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375B1 -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방법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375B1
KR960013375B1 KR1019940005391A KR19940005391A KR960013375B1 KR 960013375 B1 KR960013375 B1 KR 960013375B1 KR 1019940005391 A KR1019940005391 A KR 1019940005391A KR 19940005391 A KR19940005391 A KR 19940005391A KR 960013375 B1 KR960013375 B1 KR 960013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or
shape
temperature
memory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신
이덕훈
주진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박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박원근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375B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방법
제1도의 (a)는 일반철사로 커넥터와 전선을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a)는 조임링으로 커넥터와 전선을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도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조임링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사 2 : 커넥터
3 : 전선 4, 5 : 조임링
본 발명은 전선과 커넥터를 서로 연결시끼기 위한 클램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회로나 기기의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접속 기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커넥터를 전선과 연결할때에는 일반 철사나 링으로 이루어진 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선과 커넥터를 견고하게 체결하고 있다.
즉, 일반 철사를 이용하여 커넥터와 전선을 체결하는 종래의 방식은 제1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철사(1)를 회전시켜 상호 접속된 상태의 커넥터(2)와 전선(3)사이를 묶어조여줌으로써 커넥터(2)와 전선(3)을 강하게 채결하게 되며. 이때. 커넥터(2)와 전선(3)을 체결하고 남은 나머지 철사(1)의 끝단부분을 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철사(1)로 클램프를 형성하는 경우는 철사(1)가 커넥터(2)와 전선(3)을 강하게 조여주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링을 이용하여 커넥터와 전선을 체결하는 종래의 방식은 제1도의(a)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렉터(2)와 전선(3)사이의 체결부분보다 직경이 큰 링(4)을 이들 사이에 미리 끼워 넣은후, 이 링(4)외 한쪽을 찌그려뜨림으로써 이들 커넥터(2)와 전선(3)을 견고하게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일반 철사(1) 또는 링(4)으로된 클램프는 절단된 부분 또는 찌그러진 부분이 날카로운 상태로 남게되어 사용자가 이 부분에 손을 베이는등의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클램프에서는 일반 철사(1) 또는 링 (4)의 일부분을 공구를 사용하여 강하게 조이거나 찌그려뜨려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조이는 힘 또는 찌그려뜨리는 힘이 불균일하게 작용하게 되어 커넥터 (2) 또는 전선(3)이 파손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를 링형상의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하므로써 날카로운 부분을 형성하지 않고도 커넥터와 전선을 균일한 힘으로 안정되게 체결할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니켈-티타늄계나 구리-아연-알루미늄계의 형상기억합금을 주조로서 판형이나 와이어형태로 가공하여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의 접속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상을 기억시킨후 그 끝단을 서로 연결하여 조임링을 제작하고, 이 조임링을 저온에서 확장시켜 상기접속부분에 끼워맞춤시켜 접속상태에서 적어도 60∼70℃ 이상의 열을 가하여 상기 커넥터와 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현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커넥터의 클램핑방법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커넥터 (2)와 전선(3)을 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임링 (5)은 Ni-Ti(니켈-티타늄)계의 합금 또는 Cu-Zn-Al(구리-아연-알미늄)계의 합금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합금을 링형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합금을 주조한 후에 압연 또는 신선공정을 이용하여 판형이나 와이어 (Wire)형태로 가공하게 되며,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임링 (5)의 직경은 상술한 커넥터(2)와 전선(3)의 체결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때. 형상기억합금은 저온상인 마르텐사이트(Martensite)와 오스테나이트(Austenite)의 상변태에 의하여 형상기억효과가 나타난다. 즉, 모(母)상인 오스테나이트에 특정한 모양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을 변태온도 이하에서 소정의 변형량 이하로 변형시킨 뒤에 온도를 상승시키면 고온의 모상인 오스테나이트로 상변태가 일어나면서 원래의 모양으로 돌어간다.
이때 완전히 오스테나이트로 변태가 완료되는 온도를 Af(Austenitefinish)온도라 한다. 마르덴사이트로 역변태가 시작되는 온도를 Ms(Martensite start)온도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임링(5)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상술한 재질의 형상기억합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도록 한다.
1) Af온도는 60∼70℃ 이상일 것.
