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587A - 물비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비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587A
KR930005587A KR1019910016825A KR910016825A KR930005587A KR 930005587 A KR930005587 A KR 930005587A KR 1019910016825 A KR1019910016825 A KR 1019910016825A KR 910016825 A KR910016825 A KR 910016825A KR 930005587 A KR930005587 A KR 930005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ap
tank
ai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382B1 (ko
Inventor
쯔토무 아스마
요오지로오 타케토미
아키미쯔 우메모토
카오루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에조에 시게루
토오토오 키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조에 시게루, 토오토오 키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조에 시게루
Priority to KR1019910016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382B1/ko
Publication of KR93000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Abstract

본 발명의 물비누 공급장치는, 물비누를 수용하는 탱크, 그 탱크에 배관을 개재하여 연락하는 토출노즐, 그 토출노즐에 탱크내의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전기한 토출노즐에 배관을 개재하여 연락하는 공기 공급장치, 토출노즐의 토출구내에 설치되는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요지로하고, 전기한 각각의 공급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비누와 공기를 혼합실내에서 혼합 및 교반하여 거품 형상의 물비누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렇게하여, 토출노즐에서 토출되는 물비누가 손에 부딪쳐서 비산되거나, 손가락 사이에서 유락하게 되는 불편함을 방지하여 물비누의 절약을 도모하고, 또한 소량의 물비누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라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성치한다.
또 본발명에서는, 상기한 탱크 내부의 윗쪽 공기 수용부에 가압장치를 연락시킴과 아울러, 그 공기 수용부에서 공기 송출관을 취출하고, 전기한 가압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탱크내의 물비누와 공기를 토출노즐로 송출하도록 하고, 이것에 의하여 복수의 토출노즐에서 거품현상인 물비누를 토출할 수 있는 공급방식을 하나의 공급원을 사용하여 저코스트로 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탱크내의 압력, 물비누잔량, 탱크의 보급구의 개폐등을 검출하는 각종의 센서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들 각 센서에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한 가압장치의 작동을 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것에 의하여, 물비누 송출관내의 잔류 물비누의 고착 방지나 공급장치가 보다 안전한 운전등을 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을 구비하여 기설치 한 세면기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한 수전본체, 전기한 혼합실에 공기를 송출하는 공기펌프, 전기한 혼합실에 탱크내의 물비누를 송출하는 물비누 펌프 등에서 물비누 공급장치를 구성하고, 이것에 의하여 거품형상인 물비누를 토출하는 물비누 공급장치를 기 설치한 세면기 등에 쉽게 부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물비누 공급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물비누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모식도,
제2도는 탱크와 케싱의 사시도,
제3도는 탱크의 종단측면도,
제16도는 제15에 있어서의 토출노즐의 확대단면도.

Claims (31)

