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326B1 - 방향 변환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방향 변환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326B1
KR960016326B1 KR1019870003539A KR870003539A KR960016326B1 KR 960016326 B1 KR960016326 B1 KR 960016326B1 KR 1019870003539 A KR1019870003539 A KR 1019870003539A KR 870003539 A KR870003539 A KR 870003539A KR 960016326 B1 KR960016326 B1 KR 960016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ed
conveyor
rotor
changing
conveyed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462A (ko
Inventor
모또스께 우스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7000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326B1/ko
Publication of KR88001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방향 변환 반송 장치
본 발명은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방향 변환반송(變換搬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방향 변환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며, 서로 연관하여 수평적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로터와, 복수개 로터의 축의 경사를 서로 연관하여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가지며, 복수개 로터의 각진부(角部)가 피반송물에 회전 접촉하여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임의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a) 커브콘베이어를 사용하여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변경한다. (b) 직선 콘베이어를 사용하여 안내부재에 의해서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변경한다. (c) 직선 콘베이어를 사용하며 밀개에 의해서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변경한다. (d) 크로스콘베이어를 사용하여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변경한다.
상술한 종래의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a)의 방법은 콘베이어의 곡률 반경이 크게되며 설비 규모가 지나치게 커진다. (b)의 방법은 피반송물이 안내부재에 압접하므로 피반송물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c)의 방법은 피반송물의 크기 이상의 크기의 실린더에서 피반송물을 누름으로 그 때문에 공간이 커지며 또, 피반송물에 힘이 가해지므로 피반송물의 바닥부가 마모하거나 전달속도가 늦어진다. (d)의 방법은 하측의 콘베이어의 일부로부터 교차한 콘베이어를 들어 올리며, 방향을 변경하여 반송하므로 피반송물이 무거우면 이것에 대응하여 크로스콘베이어의 들어 올리는 힘을 크게해야 한다.
이런점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임의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방향 변환 반송 장치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방향 변환 반송 장치는 서로 연계하여 거의 수평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로터(1)와, 복수개 로터(1)의 축(2)의 경사를 서로 연계하여 변경하는 변경수단을 가지며, 복수개의 로터(1)의 각진부(1A)를 피반송물(11)에 회전 접촉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그 일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운반 장치의 각 열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9도 내지 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및 다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터1A : 각진부
2 : 축3,4 : 베어링
6 : 고정판7 : 이동판
8 : 안내부재11 : 피반송물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로터(1)의 축(2)의 경사를 연계하여 변경함으로써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로터, (2)는 그 축이다. (1A)은 로터(1)의 상면측의 각진부이고 여기에서는 약간 평탄(볼록 곡면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6)은 고정판, (7)은 고정판(6)에 대해 병행 이동할 수 있는 이동판, (8)은 고정판(6)에 설치된 이동판(7)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이다.
로터(1)의 축(2)에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서 한쌍의 자동 심조정(調芯)형 베어링(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은 하나이어도 좋다. 그리고 베어링(3,4)의 각 플랜지(3A,4A)가 각 판(6,7)에 설치되어 있다. 로터(1)의 축(2)의 하단부에는 구동 풀리(9)가 설치되며, 이 풀리(9)에 동력원으로부터의 전달 벨트(10)가 감겨져 있음으로써 로터(1)가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이런 로터(1)가 복수개(3개 이상이며 실제로는 이것보다 상당히 많다) 설치되며 각각 한쌍의 베어링(3,4)을 거쳐서 공통의 판(6,7)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개 로터(1)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는 본 예에서는 동일하지만 소정의 분포를 갖고 달라지게 해도 좋다. 또, 복수개 로터(1)의 축(2)의 경사 방향 및 각도는 본 예에서는 동일하지만 소정의 분포를 갖고 다르게 하여도 좋다.
제2도는 로터(1)의 축(2)을 수직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경우를 도시하며 로터(1)는 베어링(3)의 중심(a)의 둘레에 회전 동작이 자유롭게 되어서 축(2)의 경사가 변화한다.
