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382B1 - 물비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비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382B1
KR960013382B1 KR1019910016825A KR910016825A KR960013382B1 KR 960013382 B1 KR960013382 B1 KR 960013382B1 KR 1019910016825 A KR1019910016825 A KR 1019910016825A KR 910016825 A KR910016825 A KR 910016825A KR 960013382 B1 KR960013382 B1 KR 960013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ap
tank
water
air
so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587A (ko
Inventor
쭈토무 아즈마
요오지로오 타케토미
아키미쯔 우메모토
카오루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에조예 시게루
토오토오 키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조예 시게루, 토오토오 키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조예 시게루
Priority to KR1019910016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382B1/ko
Publication of KR93000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비누 공급장치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 및 특정등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설명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물비누 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모식도.
제2도는 탱크와 케싱의 사시도
제3도는 탱크의 종단측면도.
제4도는 탱크의 종단정면도.
제5도는 케이싱의 종단측면도.
제6도는 토출 노즐의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요부확대도로서 물비누의 토출상태를 표시한다.
제6도는 역지변의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작동상태도.
제10도는 탱크와 케싱의 분해사시도.
제11도는 배출부의 확대단면도.
제12도는 잔량센서의 일부절결정면도.
제13도는 잔량센서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일부절결정면도.
제14도는 (a)(b)는 제1도의 장치에 '관한 플로차트.
제15,20,29,30,32도는 각각 본 발명 물비누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모식도.
제16도는 제15도에 있어서의 토출노즐의 확대단면도.
제17도는 토출노즐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일부절결정면도.
제18도는 제17도에 있어서의 토출노즐의 혼합실의 요부확대도.
제19도는 혼합실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21)-(21)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22도는 탱크본체 하부의 평면도.
제23도는 제22도의 (23)-(23)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24도는 제20도에 있어서의 확대도이며 보급구개구의 상태를 표시한다.
제25도는 보급구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6도는 제25도에 있어서의 보급구 덮개의 평면도.
제27도는 제20도에 있어서의 토출노즐확대단면도.
제28도는 제20도에 있어서의 잔량센서의 요부확대단면도
제31도는 제30도 요부확대도.
제33도는 제32도의 측면도.
제34도는 제33도의 요부평면도.
제35도는 제34도의 (35)-(35)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36도는 제34도의 (36)-(36)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37도는 제32도의 물비누공급장치에 있어서의 펌프작동의 타임차트이다.
본 발명은, 수세, 세발. 신체의 세정. 그밖에 소망하는 용도에 사용하는 물비누의 공급장치에 관한다.
종래로부터 물비누를 수용하는 탱크와 그 탱크내를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탱크에 물비누송출관을 개재하여 연락하는 토출노즐와로 구성되는 물비누공급장치가 알러져 있다(예컨대,실개평 2-92789호 공보)
이 공급장치는 가압장치의 가압력에 의하여 탱크내의 물비누를 토출노즐에 보내고, 토출노즐의 개폐장치로 토출구로부터 수류형상의 물비누를 토출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공급장치에 의하면 가압장치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서는 물비누의 토출축이 너무 강해서, 사용자의 손에 부딪쳐서 비산하기도하고, 손가락사이에서 흘러떨어지는 일이 있어서, 물비누의 효율적인 사용점에서 개량의 여지를 남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바의 제1은, 손에 부딪쳐도 비산하지 않고, 또한 흘러떨어지는 일도 없는 거품형상의 물비누를 토출하는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상기 제1의 목적에 관한 공급장치에 있어서, 탱크와, 토출노즐을 연락하는 배관류내의 잔류물비누가 고착하여 그 배관류를 막히게할 우려를 방지하는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상기 제1의 목적에 관한 공급장치에 있어서, 그 물비누의 섬세성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상기 제1의 목적에 관한 공급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일이다.
또 본 발명 제5의 목적은, 상기 제1의 목적에 관하는 공급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물비누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또 본 발명 제6의 목적은 거품형상의 물비누를 토출하는 공급부를 복수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공급부의 각 탱크의 물비누 잔량을 일활하여 표시할 수 있는 물비누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제7의 목적은 상기 거품형상의 물비누를 토출하는 공급장치을 이미 설치된 세면기등의 기체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의 목적은, 물비누공급장치를 물비누와 공기 혼합실을 구비한 토출노즐과, 그 토출노즐에 강제적으로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공급수단과, 상기 토출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으로 구성하므로써 달성 된다.
또, 더욱 상세하게는 내1부 상방에 공기수용부를 남겨놓고, 물비누를 수용하는 탱크와, 상기 공기수용부에 연락케하여 설치되는 가압장치와 공기수용부에 설치한 압력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가압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탱크의 저부로부터 추출되는 물비누송출관과. 상기 공기수용부로부터 최출되는 공지송출관과.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을 구비하여 물비누 송출관과 공기송출관에 연락케하여 설치되는 토출노즐과로 구성한다는 등의 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2의 목적은 물비누 송출관의 최상류부에 역지밸브를 설치한다는 등의 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3의 목적은 공기송출관의 적의개소에, 토출노즐으로의 공기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상기 제4의 목적은 제어부에 시스템의 이상을 검출하여 가압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긴급정지제어수단을 구비시킨다는 등의 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5의 목적은. 탱크의 물비누잔량을 단계적으로 검출하는 잔량센서와, 그 잔량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탱크내의 물비누잔량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잔량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 등의 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6의 목적은 물비누공급장치를 상기한 탱크, 가압장치 제어부, 물비누송출관, 공기송출관, 토출노즐 잔량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물비누공급부를 복수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각각의 물비누 공급부에 있어서의 각 탱크내의 물비누잔량을 한곳에 집중하여 표시하는 표시기능부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달성된다.
상기 제7의 목적은 물비누공급장치를 물비누를 수용하는 탱크와, 물비누토출구를 구비한 수전본체와, 물비누토출구에 탱크내의 물비누를 보내는 물비누펌프와, 물비누토출구에 공기를 보내는 공기펌프와, 물비누펌프와 공기 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전본체에는 이미 설치된 세면기의 상면에 설치되는 2개의 설치구역에 접속하는 2개의 접속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물비누토출구와 급수용토수구를 병설하여, 세면기의 상면측에 설치하는 물비누의 보급구와 세면기 하부에 설치하는 물비누탱크와를 연락하는 보급관을, 상기한 한쪽 접속구를 통하여 배관하고, 또 급수관과 ·물비누탱크에 접속한 송액관과를 다른쪽 접속구를 통하여 수전본체의 급수용토수구와 물비누토출구와에 각각 연락하므로서 달성된다.
제1도는 탱크(1), 가압장치(2)물비누 송출관(3). 공기송출관(4), 제어부(5), 토출노즐(6)등으로 구성되는 물비누공급장치 (Al)를 표시하고 있으며, 먼저 이 장치 Al의 기본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탱크(1)는 그 전체형상이 원통형 또는 구형등 임의이며 하등한정되지 않지만, 도면에서는 제2-5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상자형상의 내압용기로 된 것이고, 측벽의 중고부위에 물비누의 보급구(11)가 개설되어 있고, 상기 보급구(11)를 상한으로하여 소정량의 물비누(110)를 저류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물비누(110)상방에 공기수용부(120)를 확보하여 소정량의 공기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보급부(11)는 덮개(13)로 개폐자재하게 덮혀있다.
상기 탱크(1)의 저부에는 물비누취출구(3a)가 개설되고, 이 취출구(3a)에 물비누 송출관(3)의 기단이 접속된다. 또 탱크(1)의 상부에는 공기수용부(120)에 연통하는 공기 취출구(4a)가 개설되고, 이 취출구(4a)에 공기송출관(4)의 기단이 접속된다.
상기 공기수용부(120)내에는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압력센서(7)를 설치함과 아울러, 공기 취입관(23)을 기재하여 가압강치(2)의 콤프레서(21)가 연락하고 있다.
압력센서(7)는 변형게이지 또는 자기 저항소자를 사용한 이미 알려져 있는 압력스위치로 이루어지고, 탱크(1)내압력의 변화에 따르는 전기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탱크내압력을 전기신호로하여 제어부(5)에 발신하는 것이다.
