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679B1 -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전환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679B1
KR960014679B1 KR1019930030496A KR930030496A KR960014679B1 KR 960014679 B1 KR960014679 B1 KR 960014679B1 KR 1019930030496 A KR1019930030496 A KR 1019930030496A KR 930030496 A KR930030496 A KR 930030496A KR 960014679 B1 KR960014679 B1 KR 96001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ystem controller
system control
control dev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272A (ko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679B1/ko
Publication of KR950022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1Call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 Forwarding [CF], Cell Barring [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전환방법
제1도는 종래의 무선사설교환기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사설교환망의 개략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사설교환망에서의 호착신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VLR의 데이타 베이스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착신전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6도는 착신전환에 의한 통화상태에서의 통화종료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a∼15n, 30a∼30d : 시스템제어장치
20a∼20n,PS : 휴대장치
FS1a∼FS1n, FS2a∼FS2n, FS3a∼FS3n, FS4a∼FS4n : 고정장치
본 발명은 무선사설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무선사설교환기를 상호 접속시켜 무선사설교환망을 구축하여 운용하는 경우 휴대장치가 통화영역내의 어느 장소에 위치 하더라도 통화가능하게 하도록 한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식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사설교환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제어장치(10), 고정장치(15a∼15n) 및 휴대장치(20a∼20n)를 굽지하여 이루어진다. 시스템제어장치(10)는 유선채널을 통해 공중망에 접속됨과 동시에 고정장치(15a∼15n)에 접속되어 통화로를 절환하고, 고정장치(15a∼15n)는 자신의 통화영역내에 위치한 휴대장치(20a∼20n)와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한다. 고정장치(15a~15n)는 휴대장치(20a~20n)로부터 수신한 메세지를 시스템제어장치(10)측으로 전달하고, 시스템제어장치(10)로부터 공급된 메세지를 휴대장치(20a∼20n)측으로 전달한다. 시스템제어장치(10)는 공중망의 가입자와 휴대장치(20a∼20n)사이의 통화로를 설정하거나, 휴대장치(20a∼20n) 사이의 통화로를 설정하여 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사설교환기에서는 시스템제어장치(10)의 통화관할 영역내에서는 휴대장치(20a∼20n)에 대한 통화 서비스가 가능하나, 다수의 무선사설교환기를 상호 접속함으로써 무선사설교환망을 구성하여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 무선사설교환기 간에 호 착신을 효율적으로 전환하여 주기 위한 기술이 마비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해당 무선사설교환망 내의 휴대장치에게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무선사설교환기를 상호 접속하여 무선사설교환망을 구성하는 경우에 무선사설교환기 간의 호착신을 효율적으로 전환함으로써 휴대장치가 무선사설교환망 내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통화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 전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중망으로부터 제1시스템제어장치에 호착신이 발생되면 상기 제1시스템제어장치가 자신의 VLR에서 피호출 휴대장치의 위치를 검색하여 확인하고 피호출 휴대장치가 위치한 제2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호착신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 이후 상기 제2시스템제어장치가 자신의 VLR에서 피호출 휴대장치의 위치를 검색하여 확인하고 상기 제1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호착신가능메세지를 전송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 이후 상기 제1시스템제어장치가 제2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전용트렁크 호셋업하는 제3과정, 제3과정 이후 상기 제2시스템제어장치가 피호출 휴대장치를 관할하는 자신의 고정장치를 통해 상기 피호출 휴대장치측으로 링 메세지를 전달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 이후 상기 피호출 