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724B1 -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724B1
KR960016724B1 KR1019930014851A KR930014851A KR960016724B1 KR 960016724 B1 KR960016724 B1 KR 960016724B1 KR 1019930014851 A KR1019930014851 A KR 1019930014851A KR 930014851 A KR930014851 A KR 930014851A KR 960016724 B1 KR960016724 B1 KR 96001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an
driving
flat panel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873A (ko
Inventor
김민철
박자호
Original Assignee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엄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엄길용 filed Critical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724B1/ko
Publication of KR95000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회로
제1도는 종래의 매트릭스 구동회로를 보이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등가회로도들로서, 각각 (가)는 한 행, (나)는 이 행의 제1열의 화소, (다)는 이 행의 최종열의 화소에 대한 등가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구동방법에 의한 문제점을 보이는 모식도.
제4도는 종래의 다른 구동방법에 의한 문제점을 보이는 모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구동회로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d : 데이타 전극Gs : 주사전극
Ds,Ds1,Ds2 : 주사 구동부Gs1, Gs2 : (분리된)주사전극
Pd,Pd1,Pd2 : 데이타(펄스)Dd,Dd1,Dd2 : 데이타 구동부
Ps,Ps1,Ps2 : 주사펄스(scan pulse).
본 발명은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의 구동(driving)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트릭스(matrix)형 평판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저(低)구동전압과 저소비전력으로 휴대용 화상표시장치로 주로 사용되어오던 평판표시소자는 디지탈화 및 경박단소(輕薄短小)화라는 전자기기의 발전경향에 부합되어 벽걸이형 TV등의 개발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소자는 기체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표시소자(Plasma Display Panel;PDP)와, 형광체의 발광을 이용한 형광표시관(Vacuum Fluorescent Display;VFD), 물질의 전계발광효과를 이용한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EL), 그리고 액정물질의 광특성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LCD)등이 있다.
상술한 평판표시소자들은 비교적 표시정보가 적은 경우에는 세그먼트(segment)형으로 구성되어 소정의 문자 및/또는 숫자(digit)와 심볼(symbol)등을 표시하도록 구성할수 있는데, 표시정보가 증가하여 화상표시장치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매트릭스(matrix)형으로 구성되어 각 화소(pixel)의 선택적 구동에 의해 단색(mono) 또는 칼라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같은 매트릭스형 화상장치의 기본적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바,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들을 X 및 Y방향으로 상호 직교하도록 배열하여 양 방향 전극의 교차점의 화소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된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선순차(line at a time)방식의 멀티플렉싱(multiplexing)구동에 있어서 X방향의 행(row)이 주사전극(scan electrode)이 되고 Y방향의 열(column)이 데이타 전극이 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복수의 주사전극(Gs)군(群)과 데이타 전극(Gd)군이 상호 직교하도록 배열되어, 화면(SCR)을 구성하고, 양 전극(Gs,Gd)군에는 각각 구동부(driver;Ds, Dd)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매트릭스형 화상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주사전극 구동부(Ds)가 각 주사전극(Gs)에 순차적으로 주파펄스(scan pulse;Ps)를 인가하여 화면을 주사하는 동안 데이타 구동부(Dd)가 각 데이타 전극(Gd)에 순차적으로 데이타(Pd)를 기입(write-in)함으로써 양 전극(Gs,Gd)의 교차점이 어드레싱(adressing), 즉 선택된다. 이에따라 그 교차점 화소에 기체방전(PDP)이나 광특성 변화(LCD) 또는 전계발광(EL)등이 야기됨으로써 인체가 감지 가능한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같은 매트릭스 표시장치의 멀티플렉싱 구동은 비교적 화소의 수가 작은, 즉 표시패널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패널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이러한 구동방법은 단부(end)측의 화소를 적절히 구동할 수 없게된다.
