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954B1 - 위장질환 치료제 - Google Patents

위장질환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954B1
KR960015954B1 KR1019930009870A KR930009870A KR960015954B1 KR 960015954 B1 KR960015954 B1 KR 960015954B1 KR 1019930009870 A KR1019930009870 A KR 1019930009870A KR 930009870 A KR930009870 A KR 930009870A KR 960015954 B1 KR960015954 B1 KR 96001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ratio
test
acid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155A (ko
Inventor
정재형
이승룡
박동우
최정현
유완진
Original Assignee
일양약품 주식회사
정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양약품 주식회사, 정형식 filed Critical 일양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954B1/ko
Publication of KR95000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08Oxides; Hyd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5Foeniculum (fe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1Gentianaceae (Gentian family)
    • A61K36/515Gentia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위장질환 치료제
제1도는 Fuchs법에 따른 본 발명품과 기타 제산제와의 산중화능 그라프.
제2도는 Johnson-Duncan법에 따른 본 발명품과 기타 제산제와의 산중화능 그라프.
제3도는 본 발명품 대조군과의 시간별 산중화능 그라프.
제4도는 U.V.흡광계에 의한 660nm에서의 티로신(tyrosine)의 검량곡선(r=0.995, y=0.014×+0.007)
제5도는 pH변화에 따른 비오디아스타제 2000과 본 발명품의 S-amylase 활성도비교 그라프.
제6도는 pH 변화별 지속시간에 따른 본 발명품의 S-amylase 활성도 그라프.
제7도는 pH 변화에 따른 비오디아스타제 2000과 본 발명품의 α-amylase 활성도 비교그라프.
제8도는 pH 변화별 지속시간에 따른 본 발명품의 α-amylase 활성도 비교그라프.
제9도는 pH 변화에 따른 비오디아스타제 2000과 본 발명품의 protese 활성도 비교그라프.
제10도는 pH 변화별 지속시간에 따른 본 발명품의 protease 활성도 비교그라프.
본 발명은 위장질환치료제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제산제, 소화제, 전위생약제 및 진경제등이 모두 유효함량으로 처방된 신규의 위장질환치료 및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급격한 식생활 변화에 따른 소화불량, 위, 복부팽만감, 위체등의 증상이나 불규칙한 식사시간, 음주, 과식, 자극성 기호품 섭취에 의한 위부담의 가중 및 스트레스에 의한 위통, 고령화에 따른 위 기능 약화등으로 이와 관련된 각종 위장질환의 일반제증상(不定愁訴)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위염, 위·12지장퀘양, 상부소화관의 기능이상인 환자에서는 위산과다 및 위기능 저하에의해 이와 관련된 일반제증상(unidentified clinical symptom)으로 위부불쾌감, 상복부통, 속쓰림, 오심, 구토, 소화불량이 발증한다[Am.J.Hosp.Pharm.37, 1651(1980) 및 Gastroenterology, 64, 1187(1973)등 참조].
따라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위장약 가운데는 소화효소제와 제산제 및 생약을 복합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Korean Drug Index, 797-817(1986) 참조], 효소활성은 온도, pH, 광선 및 공존물질 같은 여러 인자에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Chem. Pharm. Bull., 34, 819(1986) 참조], 소화효소와 복합처방된 제산제나 생약성분 역시 소화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고, 실제로 계피의 경우에는 판크레아틴과 같은 단백분해효소나 디아스타제의 활성을 저해하는것으로 보고된바 있다[Chem. Pharm. Bull., 29, 2966(1981) 및 Shoykugaku Zasshi, 39, 39(1984)등 참조].
최근, 유사제제로는 일본산인 오타위산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의 처방을 보면 1포(1.3g)중 제산제 작용을 위하여 합성 알류미늄 실리케이트 273, 4mg, Ca-카본에이트 ppt 133mg, Mg-카본에이트 26mg, 소디움비카본에이트 625mg과 소화효소제인 비오디아스타제 40mg, 그리고 전위생약제로 정향, 계피, 용담, 회향, 육두구, 고목, 진피를 함유한 제제로서, 본 제제는 산반동이 큰 침강탄산칼륨을 함유하고 있으며, 진경, 진통작용을 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지않아 통중을 수반한 위장질환에 있어서는 별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여러 원인에 의한 위장질환의 일반제증상[과음, 과식, 소화불량, 소화촉진, 위부, 복부팽만감, 식체(위체), 위산과다(위염, 위십이지장에 관련된것도 포함), 위중, 흉통, 위통, 속쓰림,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신트림, 구역, 구토등]의 치유 및 완화를 위해 제산제, 소화제, 전위생약제, 진경제등이 모두 유효항량으로 처방되고 효소활성에도 영향이 없으며, 서로 배합시 유효성이 확립된 안정한 위장질환치료제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위장질환치료제는 의약 주성분으로서 디히드록시알루미늄 탄산나트륨, 알마게이트, 비오디아스타제 2000, 감초가루, 스코폴리아엑스산, 계피가루, 진피가루, 용담가루, 정향가루, 육두구가루, 회향가루를 함유하며, 보다 상세히는 디히드록시 알루미늄탄산나트륨(U.S.P.22) 500mg, 알마게이트(보건원고시 제88-43호) 500mg, 비오디아스타제 2000(日, 아마노사제품) 50mg, 감초가루(약전) 50mg, 스코폴리아엑스산(약전) 100mg, 계피가루(약전) 92mg, 진피가루(약전) 22mg, 용담가루(약전) 15mg, 정향가루(약전) 12mg, 육두구가루(약전) 20mg, 회향가루(약전) 24mg의 비율로 조성된 약제이다.
본 발명의 디히드록시알루미늄탄산나트륨(dihydroxy aluminium sodium carbonate)은 널리 알려져 있는 화합물로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1) 중조의 짠맛을 개선한 공침혼합물
2) 제산력이 크고 속효성과 지속성을 가진다.
3) 항 펩신작용과 흡착성이 강하다.
4) 부작용이 적다.
5) 위장에서 비흡수성이고 CO2gas를 서서히 발생하므로서 무자극성이다.
6) 장기간 투여하여도 안정성이 높다.
7) 경시변화가 적다.
8) 중조로 인한 부작용을 극소화 할수 있는 장점이 있는 화합물이다.
또한, 알마게이트(almagate) 는
1) 제산력이 우수하고 속효성과 지속성을 가진다.
2) 신방동 효과가 적고 변이 효과가 없다.
3) 비흡수성으로 전신부작용이 거의 없다.
4) 항 펩신작용과 담즙산의 흡착 및 불활성화 효과가 있다.
5) 경시 변화가 적고 표면적이 넓어 흡착효과가 크다.
6) 열에 의한 변화가 적어 안정성이 좋다.
7) 최근에 개발된 신성분으로 가장 우수한 제산제성분중 하나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종합 소화요소제의 수는 다종 다양하다. 단일의 소화 효소제와 제산제, 간장약, 생약등을 배합하여 위장약으로 사용되었으며, 시판 소화효소제는 Festal과 Combizym의 수입으로 시작되어 그이후 임상면에서 소화, 흡수에 관계되는 연구가 촉진되었다.
사용 용도와 사용량이 확대 증가함에 따라 2-3종류의 복합 소화효소제가 시판되기 시작하였고, 소화효소제에 배합하는 효소의 종류도 초기에는 아밀라제(amylase)가 중심이 되었으나 식생활의 변천에 따라 푸로테아제(protease)를 중심으로 제품화 되었다. 따라서 시대의 흐름에 따른 생활 양식의 변천에 따라 소화제의 태양도 변화되어 왔다. 소화효소는 동물 생산효소 및 미생물 생산효소가 주로 이용되어 왔으며, 효소에 따라 활성이 안정한 pH영역이 정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비오디아스타제(biodiastase) 2000은 새로운 amylatic enzyme이며, 이 enzyme은 Asperigillus에 속하는 strain의 발효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이 효소에는 α-Amylase, s-Amylase와 같은 전분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고활성도의 효소와 푸로테아제 같은 단백질도 가수분해 할 수 있는 효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일본의 아마노사 제품의 상품화되어 있다.