휴대장치가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링 확인메세지를 전송하여 고정장치를 거쳐 상기 제2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링 확인메세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확인메세지를 수신하는 제5과정, 상기 제5과정 이후 상기 제2시스템제어장치가 상기 제1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링 확인메세지를 전송하여 제1시스템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공중망측으로 알러팅하는 제6과정, 상기 제5과정에서 상기 피호출 휴대장치가 고정장치로부터 확인메세지를 수신한 후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오프 훅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7과정, 상기 제7과정 이후 상기 고정장치가 제2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오프후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8과정 및, 상기 제8과정 이후 상기 제1시스템제어장치가 공중망측으로 오프 훅 메세지를 전송하여 통화상태로 진입하는 제9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전환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사설교환망의 개략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사설교환망에서의 호착신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4도는 VLR의 데이타 베이스 구성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착신전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제6도는 착신전환에 의한 통화상태에서 통화종료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사설교환망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시스템제어장치(30a∼30d)를 상호 접속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시스템제어장치(30a∼330d)의 각각에는 공중망과 다수의 고정장치가 유선으로 접속되며, 각 고정장치는 무선채널을 통해 다수의 휴대장치와 통신한다. 각 시스템제어장치(30a∼30d)들은 전용 트렁크선을 통해 상호 접속되며, 이들은 E1 CEPT(Conference of European Post and Telegram)방식 카드로 접속된다. 각 시스템제어장치(30a∼30d)간에 필요한 데이타(호접속정보)들은 ISDN의 PRI(Primary Rate Interface) 프로토콜을 응용하여 주고 받으며, 각 시스템제어장치(30a∼30d)는 VLR(Visiter Location Register)와 HLR(Home Location Register)를 구비하여 휴대장치의 호 사용등급, 위치 및 상태 등을 관리한다. 휴대장치들은 각 시스템제어장치(30a∼30d)가 관리하는 모든 통화영역에서 통화할 수 있는데,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시스템제어장치의 통화관리영역으로부터 다른 시스템제어장치의 통화관리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해당 이동지역의 시스템제어장치측에 위치등록 요청함으로써 해당 이동지역의 시스템제어장치에 위치등록 함과 동시에 해당 이동지역의 시스템제어장치를 통해서 원래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시스템제어장치에 위치변경된 사항을 등록하고, 해당 시스템제어장치들이 착신되는 호를 휴대장치가 위치한 지역으로 전환하게 하여 이동지역에서도 통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무선사설교환망에서의 호착신전환과정을 제3도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제어장치(30a)에 의한 관리되는 휴대장치(PS)가 시스템제어장치(30c)의 통화영역내에 위치할때 공중망가입자(TP)가 공중망을 통해 휴대장치(PS)를 호출하는 경우, 공중가입자(TP)로부터 시스템제어장치(30a)측으로 호착신되면 시스템제어장치(30a)는 자신의 VLR 1에서 해당 휴대장치(PS)의 위치를 검색하여 휴대장치(PS)가 어디에 위치하여 있는지를 확인한 후 휴대장치(PS)가 위치한 시스템제어장치(30c)측으로 호착신 메세지를 보낸다. 호착신메세지를 받은 시스템제어장치(PS)가 위치한 시스템제어장치(30c)측으로 호착신 메세지를 보낸다. 호착신메세지를 받은 시스템제어장치(30c)는 자신의 VLR 3에서 해당 휴대장치(PS)의 위치를 검색하여 휴대장치(PS)의 위치를 확인한 후 시스템제어장치(30a)측으로 호착신 가능메세지를 보낸다. 이후, 시스템제어장치(30a)와 시스템제어장치(30c)는 전용트렁크를 이용하여 호를 셋업시킨다. 시스템제어장치(30c)는 호셋업 메세지의 초기설정 메세지발생을 기준하여 VLR 3에서 검색해낸 정보를 토대로 해서 휴대장치(PS)를 관할하는 고정장치(FS3n)측으로 링 메세지를 보내고, 고정장치(FS3n)가 휴대장치(PS)측으로 링 메세지를 보내면 휴대장치(PS)는 링을 발생한 후 고정장치(FS3n)측으로 링 확인메세지를 보낸다. 이때 고정장치(FS3n)는 시스템제어장치(30c)측으로 링 확인 메세지를 보냄과 동시에 휴대장치(PS)측으로 그에 대한 확인메세지를 보낸다. 시스템제어장치(30C)는 고정장치(FS3n)로부터 링 확인메세지를 받으면 시스템제어장치(30a)측으로 링확인 메세지를 보내며, 시스템제어장치(30a)는 공중망가입자(TP)측으로 알러팅(alerting)한다. 그후, 휴대장치(PS)가 오프 훅 되어 오프 훅 메세지를 고정장치(FS3n)측으로 보내면 고정장치(FS3n)는 오프 훅 메세지를 시스템제어장치(30c)측으로 보내고, 시스템제어장치(30c)는 시스템제어장치(30a)측으로 오프 훅 메세지를 보내며, 시스템제어장치(30a)는 공중망 가입자(TP)측으로 오프 훅 메세지를 보낸다.