2) Ms온도는 -2O℃ 이하일 것.
이러한 특성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의 조임링(5)은 -2O℃ 이하의 저온에서는 직경이 용이하게 확장되므로 제2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넥터(2)와 전선(3)의 체결부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와같이 커넥터(2)와 전선(3)의 체결부분에 용이하게 장착된 형상기억합금의 조임링(5)은 일반적인 상온에서는 그 직경이 축소되지 않으나. 소정의 열을 가하여 Af온도인 60℃ 이상이 되면 오스테나이트로 변태되면서 제2도(b)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래의 작은 직경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커넥터(2)와 전선(3)을 조임링(5)으로 체결하고자 할때에는 소정의 열기구를 이용하여 조임링(5)을 60℃ 이상으로 가열하면 원래의 직경으로 축소되므로 커넥터(2)와 전선(3)을 강하게 체결하게 될 것이다. 원래의 직경을 회복한 형상기억합금의 조잉링(5)은 Ms 온도가 -2O℃ 이하이므로 이 온도이하가 되지않는한 역변태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커넥터(2)와 전선(3)이 강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되는 조잉링으로 클램프를 형성하므로써, 커넥터와 전선을 균일한 힘으로 지속적으로 체결할 수 있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철사나 링으로 클램프를 형성할때 발생하는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할 여지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부상당할 우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니켈-티타늄계나 구리-아연-알루미늄계의 형상기억합금을 주조로서 판형이나 와이어형태로 가공하여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의 접속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상을 기억시킨후 그 끝단을 서로 연결하여 조임링을 제작하고. 이 조임링을 저온에서 확장시켜 상기 접속부분에 끼워맞춤시켜 접속상태에서 적어도 60∼70℃ 이상의 열을 가하여 상기 커넥터와 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플램핑 방법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오스테나이트로 변태되는 온도(Af)가 적어도 60∼70℃ 이상이고, 마르텐사이트로 역변태되는 온도(Mf)는 적어도 -20℃ 이하에서 이
KR1019940005391A 1994-03-17 1994-03-17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방법 KR960013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391A KR960013375B1 (ko) 1994-03-17 1994-03-17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391A KR960013375B1 (ko) 1994-03-17 1994-03-17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375B1 true KR960013375B1 (ko) 1996-10-04

Family

ID=1937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391A KR960013375B1 (ko) 1994-03-17 1994-03-17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3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884B1 (ko) * 2013-11-13 2015-03-20 유홍남 화재 방지 기능을 갖는 전선 연결 단자
CN114039222A (zh) * 2021-11-10 2022-02-11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密市供电公司 热膨胀接线线夹装置及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884B1 (ko) * 2013-11-13 2015-03-20 유홍남 화재 방지 기능을 갖는 전선 연결 단자
CN114039222A (zh) * 2021-11-10 2022-02-11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密市供电公司 热膨胀接线线夹装置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4186A (en) Connecting device
CA1239569A (en) Shape-memory alloys
US5271975A (en) Heat recoverable tubular article
US4462651A (en) Reusable heat-recoverable connecting device
GB1599999A (en) Heat-recoverable articles
KR20040111492A (ko) 전기적 착탈식 후크 및 루프 패스너
US4246687A (en) Branch-off method
US4424411A (en) Connector
KR960013375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전선커넥터의 클램핑방법
US4571013A (en) Connector for cable shields
JP2692627B2 (ja) 分離継手
EP0055543B1 (en) Wire stripping and penetrating arrangement
JPH02139876A (ja) ケーブル端子板
SU1754432A1 (ru) Съемник Курилова
JPS6239283B2 (ko)
GB1585154A (en) Heat recoverable article
JP3215623B2 (ja) 金車通過型短尺引留クランプ
US5447451A (en) Connector terminals
JPH051164U (ja) ケーブル導体接続部
JPS59170246A (ja) 可逆形状記憶効果を有するチタンニツケル合金部品の製造方法
JPS62167992A (ja) 継手
JPH0323662Y2 (ko)
JPS61292106A (ja) 光フアイバ−用コネクタ−に光フアイバ−の抗張力体を固定する方法
JP2004104872A (ja) バスバーの接続構造
JPH045800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