비오디아스타제 2000은 미황색의 분말로서 매우 넓은 pH 영역(4.0-10.0)에서 안정하며 가장 적당한 pH는 5.0이며 열에도 매우 안정하다. 또한 비독성이며 비병원성이므로 제약산업 뿐만 아니라, 식품공업이나 사료공업 분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감초가루(Powdered glycyrrhiza)는 그리실리진(Glycyrrhizin)이 주성분으로 완화, 거담, 진해, 교미, 해독작용이 있는 생약이고, 스코폴리아 엑스산(Scopolia extract powder)는 히오스시아민(hyoscyamine) 아트로핀(atropine), 스코폴라민(scopolamine)등의 진통, 진경작용이 있는 생약이며, 계피가루(Powdered cinnamon bark)는 신나믹알데히드(cinnamic aldehyde)가 주성분으로 방향성 건위, 발한, 해열, 수렴작용을 갖는 생약으로 알려져 있고, 진피가루는 헤스페리딘(hesperidine)을 주성분으로 하는 방향성건위, 소화불량에 사용되는 생약이며, 용담가루(Powdered Korean genian)는 겐티오피크린(gentiopicrine)등이 주성분으로 고미건위약으로 소화불량 및 식욕부진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정향가루(Powdered clove)는 주성분이 오이게놀(eugenol)로서 방향성 건위제로 사용되는 생략제이며, 육두구가루(Powdered nutmeg) 는 미리스티신(myristicin)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방향성건위 생약제이고, 회향가루 역시 방향성전위 생약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무기제산제 2종, 건위생약제 7종, 소화요소제 1종 및 진경작용을 갖는 생약제 1종을 주성분으로 처방하여 배합시킨 신규의 한국인 체질특성에 맞는 종합위장약이다.
본 발명의 약제처방의 이론적 배경 및 특장점은 다음과 같다.
즉, 제산제는 소화에 영향을 주지 말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제산 효과는 물론 건위효과를 위해 복합소화효소제와 건위생약을 유효함량선에서 복합처방 하였고, 덧붙여 진경 및 진통작용이 있는 생약성분을 함유하도록 설계한 것이며, 무기제산제는 제산력, 반응속도, 속효성과 지속성, 부작용 발현율, 투여단위 총량을 기준으로 선택하여 함량을 결정하였고, 제산력은 0.1N HCl 소비량 250ml 수준에서 결정하였다.
또한, NaHCO3의 부작용은 줄이고 속효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산력이 뛰어난 디히드록시알루미늄 탄산나트륨과 알마게이트를 복합처방하였고 지속성을 유지토록 설계하였으며 알루미늄의 변비작용과 마그네슘의 완화작용이 상호조화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 알마게이트를 처방하였고, Al과 Mg의 몰비가 1 : 1 수준에서 머물도록 설계하였다. 나아가, 디히드록시 알루미늄 탄산나트륨과 알마게이트의 혼합처방으로 흡착효과를 강화토록 하였고, 신속하고 지속적이며 강력한 중화능(neutralized capacity)을 나타내나 고용량에서 부작용이 심하고 산반동이 큰 침강탄산칼슘을 함유 처방에서 완전 배제시켰으며, CO2발생률은 15% 내외로 하여 급격한 CO2발생으로 인한 위장관 자극을 감소시키도록 구상하였을 뿐만 아니라, 위산을 중화하는 동안 위내pH가 3-5를 유지하도록 하여 급격히 pH가 높아지므로서 나타나는 부작용, 예를들면 펩신의 비가역적 불활성화 위산분비증가 및 살균효과 저하등을 극소화 시키는데 역점을 둔 것이다.
기타 건위 생약제는 각 생약성분별 상용량의 범위내에서 함유토록 하였으며, 특히 진경 진통작용을 갖는 스코폴리아엑스산을 가미시켜 위장질환에서 수반되는 각종 통증을 소실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장질환 치료제의 제조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옥수수 전분 54와 물(정제수) 1080의 중량비로 하여 페이스트상으로 만들어 결합제로 사용한다.
2) 백색 세립제조 : 알마게이트 500, 디히드록시알루미늄탄산나트륨이 50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의 폴(paste)을 약 860의 중량비로 연합하여 35호체를 통과시켜 40-50로 충분히 건조한 다음 다시 35호체를 통과시켜 정립하여 세립을 제조한다.
3) 갈색 세립제조 : 감초가루 50, 스코폴리아엑스산 100, 계피가루 92, 진피가루 22, 용담가루 15, 정향가루 12, 육두구가루 20, 회향가루 24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의 풀을 약 220의 중량비로 연합한 후 35호체를 통과시킨 다음 40℃에서 충분히 건조한 다음 다시 35호체를 내려 정립한다.
4) 비오디아스타제 2000 50중량부를 적당한 압력을 가해 궤를 만들어 분쇄하여 세립으로 한다. 입상(입자)의 비오디아스타제는 그대로 사용한다.
5) 엘-멘톨 : 유당을 1 : 60의 중량비로 배산한 다음,
6) 2), 3), 4), 5)를 중량비 1038 : 350 : 50 : 61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1포당 1.5g을 포장한다.
이 방법에 따라 제조한 세립의 성상은 백색과 갈색의 두 종류의 색상의 세립이 혼합되어 있다. 변형방법으로 상기 2)의 백색무기원료와 3)의 갈색생약원료를 동시에 혼합, 제조하여 갈색세립을 제조할 수는 있으나 스코폴리아엑스산의 주성분인 히오스시아민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제제시 주의를 요한다.
7) 한편, 앞이 1) 내지 6)의 공정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한후, 이를 롤러 콤펙트를 사용하여 압축시켜 판상(궤)을 만들어 오실레이터로 내려 정립하여 세립상으로 만든다.
본 발명의 위장질환치료제는 상기와 같은 무기제산제, 소화 효소제, 전위생약제 및 진경제의 성분 및 함량을 함유하며,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교미제등을 함유한다.
부형제로는 전분(옥수수전분), 유당이 첨가되며 교미제로는 엘-멘톨이 바람직하다. 투여제형으로는 정제, 과립제, 세립제, 캅셀제, 현탁화제등이 거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것은 세립을 함유한 포의 형태로 포장한다. 바람직한 투여용량은 세립 1.5g(1포)을 성인기준으로 하여 1일 3회, 1회 1-2포씩 복용하며, 소아의 경우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의 감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제예, 경시변화등 안정성시험, 급성독성시험 및 유효성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I 제제예]
1포(1.5g)중
(주성분) 디히드록시알루미늄탄산나트륨 (U.S.P.22) 500mg
(디히드록시알루미늄탄산나트륨 건조물로서 427.5mg)
(주성분) 알마게이트 (보건원고시 제88-43호) 500mg
(알마게이트 건조물로서 475.0mg)
(주성분) 비오디아스타제 2000 50mg
(주성분) 감초가루(글리실리진으로서 2.25mg) (약전) 50mg
(주성분) 스코폴리아엑스산(히오스시아민으로서 0.056mg) (약전)100mg
(주성분) 계피가루(계피산으로서 0.03mg) (약전) 92mg
(주성분) 진피가루(진헤스페리딘으로서 2.2mg) (약전) 22mg
(주성분) 용담가루 (약전) 15mg
(주성분) 정향가루 (약전) 12mg
(주성분) 육두구가루 (약전) 20mg
(주성분) 회향가루 (약전) 24mg
(부형제) 전분 (약전) 50mg
(부형제) 유당 (약전) 60mg
(교미제) 엘-멘톨 (약전) 적당
제조방법 : 일반적으로 제제총칙 중 산제항에 따라 세립으로 제조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법 1 : 백색-갈색 세립 제조방법]
① 옥수수 전분 54와 물(정제수) 108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페이스트 상으로 만들어 결합제로 사용한다.
② 백색 세립제조 : 알마게이트 500, 디히드록시알루미늄탄산나트륨이 50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①의 풀(paste)을 약 860의 중량비로 연합하여 35호체를 통과시켜 40-50℃ 충분히 건조한 다음 다시 35호체를 통과시켜 정립하여 세립을 제조한다.
③ 갈색 세립제조 : 감초가루 50, 스코폴리아엑기스산 100, 계피가루 92, 진피가루 22, 용담루 15, 정향가루 12, 육두구가루 20, 회향가루 2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의 풀을 약 220의 중량비로 연합한 후 35호체를 통과시킨다음 40℃에서 충분히 건조한 다음 다시 35호체를 내려 정립한다.
④ 비오디아스타제 2000 50중량부를 적당한 압력을 가해 궤를 만들어 분쇄하여 세립으로 한다. 입상(입자)의 비오디아스타제는 그대로 사용한다.
⑤ 엔-멘톨 : 유당을 1 : 60의 중량비로 배산한 다음,
⑥ ②, ③, ④, ⑤를 중량비 1038 : 350 : 50 : 61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1포당 1.5g을 포장한다.
이 방법에 따라 제조한 세립의 성장은 백색과 갈색의 두 종류의 색상의 세립이 혼합되어 있다.
[방법 2 : 산제의 제조방법]
앞의 방법 1의 ① 내지 ⑥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한 후, 이를 롤러 콤펙트를 사용하여 압축시켜 판상(궤)을 만들어 오실레이터로 내려 정립하여 미세한 세립상으로 만든다.