  1.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을 구비한 토출노즐과, 그 노출노즐에 강제적으로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 공급장치와, 전기한 토출노즐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상방에 공기수용부를 남기고 물비누를 수용하는 탱크와, 전기한 공기수용부에 연락시켜서 설치되는 가압장치와, 공기 수용부에 설치한 압력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가압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한 탱크의 저부로부터 취출되는 물비누 송출관과, 상기한 공기 수용부로부터 취출되는공기송출관과,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을 구비하고 물비누 송출관과 공기송출관에 연락시켜서 설치되는 토출노즐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탱크에 설치되는 물비누의 보급구를 탱크의 중고 높이 부위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물비누 송출관에 체크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물비누 송출관에 있어서의 토출노즐 근방에 체크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물비누 송출관의 입상부분에 체크밸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 체크밸브가 자중만으로 밸브자리에 착좌하는 구형상인 밸브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공기송출관의 적당한 곳에, 토출노즐의 공기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압장치와 제어부를 1개의 케이싱내로 배설함과 아울러, 그 케이싱을 탱크측면에 착탈자재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탱크의 저벽에 침전물 배출용의 배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탱크저벽에 배출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탱크저벽을 배출구로 향하는 내림 경사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탱크의 내저면에는 배출구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을 단계적으로 검출하는 잔량센서와, 그 잔량센서로 부너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잔량표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잔량센서가 가이드측내에 자기검출소자를 배치함과 아울러, 액면의 승강에 따라 전기한 가이드축을, 상하하는 플로우트 마그넷에 의하여 전기한가이드축을 상하하는 플로우트 마그넷에 의하여 전기한 자가검출소자를 ON,OFF시키므로서 액면을 검출하도록 형성되며, 더욱이 전기한 가이드축에 플로우트 마그넷을 둘러싸여 그 플로우트 마그넷의 상하운동을 규제하는 풀로우트 스토퍼에는 그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하강한 것을 검출하는 잔량센서와 제어부에서의 지령으로 작동하여 탱크내의 공기를 뽑는 안전밸브를 구비함과 아울러, 제어부에는, 전기한 잔량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안전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이 물비누 송출관의 취출부의 근방까지 하강한 것을 검출하는 잔량센서와, 제어부로 부터의 지령으로 작동하여 탱크내의 공기를 뽑는 안전밸브를 구비함과 아울러, 제어부에는, 전기한 잔량센서에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안전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탱크에 설치한 물비누 보급구에 그보급구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센서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어부는 전기한 개폐센서가 보급구 개방을 검출하면 가압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보급구를 개폐하는 가운데 뚜껑과, 그 가운데 뚜껑을 개페자재하게 씌우는 뚜껑커버를 보유함과 아울러, 전기한 뚜껑 커버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이 보급구 근방까지 상승한 것을 검출하는 잔량센서와,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으로 작동하는 버저 및 표시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제어부에는, 전기한 잔량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버저 및 표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시스템의 이상을 검출하여 가압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긴급정지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으로 작동하여 탱크내의 공기를 뽑는 안전밸브를 구비함과 아울러, 제어브에는, 압력센서가 탱크내의 공기뽑는 안전밸브를 구입함과 아울러, 제어부에는, 압력센서가 탱크내의 소정압 이상을 검출하면 안전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가압장치의 작동개시 때마다 안전밸브를 약간의 시간만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1. 제2항에 있어서, 토출노즐에 사용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함과 아울러, 물비누송출관과 공기송출관에는, 전기한 센서의 감지에 의한 제어부로부터 지령에 의거하여 소정시간 개변하는 전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탱크를 상하로 분할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그 분할체 상호의 접속부분에 각각 칼날부를 설치하고, 또한 전기 한쪽 칼날부에는 그전장에 걸쳐서 흠을 설치하며, 다른쪽 칼날부에는 전기한 흠으로 감입하는 볼록줄을 설치하고, 더욱이 전기한 흠안에는 시일재를 장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3.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연통공을 보유하는 칸막이벽에 의하여 탱크내를 분할하고, 전기한 칸막이벽을 경계로하여 한쪽 공기 수용부쪽으로 물비누의 보급구를 설치하며, 다른쪽 공기수용부쪽으로 압력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4. 제2항에 다수의 연통공을 보유하는 칸막이벽에 의하여 탱크낼를 분할하고, 전기한 칸막이벽을 경계로하여 한쪽의 공기 수용부쪽으로 물비누의 보급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가압장치를 연락시켜, 다른쪽의 공기 수용부쪽에서 공기 송출관을 취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5.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연통공을 보유하는 칸막이벽에 의하여 탱크내를 분할하고, 전기한 칸막이벽을 경계로하여 한쪽의 공기수용부 쪽으로 물비누의 보급그를 설치하며 다른쪽의 공기수용부쪽으로 가압장치를 연락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6. 제2항에 있어서, 탱크, 가압장치, 제어부, 물비누송출관, 공기송출관, 토출노즐을 복수 구비함과 아울러, 각각의 탱크내에는 물비누잔량을 검출하는 잔량센서를 설치하고, 또한 전기의 각 탱크내의 물비누 잔량을 한곳에 집중하여 표시하는 표시가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토출노즐의 선단 토출구내에 복수매의 스트레이너를 장전함과 아울러, 각 스트레이너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장하고, 더욱이 스 스페이서의 중앙부를 대략 깔때기 형상으로 오목하게 설치하여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물비누를 수용하는 탱크와, 물비누와 공기의 혼합실을 보유하는 물비누 토출구를 구비한 수전본체와, 물비누 토출구에 탱크내의 물비누를 송출하는 물비누 펌프와, 물비누 토출구에 공기를 송출하는 공기펌프와, 수전보체에 설치한 스위치에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물비누 펌프와 공기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수전본체에, 세면기등의 기체의 윗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2개의 부착구에 접속하는 2개의 접속구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함과 아울러, 물비누 토출구와 급수용 토출구를 병설하고, 또한, 기체의 윗면쪽으로 설치하는 물비누의 보급구와 기체하부에 설치하는 물비누 탱크와를 연락하는 보급관을 상기한 한쪽의 접속구를 통하여 배관하며, 더욱이, 급수관과 물비누탱크에 접속한 송액관을, 다른쪽의 접속구를 통하여 수전본체의 급수용 토수구와 물비누 토출구와에 각각 연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보급관을 내외2중구조로 하고, 그 내측 공간을 물비누보급로, 외측공간을 공기 뽑는 통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물비누 펌프와 공기 펌프의 작동개시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후에 공기펌프만을 정지시켜, 더욱이 소정시간 경과후에 물비누 펌프를 정지시키는 토출구부의 고착방지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공급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16825A 1991-09-26 1991-09-26 물비누 공급장치 KR960013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825A KR960013382B1 (ko) 1991-09-26 1991-09-26 물비누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825A KR960013382B1 (ko) 1991-09-26 1991-09-26 물비누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587A true KR930005587A (ko) 1993-04-20
KR960013382B1 KR960013382B1 (ko) 1996-10-04