즉 제1도의 매트릭스 표시장치의 한 행을 등가회로로 표시하면 제2도(가)와 같은 바, 이것은 전원에 각 화소들이 사다리꼴로 병렬접속된 복수의 캐패시터(C)로 표시된다. 이 경우 구동부(Ds)에 인접한 제1렬의 화소의 경우는 제2도(나)에 보인 바와 같이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구동부(Ds)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측의 화소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제2도(다)에 보인 바와 같이 전극(Gs)의 회로저항(R1)에 의해 현저한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제1도의 매트릭스 표시장치의 한 열을 취하여 고찰해 보아도 마찬가지 인바,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구동부(Ds)로부터 거리가 어느 이상 증가되면, 즉 패널의 크기가 어느 한계이상으로 증가되면 구동부(Ds)반대측의 단부쪽 화소는 전압강하에 의해 적절한 구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SCR)을 전면 구동하는 경우 구동부(Ds)반대측은 구동되지 못하여 저휘도부(B)가 발생하게 된다. 이 저휘도부(B)의 화소들은 화소가 전혀 구동되지 못하거나 지연되어 구동되거나 또는 저휘도로 구동되는 등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것은 구동부(Ds)의 구동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두 드라이버(Ds,Ds')에 의해 주사전극(Gs)을 교열(staggered)형으로 구성한 평판표시장치인바, 이 경우에도 화면(SCR)의 양단측에 저휘도부(B,B')가 발생되어 이 부분에서 화면의 해상도와 휘도가 현저히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화소수가 증가할수록 1회 주사기간동안의 각 화소의 선택가능시간이 단축되어 화면 전체적인 발광휘도도 낮아지고 인접화소간의 크로스 토오크나 노이즈가 발생되기 쉬운 문제점도 있다.
이와같은 구동방식의 문제점은 PDP나 LCD 또는 EL등 매트릭스형 평판소자들의 공통적인 문제점들로서, 평판표시패널의 대형화에 중요한 장애가 되어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패널의 대형화에 따른 단부 구동불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평판표시소자의 구동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구동방법을 주사전극과 데이타 전극이 행열로 배열되어 화면을 구성하는 평판표시소자의 각 주사전극을 순차적으로 주사하며 데이타를 기입하는 평판표시소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화면을 2분할하여 분할된 두 화면을 별도로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동회로는 복수의 주사전극과 데이타 전극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되어 화면을 구성하는 평판표시소자의 두 전극을 각각 구동하는 주사 구동부와 데이타 구동부를 구비하는 구동회로에 있어서, 주사전극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는 2개의 주사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매트릭스 표시장치는 화면이 세로로 2분할되어 각각 주사되므로 구동부 반대측 단부의 저휘도 등 구동불량이 방지되고, 한 화소의 선택가능기간이 배중(培增)되어 발광휘도가 현저히 증가되고 크로스 토오크(cross talk)나 화면노이즈가 방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에서 본 발명 구동방법에 의한 매트릭스 화상장치는 데이타 구동부(Dd)에 접속된 복수의 데이타 전극(Gd)열과, 이에 직교하는 복수의 주사전극(Gs)행을 구비한다. 주사전극(Gs)들은 본 발명 특징에 따라 그 양단에 두 주사 구동부(Ds1, Ds2)가 접속되어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 구동부(Dd, Ds1, Ds2)는 각각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및 래치(latch)와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군(群)등을 구비하여 소정의 클럭(clock)에 따른 주사펄스(Ps) 및 디코딩(decoding)된 데이타(Pd)를 순차적으로 각 전극(Gs,Gd)에 시프팅시키게 된다. 즉 주사 구동부(Gs1, Gs2)가 각 주사전극(Gs)에 순자척으로 주사펄스(Ps1, Ps2)를 시프팅시키는 동안 데이타 구동부(Dd)가 각 데이타 전극(Gd)에 데이타(Pd)를 기입하여 양 펄스(Ps1 또는 Ps2, Pd)에 의해 선택된 화소가 ON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 화상장치에 있어서는 주사 구동부(Ps1, Ps2)는 주사전극(Gs)행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각 데이타전극(Gd)의 기입은 양 데이타 구동부(Dd1, Dd2)로부터 내측을 향해 이루어진다. 즉 양 데이타 구동부(Dd1, Dd2)로부터 시프팅되는 데이타펄스(Pd1, Pd2)는 각각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시프팅되어 한 주사전극(Gs)의 주사기간동안에 화면의 중앙까지 시프팅된다. 그리고 다음 주사기간에는 다시 다음 행의 데이타전극(Gd)의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화면폭의 1/2만큼 데이타 기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종래의 주사방법이 한 주사기간동안 한 행의 일측으로부터 반대측까지 주사되었던 것에 대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 주사기간 동안 한 행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내측을 향해 화면의 반폭 만큼씩 데이타 기입이 이루어짐으로써 한 행의 주사가 이뤄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 구동방법은 한 화면을 2등분하여 두 구동부(Ds1, Ds2)가 각 반폭을 주사하는 것이라 볼수 있는데, 선순차 구동방식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시각의 잔상(殘像)을 이용하는 것으로, 인간의 시각이 플리커(flicker)를 감지하지 못할 타이밍(timmg)이내에 각 행을 순차적으로 주사함으로써 한 화면을 주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양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데이타를 기입하여도 화상표시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이러한 구동방법을 택함으로써 전압강하에 의한 구동불량을 야기하지 않는 표시패널의 최대 크기는 종래에 비해 2배로 증가하게 되며, 한 행의 주사기간동안에 한 화소의 선택가능기간도 2배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2배 크기의 화상장치를 구성한다 하더라도 단부측의 저휘도부동 구동불량이 발생되지 않으며, 화소 선택 가능기간이 2배로 증가하므로 발광휘도가 현저히 증대되고 크로스 토오크(cross talk)등의 발생가능성도 현저히 저하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 표시장치의 구동회로는 PDP나 LCD 또는 EL등의 특성에 따라 