[방법 3 : 나정 제조방법]
방법 1 내지 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세립에 전체중량의 0.4중량부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또는 탈크와 동량의 경질 무수규산을 혼합하여 1정을 750mg∼1.5g으로 타정한다.
[방법 4 : 코팅정 제조방법]
① 방법 3의 나정을 제조한후,
② 코팅액의 제조
(a) 청색 1호 : 황색 5호 : 황색 203호 : 산화티탄 : 에탄올(주정)을 20 : 8 : 10 : 200 : 800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콜로이드밀로 분쇄하여 240호체를 통과시킨다.
(b) 히드록시푸로필셀루로오스를 에탄올(주성)에 3200 : 32000의 중량 비로하여 팽윤 또는 용해가 되도록하고,
(c) 프로필렌글리콜을 물(정제수)에 300 : 3000의 중량비로 용해시켜 투명해지면,
(d) (c)를 (a)와 혼합후 (b)에 합한다.
③ 코팅-나정을 코팅기의 코팅펜에 넣고 코팅액으로 나정중량이 35mg∼40mg 증가되도록 코팅한다.
[Ⅱ 안정성 시험]
[요약 :]
제제예 방법 1에 따른 생약, 소화효소 및 제산제의 복합제인 본 발명품의 경시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A, B, C 3Lot의 시험제품을 40' RH 75%에서 6개월간 보존하면서 경시변화를 관찰한 결과, 본 발명품은 성상, 주성분의 함량에 거의 변화가 없어, 의약품으로 적합한 매우 안정한 제제임을 확인하였다.
[1. 시험제품 및 시험방법]
1) 시험제품
본 발명의 제제예중 방법1에 따라 세립을 제조하여 자기기준 및 시험방법에 적합한 3Lot의 제품을 시험제품으로 하였다.
2) 시험방법
자가설정한 산제의 기준 및 시험방법에 준하여 시험하였다.
[2. 시험항목 및 기준]
1) 성상 : 백색 및 갈색의 산(세립)으로 특이한 방향성이 있다.
2) 함량
(1) 알마게이트(건조물) (Al2Mg6(OH)14(CO3)2· 4H2O : 630.02)와 디히드록시 알루미늄탄산나트륨(건조물) (NaAl)(OH)2CO3: 144.00)중 총산화알루미늄(Al2O3: 101.94) : 1포당 342∼418mg
(2) 알마게이트(건조물) (Al2Mg6(OH)14(CO3)2· 4H2O : 630.02)중 산화마그네슘(MgO : 40.32) 1포당 164∼200mg
(3) 비오디아스타제중 1포당 전분당화력(pH50) : 750단위이상
전분호정화력(pH5.0) : 1500만위이상
단백소화력(pH6.0) : 1100단위이상
(4) 감초가루중 글리실리진(C9H8O9: 822.92) : 90.0∼180.0%
(5) 스코폴리아엑스산중 히오스시아민(C17H23NO3) : 289.36 : 90.0∼130.0%
(6) 계피가루중 계피산(C9H8O2: 148.15) : 90.0∼180.0%
(7) 진피가루중 헤스페리딘(C28H34O15: 610.55) : 90.0∼180.0%
[3. 보관조건]
시험제품 3Lot를 각 1.5g씩 알루미늄호일 포장하여 40°, RH 75%에서(Life Tester, Frend Lt-6) 보전하면서 시험개시일, 2, 4, 6개월 후에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4. 보관기간]
[5. 시험결과]
위의 실험결과를 다음 Table에 나타내었다.
[Table I]
[Sample A(90. 6. 7) 경시변화(40°, RH 75%)]
[Table I -1]
[Sample A] (unit)
[Table Ⅱ]
[Sample B(90. 6. 7) 경시변화(40°, RH 75%)]
[Table Ⅱ-1]
[Sample B] (unit)
[Table Ⅲ]
[Sample C(90. 6. 7) 경시변화(40°, RH 75%)]
[Table Ⅲ-1]
[Sample C] (unit)
이상의 시험결과로 미루어보아, 본 발명품은 성상이나 주성분의 항량에 거의 변화가 없는 매우 안정한 제제임을 알 수 있다.
[Ⅲ 렛트에 대한 급성 경구 독성시험]
[1. 요약]
본 발명품의 급성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랫트 암, 수에 1회 경구투여하여 14일간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였다. 투여량은 5.0g/kg이었으며, 각 군은 암, 수 각 10마리의 동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투여군의 암, 수 각각 투여일로 부터 관찰 전기간을 통하여 시험물질에 기인한 일반상태 변화 및 중독중상은 발현되지 않았고, 또한, 관찰 전기간중에 사망동물도 없었다.
한편, 투여후 14일째에 부검을 실시하여 내부장기의 육안적 병변을 관찰하였으나 아무런 이상도 관찰되지않았다.
이상과 같이 5.0g/kg의 고용량의 투여에 있어서 랫트에 대한 독성학적 변화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물질의 급성독성은 극히 낮은 것으로 사료되며 랫트에 있어서 LD50치는 암, 수 공히 5.0g/kg 이상의 용량으로 추정된다.
[2. 시험물질]
(1) 시험물질명 : 본 발명의 제제예중 방법 1의 제품
(2) 용해성 : 증류수에 용해
(3) 외관 : 연한갈색의 분말
(4) 로트번호 : 없음
(5) 보관조건 : 냉장보관
[3. 재료 및 방법]
[(1) 시험동물]
1) 종 및 계통
랫트(SD, SPF 동물) 암, 수
2) 생산자
한국화학연구소 실험동물육종실
3) 시험계의 선택이유
랫트는 독성시험에 적합한 실험동물이며 본 계통에 대하여는 풍부한 기초자료가 있어서 시험결과의 해석 및 평가시 이를 이용할 수 있음.
4) 동물의 주령 및 체중범위
동물은 4주령에 암, 수 각각 20마리씩 입수하여 5주령의 수컷 129∼151g, 암컷 116∼126g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5) 순화 및 검역
동물 입수후 1주일간의 순화기간동안 매일 임상관찰을 실시하여 그중 건강한 동물 암, 수 각 10마리씩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2) 사육환경 및 관리]
1) 사육환경
온도 : 23±2℃
습도 : 55±5%
조명 : 인공조명(점등 07 : 00∼소등 19 : 00)
2) 사육환경 모니터링
시험기간중 온도, 습도, 암모니아 취기 및 음수의 분석을 실시하여 일반적이고 안전한 상태를 유지토록 하였다.
3) 사육관리
동물은 순화와 검역기간 및 시험기간동안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260W×350L×180H mm)에 5마리씩 넣어 사육하였다.
4) 사료 및 음수
마우스 랫트용 고형사료(제일사료(주))와 음수(자외선 멸균 상수도)를 자유섭취시켰다
[(3) 시험군의 구성]
1) 투여량 : 5.0g/kg
2) 투여량의 설정근거
본 시험물질은 시험위탁자의 징보에서 거의 무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예비시험에서 암, 수 각 2마리씩 의약품 가이드라인의 최고 투여용량인 5.0g/kg을 투여한 결과 별다른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암, 수 모두 5.0g/kg으로 투여량을 설정하였다.
3) 동물의 무작위화 및 개체식별
투여 당일에 체중을 측정하고 평균 체중에 근접한 동물들을 선택하여 각 군을 구성하였고 개체식별은 피크린산 포화 알콜용액을 이용하여 피모염색법으로 식별하였다.
[(4) 시험물질의 투여]
1) 조제방법 및 조제빈도
투여군 체중 100g당 1.5ml가 되도록 용매(증류수)로 조제하였으며 투여액의 조제는 투여 당일 아침에 조제하였다.
2) 투여방법, 투여경로 및 투여회수
금속제 존데를 부착한 주사관을 사용하여 1회 강제경구투여하였다.
3) 투여경로의 선택이유
경구투여가 시험물질의 임상투여 경로임.
4) 투여액량의 산출방법
투여액량은 투여일의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하였음.
[(5) 관찰 및 검사항목]
1) 일반상태 및 생사
투여일은 투여후 1, 2, 3, 4시간에 관찰하였으며 투여 익일부터 14일째는 매일 1일 1회씩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 및 사망발현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2) 체중변화
전례에 대하여 투여 0일, 7일, 14일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3) 부검
내부장기외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6) 통계학적 처리]
통계학적 처리는 student t-test로 대조군과 검정하였다.
[4. 시험성적]
(l) 일반중상 및 사망율
5.0g/kg 투여군에 있어 일반증상의 변화는 물론 사망동물 역시 발견되지 않았다.