가압장치 (2)는 탱크(1)와 별체로 설치한 케이싱(22)내에 콤프레서 (21), 제어부(5)를 배설하여 복수종의 탱크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있다.
콤프레서(21)는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어부(5)에 의하여 그 작동이 제어된다.
제어부(5)는 IC, 콘덴서 등의 전기회로로 구성되고, 압력센서(7)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탱크(1)내의 압력이 저측설정압(P1,) (본 실시예에서는 0.3kg f/㎠으로 한다) 이하가 되면 콤프레서(21)를 작동시켜서 고측설정압(P3) (본 실시예에서는 0.5kg f/㎠로한다) 이상이 되면 콤프레서(21)를 정지시키는 가압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 이 제어부(5)는 다음에 설명할 각종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혹은 후술한 저측설정압(P1,). (P4.)과 고측설정압(P3,), (P3)은 본 실시예의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P1,과 P2,와의 차는 연립하는 토출노즐(6)의 수에 따라 동시사용, 연속사용에 견딜 수 있는 치(지장이 없는 치)로 해야한다. 또 고축설정압은. 탱크(1)의 헝용치(탱크에 약간의 여유를 순치)로 설정해야 한다.
탱크(1)에 접속한 물비누송출관(3)과, 공기송출관(4)은 각각 중도부에 있어서 복수로 분기하고, 분기한 각각의 선단에 각각 노즐(6)을 접속한다.
토출노즐(6)은 수새기, 세면기. 세발기의 주연부분이나 그밖의 소망하는 설치면(c)에 설치되는 것이고, 제6,7도에 표시하듯이 그 내부에 물비누도입구(6a)와 압축공기도입구(6b)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자에 물비누송출관(3)을 접속하고, 후자에 공기송출관(4)을 접속한다.
또, 내부에는 상기 도입구(6a), (6b)와 연락하는 혼합실(61), 토출구(66)에 연락하는 각 반식(62)을 설치하고. 그 혼합실(61)과 각 반실(62)과를 개재하여 연락하게 한다.
상기 토출노즐(6)에는 개폐밸브(6c)를 설치함과 아울러, 각반실(62)에 복수매(도면 실시예에서는 3매)의 스트레이너 (6c)를 장착한다.
상기 개폐밸브(6c')는 공전센서등의 인감센서에 의한 손의 감지나 터치 스위치의 압압조작애 의한 전기신호에 의해, 일정시간 개밸브하는 전동 혹은 전자식의 것이라도 누름버튼을 누르므로써 기계직으로 작동하여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혹은 일정시간 개폐하는 수동식 것이라도 좋지만, 도면에서는 누름버튼(6c')의 조작에 의한 구동식 개폐밸브(6c)가 표시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된 물비누 공급장치 (Al)에 의하면, 탱크(1)내의 압력이 일정범위 0.3kg f/cm2-0.5kgf/㎠내에 유지되도록 제어부(5)에 의하여 콤프레서 (21)의 작동을 제어하여 각 토출노즐(6)에 물비누 및 공기를 공급한다.
또. 각각의 토출노즐(6)애서 누름버튼(6c')을 누르면 공급된 물비누와 공기가 혼합실(61)내에서 혼합되고, 또한 스트레이너(6e)에서 각반된다. 따라서 물비누는 거품상태로 토출된다.
이와같이 물비누률 거품형상으로하여 투출시키는 것은 콤프레서(21)의 가압력에 의한 물비누의 토출력이 너무 강하여. 그 물비누가 손에 부딪쳐서 비산하거나 흘러 떨어지거나 하는 좋지못한일을 방지할 뿐아니라, 소량의 물비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비누의 절약에도 유효하다.
또. 상기 장치(Al)에 의하면, 가압장치(2)로 탱크(1)내의 공기를 상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압축하여, 그 압력에 의하여 탱크(1)내에 물비누(110)와 공기를 토출노즐(6)에 압송하므로. 공급계통, 즉 노즐계통을 설치하여두어도 각 계통별 및 물비누와 공기별로 각각 콤프레서나 공급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구조상 간단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한개의 공급원으로부터 복수의 세면기, 수세기에 거품형상의 물비누 공급을 하는 집중공급방식이 저코스트로 가능하게 된다.
또 물비누애 흔합하는 공기를 탱크(1)내에 상기 확보하고 있으므로 확실하게 거품 형상의 물비누를 토출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한 기본적 구성으로 된 물비누공급장치(A')의 세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부가적구성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물비누 송출관(3)의 가장 탱크(1)에 가까운 부위(물비누송출관(3)의 최상류부)에는 역지밸브(30)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대하며. 탱크(1)내의 물비누잔량이 없어져도 물비누송출관(3)내에는 물비누가 충만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물비누송출관(3)내에 탱크(1)내의 공기가 들어가서 등송출관(3)내의 잔류 물비누를 고착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그 고착에 의하여 송출관(3)미 막히는 것같은 좋지못한 일이 없어진다.
또 상기 역지밸브(30)대신에, 물비누송출관(3)과 공기송출관(4)의 분기된 각각의 토출노즐(6) 근방부위(물비누송출관(3). 공기송출관(4)의 최하류부)에는 역지밸브(40)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경우, 토출노즐(6)측으로부터 물비누송출관(3)으로 공기가 들어가거나. 흑은 공기송출관(4)에 물비누가 들어가서, 각각의 관로(3)(4)내에서 물비누가 고착하여 막힌다거나 하는 좋지못한 일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와 동시에 물비누송출관(3)내의 물비누가 공기에 빌려 되돌아가는 것을 지지하여, 물비누 토출의 초기시에 있어서외 토출의 안정성을 꾀할 수가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역지밸브(30과 40)의 쌍방을 설치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는 한쪽을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역지밸브(40)는 물비누송출관(3), 공기송출관(4)에 있어서의 입상부분(3b)(4b)에 설치되고, 상세하게는 제5, 6도와 같이 접속관(41)내에 설치한 밸브실(40a)내에 구형상의 밸브체(4Ob)와 그 밸브체(4Ob)가 착좌하는 깔대기형상의 밸브시이트(40c)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40b)외 장중에 의해 폐밸브하는 것으로 하면, 스프링등의 강제적인 부세수단을 사용하여 폐밸브하는 것에 비하여, 탱크(1)내가 저압이 되었다고 하여도 밸브체(40b)의 밥상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없이 역직밸브(4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상기 입상부분(3b)(db)에 있어서, 그 수직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공기송출관(4)의 종도부의 적의 개소에는 수동식 혹은 전동식의 유량조정밸브(50)가 설치되어 있고. 이조절밸브(50)를 수동 혹은 전동에 의하여 작동시켜서, 토출노즐(6)으로의 공기공급량을 조절하므로써 거품형상으로 토출되는 물비누의 섬세성이나 견고성 등을 사용자의 저향 등에 맞추어서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다.
또 공기송출관(4)을 완전히 폐구하므로써 토출노즐으로의 공기공급을 정지하면, 토출노즐(6)로부터는 거품형상이 아닌 수류형상의 물비누를 토출할 수가 있다.
케싱(22)은 제4도에 표시하듯이 탱크(1)의 설정장소에 따라 편의를 꾀할 수 있게 탱크(1)의 좌우측면의 어느곳에도 설치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탱크(1)의 좌우측면에는 복수개소에 나사구멍(14)이 개설되고. 케싱(22)의 좌우측면에는 각각 나사구멍(14)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구멍(22a) (23b)이 뚫려있다.
그리하여, 한쪽의 측면측구멍(22a)에 꽂아넣은 장척볼트(22c)의 선단은 다른쪽 측면측의 구멍(22b)을 통하여 나사구멍(14)에 나사결합시키므로써, 케싱(22)을 탱크(1)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는 케이싱(22)을 탱크(1)의 우측에 설치한 예를 표시하고 있지만 제2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하듯이 탱크(1)의 좌측에 설치하는 것은 임의이다.
또, 탱크(1)의 좌우양측면는 공기취입관(23)의 접속구, 즉 공기취입구(23a) 개설용의 괘선을 쳐두고, 케이싱(22)의 우측사용, 또는 좌측사용에 따라 그 어느 한쪽만을 개설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상기 케이싱(22)은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좌우측면부분에 설치편(226)을 연설하고 이 설치면(22d)에상기 구멍(22a)(22b)을 뚫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장척볼트(22c) 대신에 단측볼트(22c)를 사용하여 탱크 (1)에 설치 한다.