여러가지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나, 화면을 분할 구동한다는 본 발명의 기본적 방법을 사용하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구동부(Dd1,Dd2)도 상하로 분할하여 각각 내측을 향해 데이타(Pd1, Pd2)를 기입하도록 구성할수도 있는바, 이 경우 화면은 4분할로 분할 구동되는 셈이며 화소 선택 가능기간은 제5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전압강하에 의한 데이타(Pd1, Pd2)의 왜곡이나 데이타(Pd1, Pd2)의 시프팅 간의 노이즈(noise)의 유입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제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사전극(Gs1, Gs2)이 중앙에서 단절되어 양 주사 구동부(Ds1, Ds2)는 양 주사전극 (Gs1, Gs2)을 각각 구동하도록 화면이 완전히 2분할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의 크기가 증가되어도 전압강하에 의한 단부화소의 구동불량이 발생되지 않으며, 화소 선택 가능기간이 연장되어 발광휘도가 현저히 증가되고 크로스 토오크나 화상 노이즈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대형의 평판표시소자의 구성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주사전극과 데이타 전극이 행열로 배열되어 화면을 구성하는 평판표시소자의 각 주사전극을 순자적으로 주사하며 데이타를 기입하는 평판표시소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2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두 화면을 별도로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전극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데이타를 기입함으로써,상기 화면이 4분할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구동방법.
  3. 복수의 주사전극과 데이타 전극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되어 화면을 구성하는 평판표시소자의 상기 두 전극을 각각 구동하는 주사 구동부와 데이타 구동부를 구비하는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주사전극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는 2개의 주사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구동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전극이 각각 화면의 중앙에서 분리되어 분리된 양 주사전극이 각각 별도의 주사 구동부에 의해 주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구동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전극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는 2개의 데이타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구동회로.
KR1019930014851A 1993-07-31 1993-07-31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회로 KR96001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851A KR960016724B1 (ko) 1993-07-31 1993-07-31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851A KR960016724B1 (ko) 1993-07-31 1993-07-31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873A KR950003873A (ko) 1995-02-17
KR960016724B1 true KR960016724B1 (ko) 1996-12-20

Family

ID=1936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851A KR960016724B1 (ko) 1993-07-31 1993-07-31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5579B2 (en) * 2018-06-18 2021-03-02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Current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873A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4602B2 (en) Organic EL pixel circuit
US644895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24222B1 (ko) 정전기 방전 회로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7864139B2 (en) Organic EL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40020032A (ko) 액정 표시 장치
KR19980071306A (ko)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0430454B1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동 방법
KR20000005734A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구동방법
JP2007508579A (ja) Elディスプレイ装置
US716157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driv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06011841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408648B (zh) 液晶顯示器之驅動方法
US1134854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US704242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same
US5999150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having reversible voltage polarity
JP2000020019A (ja) 電界放出型表示装置
KR960016724B1 (ko)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회로
JP2010039136A (ja) 液晶表示装置
KR20080049523A (ko) 전자 잉크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1994B1 (ko) 일렉트로루미네슨스 광원을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 구동장치
TWI759067B (zh) 顯示裝置及驅動方法
EP1673755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ith scrolling addressing
EP1066619A1 (en) Backlight control for a display device
KR100459166B1 (ko) 전류구동 표시소자의 구동 회로
JPH1195725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その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