(2) 체중변화
체중의 변화를 대조군과 t-test 검정결과 유의성있는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3) 부검소견
대조군 및 처리군의 부검에 있어 육안적 이상은 없었다.
[5. 고찰 및 결론]
랫트에 있어서 본 발명품 5.0g/kg 투여한 결과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부검소견 등에 별다른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 랫트에 있어서 LD50치는 5.0g/kg 이상으로 추정된다.
[Table Ⅳ]
[임상소견과 사망율(수컷)]
NAD : 특이할만한 임상소견은 확인된바 없음(No abnormalities detected)
[Table Ⅳ-1]
[임상소견과 사망율(암컷)]
NAD : 특이할만한 임상소견은 확인된바 없음(No abnormalities detected)
[Table V]
[체중관찰(수컷)]
unit : gram
[Table V-1]
[체중관찰(암컷)]
unit : gram
[Table V-2]
[부검소견요약]
NAD : No abnormalities detected
[Ⅳ 효력시험]
[Ⅳ-1 In vitro 제산력시험]
[1. 실험재료]
Dried hydroxy aluminium gel
Sodium bicarbonate
Magnesium oxide
Magnesium carbonate
Dihydroxy aluminium sodium carbonate
Magnesium trisilicate
Almagate
Aluminium phosphate
본 발명품(제제예 방법 1)
[2. 실험방법]
1) Fuchs법
Fuchs법을 이용하여 각 제산제의 일회 용량에 따른 중화곡선을 작성하여 각 제산제의 중화효능을 관찰하였다.
0.1N HCl 50ml를 넣고 증류수를 가하여 100ml로 한 액을 300ml의 비이커에 넣고(절식상태의 위로 간주), pH-electrode를 장치하고 37.5℃에서 교반하면서 제산제를 가하고, 10분 정도 교반하면서 pH를 측정한 후 1N-HCl를 2ml/10min의 속도로 적하하였다.
여기에서 반응속도란 pH가 낮은 상태에서 pH 3.0에 도달하는 시간이며, 이 시점부터 pH 3.0으로 하강하기까지의 시간을 지속성으로 보았다.
교반속도를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1N-HCl을 적하하는데 이때의 적하속도는 2ml/10min로 1분 간격으로 pH를 측정하였고, 이때 들어간 염산의 총량을 염산 소비량으로 하였다.
2) Johnson-Duncan법
0.1N HCl 100ml을 300ml 비이커에 취해서 37.5℃에서 교반하다 각 제산제 1g을 첨가한 후 10분에 20ml의 0.1N HCl을 적하여 동시에 매 10분 마다 20ml의 반응액을 추출 제거하는데 이것은 장으로 이행하는 양을 고려하는 것이다.
다른 조건은 Fuchs법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실험하였다. 이때 적정 종말점은 pH 3.0으로 하였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1) Fuchs법
Fuchs법으로 실험한 결과를 Table Ⅵ과 제1도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Dried hydroxy aluminium gel의 경우에 있어서는 최고 pH가 3.76이었고, 지속성은 108분 정도로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반응속도가 9.2분으로 타 제산제에 비하여 느린단점이 있으며 이는 문헌상에 보고된 것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다량 복용시 변비가 생기고 인산 결핍증을 유발시키며, 입자크기 뿐만 아니라 신품인지 구품인지에따라 효과가 상이하다는 보고가 있다.
Magnesium oxide는 pH 3.0에서의 지속시간이 다른 제산제 보다 길며 최소 pH가 높았으며, pH 3.0으로 하강하기까지 소비된 0.1N HCl의 소비 ml 수 즉, 중화능이 405ml로 아주 양호한 편이다. Sodium bicarbonate는 지속시간이 매우 짧았으며 흡수성이어서 CO2gas가 급격히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Magnesium trisilicate는 반응속도가 l분이었으며 지속시간이 짧았고, 설사를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으며 CO2gas가 발생하여 불쾌감을 주며, 다른 약물과 동시 투여시 흡수를 방해할 수 있고 renal calculus를 치료했다는 보고가 있다. Aluminium phosphate는 pH 3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거의 없었으며, 중화능이 매우 약한 편이었다. 그러나 이 제제는 성분 중에 pection을 함유하고 있어서 위장피막작용이 있다. Dihydroxy aluminium sodium carbonate는 지속성은 79분, 최고 pH는 4.05이었고, 중화능은 202ml로서 양호한 편이었으며, 위장에서 비흡수성이어서 연용 또는 대량 투여시에도 alkalosis나 alkali에 의한 2차적인 산분비를 일으키지 않았으면서 작용이 속효성인 장점이 있다. Almagate는 속효성이었고 지속성이 95분, 최고 pH가 6.67로서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다.
본 발명품의 경우에는 속효성이었고 최고 pH도 4.60으로 높지 않고 양호하였으며, 중화도(neutralizing capacity)도 215ml로서 지속시간이 길었으므로 좋은 제산제의 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Ⅵ]
[Fuchs법에 따른 본 발명품과 기타 제산제와의 산중화능 비교표]
2) Johnson-Duncan법
Johnson-Duncan법에 의한 실험결과는 Table Ⅶ과 제2도에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Fuchs법과 비교시 지속성은 거의 절반으로 떨어졌고, Dried hydroxy aluminum gel, Magnesium oxide 및 Almagate에 있어서는 제산능이 Fuchs/법에 비하여 훨씬 적게 나타났다. 본 발명품 제제의 경우에는 제산능이 188ml로서 Fuchs법으로 측정한 경우와 비교해볼 때 큰 차이가 없었으며, 지속시간이 길고 최고 pH가 4.04로서 Johnson-Duncan법에 의해서도 좋은 제산제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제산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in vitro실험 결과에서 보면 pH 7-8까지 도달하는 것이 있는데 실제로 위속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면 제산제로서 부적당하다. 왜냐하면 PH 5.0 보다 커서 PH 7.0-8.0으로 올라가면 acid rebound 또는 흡수되어 alkalosis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며 pH 3 이하에서는 산의 중화력이 약하므로 pH 3.0-5.0에서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제산제 중에서 탄산염을 함유하고 있는 제산제에서는 반응과정에서 CO2gas가 발생하는데 이때 CO2gas가 급격히 발생하면 위장관에 자극을 주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CO2gas의 발생속도가 완만한 것이 이상적이다. 이 CO2gas의 발생 속도는 제산제의 지속성과 상관관계가 있는데, 이는 지속성이 긴 제산제에 있어서는 장시간에 걸쳐서 CO2gas가 지속적으로 완만하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품 제제에서도 탄산염인 Dihydroxy aluminum sodium carbonate가 일부 함유되어 있으나, 지속시간이 매우 길고, 함유량도 타제제의 절반 밖에 되지 않으므로, CO2gas 발생속도가 매우 완만할 것으로 예측된다.
[Table Ⅶ]
[Johnson-Duncan법에 따른 본 발명품과 기타 제산제와의 산중화능 비교표]
[4. 결론]
Sodium bicarbonate, Magnesium carboante, Magnesium trisilicate, Aluminium phosphate의 경우 지속성 이 짧고, Magnesium oxide, Magnesium carbonate, Magnesium trisilicate는 최고 pH가 높아서 산반동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중화능은 Sodium bicarbonate, Magnesium trisi1icate, Aluminium phosphate를 제외하고는 양호하였다. Dried hydroxyaluminium gel은 반응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었다.
이상적인 제산제는 pH 3-5로 장시간 유지시켜 주는 것이 좋으며, 이는 소화성 궤양의 방지, 효소의 실활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좋은데, 본 발명품의 제제는 반응속도, 지속성, 중화능, 최고 pH 등의 측면에서 볼때 매우 이상적인 제산제의 조건에 접근하는 우수한 제제임을 알 수 있다.
[Ⅳ-2 In vivo 제산력시험]
[1. 실험동물 및 시약]
실험동물로는 동일조건에서 사육한 Wistar Strain Albino Rat 웅성으로 체중은 230-260g인 동물을 사용하였으며 절식시에는 cage당 한마리씩 담아 18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시약으로는 urethen(0.25/ml), 생리식염수, 본 발명품 제제(제제예 방법 1)를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1) 백열등 하에서 urethane으로 마취시킨 후 복부를 절개하는데 이때 xyphoid로부터 2cm 떨어진 곳에서 절개한 다음, 복막과 배가죽을 들어서 정중선을 따라서 잘랐다. phlorus와 duodenum 사이에 봉합사로 ligation을 하는데 이때 blood vessel이나 tract이 손상받지 않도록 한다. 28gauge tub에 16gauge syringe로 연결시켜 십지이장 부분에 catheter을 꼽았다. tip을 위속으로 밀어넣고 생리식염수 약 1ml 정도를 경구투여한 후 30min 후에 pH를 측정하고 제산제와 생리식염수 23ml를 투여하였다.