탱크(1)의 저벽에는 침전물배출용인 배출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부(12)는 제11도에 확대하여 표시하듯이 탱크(1)의 저벽에 알맞는 크기의 오목부(12a)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오목부(12a)의 바닥에 배출구(12b)를 개설하고, 또한 그 배출구(12b)로부터 배출관(12c)을 인출하고, 이 배출관(12c)이 개폐밸브(12d)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탱크(1)내의 침전물은 오목부(12a)내에 고이고, 개폐밸브(12d)를 개방하므로써 배출관(12c)을 통과하여 탱크(1) 밖으로 배출된다
탱크(1)를 거꾸로하여 보급구(11)로부터 친전물을 배출시키는 것 같은 수고를 필요로하지 않고도 탱크(1)내의 소제를 쉽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부가적 제어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탱크(1)의 내부에는 물비누(110)의 잔량센서(8)를 보급구(11)에는 개폐센서를 각각 설치함과 아울러 공기송출관(4)의 종도부에는 안전밸브(10a)를 구비한 공기발출구(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싱(22)의 잔량표시부(24)와 버저(25)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잔량센서(8), 개폐센서, 안전밸브(10a) 잔령표시부(24), 버저(25)는 각각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 작동이 제어부(5)에 의하여 제어된다.
잔량센서(8)은 제12도에 표시하듯이 탱크(1)내에 입상한 가이드축(80)의 고리형상의 플로우트마그넷(81)을 승강자재하게 삽통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축(80)의 외주에는 5단계로 접점(자기검출소자)(8a-8e) 설치하고, 또한 플로우트라그넷(81)의 내주에는 각 접점(8a-8e)에 접리하는 접촉자(81a)를 설치한 단단형상의 플로우트스위치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플로우트마그넷(81)의 접촉자(81a)와 가이드축(80)의 각 접점(8a-8e)과의 접촉에 의하여 물비누잔량을 단계적으로 검출하고 그것을 전기신호로서 제어부(5)에 발신하고, 제어부(5)에 탱크(1)내의 물비누잔량을 단계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잔량센서 (8)에 있어서의 최하단의 접점 (8e)은 보급구(11)보다 하위에 설치한다.
도면중 80a는 가이드축(80)의 하단에 설치한 스톱퍼이다. 또 상기한 잔량센서 (8)는 제13도에 표시하듯이 가이드축(80)외주에 단단형상으로 접점 (8a-8e)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접점 (8a-8e)마다 상하스톱퍼 (80a)를 설치하고, 또한 플로우트마그넷(81)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폐센서(9)는 보급구(11)에 설치한 마이크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덮개(13)에 의하여 보급구(11)를 패색한 상태, 개방한 상태를 각각 전기신호로서 제어부(5)에 발신하고, 제어부(5)에 보급구(11)의 개폐(덮개(13)의 개방 또는 폐색)상태를 인식시키 것이다.
공기발출구(10)의 안전밸브(10a)는, 통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공기송출관(4)은 개방하고, 공기발출구(10)를 폐색하는 전동(전자) 3방밸브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개폐센서(9)가 보급구(11) 개방(덮개(13)개방)을 검출했을때, 또는 잔량센서(8)가 물비누잔량 최하위(8a)를 검출했을때, 또는 압력센서(7)가 고측설정압(P3) (본 실시예에서는 0.7kg f/㎠로 한다)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작동하여 공기발출구(10)를 개방하여서 탱크(1)내의 압착공기를 발출하는 동시에 일정시간(예컨대 60초)경과후에 또다시 작동하여 공기발출구(10)를 폐색하도록 제어부(5)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 공기발출구(10)는 공기송출관(4)과는 별개로 독립하여 탱크(1)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 안전밸브(10a)는 공기발출구(10)를 개폐하는 전동(전자)개폐밸브로 구성한다.
또 상기 안전밸브(10a)는 고착에 의한 개폐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콤프레서(21)의 작동개시 때마다 근소한 시간(예컨대 0.1초)에만 개폐작동하도록 제업부(5)에 의하여 제어된다.
잔량표시부(24)는 상기 잔량센서(8)의 각 접점(8a-8e)에 대응시켜 발광다이오드소자(24a-24e)를 다단형상으로 배설함과 동시에 각 소자(24a-24e)를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대응하는 접점(8a-8e)에 의한 잔량검출에 의하여, 각각 소자(24a-24e)가 점등하겨 탱크(1)내의 물비누잔량을 단계적으로 표시하고, 또한 최상단의 소자(24e)에 있어서는 최등단의 접점 (8e)으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일정시간(예컨대 5초간)점멸하여 물비누보급시에 있어서의 오버플로를 경고하고, 그후 점등하도록 제어부(5)에 의하여 제어된다.
버저(25)는 잔량센서(8)가 물비누잔량 최상위(8e)를 검출했을때에 일정시간(예컨대 5초간)올려서, 물비누보급시에 있어서의 오버플로를 경고하도록 제어부(5)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부(5)는 상기한 가압제어수단외에도. (I) 탱크(1)내의 물비누(110)잔량을 단계적으로 인식하여 잔량표시부(24)를 상기한 바와같이 작동시키는 잔략표시용 제어수단, (ll) 탱크(1)내의 물비누(110) 잔량이 최하위까지 하강한 것을 인식하면 안정밸브(10a)틀 상기한 바와같이 작동시키는 덮개(13) 튀는 것 방직 및 물비누송출관(3) 고착방지용의 제어수단, (Ⅲ) 덮개(13) 개방(보급구(11)개방)를 인식하면 콤프레서(21)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 (Ⅳ) 탱크(1)내의 물비누(110) 잔량이 최상위까지 상승한 것을 인식하면 잔량표시부(24), 버저(25)를 상기한 바와같이 작동시키는 오버플로 경고용의 제어수단, (V) 탱크(1)내가 고측설정압(P3)(0.7kg f/㎠)이상이된 것을 인식하면 안전밸브(10a)를 작동시키는 탱크보호용의 제어수단, (Vl) 콤프레서(21)의 작동개시 때마다 안전밸브를 상기한 바와같이 작동시키는 안전밸브 고각방지용의 제어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보급구(11)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탱크(1)내의 압력이 일정범위내로 유지되도록 콤프레서(21)가 작동하여 각 토출노즐(6)로부터의 거품형상의 물비누토출이 가능해진다.
또, 잔량토출부(24)에 탱크(1)내의 물비누(110) 잔량을 단계적으로 표시하여. 물비누의 보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탱크(1)내의 물비누잔량이 잔량센서(8)의 최하위(8a)에 달하면 혹은 물비누보급시등에 덮개(13)를 열면, 콤프레서 (21)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공기발출구(10)를 열어서 탱크(1)내의 공기를 뽑는다.
이것에 의하여 물비누를 보급할때에 탱크(1)의 내압에 의하여 덮개가 튀어나올 우려를 없게하여, 물비누의 보급을 안전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덮개 (13) 개방시에 있어서의 콤프레서 (21)의 낭비적인 작동을 방지한다고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기한 효과외에도 물비누취출구(3a)를 잔량센서(8a)의 최하위(8a)보다 하위에 설치하므로써 물비누(110)잔량이 물비누취출구(3a)보다 하위가 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물비누송출관(3)에 탱크(1)내의 공기가 들어갈 우려를 방지하고, 관내의 잔류물비누가 고화하여, 물비누송출관(3)이 막힌다고 하는 좋지못한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물비누보급시에 있어서 탱크(1)내의 물비누(110) 잔량이 보급구(11) 근방까지 상승하면 버저(25)가 울리는 동시에 잔량표시부(24)의 최상단위 소자(24e)가 점멸하여, 물비누의 어버플로를 경고하며, 물비누의 낭비적인 소비를 방지한다.
또, 탱크(1)의 내압이 고측설정압(P3) (0.7kg f/㎠)을 넘으면 안전밸브(10a)가 작동하여서 탱크(1)내를 감압하여 탱크(1)를 보호한다.