이때, 공중망가입자(TP)와 휴대장치(PS)는 통화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착신전환에 의해 통화한 후 공중망가입자(TP)가 먼저 통화종료하는 경우에는 제6도의 (a)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공중망가입자(TP)가 호복구하면 시스템제어장치(30a)는 시스템제어장치(30c)측으로 착신호복구메세지를 보내고, 시스템제어장치(30c)는 착신호 복구메세지를 받은 후 시스템제어장치(30a)측으로 착신 호복구확인메세지를 보냄과 동시에 고정장치(FS3n)측으로 호복구메세지를 보내며, 고정장치(FS3n)는 휴대장치(PS)측으로 호복구메세지를 보낸다. 이때, 휴대장치(PS)가 고정장치(FS3n)측으로 온훅 메세지를 보내면 고정장치(FS3n)는 시스템제어장치(30c)측으로 온 훅 메세지를 보내며, 시스템제어장치(30c)는 자신의 VLR3에서 휴대장치(PS)의 위치를 검색하여 휴대장치(PS)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시스템제어장치(30a)는 시스템제어장치(30c)로부터 착신 호복구확인메세지를 받으면 자신의 VLR1에서 휴대장치(PS)의 위치를 검색하여 휴대장치(PS)의 위치를 확인한다.
착신전환에 의하여 통화한 후 휴대장치(PS)가 먼저 통화종료하는 경우에는 제6도의 (b)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휴대장치(PS)가 고정장치(FS3n)측으로 온 훅 메세지를 보내면 고정장치(FS3n)는 휴대장치(PS)측으로 온 훅 확인메세지를 보냄과 동시에 시스템제어장치(30c)측으로 온 훅 메세지를 보내며, 시스템 제어장치(30c)는 시스템제어장치(30a)측으로 호복구메세지를 보낸다. 시스템제어장치(30a)는 호복구메세지를 받으면 공중망가입자(TP)측으로 호복구메세지를 보냄과 동시에 시스템제어장치(30c)측으로 호복구확인 메세지를 보내며, 자신의 VLR1에서 휴대장치(PS)의 위치를 검색하여 휴대장치(PS)의 위치를 확인한다.
시스템제어장치(30c)는 시스템제어장치(30a)로부터 호복구확인메세지를 받으면 고정장치(FS3n)측으로 호복구확인메세지를 보낸후 자신의 VLR3에서 휴대장치(PS)의 위치를 검색하여 휴대장치(PS)의 위치를 확인한다.
시스템제어장치(30a∼30d)에 구비된 VLR의 데이타 베이스에는 제4도에 도시된 형태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관리된다. VHI(Visitor and Home Indicator)는 1바이트로 구성되며, "0"이면 홈(Home)을 나타내고 "1"이면 방문자를 나타낸다. 휴대장치 ID는 휴대장치의 식별번호로서 2바이트로 구성되고, 그룹 ID는 다수의 휴대장치를 특정그룹으로 묶어 그룹호출 등과 같은 특수서비를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1바이트로 구성된다. 시스템 ID는 시스템제어장치(30a∼30d)의 식별번호로서 이것은 VHI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VHI가 "0"인 경우의 시스템 ID는 해당 휴대장치를 방문자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제어장치의 ID를 나타내며, 그 외의 경우에는 "0"으로 기록되며, VHI가 "1"인 경우의 시스템 ID는 해당 휴대장치의 홈 시스템제어장치의 ID를 나타낸다.