계속 시간별로 pH를 측정하여 제산제의 제산능을 알아 보았다. 따로 제산제 대신에 생리식염수를 같은양 투여한 군을 control로 하였다.
2) Analysis of Gastric contents
시간별로 syring를 통해 약 0.3ml씩 suction을 해서 pH meter로 측정하였다. Suction시 tip이 위액에 닿지 않아서 위액에 잘 나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약간씩 tube를 움직여 주거나 수술대를 30°경사지게 한 후 위액을 뽑는다.
[3. 결과 및 고찰]
본 발명품 제제 투여군과 대조군에 대한 중화 곡선을 제3도에 나타내었다. 이 그림에서 대조군의 초기 peak는 생리식염수의 투여에 의한 것이며 측정기간 동안 pH가 20-23 사이로 유지되었다. 본 발명품 제제는 대조군과 비교해 볼때 현저한 제산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최고 pH는 약 6.5이었고, 지속성은 200-250분이었다. in vitro 실험결과와 비교해볼때 최고 pH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Rat의 위액량이 pH를 측정하기에는 너무 적어서 실험개시시 생리식염수를 다량 투여한 후 실험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Rat 위액의 실제 pH는 본 in vivo 실험결과보다 낮게 되어 in vitro의 실험결과와 유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속성은 in vitro의 결과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in vitro 및 in vivo 실험 결과, 본 발명품 제제의 지속성이 약 200분 정도로 측정 되었는데, 이는 음식물이 위내에서 2-3시간 체류하는 것과 비교해 볼때, 제산제가 위에 머무르는 동안 계속 제산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품 제제는 지속성이 양호한 제제라고 할 수 있다.
[4. 결론]
이상의 동물 실험 결과, 본 발명품 제제는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한 제산효과가 있었으며, 지속성이 200-250분 정도로 양호하였다.
in vitro와 in vivo 실험을 종합해 볼때, 본 발명품 제제는 반응속도, 지속성, 중화능, 최고 pH 등이 이상적인 제산제의 조건들을 비교적 잘 갖춘 양호한 제제임을 알 수 있다.
[Ⅳ-3 소화력 시험]
본 연구에서는 비오디아스타제 2000와 이를 함유한 본 발명품(제제예 방법 1)의 전분당화력, 전분호정화력 및 단백 소화력을 중심으로 각종 pH에 따른 효소활성의 영향과 그 pH에서의 작용시간에 따른 소화력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효력시험을 실시하였다.
[1. 실험재료]
본 발명품, 용성전분(Merck사), caseine(Merck사) 및 tyrosine를 사용하였으며, 기타 시약은 특급품을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1) tyrosine의 검량선 작성
1ml중에 tyrosine 10㎍, 20㎍, 30㎍, 40㎍ 및 50㎍을 함유하는 tyrosine 용액을 0.1N 염산시액으로 조제하여 각각 1ml를 정취하여 0.4M 무수 탄산나트륨 용액 5ml 및 폴린시약의 5배 희석액을 1ml 가하고 37±1℃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이액에 대해 층장 10mm, 파장 660nm에서 흡광도 At10, At20, At30, At40 및 At50을 측정하였다.
별도로 0.1N 염산시액 1ml을 취하여 이하 동일 조작을 행하여 흡광도 At10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제4도와 같이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F=140.46㎍
2) 전분 당화력(s-amylase)
검액은 Biodiateae 2000으로서 50mg 해당량을 정확히 평취하여 증류수를 가해 250ml로 하고 이 액 10ml을 취하여 증류수를 가해 정확히 100ml로 하여 사용하였다. 용성 전분용액 10ml를 100ml 삼각 flask에 넣고 40±1℃에서 5분간 방치한 후 검액 1ml을 가하여 바로 진탕 혼합하였다.
이 액을 40±1℃에서 정확히 30분간 방치하고 페링시액(K.P) 4ml를 넣어 진탕 혼합한다. 다음에 직화에서 정확히 2분간 가열 비등시킨 후 즉시 흐르는 물에 냉각하고 30w/w% 요오드화 칼륨 용액 2ml 및 묽은황산(25w/w%) 2ml를 가하여 즉시 0.05N 치오황산 나트륨 시액으로 내용액의 유백색을 나타낼때까지 적정한다(T30ml).
별도로 검액 1ml를 정취하여 페링시액 4ml를 가하여 진창 혼합하고, 다음에 용성 전분용액 10ml를 가하고 이하 동일 방법으로 조작하여 공시험을 행한다(TO ml).
이때 단위계산은 30분간 생성되는 환원당을 포도당으로 환산하여 10mg을 생성할때를 1단위로 하고, 0.05N Na2S2O31ml에 대한 포도당의 양은 1.62mg이다.
s-Amylase(unit/1포)=(T0-T30)×1.62×1/10×2500×f
f ; 0.05N Na2S2O3의 factor
3) 전분 호정화력(α-amlase, McCredy's method)
검액은 Biodiatase 2000으로서 50mg 해당량을 정확히 평취하여 증류수를 가해 정확히 500ml로 하고 이액 2ml을 정취하여 증류수를 가해 정확히 100ml으로 하여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18×180mm 시험관에 l%에 용성전분 용액 5ml을 정확히 취하고 pH 4.8의 초산나트륨 완충액 3ml와 0.1% CaCl2액 1ml를 가하여 37℃의 항온수조에서 5분간 방치한 후 여기에 검액 1ml을 가하여 잘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다음 이 액 0.2ml을 취하여 미리 요오드시액 10ml를 넣어 둔 시험관에 취한 다음, 정색액을 vortexing하여 잘 섞은 후 물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ODst)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검액을 10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효소 실활액을 만든 후 상기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OD0)를 측정하였다.
단위계산은 30분에 10mg의 전분을 소화시켰을때를 1단위라고 한다.
α-Amylase(전분 호정화력, unit/포)=OD0-OD1/ODst×50×D×1/10
OD0: 효소 실활액의 흡광도
OD1: 효소 희석액의 흡광도
ODst : 대조약의 흡광도
4) 단백소화력(protease)
Biodiastase 2000으로서 50mg 해당량을 정평하여 증류수를 가해 정확히 250ml로 하여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카제인 용액 2ml를 시험관(15×150mm)에 넣고 36-38℃에서 5분간 방치한 후 시료 용액 1ml를 정취하여 가하고 바로 진탕 혼합하였다.
이 액을 37±1℃에서 정확히 60분간 방치하고 0.4M 트리클로로초산 용액 2ml를 넣어 진탕 혼합한 다음 다시 37±1℃에서 25분간 방치한 후 여과하였다. 이 여액 1ml를 시험관(18×180mm)에 정취하고 0.4M 무수 탄산나트륨용액 5ml 및 희석한 폴린시액(1→5) 1ml를 가하여 37±1℃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이 액에 대해 층장 10mm 파장 660nm에서 흡광도(A50)를 측정하였다.
단위 계산은 상기 조건에서 60분간 작용시킬때 반응 정지액 1ml중에 100μg의 tyrosine에 상당하는 amino acid를 생성할때를 1단위라고 한다.
protease(unit/1포)=(A50-A0)×1/100×F×250
F ; 흡광도차 1.000에 대한 tyrosine양
5) 용성 전분 용액의 조제(전분 당화력용)
용성전분 용액은 약 1g을 정밀히 달아 105℃에서 4시간 건조하여 감량을 측정하였다(1.0g의 건조 후 무게 0.8779g).
건조물 0.5g에 대응하는 용성전분 즉 0.570g을 정확히 위해 소량의 증류수에 현탁하고 약 50ml의 비등수중에 서서히 가하여 5분간 가열 비등시킨 후 냉각한 다음 pH 5.0의 0.1M 초산나트륨 완충액 5ml 및 증류수를 넣어 100ml로 하였다.
6) 1% 용성 전분 용액(전분 호정화력용)의 조제
건조물 1g(1.139g)에 대응하는 용성 전분을 소량의 물에 현탁시켜서 50ml의 끊는 물에 서서히 가해 5분간 자비 후 곧 유수 중에서 냉각하여 다시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 100ml로 하였다.