또 콤프레서(21)의 장동때마다 안전밸브(10a)를 개폐작동시키므로써, 안전밸브(10a)에 부착한 물비누가 고화함에 따라 안전밸브(10a)가 작동하지 않게 되는 우려를 방지하고, 상기한, 혹은 다음에 설명할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상기 제어부(5)는, 하기 ① 또는 ②에 기술할 이상을 검출했을때에 콤프레서(21)의 작동을 정지하고, 또한 안전밸브(10a)의 작동에 의해 공기발출구(10)를 일정시간 개방함과 아울러, 잔량표시부(24)의 각 소자(24a-24e)를 모두 점멸시켜 장치 (Al)의 이상발생을 알리고. 또, ③에 기술하는 이상을 검출했을때에는 콤프레서 (21)의 작동을 정지하며, 또한 공기발출구(10)를 일정시간 개방하는 동시에 잔량물비누의 액면이외에서의 잔량검출이 있었던 접점 (8a-8e)이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소자(24a-24e)를 소등하고, 그 밖의 소자(24a-24)를 점멸시켜 장치 (Al)의 이상발생을 알리며, 또 ③에 기술하는 이상을 검출했을때에는 콤프레서(21)의 작동을 정지하고. 또한 공기발출구(10)를 일정시간 개방하는 동시에 잔량물비누의 액면이외에서의 잔량검출이 있었던 점점(8a-8e)에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소자(24a-24e)를 소등하여 그밖의 소자(24a-24e)를 점멸시켜 이상발생을 알리는 긴급정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① 제어부(5)로부터 콤프레서(21)를 작동시키는 지령이 나온후 일정시간(예컨대 5분간) 경과하여도 탱크(1)의 내압이 고측설정압(P1)(0.5kg f/㎠)에 달하지 않을때. ② 제어부(5)로부터 공기발출구(10)의 안전밸브(10a)를 작동시키는 지령이 나오고나서 일정시간(예컨대 60초간) 경과하여도 탱크(1)내의 내압이 저측설정압(P4)(본 실시예에서는 0.1kg f/㎠로 한다) 이상일때, ③ 잔량센서(8)에 있어서 탱크(1) 내물비누(ll0)의 액면이외의 수준에서 잔량검출이 있었을때, 이리하여 상기 ①-③에 기술한 이상이 발생하면. 콤프레서(21)가 정지하는 동시에 탱크(1)내가 감압된다.
따라서 탱크(1) 물비누송출관(3), 공기송출관(4), 토출노즐(6)등에서 공기가 새어오르거나, 탱크(1)의 제어가 되지 않거나 잔량센서(8)에서 이상이 있거나 했을 경우에 장치(Al)가 운전을 계속하거나 하는 위험성을 없애고, 장치(Al)의 안전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잔량표시부(24)의 점멸의 의하여 사용자에게 이상발생을 알릴수가 있다. 또 위에서 말한 물비누공급장치(Al)의 제어에 관한 플로챠트를 제14도에 표시한다.
또 상기 공급장치(Al)에 있어서 전술한 이외의 제어기능, 예컨대 케싱(22)내에 있어서의 콤프레서(21)근방에 온도센서를 실현하고, 그 온도센서가 설정온도 이상(콤프레서(21)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하면 콤프레서(21)를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시켜도 좋다.
이하에, 상기 공급장치 (Al)의 각 구성부분을 적외변경하여 된 물비누공중장치 (A2-A4)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5, 16도에 있어서는 상기 토츨노즐(6) 대신에 사용자를 감지하면 일정시간 개벨브하는 전자식 혹은 전동식의 개폐밸브(65)를 구비한 토출노즐(6')을 사용한 물비누공급장치(A2)를 표시하고 있다.
이 토출노즐(6')은, 상기 토출노즐(6)과 마찬가지로 물비누도입구(6a), 압축공기 도입구(6b), 토출구(6d), 스트레이너(6e), 혼합실(61), 교반실(62), 통보(63)등을 구비함과 아울러 기단부의 소정개소에 토출구(66) 바로 아래에 내민손을 감지하는 광전식센서(6f)를 보유하여 이루어진다. 개폐밸브(65)는 물비누송출관(3). 공기송출관(4)에 있어서의 역지밸브(40)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센서(6f)에 의한 손의 감지로 소정시간 개폐밸브하도록, 제어부(5)에 연계되어 있다. 또, 센서(61)는 자동적으로 손을 감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터치식 센서 이라도 지장없다.
이 물비누 공급장치(A2)에 의하면 센서(6f)에 의해 사용을 감지하면 개폐밸브(65)가 소정시간 개밸브하여 일정량의 물비누와 압축공기를 토출노즐(6')에 공급하고, 토출구(66)로부터는 거품형상의 물비누가 일정량만 토출된다. 따라서 1회의 사용에 있어서의 물비누의 토출량을 적량화 할 수 있고, 물비누를 보다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이 공급장치(A2)에서는 복수이상의 토출노즐(6')이 동시에 사용되면, 탱크(1)내외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한다.
말하자면 판단되는 것을 피하는 제어수단을 제어부(5)에 구비시키고 있다. 이 수단은. 예컨대 ① 2개의 토출노즐(6')이 동시에 사용되었을 경우에 통상적인 토출시간의 70%에서 폐밸브하도록 개폐밸브(65)를 제어한다.
② 1개의 토출노즐((6')의 사용중에 다른 토출노즐(6')이 사용되는 상태가 되었을때 먼저 사용되는 토출노즐(6')을 약 1초로 정지하고, 그후의 토출노즐(6')을 그 약 1초후에 토출시키도록 개폐밸브(65)를 제어한다.
③ 먼저 사용되는 토출노즐(6')에서 70%의 토출시간이 계속중에 다른 토출노즐(6')이 사용되는 상태가 되었을때, 즉각 먼저의 토출노즐(6')을 개밸브하여 토출을 즉석에서 끝내고, 나중의 토출노즐(6')에서 통상적인 70%로 수시간의 토수를 하도록 개폐밸브(65)를 제어한다 ‥‥는 등이다.
또 콤프레서(21)의 한개능력을 5개의 토출노즐(6')히 동시에 사용되었을 겅우에는, 2개의 토촌노즐(6')로 부터는 토출않도록 설정하거나, 그 2개의 토출노즐(6')의 개폐밸브(65)가 개밸브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그 일예이다.
또 복수이상의 토출노즐(6')이 동시에 사용되었을 경우. 공기 송출관(4)측의 개폐밸브(65)를 폐색하여 물비누를 수류토출로 변환하고, 탱크(1)내의 가압공기가 급격이 감소하지 않도록 개폐밸브(65)를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탱크(1)내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하지 않고, 정상운전이 속행된다.
제17-19도에 있어서는 상기 토출노즐(6')에 있어서의 토출구(6d) 주변부분의 변형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토출노즐(6')은. 제17도에 표시하듯이 내부를 중공으로 하는 본체의 선단측하면에 토출구(6d)를 동출형상으로 늘어뜨려 설치하고, 그 토출구(6d)의 1차측에 물비누송출관(3)과 공기송출관(4)의 선단부를 접속함과 아울러 토출구(6d)내에는 상류측으로부터 2매의 스트레이너(6e)를 순차배설하는 동시에, 각각의 스트레이너(6e), (6e)사이에 스페이서(66)를 설치하고, 다시 상류측의 스트레이너 (6e)의 1차측에 스페이서(66)를 설치한다.
스페이서 (66)는 제18도에 표시하듯이 스페이서본체(66a)의 중앙부를 하향 경사형상으로 철설하고, 대략 깔대기형상의 혼합실(66b)을 설치하며 또한 그 혼합실(66b)의 최심부(66c)로부터 스페이서본체(66a)의 하면에 걸쳐 연통로(66d)를 뚫어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토출구(6d)내에는 제19와 같이 하류측의 스트레이너(6e)의 2차측에 스페이서(66)를 다시 추가하여 좋고 스트레이너, 스페이서의 수는 적외변경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센서 (61)에 의해 사용을 감지하면 개폐밸브(65)가 소정시간개밸브하여 물비누 및 압축공이를 토출노즐(6)측으로 보내고. 또한 물비누 송출관(3), 공기송출관(4)의 선단으로부터 혼합실(66b)내로 향하여 힘차게 불어낸다.