고정장치 ID는 2바이트로 구성되고 시스템 ID에 따라 정보의 내용이 다르게 기록되는데, VHI가 "0"이고 시스템 ID가 "0"인 경우 고정장치 ID는 현재 관리하고 있는 시스템제어장치의 고정장치 관리영역에 휴대장치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VHI가 "0"이고 시스템 ID가 다른 시스템제어장치 ID인 경우 고정장치 ID는 다른 시스템제어장치의 고정장치를 의미하며, VHI가 "1"인 경우 고정장치 ID는 현재 시스템제어장치 고정장치 ID를 의미한다. 휴대장치 상태정보는 1바이트로 구성되고, 휴대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원 온/오프, 권외 존재여부, 아이들/비지상태 등을 나타내며, 발신등급정보는 1바이트로 구성되고 휴대장치의 호발신시 호발신범위를 제한할 때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무선사설교환기를 상호 접속하여 무선사설교환망을 운용하는 경우, 무선사설교환망내에서 발생되는 호 착신을 해당 휴대장치의 위치에 따라 효율적으로 전환하므로 휴대장치가 무선사설교환망내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통화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공중망으로부터 제1시스템제어장치에게 호착신이 발생되면 상기 제1시스템제어장치가 자신의 VLR에서 피호출 휴대장치의 위치를 검색하여 확인하고 피호출 휴대장치가 위치한 제2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호착신메세지를 전송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 이후 상기 제2시스템제어장치가 자신의 VLR에서 피호출 휴대장치의 위치를 검색하여 확인하고 상기 제1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호착신가능메세지를 전송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 이후 상기 제1시스템제어장치가 제2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전용트렁크 호 셋업하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 이후 상기 제2시스템제어장치가 피호출 휴대장치를 관할하는 자신의 고정장치를 통해 상기 피호출 휴대장치측으로 링 메세지를 전달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 이후 상기 피호출 휴대장치가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링 확인메세지를 전송하여 고정장치를 거쳐 상기 제2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링 확인 메세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확인메세지를 수신하는 제5과정, 상기 제5과정 이후 상기 제2시스템제어장치가 상기 제1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링 확인메세지를 전송하여 제1시스템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공중망측으로 알러팅하는 제6과정, 상기 제5과정에서 상기 피호출 휴대장치가 고정장치로부터 확인 메세지를 수신한 후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오프 훅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7과정, 상기 제7과정 이후 상기 고정장치가 제2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오프 훅 메세지를 전송하여 제2시스템제어장치를 통해 제1시스템제어장치측으로 오프 훅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8과정, 및 상기 제8과정 이후 상기 제1시스템제어장치가 공중망측으로 오프 훅 메세지를 전송하여 통화상태로 진입하는 제9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전환방법.
KR1019930030496A 1993-12-28 1993-12-28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전환방법 KR96001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496A KR960014679B1 (ko) 1993-12-28 1993-12-28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496A KR960014679B1 (ko) 1993-12-28 1993-12-28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272A KR950022272A (ko) 1995-07-28
KR960014679B1 true KR960014679B1 (ko) 1996-10-19

Family

ID=1937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496A KR960014679B1 (ko) 1993-12-28 1993-12-28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464B1 (ko) * 1998-11-28 2006-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전환방법
KR100320910B1 (ko) * 1999-05-25 2002-02-04 서평원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사설교환망과 이동통신망간의호 처리 방법
KR100320908B1 (ko) * 1999-05-25 2002-02-04 서평원 사설교환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272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5101771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двунаправленных программируемых переключений каналов связи между беспроводными сетями без управления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CA2097351C (en) Architecture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ES2309099T3 (es) Procedimiento y terminal de procesamiento de llamadas.
KR960020577A (ko) Cdma 이동통신교환기에서 하드 핸드오프 제어방법
KR960014679B1 (ko) 무선사설교환망의 호착신전환방법
WO2010056088A2 (ko) 단말 전환 서비스에 의해 전환된 단말을 복원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KR0171034B1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정망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방법
KR100241190B1 (ko) 개인통신교환기에서의 호보류처리방법
JPS5834635A (ja) 広域携帯電話方式
JP2000197088A (ja) 移動網交換局の輻輳回避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9990061172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KR100220341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출중계호 처리방법
KR0171035B1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이동가입자 발신-고정망 착신 호 제어 방법
KR1998006734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회의통화제어방법
KR0165083B1 (ko) 무선사설 교환망에서의 휴대장치 인증방법
KR100238720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금지 처리방법
KR100199409B1 (ko)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그룹통화에서 직접 개별통화로 전환하는 방법
KR1998006310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전환처리방법
JPH0865236A (ja) 無線移動通信装置
KR100219031B1 (ko) 개인통신가입자의 위치추적제어방법
JP2001028773A (ja) 単方向メッセージサービス方式
KR20000015564A (ko)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의 호 해제 사유 전달 장치
JPS62114338A (ja) 無線ボタン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収容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装置
KR19980063113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입중계호 처리방법
KR19980063115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대기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