7) caseine 용액의 조제(단백 소화력용)
caseine 용액 1 : pH 3.0
caseine을 105℃에서 3시간 건조(1g-0.8414g)한 후 0.75g에 대한 양을 정취하여 유산 6ml와 물 75m1을 가한 후 수욕상에서 용해시킨다. 냉각 후 1N-NaOH로 pH를 조정하고 완충액을 10ml 가하고 100ml로 하였다.
caseine 용액 2 : pH 6.0
caseine을 0.75g에 대응하는 양을 정취하여 0.05M Na2HPO480ml을 가한 후 수욕상에서 용해시킨다. 냉각 후 1N-HCl로 pH를 조정하고 완충액 10ml를 가하고 100ml로 하였다.
caseine 용액 3 : pH 8.0
caseine을 0.75g에 대응하는 양을 정취하여 0.05M Na2HPO480ml을 가한 후 1N-HCl로 pH를 조정하고 완충액 10ml를 가하고 100m1로 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1) 전분 당화력]
Biodiastase 2000과 이를 함유한 본 발명품 제제의 전분 당화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작용 pH와 작용시간을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를 Table Ⅶ 및 제5도에 나타내었다. Table Ⅷ 및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pH 5에서 가장 역가가 높았으며, 이는 최적 pH 영역이 pH 5라는 문헌과 일치한다. pH 4와 pH 7에서는 효소활성이 일부 저하되지만 이 영역에서도 소화력을 상당량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품은 Biodiastae 2000 단독보다는 전반적으로 효소 활성이 약간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다음, pH와 작용시간에 따른 소화력의 활성도를 실험한 결과를 Table Ⅷ-1과 제6도에 기재하였다. 작용시간은 0.5, 1, 2, 4, 8 및 12hr로 하여 본 발명품 제제의 s-amylase actrivity를 측정한 결과 activity가 증가하다가 거의 일정하게 되는데 pH 4의 경우는 시간에 따라 그렇게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으며 2시간쯤에 일정한 activity를 나타내었다. pH 5 및 pH 7에서의 시간에 따른 활성도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12시간 후에도 활성도가 4000u을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품은 12시간까지 끊임없이 소화력을 발휘함으로써 음식물이 위와 소장에 체류하는 시간동안 충분히 효소활성을 보유하여 소화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able Ⅷ]
pH 변화에 따른 비디오아스타제 2000과 본 발명품의 S-amylase 활성도 비교(n=2)
[Table Ⅷ-1]
pH 변화별 시간에 따른 본 발명품의 S-amylase 활성도
* volume 0.05N Na2S2O3consumed at end point(blank 11ml)
** 조건하에서 시간당 생성하는 환원당을 포도당으로 환산하여 10mg을 생성할성챈j의 단위
[2) 전분 호정화력]
Table Ⅶ-2와 제7도에서 보듯이 pH 4.8에서 활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pH 3과 pH 7에서는 활성도가 전분 당화력보다 더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이로서 전분 호정화력 pH에 더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고, 효소 Biodiastase 2000과 본 발명품을 비교해 볼때, 본 발명품 제제에서 activity가 약간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pH와 작용시간에 따른 소화력의 활성을 실험한 결과는 Table Ⅷ-3 및 제8도와 같았는데 pH 7.0에서는 4시간 정도 소화작용이 지속되었으나, pH 3과 pH 4.8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되었으며 10시간까지도 지속적으로 소화작용을 나타내었다. 여기에서도 pH 4.8에서 activity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able Ⅷ-2]
[pH 변화에 따른 비오디아스타제 2000과 본 발명품 제제의 α-amylase 활성도 비교(n=2)]
[Table Ⅷ-3]
[pH 변화별 지속시간에 따른 본 발명품의 α-amylase 활성도]
* OD(absorbance of inactivated enzyme soln)
OD(absorbance of diluted enzyme soln)
pH 3 0.698
pH 4.8 0.703
pH 7 0.811
** 조건하에서 시간당 10mg의 전분을 소화시킬 때의 단위
[3) 단백 소화력]
Table Ⅷ-4와 제9도에서 보면 pH 7.0에서 효소의 활성이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caseine이 pH 4-5에서 등전점이기 때문에 염산으로 pH를 저하시킬 때 caseine이 응고되는데, pH 6에서 가장 침전이 많이 생겼었기 때문이다. 이때의 침전은 우유빛깔의 침전이었으며 염산의 양에 비례해서 침전의 양이 생성되었고, pH 3과 pH 8에서는 거의 침전이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효소활성은 본 발명품 제제에 함유되어 있는 기타 성분에 의해서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작용시간에 따른 protease activity 실험 결과를 Table Ⅶ-5와 게10도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 PH 3.0에서 pH 7.0과 pH 8.0에서 보다 activity가 낮게 나타났으나 각각의 pH에서 8시간까지는 단백 소화력을 계속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Table Ⅷ-4]
[pH 변화에 따른 비오디아스타제 2000과 본 발명품의 protease 활성도 비교(n=2)]
[Table Ⅷ-5]
[pH 변화별 시간에 따른 본 발명품의 protease 활성도]
* absorbance
A(absorbance of blank)
pH 3 0.077
pH 7 0.064
pH 8 0.061
** 상기 조건하에서 시간당 작용시킬때 반응정지액 1ml중에 100μg의 tyrosine에 상당하는 아미노산을 생성할때의 단위
[4. 결론]
1) 소화력은 pH에 따라 가장 activity가 큰 영역이 있으며 Biodiastase 2000과 본 발명품 제제의 경우 pH 5.0 부근에서 가장 활성이 컸으나, 넓은 pH 영역에서도 activity가 비교적 양호하였다.
2) 본 발명품 제제의 경우 효소 단독에서보다 전반적으로 활성이 저하되었으나, 본 발명품 제제의 기준에는 적합하였다.
3) 작용시간에 따른 activity의 실험 결과, 적어도 8시간까지는 계속 소화력을 발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품 제제는 음식물이 위와 소장에 체류하는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소화작용을 발휘하기에 충분하다.
[Ⅳ-4 임상시험]
[1. 실험방법]
1) 대상환자-본 시험의 대상 증례는 1992.3∼1992.12까지의 기간에 중앙길병원의 내과에 내원환자중 위부불쾌감, 상복부통, 속쓰림, 오심, 구토 소화불량등의 상부소화관에서의 일반제증상(不定愁訴)을 인지하고 위내시경 검사에 의해 미란, 발적등이 확인된 위염 또는 위·12지장궤양 혹은 상부소화관 기능이상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6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환자들을 무작위로 치료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본 발명제제치료군 : 36예, 대조군 : 27예). 연령 및 성별은 원칙적으로 3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남녀로 하며(남성 : 26예, 여성 : 37예), 외래, 입원 환자별은 문제삼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Table Ⅸ-2). 단, 치료대상을 선택할 때 다음의 항목에 해당하는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1) 중증 위·12지장궤양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2) 소화기암 또는 중증의 타질환의 합병환자 : 천공, 유문협착, 대출혈 증례 및 관찰기간중 암으로 확정된 증례
(3) 신장해, 심기능장해가 있는 환자 : 혈액, 간 신장해, 당뇨병, 기타 질환을 가지고 있어 시험이 부적당하다고 생각되는 증례
(4) 임신, 수유부 또는 임신가능성이 있는 환자
(5) 기타 주치의가 본 시험 실시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던 환자
각 대상 질환의 진단은 환자의 병력, 질환의 특이적 자·타각증상, 위내시경검사, 임상 병리검사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진단하였다.
2) 투여약제-치료군은 본 발명품의 세립(제제예, 방법 1)을 투여하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약제는 1포당 Almuinium silkicate 273.4mg, Prec. Clacium carbonate 133mg, Sodium bicarbonate 625mg, Magnesium carbonate 26mg, Biodiastase 40mg, 식물생약 7종을 함유하고 있는 수입약제(오타위산)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시험약제들은 공히 동일 형태, 크기 및 색상의 사면호일 포장의 pouche로 만들어 사용하여 환자는 분별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3) 투여방법-치료군은 1일 3회, 1회 1포를 매 식후 복용토록 하였고 원칙적으로 투여기간은 2주간으로 하였으며 판정은 2주후에 하였다. 대조군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투약하였다.
단, 도중에, 자·타각증상의 소실 또는 내시경적으로 치유가 확인될 경우 또는 증상이 악화하여 투여 계속이 곤란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투여를 중지하는 것으로 했다(2주에 미달하거나 복용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탈락예로 판정하였다).
이때 본제의 효과판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고 예상되는 다른 약제와의 병용은 행하지 않는 것을 원칙적으로 했다. 본 시험 전부터 사용하고 있던 병존 질환 치료제의 사용은 계속했다.
본 시험의 약효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약물을 어쩔 수 없이 병용하는 경우는 투여약물의 약물명, 사용량, 사용기간을 기록했다.
[2. 관찰항목 및 방법]
1) 환자의 배경-환자명, 성별, 연령, 진단명, 합병증, 기왕력, 투여전의 치료, 입원 외래등 기타 필요사항을 조사하였다.