물비누 및 압축공기는 기의 깔대기형상인 상기 혼합실(66b)내에서 충분하고 또한 확실하게 혼합되어, 혼합실(66b)의 최심부(66c)에 설치되어 있는 연통로(660)를 지나 스트레이너(6e)에서 교반되고, 다시 하류측의 스페이서 (66), 스트레이너 (6e)에서 교반되어 성세한 거품상태로 토출구(6d)의 선단으로부터 토출된다.
이 토출노즐(6)을 사용했을 경우, 토출구(66)내에 배설된 각각의 스트레이너(6e)의 상류측에 깔대기형상의 혼합실(60b)을 설치하고, 물비누와 압축공기를 그 혼합실(66b)내에서 충분하고 또한 확실하게 혼합한 후 스트레이너(6e)로 교반하므로, 스트레이너(6e)를 다수매 구비하지 않아도 섬세한 거품형상의 물비누를 토출할 수 있다.
또 스트레이너(6e)의 사용이 적어도 되는 고로, 장기사용에 의해 물비누가 스트레이너(6e)의 논을 막히게하는 좋지못한 일도 해소할 수 있다.
또 제18,19도에 표시하는 토출구(6d)부분의 구성은, 제6도에 표시하는 토출노즐(6)의 토출구(6d)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20-28도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구성한 탱크(1'). 토출노즐(600), 잔량센서 (8'). 케이싱 (220)등을 구비한 물비누 공급장치(A3)를 표시하고 있다.
탱크(1')는 상면을 개구하는 본체하부(la)와 하면을 개구하는 본체상부(Ib)로 된 것으로서, 그 본체하부(la)와 본체상부(Ib)의 각각의 개구주연에 플랜지부(100), (101)를 설치하고, 이들 플랜지부(100), (101)를 나사(102)로 연결하므로써. 본체하부(la)의 상면을 본체상부(Ib)에 의하여 덮개로 덮힌 상자체형상을 나타낸다.
또 제22, 23도에 표시하듯이. 플랜지부(101)에는 나사구멍(103)의 내. 외에 위치하는 오목홈(104)을 설치하고, 플랜지부(100)에는 그 오목홈(104)에 끼워넣는 돌기부(105)를 설치하고. 다시 오목홈(104)내에는 패킹(106)을 개재시키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나사(102)에 의한 체결력이 오목홈(104) 혹은 돌기부(105)에 집중하여 공기의 유통경로를 차단하는 동시에 패킹(106)과 오목홈(104) 및 돌기부(105)가 강고하게 일체화하여, 탱크(1')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탱크(1')의 내부는 칸막이벽(200)으로 2분할되고, 그 칸막이벽(200)을 경계로하여 분할된 한쪽(도면20, 21에 있어서 우측)의 방(201)축의 축면의 상방을 경사형상으로 하고, 그 ,경사면(202)에 보급구(11)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방(201)의 상면에 공기취입관(23)을 연락한다.
또, 상기 칸막이벽(200)을 경계로하여 분할된 다른쪽(도면 20, 21에 있어서 좌측)의 방(203)측의 상면에 공기송출관(4)을 연락함과 아울러, 하면에 물비누송출관(3)을 연락한다.
또, 같은 방(203)의 상방(공기수용부(120)내)에 압력센서(7)가 배설됨과 아울러, 잔량센서(8)를 본체하부(la) 내에서 입설한다.
칸막이벽 (200)은 도면표시와 같이 탱크(1')내의 저면으로부터 상면에 이는 높이를 구비하고, 또한 탱크(1')의 옆의폭과 거의 동일 폭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알맞는 경의 연통구멍 (200a)을 다수 뚫어서 이루어지고, 탱크(1')내의 대략중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접착제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토구멍 (200a)을 개재하여, 각각의 방(201). (203)에 연통한다.
또, 칸막이벽(200)에 설치되는 연통구멍(200a‥‥)의 총면적은 작은편이 각각의 방(201), (203) 상호간의 영향을 적게할 수 있지만, 너무 적으면, 물비누, 혹은 공기가 옆방으로의 천입속도가 늦어져서 보급에 시간이 걸려버리므로 그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연통구멍 (200a‥‥)의 수, 위치, 각 연통구멍(200a‥‥)의 총면적등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 칸막이벽(200)에 의하여 구분한 한쪽에 물비누의 보급구(11)를 배설함과 아울러 다른한쪽에 압력센서(7)를 배설했으므로, 물비누 보급시의 액면에 물결이 일어나는 것이 직접 압력센서 (7)에 미치지않는 것으로된다.
또, 칸막이벽(200)에 의하여 구분된 한쪽에 콤프레서(21)를 연락시키고, 또한 물비누의 보급구(11)를 배설함과 아울러 다른한쪽에 공기송출관(4)을 접속했으므로, 탱크(1')가압시나 물비누 보급시의 액면에 물경이 일어나는 것이 직접 공기송출관(4)의 취출구에 미치지 않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물비누가 공기송출관(4)에 친입하여 동송출관(4)을 막히게한다거나하는 좋지못한일을 방지할 수가있다.
상기 탱크(1')의 저면은 배출부(12')를 향하여 하향경사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거의 중앙부위에 구멍을 덮개체로 개폐가능하게 폐색한 배출부(12')가 개설되고. 다시. 그 배출부(12')를 중심으로 하여 리브(205‥‥)가 설치된다- 따라서 그들 리브(205‥‥)가 침전물배출의 가이드가 되어서, 침전물의 배출을 보다순조롭게 할 수가 있다
보급구(11)는 제24도와 같이 탱크(1')의 경사면(202)으로부터 원통형상으로입상하듯이 개설되어 있고, 중간 덮개(13')로 폐색되어 있다. 중간덮개(13')는 상기 보급구(11)의 내벽면에 밀접할정도의 삽입통부(13a)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면중심부분에 옆으로 긴 형상의 손잡이(13b)를 설치한 것이다. 이 중간덮개(13')는 덮개커버(13)에 의하여 덮혀있다.
덮개커버(13)는 상기 경사면(202)의 상측을 넓게 덮는 돔(dome)형으로 형성되고, 경첩(16)으로 개폐동자재하게 직직된다. 덮개커버(15)의 저면측에는 중간덮개(13')의 외면형상과 합치하는 감합 오목부(15a)를 내설한다.
덮개커버(15)의 저면에는 덮개커버(15)의 개폐를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를 제어부(5)에 보내는 개폐센서(9)를 구비한다.
상기 감합오목부(15a)는 보급구(11)를 중간덮개(13')로 완전히 밀폐한 상태의 형상으로 합쳐하도록 형성하고, 이것에 의하여 중간덮개(13')가 완전히 보급구(11)에 밀패하지 않으면 덮개커버(15)는 닫히지 않고, 개폐센서(9)가 덮개커버(15)의 개를 검출하므로써 콤프레서(21)는 작동하지 않는다.
즉 보급구(11)를 밀폐하고, 또한 덮개커버(15)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 비로서 콤프레서(21)의 작동이 가능해지고. 보급수(11)로부터의 공기누설을 방지하여 콤프레서(21)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 같은 우려를 저지할 수 있다.
제25, 26도에는 상기 중간덮개 및 덮개커버의 변형예를 표시한다.
동도면 표시에 의한 중간덮개(13)는 상기 중간덮개(13')로부터 손잡이(13b)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평면형상은 제26도에 표시하듯이 좌우를 잘라낸 형상으로 한다. 또, 덮개커버(15')에는 상기 중간덮개(13)의 외면형상에 합치하는 감합오목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노즐(600)은 제27도와 같이 본체(600a)의 기부에 물비누도입구(6a), 공기도입구(6b)를 보유함과 아울러, 그들 도입구(6a), (6b)로부터 연직방향으로 배설되는 물비누통로(601)와 공기통로(602)를 구비하고, 각각의 통로(601), (602)에 물비누송출관(3)과 공기송출관(4)이 접속된다.