Family

ID=1932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825A KR960013382B1 (ko) 1991-09-26 1991-09-26 물비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76B1 (ko) * 2007-07-13 2008-04-29 최창진 세제 공급 장치
WO2019107837A1 (ko) * 2017-11-28 2019-06-06 김건희 세제 자동펌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382B1 (ko) 199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392A (en) Air regulation system for hydropneumatic reservoir
US4867196A (en) Pool chemical dispenser
US4161957A (en) Leakage protective apparatus for storage containers or the like
US5133381A (en) Dual range periodic chemical dispenser for swimming pools
GB2029251A (en) Carbonator water level control
KR850003066A (ko) 밀폐형 반환식 통으로부터의 약액 공급방법 및 장치
RU2008109806A (ru) Дозировочно-смес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идких продуктов и принцип его работы
US5392965A (en) Liquid soap supplying device having a middle height supplementing port
US3254797A (en) Chemical dispenser
US1883139A (en) Liquid mixing apparatus
US3356460A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US4610848A (en) Device for the dosable addition of a substance to a solvent
KR930005587A (ko) 물비누 공급장치
US3205825A (en) Proportioning pump
US4630753A (en) Device for dispensing doses of liquid
US10365665B2 (en) Automatic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disruptions in the flow to a dispensing apparatus
USRE33861E (en) Pool chemical dispenser
KR100742367B1 (ko) 약액 혼합 공급장치
JP2009527304A (ja) 歯科用すすぎユニット
EP0533983B1 (en) Liquid soap supplying device
US4342406A (en) Dispenser flow proportioning device
SU1211094A1 (ru) Устройство смешивани увлажн ющей жидкости дл печатных форм офсетных ротационных машин
EP1908443A1 (en) Mixing device for tub
US20080084784A1 (en) Mixing device for tub
US6145137A (en) Toilet water saver ale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