2) 자·타각증상-투여직전, 투여3-4일후, 7일후, 2주후 또는 투여최종일에 PATIENT CHART의 개별 증상에 대해 관찰하고, 관찰된 제증상의 증상정도(重症度)는 다음 4단계로 판정하였다.
3 : 강도(Severe Symptom)-증상이 매우 심하고 현저할 경우
2 : 중등도(Moderated Symptom)-증상이 중등도인 경우
1 : 경도(Slight Symptom)-증상이 비교적 가벼운 경우
0 : 없음(No Symptom)-증상이 전혀 없을 경우
3) 위 내시경 검사-진단결과 위염, 위·십이지장궤양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위내시경 검사를 병행하였으며 원칙적으로 투여전(또는 병조기)에 행하고 가능한 투여 종료시에도 행하였다.
4) 임상병리 검사-약물의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원칙적으로 투여개시전 및 투여종료후에 혈액 및 뇨샘플을 채취하여 혈액검사, 혈청생화학적 검사, 뇨검사등을 실시하였다.
5) 부작용-시험기간 중에 발현된 부작용에 대해 증상정도(重症度), 발현일에 대해 조사하고 그 처치 및 예후와 본제와의 인과관계를 평가하였다.
[3. 효과 판정기준]
[1) 개선도(유효성) 판정]
가. 자·타각 증상별 개선도-투여전과 비교해서 투여 3-4일, 1주일, 2주일후에 각 증상의 개선정도에 따라 다음 5단계로 평가하였다(Table Ⅸ 참조).
나. 전반개선도-투여 3-4일, 1주일, 2주일후에 각 증상별 개선도를 종합하여 각 시점에서의 전반 개선도 및 종합전반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다. 내시경 소견-투여후 내시경검사를 실시한 증례에 대해 투여전과 비교하여 투여종료후 중증도 소견별 개선도를 전항의 5단계로 평가하였다.
라. 종합개선도-자·타각증상의 종합 전반개선도와 위내시경검사 소견에 의한 개선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음의 6단계로 평가하였다(Table Ⅸ-1 참조).
[2) 안전도 판정(개괄 안전도)]
부작용 발현 및 임상검사 소견을 개괄하여 다음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1 : 부작용 없음 2 : 경미한 부작용
3 : 처치를 요하는 부작용 4 : 부작용이 심하여 중지를 요하는 경우
3) 유용도 판정
종합 개선도와 개괄안전도를 고려하고 임상 담당자의 진찰소견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다음 6단계로 평가하였다.
1 : 극히 유용 2 : 유용
3 : 약간 유용 4 : 어느쪽도 아님
5 : 유용성 없음 6 : 판정불능
시험결과는 Chi-square(X2) test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차를 검정하였고 p-value<0.05일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처리하였다.
[4. 실험결과(시험성적)]
본 시험에 참여한 전체 대상환자는 63예로 36명은 본 발명품 치료군이고 나머지 27명은 오타위산 대조군이었으며 2주동안 투여하지 못한 탈락예는 총 6명이었다.
1) 대상환자의 배경-평가대상 환자는 57명으로 연령별로 대상질환의 성질상 중, 고연령이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치료군이 4.18±22.0(20-64세), 대조군은 40.3±27.7(15-68세), 궤양력으로는 치료군은 초발 12명, 재발 9명, 불명 1명이고 대조군은 초발 16명, 재발 9명이었다.
고혈압, 폐결핵, 간질환등의 합병증이 치료군 8명, 대조군 2명이었으나 담당의에 의해 본 시험에 영향이 없고 환자의 안정성에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본체 투약전 관련약제가 투여된 증례는 치료군 3명 대조군 3명이었고, 본 시험 개시전 내시경 검사시 증상 없는 환자는 치료군 3명 대조군 4명이었고, 나머지는 경도이상의 내시경 소견을 보였다. 이들 환자는 위염 42명, 위·.12지장궤양 4명, 기타 상부소화기계 이상이 11명으로 진단되었으며 그 원인은 스트레스, 생활불규칙, 원인불명, 약물, 알콜 순이었다.
시험중 탈락에는 치료군 4명, 대조군 2명이며 탈락원인은 호전이 없거나(치료군 : 2명) 부작용(치료군 : 1명, 대조군 : 1명) 사용을 중지하였거나 내원하지 않아(치료군 : 1명, 대조군 : 1명) 투여중단하였다.
두 약물군간에 성별, 연령, 내원횟수 및 발병기간등의 특성은 Table Ⅸ-2와 같으머 두군간의 배경인자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 자·타각 증상별 개선도-자·타각증상으로는 위부, 복부 팽만감, 위통, 소화불량, 속쓰림, 위산과다, 구역, 구토 등의 순으로 유증율이 높았으며, 주증상들은 다발적으로 발생하였다.
투여전의 내시경학적 중증도는 대략 경도∼중등도였으며 각 증상별 개선 상황은 Table Ⅸ-3에 나타나있다.
본 발명품 치료군의 경우 투여 최종일(2주후)에 관찰 결과 위통을 제외한 모두 자·타각 증상에서 90% 이상이 개선율을 보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위부불쾌감, 소화불량은 80-90%, 위통은 75%, 위산과다, 구역, 구토는 70% 이하의 개선율을 보였다.
식체(위체)를 제외한 모든 증상에서 치료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개선율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차는 없었다(p>0.05). 그러나 특히 위산과다, 구역, 구토등에서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개선율이 훨씬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자. 타각증상의 종합 전반개선도는 치료군에서 32/32에(100%)의 개선율을, 대조군에서는 23/25(92%) 개선율을 보였다(Table Ⅸ-4 참조).
3) 종합개선도-종합 전반개선도에 위내시경 검사 소견을 가미했던 종합 개선도는 Table Ⅸ-5에 나타난바와 같이 치료군 88.9%, 대조군 85.2%의 개선율을 보였다.
4) 개괄 안전도-부작용의 발현상황과 임상 검사치의 소견으로부터 평가되었던 개괄안전도는 Table Ⅸ-6과 같았다 전 시험기간을 통해 인지된 부작용 발생예는 단지 치료군 1예에서 일과성의 경미한 구토증상이 있었으나 심인성으로 판단되었고 본 발명품에 의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었으며, 투약중지를 요할 정도는 아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1예에서 오심을 호소하여 투약을 중단하였다. 임상검사(혈액검사, 혈청, 생화학적검사, 뇨검사) 소견에 있어서는 치료군, 대조군 모두 투약전, 후의 측정치가 정상범위내에서 본제와 인과관계를 인지한 임상검사치의 이상변동은 발견되지 않았다.
5) 유동도-종합개선도, 부작용 및 임상검사를 고려한 개괄안전도를 종합하여 평가되었던 유용도는 Table Ⅸ-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증례에서 본 발명품 치료군이 극히 유용 9/36, 유용 18/36, 약간유용 5/36로서 투여중간으로 탈락에 의한 판정불가 4/36, 전체 유용율이 88.9%(32.36)를 보였고, 오타위산대조군에서는 극히유용 0.27, 유용 8.27, 약간유용 15/27, 유용성 없음 2/27로서 전체 유용율 85.2%(23/27)를 보였다.
[5. 고찰]
소화불량, 속쓰림, 트림, 구역, 식후 상복부 불쾌감, 공복시 상복부통증등 소화기 계통의 증상을 주로 호소하여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은 흔히 경험하게 되어 이들중 어떤 검사방법으로도 기질성 병변이 발견되지 않은 환자들은 기능성 위장장애, 또는 비궤양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되기도 하고 때때로 신경성 위염의 진단하에 지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증상의 호전이 없어 만성적인 치료과정을 밟는 경우가 흔이 있다.
또한, 상부소화관의 기질적 질환 및 기능장애의 치료에 있어서 수반되는 상기한 일반제증상들은 다양하고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치료상의 어려움을 겪게 되는 때가 많다.
이들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위산과다, 위장운동 저하로 인한 위식도역류, Helicobacter pylori 감염, 환경적 요소, 흡연, 음주, 커피등의 음식물, 진통제의 사용 및 유전적 소인으로서 가족력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환자의 가정, 직업사회에서 행동이나 생활양식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와 관련된 불안, 초조, 우울증의 정신적 원인이 또 하나의 발병 요인이 된다.
이러한 제증상의 완화를 위한 목적으로 제산제와 소화효소제 및 생약성분이 복합된 제제들의 소화기계통 증상의 치료를 위한 자가적으로 또는 약국을 통해, 때로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상용되고 있다. 본 발명품의 유효성분인 Almagate와 Dihydroxy Aluminum Sodium Carbonate는 기존의 Sodium bicarbonate, Magnesium carbonate보다 제산력과 지속성이 강력하고, 산반동으로 인한 위장관 자극등의 부작용이 적어 제산제로 인한 위궤양등의 병상부위가 악화될 염려가 적으며 또한 본 발명품 성분중의 Biodiatstase 2000도 소화 효소력이 강력한 소화제로 평가되고 있으며, 진경제 및 생약제가 복합설계된 처방인 본 발명품은 우수한 위장질환치료제로서 평가된다.