도면에 도시한 경우에는 로터(1)의 각진부(1A)의 일부(b)가 피반송물(11)에 회전 접촉하여 그 반대측의 다른부(c)는 피반송물(11)로부터 크게 사이가 떨어져 있다. 이 경우 복수개 로터(1)의 각진부(1A)의 피반송물(11)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b)은 거의 동일평면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로터(1)의 축(2)의 경사 방향을 변경한때의 피반송물(11)의 반송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로터(1)의 경사 방향을 변화사킴으로써 피반송물(11)을 360°의 모든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제4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향 변환 반송 장치와 콘베이어를 조합한 반송 장치의 예를 설명한다. 제4도는 콘베이어(15)로부터 반송되어온 피반송물을 방향 변환 반송 장치(14)에서 반송 방향을 90°변경한 후 다른 콘베이어(18)에서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경우이다.
제5도는 콘베이어(17)로부터 반송되어온 피반송물을 방향 변환 장치(14)에서 반송 방향을 360°변경한 후 다른 콘베이어(18)에서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경우이다.
제6도는 콘베이어(45)로부터 반송되어온 피반송물을 방향 변환 반송 장치(14)에 의해서 콘베이어(45)와 같은 방향으로 방향 변환 반송 장치(14)에 대하여 반대측의 2대의 콘베이어(46,47)로 나누어져서 반송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이다.
제7도는 콘베이어(48)로부터 반송되어온 피반송물을 방향 변환 반송 장치(14)에 의해서 콘베이어(48)와 같은 방향으로 방향 변환 반송 장치(14)에 대하여 반대측의 콘베이어(49)와 콘베이어(48)에 대하여 ±90°방향의 콘베이어(50,51)로 나누어져서 반송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이다.
제8도는 콘베이어(52)로부터 반송되어온 피반송물을 방향 변환 반송 장치(14)에 의해서 콘베이어(45)와 같은 방향으로 방향 변환 반송 장치(14)에 대하여 반대측 콘베이어(53)롤 반송하며 또한 콘베이어(53)에 대하여 90°방향의 콘베이어(54)로부터 피반송물을 방향 변환 반송 장치(14)에서 반송 방향을 변환하여 콘베이어(53)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이다.
다음에, 제9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나 제1도의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번호를 부여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콘베이어(34)로부터 반송되어온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90°변경하여 다른 콘베이어(도시않음)에 반송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이다. (1)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로터, (2)는 그 축이다. (1A)는 그 로터(1)의 상면측의 각진부이다. (6)은 고정판, (7)은 고정판(6)에 대해 병행 이동 가능한 이동판, (8)은 고정판(6)에 설치된 이동판(7)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이다. 로터(1)의 축(2)에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서 제1도와 마찬가지의 한쌍의 자동 심조정형 베어링(도시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베어링의 각 플랜지(3A,4A)가 각 판(6,7)에 설치되어 있다. 로터(1)의 축(2)의 하단부에는 구동 풀리(9)가 설치되며 이 풀리(9)에 동력원으로부터 전도 벨트(10)가 감겨져 있음으로써 로터(1)가 회전 구동된다.
(20)은 기판으로, 그 위에 판(6)이 소정 간격을 두고서 기둥을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기판(20)위에는 모터(21)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21)의 축(22)에는 기어(23)가 설치되어 있다. 판(6)에는 동일축으로된 기어(26) 및 풀리(27)가 축(25)을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 판(6)에는 풀리(31)가 축(30)을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쪽 기어(23,26) 사이에는 체인(24)이 걸려있다. 또 풀리(27,31) 및 각 로터(1)의 구동 풀리(9) 사이에 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하여 각 로터(1)는 모터(21)에 의해서 동일 회전 속도에서 회전된다.