또 본체(600a)의 내부에는 공기도입구(6b)와 연통하는 유로(603), 그 통로(603)에 연통하는혼합실(61). 물비누도입구(6a)와 혼합실(61)을 연통하는 관로(604), 전술한 교반실(62), 통로(63), 개폐밸브(6c). 토출구(6d), 스트레이너(6e)등을 설치한다 또, 상기 물비누통로(601)와 공기통로(602)내에는 전술한 역지밸브(40)를 설치한다.
잔량센서(8)는 제28도와 같이, 가이드축(80)의 각 접점(자기검출소자)(8a-8e)에 마다 프레임형상의 플로트스톱퍼(800)주면에는 프레임체내외를 연통시키는 통공(801)을 설치하고 다시 스톱퍼(800)내에는 플로트마그넷(802)를 승강자재하게 배설한다.
그리하여. 플로트마그넷(802)가 물비누의 중감에 따라서 상하동 하므로써 물비누의 잔량을 각 접점(8a-8e)에 마다 검출하여 제어부(5)에 발신한다. 803‥‥은 플로트마츠넷(801)의 밀착방지용 돌기이다.
이상과 같이 플로트마그넷(801)를 프레임형상의 플로트스톱퍼(800)내에 설치하므로써, 탱크(1')내의 물비누액면이 크게 요동되는 일이 있어도. 플로트마그넷(801)에는 직접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접점(자기검출소자)(8a-8e)의 채터링을 방지할 수가 있고. 제어등에 지장을 일을킬 우려가 없다는 등의 효과를 갖게 한다.
또. 상기한 잔량센서(8')는 전술한 물비누공급장치(Al), (A2)에 사용할 수도 있다.
케이싱(220)은 수지등의 비금속부재로 형성되고, 그내부에 제어부(5), 콤프레서(21)등을 수납한다. 또 제어부(5)는 금속제의 실드케이스(221)내에 수용된다.
이와같이 제어부(5)를 실드케이스(221)내에 수용하고. 또한 비금속제의 케이싱 (220)내에 배설하므로써 재어부(5)에 있어서의 전자회로를 소음 및 외부의 정전기로부터 보호하고, 전자회로의 파괴, 폭주등을 없앨 수가 있다. 따라서, 내전압의 큰전자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장치전체의 생산비절감을 꾀할 수가 있다.
또 제20도중의 23b는 공기취입관(23)의 중도부에 설치되고. 제어부(5)와 연계하게한 전동(전자)식의 3방밸브이며, 물비누토출시(콤프레서(21)의 작동시)나 탱크(1')내의 과가압시(콤프레서(21)의 정지시)등에 극히 짧은 시간(예컨대 0.1초)작동하고 물비누 혹은 물비누의 거품, 증발성분등이 공기 취입관(23)으로부터 유입하여 콤프레서(21)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할 것 같은 우려를 방지한다.
제29도에 있어서는, 상기 탱크(1')에 있어서의 칸막이벽(200)을 경계로 하여 분할된 한쪽의 방(201)측에 보급구(11)만을 설치하고, 다른 한쪽의 방(203)측의 상면에 공기취입관(23)과 공그송출관(4)을 연락하여 이루어지는 물비누 공급장치 (A4)를 표시하고 있다.
이 공급장치(A4)에 의하면 칸막이벽(200)에 의하여 구분한 한쪽에 물비누의 공급구(11)를 배설함과 아울러 다른 한쪽에 콤프레서(21)를 연락시키므로, 물비누보급시에, 액면에 물결이 일어나는 것이 공기칠입관(23)의 취출구(23a)에 직접 미치지 않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물비누 혹은 물비누의 거품이 공기취입관(23)에 침입하여, 콤프레서(21)의 고장을 초랴할 우려를 방지한다.
제30. 31도에 있어서는, 상기 탱크(1)(흑은 (1')), 가압장치(2), 물비누송출관(3), 공기송출관(4), 제어부(5), 복수의 토출노즐(6)(흑은 (6'), (600)), 압력센서(7), 잔량센서(8)(혹은 (8'))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물비누공급부(A')를 오퍼스빌딩등의 각 플로워(F)마다 이거나 기타의 적의한 장소에 설치함과 아울러, 각각의 물비누공급부(A')에 있어서의 각 잔량표시부(24')를 한군데에 집중시킨 표시기능부(G)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대형의 물비누공급장치(A5)를 표시하고 있다.
표시기능부(G)는 단일패널(G1)에 각각의 물비누공급부(A')와 대응하는 잔량표시부(24')를 개별로 구비하고 있고, 각 잔량표시부(24')는 각각의 물비누공급부(A')의 잔량센서(8)에 연계하는 각각의 제어부(5)에 연락하고 있다.
그리하여. 관리인실등의 일실에 배실되어, 전기 각 제어부(5)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각각의 탱크(1)내의 물비누(110) 잔량을 단계적으로 LED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각 잔량표시부(24')는 LED표시가 전부 전등하고 있을때에는 탱크(1)의 충만상태. 전부 소등시에는 빈상태를 표시하고, 또 잔량센서(8)가 물비누잔량최하위(8a)를 검출하면 LED 표시를 점감하여, 기타 전술한 잔량 표시부(24)의 표시기능을 모두 보유한다.
이 물비누공급장치(A5)에 의하면, 복수의 물비누공급부(A')에 있어서의 각 탱크(1)내의 물비누(110) 잔량을 단일 표시기능부(G)에 표시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각 플로워(F)등에 배설한 각각의 물비누공급부(a')의 물비누잔량이 일목요연하게 확인된다.
따라서, 각 물비누공급부(A')마다에 애써 정기적으로 순회 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관리자의 노고가 경감된다. 또, 각 물비누공급부(A')의 물비누잔량을 자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물비누의 보급시기를 초기에 알 수 있어 편리하다.
제32-36도에서 표시하는 물비누공급장치(A6)는 물비누 및 공기의 공급을 펌프에 의해 하는 것이며, 세면장등의 벽면(W)에 설치되는 세면기 (B)의 상면에 수전본체(a)를 설치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세면기(B)의 하부공간에는 탕수혼합전(b), 물비누탱크(c). 물비누펌프(d). 공기펌프(B), 제어부(f)등을 기대(n)에 설치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세면기(B)는 벽면(W)측의 볼부상면에 2개의 설치구(B1), (B2)를 소정의 간격, 예컨대 직경 28mm의 개구가 간격 102mm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것이다.
수전본체(a)는 제34,35,36도에서 표시하듯이 중공이며 폭넓은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본체상부에 세면기(B)의 볼부에 향하는 토수구(a1)와 물비누용의 토출구(a2)가 병설되어 있다.
또, 수전본체(a)의 저면에는 2개의 접속구(a3), (a4)를 전기한 세면기(B)에 실치되는 설치구(Bl), (B2)의 간격에 맞추어서 나란히 하여 돌출형성한다.
수전본체(a)는, 상기 접속구(a3),(a4)를 구비하므로써 2개외 설치구(B1), (B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이미 설치된 세면기(B)에 대한 설치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수전본체(a)의 양 절속구(a3). (a4)를 새면기(B)의 설치구(Bl). (82)에 감합하여 하면측으로부터 너트(g) 고정하므로써 그 수전본체(a)를 세면기(B)에 대하여 설치고정하면, 상기 접속구(a3), (a4)는 수전본체(a)의 내부와 세면기(b)의 하부공간과를 연락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35도에 표시하듯이 수전본체(a)의 상부에 설치한 문(a5)의 내부에는 물비누탱크(c)에 연락하는 보급구(h)가 설치되고, 세면기(B)의 하부에 설치한 물비누탱크(c)의 상부구(cl)와를 후술하는 보금관(i)으로 접속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물비누의 보급구(h)를, 물비누탱크(c)에 직접설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물비누의 보급작업을 할때에는. 세면기(8)아래의 물비누탱크에 직접보급해야 했지만. 상기한 바와같이 물비누의 보급구(h)를 수전본체(a)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면. 무리한 자세를 저하지 않아도 세면기(B)의 위에 설치되는 보급구(h)로부터 용이하게 물비누의 보급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수전본체(a)의 토수구(al)에 급수관(j)을, 또 물비누토수구(a2)에는. 송액관(k)과 공기관(m)과를 각각 본체(a)의 내부측으로부터 접속하고. 이들의 배관(j), (k), (m)을 다른 한쪽의 접속구(a3)가 통하여, 세면기(B)의 하부로 향하여 배관되어 있다.