[6. 결론]
상부소화관 질환으로 각종 부정수소(不定愁訴) 호소하는 환자에 있어 본 발명품 세립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1992년 3월부터 12월까지 중앙길병원 내과에서 상부소화관의 기질적질환 및 기능성장애, 비궤양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된 내원환자 63명을 대상으로 하여 일본에서 이미 유용성이 입증되었고 국내에도 소개된바 있는 오타위산을 대조약물로 2주간 투약후 자·타각증상과 내시경 개선효과 및 부작용을 중심으로 비교임상을 실시하여 그 임상적 유용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투여예수 63예중 투약을 마친 경우는 치료군 32예, 대조군 25예로서 중 57예였으며 자·타각증상의 종합전반개선도는 "중증도 개선" 이상이 치료군은 84.4%(27.32), 대조군은 40%(10/25) 이었고, "경도개선" 이상이 치료군이 100%(32/32), 대조군 92%(23/25)로 치료군이 대조군보다 개선율이 높았다.
2) 위부불쾌, 팽만감, 복부 팽만감, 흉통·위통, 식체(위체), 소화불량 및 식욕부진, 위산과다, 속쓰림 및 신트림, 구역·구토등의 자·타각증상에 대해 치료군(대조군)은 각각 100%(88.0%), 95.7%(89.5%), 87.5%(75.0%), 91.3%(93.8%), 90.0%(89.5%), 94.7%(58.3%), 100%(93.8%), 94.4%(66.7%)의 개선율로서 식체를 제외한 모든 자·타각증상에서 치료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개선율을 보였다.
3) 자·타각증상과 위내시경 소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종합개선도는 "약간유효" 이상이 치료군은 88.9%(32/36), 대조군은 85.2%(23/27)로 치료군이 대조군보다 유효율이 높았다.
4) 부작용으로는 치료군 1예에서 경미한 구토 증상을 호소하였으나 심인성으로 판정되었으며 그외 부작용 발현은 인지되지 않았으므로 부작용으로 인지한 투약중지는 없었으나, 대조군 1예에서 오심을 호소하여 투약을 중단하였다. 치료군 및 대조군 모두 임상적으로 특이할 만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5) 유용성 판정에서 치료군은 88.9%(32/36)를, 대조군은 85.2%(23/27)의 유용율을 보였다.
본원에서 실시한 이상의 임상시험 결과, 상부소화기계에 일반적으로 수반되는 제증상등에 본 발명 제제세립을 투여함으로서 일상 임상에서 환자의 상부소화질환의 부정수소(不定愁訴)를 가능한 신속히 소실시키고 개선율이 높은 치료효과 및 안전성에서 유용성이 있는 약제로서 평가된다.
[Table Ⅸ]
[자·타각 증상별 개선도 ]
[Table Ⅸ-1]
[자·타각 증상별 개선과 내시경검사 소견에 의한 유효성에 대한 종합개선도]
[Table Ⅸ-2]
[임상시험 환자의 특성]
[Table Ⅸ-3]
[투여 2주간 증상의 개선도]
( ) : Cumulative rate%
[Table Ⅸ-4]
[투여 2주후 증상의 개선율]
[Table Ⅸ-5]
[내시경검사와 증상개선에 따른 종합적인 유효율]
[Table Ⅸ-6]
[임상시험소견과 부작용에 대한 안전율]
[Table Ⅸ-7]
[유효와 안전율을 고려한 종합 유용율]
이상의 실험으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장질환치료제는 안정한 제제일뿐 아니라 독성이나 부작용도 없는 매우 유효한 약제임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의약주성분으로 디히드록시알루미늄 탄산나트륨, 알마게이트, 비오디아스타제 2000, 감초가루, 스코폴리아엑스산, 계피가루, 진피가루, 용담가루, 정향가루, 육두구가루 및 회향가루를 함유한 위장질환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디히드록시알루미늄 탄산나트륨 500mg, 알마게이트 500mg, 비오디아스타제 2000 50mg, 감초가루 50mg, 스코폴리아엑스산 100mg, 계피가루 92mg, 진피가루 22mg, 용담가루 15mg, 정향가루 12mg, 육두구가루 20mg, 회향가루 24mg을 함유한 위장질환 치료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성분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및 교미제를 함유하며, 부형제로는 전분 및 유당을 함유하고 교미제로는 엘-멘톨을 함유한 위장질환 치료제.
  4. 하기와 같은 공정에 따라 제조하는 위장질환치료제의 제조방법.
    1) 옥수수전분 54와 정제수 108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페이스트상으로 한후,
    2) 백색세립제조 : 알마게이트 500, 디히드록시알루미늄 탄산나트륨 50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의 페이스트 약 860 중량비로 연합하여 체를 통과시키고 40-50℃로 건조한 다음 다시 체를 통과시켜 세립을 제조하고,
    3) 갈색세립제조 : 감초가루 50, 스코폴리아엑스산 100, 계피가루 92, 진피가루 22, 용담가루 15, 정향가루 12, 육두구가루 20, 회향가루 24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의 페이스트 약 200의 중량비로 연합한 후 체를 통과시키고 40℃에서 충분히 건조한 다음 다시 체를 통과시켜 세립을 제조하고,
    4) 비디오디아스타제 2000 50중량비를 압력을 가해 궤를 만들고 분쇄하여 세립을 제조한 후,
    5) 엘-멘톨 : 유당을 1 : 60의 중량비로 배산한 다음,
    6) 2), 3), 4), 5)를 중량비 1038 : 350 : 50 : 61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포에 포장한다.
  5. 제5항에 있어서, 세립의 성상은 백색세립과 갈색세립이 혼합된 백색 및 갈색의 세립(산)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6. 제4항의 1) 내지 6)공정으로 제조된 세립을 롤러콤팩트를 사용하여 압축시켜 판상을 만들고 오실레이트로 내려 정립하여 미세한 세립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930009870A 1993-06-02 1993-06-02 위장질환 치료제 KR96001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870A KR960015954B1 (ko) 1993-06-02 1993-06-02 위장질환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870A KR960015954B1 (ko) 1993-06-02 1993-06-02 위장질환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155A KR950000155A (ko) 1995-01-03
KR960015954B1 true KR960015954B1 (ko) 1996-11-25

Family

ID=1935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870A KR960015954B1 (ko) 1993-06-02 1993-06-02 위장질환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6441A1 (en) * 2002-04-12 2003-10-23 Pangenomics Co., Ltd Crude 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astrointestinal dyskinetic diseases
KR100578665B1 (ko) * 2005-03-09 2006-05-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위장질환 환자를 위한 생약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155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3245A (en) Improved niacin formulation
US4965252A (en) Cholesterol-lowering combination compositions of guar gum and niacin
EP0103836B1 (en) Dietar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methylsulfonylmethane
EP2744343B1 (en) Method of producing physiological and therapeutic levels of nitric oxide through an oral delivery system
US4559329A (en) Dietary and pharmaceutical uses of methyl-sulfonylmethane and compositions comprising it
US6818228B1 (en)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ultradense calcium citrate and carbonyl iron
JP2004521955A (ja) 新規置換ベンズイミダゾール製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8516971A (ja) 錠剤による負荷が軽減されるリン酸塩結合剤
JP2002529407A (ja) L−dopaエチルエステル含有分散性組成物
CA1207239A (en) Gastrointestinal compositions
US5041429A (en) Cell activators, circulatory ameliorators and edible compositions
KR100238565B1 (ko) 상부 위장관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섭취가능한 약학적 조성물
US11596166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ging and/or improving human health
Wright et al. Tetracyclines—how safe are they?
KR960015954B1 (ko) 위장질환 치료제
EP1021087A1 (en) Serotonin containing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and method of use
US3577533A (en) Antacid compositions containing bismuth aluminate and coprecipitated aluminum hydroxide and magnesium carbonate
JP4484338B2 (ja) 血中脂質低下のために有用な補酵素a経口製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US5294634A (en) Osteogenesis promoter
JPH0656677A (ja) 制酸剤組成物
JPH0476971B2 (ko)
JP2005524604A (ja) 活性炭を含有する経口製剤及びその用途
KR20000022204A (ko)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US4446132A (en) Nontoxic aspirin composition
KR100471917B1 (ko) 손상된 위장관 점막의 재생 효과를 갖는 경구용 약제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