다음에 이동판(7)을 고정판(6)에 대하여 평행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36)은 실린더이며, 이것에 의해서 래크(37)가 구동된다. 이동판(7)의 하면에는 한쌍의 피니언(38,39)이 설치되며 상술한 래크(37)와 맞물린다. 피니언(38,39)에는 이것과 일체로 편심핀(42)이 설치되며 이것이 고정판(6)에 설치된 구멍과 끼워맞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3)은 콘베이어(34)로부터 피반송물(11)이 연속하여 반송되어 오는 경우에 상승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스톱퍼이며 방향 변환 반송 장치로 피반송물(11)의 90°변경이 완료되면 강하한다. (32)는 스톱퍼(33)를 구동하는 실린더이다.
(29,43)은 직선 안내부재이며 서로 직각으로 구성되도록 판(6)의 양변에 배치되며 콘베이어(34)로부터 반송되어 온 피반송물(11)을 안내부재(43)에 의해서 안내하며 방향 변환 반송 장치에 의해서 반송 방향이 90°변경된 피반송물(11)을 안내부재(29)에 의해서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0)은 콘베이어(34)로부터 반송되어온 피반송물(11)의 앞끝이 안내부재(29)의 위치까지 온 것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센서(40)의 검출 출력에 의해서 모터(21)를 제어하며 각 로터(1)의 경사를 일제히 바꾸며 이것에 의해 피반송물(11)의 반송 방향을 90°변경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을 임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방향 변환 반송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해 설치 장소의 공간이 작아도 상관없으며 피반송물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고 피반송물에 손상을 줄 우려도 없으며 방향 변환을 위한 동작이 현저히 적어지며 변환 동작이 작은 동력에서 완료되고 동작량이 작으므로 전달 속도가 빠르다는 등의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로터(1) 각각이 서로 연계되여 수평적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로터와, 각각의 판(6,7)에 부착된 플랜지(3A,4A)를 가진 베어링(3,4)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 로터(1)의 축(2)의 경사를 서로 연계시켜 변경시키는 변경(可變)수단을 가지며, 상기 복수개 로터의 각진부(1A)가 피반송물(11)에 회전 접촉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변환 반송 장치.
KR1019870003539A 1987-04-14 1987-04-14 방향 변환 반송 장치 KR960016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3539A KR960016326B1 (ko) 1987-04-14 1987-04-14 방향 변환 반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3539A KR960016326B1 (ko) 1987-04-14 1987-04-14 방향 변환 반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462A KR880012462A (ko) 1988-11-26
KR960016326B1 true KR960016326B1 (ko) 1996-12-09

Family

ID=1926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539A KR960016326B1 (ko) 1987-04-14 1987-04-14 방향 변환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3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462A (ko) 198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2299B1 (en) Transportation device and conveyor device
KR930009154B1 (ko) 자체구동 운반대를 갖춘 물품분류장치
US4730718A (en) Bi-directional transfer mechanism
KR101423940B1 (ko) 컨베이어
US4180150A (en) Multi-directional transfer device
EP3112297A1 (en) Conveyed-object discharge device
GB2053824A (en) Endless conveyors
US3367474A (en) Conveyor apparatus
KR910003129B1 (ko) 판유리 연삭장치
KR960016326B1 (ko) 방향 변환 반송 장치
KR960008267B1 (ko) 롤러 콘베이어
US4723651A (en) Device for transporting cans
EP0385711A2 (en) Variable-speed pallet conveyor
JPS6293118A (ja) 方向変換搬送装置
KR20170124263A (ko) 체인 컨베이어 어셈블리
KR890003908B1 (ko) 가소성 소재의 연신장치
US835590A (en) Transporting system.
US4802845A (en) Apparatus for driving rollers of roller hearth kiln
US20240034567A1 (en) Angled transfer with roller chain
KR0138748Y1 (ko) 로울러타입 컨베이어의 속도제어장치
SU13992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одного конвейера на другой
SU127331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и ориентировани деталей с выступами
GB2531256A (en) Conveying apparatus
KR200198148Y1 (ko) 전자소자 조립기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SU1276574A1 (ru) Рольган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