그리고, 세면기(B)의 하부에 배관된 급수관(j)은. 탕수혼합전(b)의 2차측에 접속하고, 송액관(K)과 공기관(m)과는 물비누탱크(c)에 연락하는 물비누펌프(d)와 공기펌프(e)의 2차측접속구에 각각 접속한다.
상기 물비누토출구(a2)는 제35도에 표시하듯이, 저면을 개구하는 저변이 있는 통형상의 '케이스(gl)과 수전본체(a)의 선단부분에 끼워져 있고, 그 케이스(gl)의 내부에는 혼합실(g2)이 형성된다. 케이스(gl)의 상면에는 혼합실(g2)에 연통하는 동시에, 송액관(k), 공기관(m)이 접속되는 연락로(g3)를 설치한다.
혼합실(g2)은, 케이스(gl)의 내부에 적의 간격을 두고, 스트레이너 (g20), (g20)를 장착히고, 각각의 스트레이너(g20)의 상면측에, 단면깔대기형상의 오목부(g31)와, 그 오목부(g31)최심부에 개설한 통공(g32)과를 구비한 흔합부재(g30)를 장착하여 형성된다.
그리하여, 연락로(g3), (g3)를 개재하여, 유입하는 물비누와, 공기를 상측(상류측)의 혼합부재(g30)와 스트레이너(g20)로 교반, 혼합하고, 다시 하측(하류측)의 혼합부재(g30)와 스트레이너(g20) 로 되풀이하여 교반, 혼합시키므로써, 다수매(통상 5-6매)의 스트레이너를 중합하여 배설한 경우와 같은. 섬세한 무어스(mousse)형상의 물비누를 얻을 수가 있다.
그와 동시에, 다수매의 스트레이너를 중합했을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눈막힘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급관(i)은 외관(il)과 내관(i2)과로 이루어지는 내외 2중관 구조로 구성된다.
외관(il)은 상단을 수전본체(a)의 접속구(a4)에 연결하여, 하방으로 돌출하고, 설치구(B1)를 통하여 세면기(B)하방의 공간에 뻗어나며, 물비누탱크(c)의 상부구(cl)에 접속된다.
내관(i2)은 외관(il)내주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갖고, 외관(il)내에 삽통되고. 상부구(cl)를 통하여, 물비누탱크(c)내의 저부 가까이까지 삽입된다.
내관(i2)의 윗쪽끝은 보급구(h)에 접속된다 따라서, 보급관(i)은 내관(i2)저가 물비누 보급로를 구성하고, 내관(i2)과 외관(i1)사이의 공간이 물비누탱크(c)로부터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통로를 구성하게 된다
또 상기 수전본체(a)의 내부에는 접속구(a4)에 연락하는 오목부(h10)가 설치되고, 이 오목부(h10)내에 보급구(h)가 설치된다. 또, 외관(il)의 윗쪽끝은, 그 오목부(h10)에 연락한다.
보급구(h)는 제35도와 같이, 상부개구가장자리에 플랜지(h1)를 보유하는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랜지(h1)를 오목부(h10)의 위쪽끝 개구가장자리(hll)에 계지하여 오목부(h10)내에 배설하고, 그 저부에서 돌출형상으로 개구한 주입구(h2)에 내관(i2)의 위쪽끝은 접속한다.
상기 보급구(h)의 플랜지(h1)에는 절결(h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h3)를 개재하여 공기배출 통로를 외부에 연락하게 한다. 탕수혼합전(b)은 온도설정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탕과 물을 설정은도로 혼합하는 주지의 것이며, 그 토출구에는 상기 급수관(j)이 접속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동하는 개폐밸브(bl). 및 제어부(f)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개폐등하는 전자밸브(b2)등이 설치된다.
또 수전본체(a)에 있어서의 토수구(al)와, 물비누토출구(a2)와의 직상부에는, 각각 터치스위치(Pl),(P2)가 설치되고. 이것들은 기대(n)위에 설치되는 제어부(f)에 연락하고 있다. 제어부(f)는, 상기한 양 터치스위치(Pl), (P2)와 마찬가지로, 탕수혼합전(b)의 전자밸브(b2), 물비누펌프(d), 공기펌프(e)와도 전기적으로 연 락한다.
상기 제어부(f)는, 상기한 터치스위치 (gl), (g2)가 눌려진 것에 의하여, 전자밸브(b2)를 개밸브하여 토수구(al)로의 급수를 하기도 하고, 물비누펌프(d)와, 공기펌프(e)와를 작동시켜서, 물비누토출구(a2)에 물비누와 압축공기와를 동시에 공급하거나 하는 것이다.
또, 제어부(f)는 제37도에 표시하듯이, 물비누펌프(d)와, 공기펌프(e)를 작동시켜서, 소정시간 경과후에 먼저 공기펌프(e)를 정지시키고, 다시 소정시간 경과후에, 물비누펌프(d)를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한 수전에 있어서는, 터치스위치(G1)를 누르므로써 토수구(al)로부터 물, 혹은 소정온도의 혼합수를 토수/지수시키고, 또. 터치스위치(g2)를 누르므로써 물비우토수구(al)로부터 거품형상의 물비누가 노수/정지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물비누공급장치 (A6)는 이미 설치된 세면기 (B)에 대한 수전본체(a)의 설치와, 급수나 물비누의 배관류(i), (j), (k), (m)의 배관을 가능케한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가정에 있는 이미 설치된 세면기 (B)에 설치되는 수전으로 바꾸어서 간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하여 급수와 함께 물비누의 공급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토수구(al)와 ·물비누토수구(a2), (a2)를 수전본체(a)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토수구나 물비누의 토출구가 기체(器體)로부터 나란히 돌출하는 종래의 것에 비하면. 세면기(B)의 토수기구주위를 깨끗이 정돈할 수가 있고, 청소도 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물비누 토수장치(A6)에서는, 수전본체(a)의 문(a5)을 열어서 보급구(h)에 물비누를 주입하면, 보급관(i)의 내관,(i2)에 의하여 구성되는 물비누보급로를 개재하여 물비누탱크(c)의 저부에 물비누가 보급되고, 탱크(c)내의 물비누량의 증가에 따라, 탱크(c)내의 공기가 보급관(i)의 내관(i2)과 외관(il)과의 사이의 극간에 의해 구성된 공기배출통로를 개재하여 탱크(c)밖으로 배출되고. 공기와 물비누의 치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물비누탱크로의 물비누보급에 있어서 탱크내의 공기와 물비누의 치환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거품이 물비누 보급구로부터 넘쳐나오는 것 같은 좋지못한 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거품이 나지않도록 조사하면서 소량씩 보급한다고하는 번거로움도 없이 물비누의 보급작업을단시간에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상기 물비누 공급장치(A6)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스위치(a2)를 조작하므로써 물비누의 토출구(a2)로부터 거품형상의 물비누가 소정시간 토출되고, 그후 액체형상의 물비누가 토출되어 토출구(a2)내에 남는 거품형상의 물비누를 씻어흘린다.
