브밴드별 12개의 신호들중 최대값을 결정하고(7) 이후의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난청자용 신호처리에 대한 세부 흐름도이다.
초기에 처리하려는 첫번째(20) 서브밴드의 신호들, 즉 S1(1), S1(2), …S1(36)을 입력한 다음(21) 첫번째 서브밴드에 해당하는 가중치 W(1)을 입력한다. 첫번째(23)서브밴드의 신호들에 대해 가중치 W(1)을 곱한다(24). 가중치 곱셈을 36번째까지 1씩 증가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 시행하여(25,26) 가중치가 부여된 결과값을 다음 처리를 위해 저장한 후(27)다음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동일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32개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가중치를 곱한다(28,29).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난청자용 신호처리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서브밴드에 부여할 수 있는 가중치의 예시도로서, 도면에서는 가중치를 연속적인 값으로 표현하였지만 실제로 적용할 때에는 서브밴드 당 한개의 값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각 서브밴드의 신호들에 대해 도면에 보이는 해당 가중치를 곱하여 신호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어떤 서브밴드의 신호들은 크기가 증폭하고, 어떤 서브밴드의 신호들은 크기가 감소한다. 신호의 크기가 증폭되는 주파수 대역이 난청자들이 듣기 어려운 주파수 대역에 해당되는 대역으로서 이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시킴으로써 난청자가 듣기 쉽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 할 경우 기존의 부호화 방식에 간단히 기능 추가를 함으로써 난청자용 오디오 신호를 만들어 내는 것과 부호화하는 것을 동시에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에, 난청자를 위해 오디오 신호처리와 부호화를 별도로 수행하지 않고서도 난청자용 오디오 채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틀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A/D 변환수단(1), 상기 A/D 변환수단(1)에 연결되어 입력된 디지틀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오디오 부호화수단(2), 상기 오디오 부호화수단(2)에 연결되어 부호화 결과 값을 전송하는 전송수단(3)을 구비하는 오디오 방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에 있어서, 디지틀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입력된 신호들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입력된 신호들의 주파수 성분값을 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입력된 신호들에 대해 서브밴드 필터링을 행한 후 신호처리를 행한 후 동일 주파수 대역의 각 서브밴드에 속하는 신호들을 계산하는 제1단계(4 내지 6,12), 상기 제1단계(4 내지 6,12) 수행 후, 다음 각 서브밴드에 속하는 신호들중 최대값을 찾아내어 주파수 성분 값들과 서브밴드별 신호들 중 최대값을 이용하여 신호가 인간의 청각에 감지되지 않는 레벨을 나타내는 차단 문턱값을 서브밴드별로 계산하여 양자화 비트를 할당 한 다음 다중화하여 전송을 하기 위한 단일 비트 열형태로 만들어 새로운 오디오 입력 신호가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제2단계(8 내지 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4 내지 6,12)에서 난청자용 신호처리과정은; 초기에 처리하려는 첫번째 서브밴드의 신호들을 입력한 다음 첫번째 서브밴드에 해당하는 가중치 W(1)을 입력하는 제1과정(20 내지 22), 상기 제1과정(20 내지 22) 수행 후, 첫번째 서브밴드의 신호들에 대해 가중치를 곱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결과값을 다음 처리를 위해 저장하고 다음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동일한 과정을 반복수행하여 32개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가중치를 곱하고 종료하는 제2과정(23 내지 2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
KR1019930019214A 1993-09-21 1993-09-21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 KR96001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214A KR960016814B1 (ko) 1993-09-21 1993-09-21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214A KR960016814B1 (ko) 1993-09-21 1993-09-21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637A KR950010637A (ko) 1995-04-28
KR960016814B1 true KR960016814B1 (ko) 1996-12-21

Family

ID=1936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214A KR960016814B1 (ko) 1993-09-21 1993-09-21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8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637A (ko) 199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553B1 (ko) 오디오 신호의 고능률 부호화 장치
JP3343962B2 (ja) 高能率符号化方法及び装置
KR100299528B1 (ko) 인텐서티-스테레오 프로세스와 예측 프로세스를 이용한 오디오신호의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279094B1 (ko) 디지털신호부호화장치
RU2090973C1 (ru)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ов
JP3898218B2 (ja) 差動符号化法を実行する伝送システム
US4622680A (en) Hybrid subband coder/decoder method and apparatus
RU2670797C9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 представления hoa-сигналов в области коэффициентов смешанн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упомянутых hoa-сигналов в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области/области коэффициентов
US5263088A (en) Adaptive bit assignment transform coding according to power distribu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JPH04304029A (ja) ディジタル音声信号符号化方法
HU213963B (en) High-activity coder and decoder for digital data
KR960701577A (ko) 압축 방법 및 장치, 전송 방법, 압축된 멀티-채널 음성 신호 확장 방법 및 장치, 및 압축된 멀티-채널 음성 신호용 기록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method for transmitt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ding compressed multi-channel sound signals, and recording medium for compressed multi-channel sound signals)
JPH0591061A (ja) オーデイオ信号処理方法
HU215685B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széles sávú digitális adatjelek kódolására és dekódolására
JP2005049889A (ja) オーディオ信号コーディング中にノイズ置換を信号で知らせる方法
JP2973675B2 (ja) 可変レート伝送に適した符号化復号方式及び装置
JPH05248972A (ja) 音声信号処理方法
EP0525774B1 (en) Digital audio signal co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960016814B1 (ko) 난청자용 서브밴드 부호화 방법
JP4618873B2 (ja) オーディオ信号符号化方法、オーディオ信号符号化装置、音楽配信方法、および、音楽配信システム
JP3336619B2 (ja) 信号処理装置
KR960003627B1 (ko) 서브 밴드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난청자용 복호화 방법
JPH10341162A (ja) 音声符号化伝送方法
JP3089692B2 (ja) ディジタルデータの高能率符号化方法
KR960003626B1 (ko) 변환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난청자용 복호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