따라서, 혼합실(g2)내에 물비누가 잔류할우려가 없고, 그들이 건조, 고착하여 토출구(a2)를 막히게 하는 것 같은 종지못한일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물비누 공급장치(A6)에 있어서, 터치스위치 (gl), (g2) 대신에 비접촉형. 예컨대 관전식의 인체검출센서를 사용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필요도 없다

Claims (31)

  1.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을 구비한 토출노즐과, 그 토출노즐에 강제적으로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공급장치와, 전기한 토출노즐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상방에 공기수용부를 남기고 물비누를 수용하는 탱크와, 전기한 공이수용부에 연락시켜서 설치되는 가압장치와, 공기 수용부에 설치한 압력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가압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한 탱크의 저부로부터 취출되는 물비누 송출관과, 상기한 공기수용부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송출관과,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을 구비하고 물비누 송출관에 공기송출관에 연락시켜서 설치되는 토출노즐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탱크에 설치되는 물비누의 보급구를 탱크의 중고 높이 부위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물비누 송출관에 체크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물비누 송출관에 있어서의 '토출노즐 근방에 체크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
  6. 제5항에 있어서, 물비누 송출관의 입상부분에 체크밸브를 성치함과 아울러, 그 체크밸브가 자중만으로 밸브자리에 착좌하는 구형상인 밸브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공기송출관의 적당한 곳에, 토출노즐로의 공기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압장치와 제어부를 1개의 케이싱내로 배설함과 아울러, 그 케이싱을 탱크 측면에 착탈자재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탱크의 저벽에 침전물 배출용의 배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
  10. 제9항에 있어서, 탱크저벽에 배출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탱크저벽을 배출구로 향하는 내림 경사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탱크의 내저면에는 배출구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을 단계적으로 검출하는 잔량센서와. 그 잔량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잔량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
  12. 제11항에 있어서, 잔량센서가 가이드축내에 자기검출소자를 배치함과 아울러, 액면의 승강에 따라 전기한 가이드축을 상하하는 플로트마그넷에 의하여 전기한 자기검출소자를 ON, OFF시키므로서 액면을 검출하도록 형성되며. 더우기 전기한 가이드축에 플로트마그넷을 둘러싸서 그 플로트마그넷의 상하운동을 규제하는 플로우트 스토퍼에는 그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하강한 것을 검출하는 잔량센서와.제어부에서의 지령으로 작동하여 탱크내의 공기를 뽑는 안전밸브를 구비함과 아울러. 제어부에는, 전기한 잔량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안전밸브를 작동시키는 에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공급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이 물비누 송출관의 취출부위 근방까지 하강한 것을 검출하는 잔량센서와,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으로 작동하여 탱크내의 공기를 뽑는 안전밸브를 구비함과 아울러, 제어부에는, 전기한 잔량센서에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안전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5. 제2에 있어서, 탱크에 설치한 물비누 보급구에 그 보급구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센서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어부에는, 전기한 개폐센서가 보급구 개방을 검출하면 가압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보급구를 개폐하는 가운데 뚜껑과, 그 가운데 뚜껑을 개폐자재하게 씌우는 뚜껑커버를 보유함과 아울러, 전기한 뚜껑커버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공급장치 .
  17. 제2항에 있어서,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이 보급구 근방까지 상승한 것을 검출하는 잔량센서와,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으로 작동하는 버저 및 표시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제어부에는, 전기한 잔량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버저 및 표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
  18.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시스템의 이상을 검출하여 가압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긴급정지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으로 작동하여 탱크내의 공기를 뽑는 안전밸브를 구비함과 아울러, 제어부에는, 압력센서가 탱크내의 소정압 이상을 검출하면 안전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가압장치의 작동개시 때마다 안전밸브를 약간의 간만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1. 제2항에 있어서, 토출노즐에 사용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함과 아울러, 물비누송출관과 공기송출관에는, 전기한 센서의 감지에 의한 제어부로부터 지령에 의거하여 소정시간 개변하는 전자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탱크를 상하로 분할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그 분할체 상호의 접속부분에 각각 칼날부를 설치하고, 또한 전기 한쪽 칼날부에는 그 전장에 걸쳐서 홈을 설치하며, 다른쪽 칼날부에는 전기한 홈으로 감압하는 볼록줄을 설치하고, 더우기 전기한 홈안에는 시일재를 장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
  23.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연통공을 보유하는 칸막이벽에 의하여 탱크내를 분할하고, 전기한 칸막이벽을 경계로하여 한쪽 공기수용부쪽으로 물비누의 보급구를 설치하며, 다른쪽 공기수용분쪽으로 압력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4.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연통공을 보유하는 칸막이벽에 의하여 탱크내를 분할하고, 전기한 칸막이벽을 경계로하여 한쪽의 공기수용부쪽으로 물비누의 보급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가압장치를 연락시켜, 다른쪽의 공기 수용부쪽에서 공피송출관을 취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5.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연통공을 보유하는'칸막이벽에 의하여 탱크내를 분할하고, 전기한 칸막이벽을 경계로하여 한쪽의 공기수용부쪽으로 물비누외 보급구를 설치하며, 다른쪽의 공기 수용부쪽으로 가압장치를 연락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6. 제2항에 있어서, 탱크, 가압장치, 제어부, 물비누송출관, 공기송출관, 토출노즐을 복수 구비함과 아울러, 각가의 탱크내에는 뭍비누잔량을 검출하는 잔량센서를 설치하고, 또한 전기의 각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을 한 곳에 집중하여 표시하는 표시기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토출노즐의 선단 토출구내에 복수매의 스트레이너를 장전함과 아울러, 각 스트레이너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장하고, 더우기 그 스트레이너의 중앙부를 대략 깔대기 형상으로 오목하게 설치하여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물비누를 수용하는 탱크와,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을 보유하는 물비누 토출구를 구비한 수전본체와, 물비누 토출구에 탱크내의 물비누를 송출하는 물비누 펌프와, 물비누 토출구에 공기를 송출하는 공기펌프와, 수전본체에 설치한 스위치에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물비누 펌프와 공기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수전본체, 세면기등의 기체의 윗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2개의 부착구에 접속하는 2개의 접속구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함과 아울러, 물비누 토출구와 급수용 토출구를 병설하고, 또한, 기체의 윗면쪽으로 설치하는 물비누의 보급구와 기체하부에 설치하는 물비누탱크와를 연락하는 보급관을 상기한 한쪽의 접속구를 통하여 배관하며. 더우기. 급수관과 물비누탱크에 접속한 송액관을. 다른쪽의 접속구를 통하여 수전본체의 급수용 토수구와 물비누 토출구와에 각각 연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30. 제29항에 보급관을 내외 2중구조로 하고, 그 내측 공간을 물비누 보급로, 외측공간을 공기 뽑는 통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물비누 펌프와 공기펌프의 작동개시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후에 공기펌프만을 정지시켜, 더욱이 소정시간경과후에 물비누 펌프를 정지시키는 토출구부의 고착방지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KR1019910016825A 1991-09-26 1991-09-26 물비누 공급장치 KR960013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825A KR960013382B1 (ko) 1991-09-26 1991-09-26 물비누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825A KR960013382B1 (ko) 1991-09-26 1991-09-26 물비누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587A KR930005587A (ko) 1993-04-20
KR960013382B1 true KR960013382B1 (ko) 1996-10-04

Family

ID=1932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825A KR960013382B1 (ko) 1991-09-26 1991-09-26 물비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3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76B1 (ko) * 2007-07-13 2008-04-29 최창진 세제 공급 장치
WO2019107837A1 (ko) * 2017-11-28 2019-06-06 김건희 세제 자동펌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76B1 (ko) * 2007-07-13 2008-04-29 최창진 세제 공급 장치
WO2019107837A1 (ko) * 2017-11-28 2019-06-06 김건희 세제 자동펌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587A (ko) 199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0362A (en) Liquid soap supplying device
US20020050006A1 (en) Prevention system and preventing method against infectious diseases,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luids
US6732388B2 (en) Overflow system
US20120012207A1 (en) Automatic water flushing control device and its faucet
US5392965A (en) Liquid soap supplying device having a middle height supplementing port
US20230397778A1 (en) Soap Dispenser System
KR960013382B1 (ko) 물비누 공급장치
JP6663583B2 (ja) 吐水装置及び吐水システム
US5269028A (en) Automatic flushing apparatus for urinals
US6968580B1 (en) Douche
US5265287A (en) Tap water powered shower water recirculation system
JP2789626B2 (ja) 吐水装置
EP0533983B1 (en) Liquid soap supplying device
JP2562740Y2 (ja) 水石けん供給装置
JP2563181Y2 (ja) 水石けん供給装置
KR100917103B1 (ko) 센서일체형 수도전자밸브
CN220378989U (zh) 龙头及净水机
CN218323014U (zh) 一种利用人体重力的冲厕结构
DE69125005T2 (de) Seifenversorgungsanlage
JP3082237B2 (ja) 水石けん供給装置
CN116181947A (zh) 龙头及净水机
JP6697670B2 (ja) 吐水装置及び吐水システム
KR101819685B1 (ko) 탈부착 세면필터기
JPH0324695Y2 (ko)
JP6691319B2 (ja) 吐水装置及び吐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