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081B1 - 와이어 바인더 - Google Patents

와이어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081B1
KR960013081B1 KR1019930003073A KR930003073A KR960013081B1 KR 960013081 B1 KR960013081 B1 KR 960013081B1 KR 1019930003073 A KR1019930003073 A KR 1019930003073A KR 930003073 A KR930003073 A KR 930003073A KR 960013081 B1 KR960013081 B1 KR 960013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wist
binding
bobbin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쿠사가리
게이시로 무라야마
히로시 하나가사끼
쓰토무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막스 가부시끼가이샤
하시모또 하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막스 가부시끼가이샤, 하시모또 하사오 filed Critical 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3000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081B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와이어 바인더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바인더의 중앙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횡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만곡상 가이드의 확대 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A-A선상의 단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B-B선상의 단면도.
제 6 도는 제 3 도의 C-C선상의 단면도.
제 7 도는 만곡상 가이드로부터 와이어의 배출모양 설명도.
제 8 도는 만곡상 가이드부의 확대 평면도.
제 9 도는 (a)(b)는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바인더의 트위스트기구의 중요부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제10도는 (a)(b)는 각각 와이어 바인더의 트위스트기구의 작동개시시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11도는 (a)(b)는 각각 와이어 바인더의 트위스트기구의 정방향 회전시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12도는 (a)(b)는 각각 와이어 바인더의 트위스트기구의 역방향 회전시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13도는 (a)(b)는 각각 와이어 바인더의 트위스트기구에 있어서의 훅개시시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14도는 (a)(b)는 각각 와이어 바인더의 트위스트기구의 복귀동작시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15도는 (a)(b)는 각각 와이어 바인더의 트위스트기구의 초기위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바인더의 부하토오크 검출기구의 구조를 나타냄과 동시에 제 1 도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바인더에 대한 보빈기구의 중요부 상세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보빈기구의 작동에 의해 보빈커버가 열린 상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보빈기구의 상세 단면도.
제19도는 지지축상에 보빈커버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보빈기구의 측면도.
제20도는 보빈기구에 대한 보빈커버룩의 투시도.
제21도는 제 1 도의 X-X선을 따라 자른 보빈기구의 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보빈기구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구성된 두개의 반쪽보빈을 구비한 보빈기구의 상세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와이어공급용 롤러에 끼인 와이어의 평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장착된 바인더의 부분 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변형된 와이어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2, 108 : 와이어
3 : 피결속재4 : 만곡상 가이드부
5 : 기동스위치6 : 보빈
7a : 와이어공급용 모터7b : 트위스트구동용 모터
8 : 와이어공급용 롤러8a : 가동공급용 롤러
9a : 와이어통로9b : 와이어감김슬리브
9 : 직선상 가이드부10a : 와이어가이드
10 : 측판부11 : 만곡형상의 오목홈
12 : 가동부재13 : 스프링
14 : 경사면15a : 수납오목부
15b : 안내오목부16 : 안내편
17 : 감속기어18 : 공급센서
18b : 홀소자19a : 와이어통과구멍
19 : 전단용 커터20 : 로드
20a : 연결판21 : 링크판
22 : 작동편24 : 트위스트구동축
25 : 트위트축26 : 슬리브
27 : 정회전 스토퍼26 : 슬리브
27 : 정회전 스토퍼28 : 역회전 스토퍼
29 : 나선홈30 : 긴구멍
31 : 볼32 : 핀
33 : 잘린 부분34 : 돌기
34a : 긴돌기34b : 짧은돌기
35 : 지지받침쇠36 : 훅
37 : 달아낸 판38 : 복귀위치검출센서
38a : 자석38b : 홀소자
39 : 볼받이부40 : 감속기구커버
41a,41b : 감속기구42 : 출력축
43 : 태양기어44 : 유성기어
45 : 내치기어46 : 돌출부
47 : 스프링받이나사축47a : 머리부
48 : 스프링49 : 트위스트센서
49a : 자석49b : 홀소자
50 : 레버102,103 : 브래킷
104 : 지지축105 : 보빈
106 : 보빈커버107 : 보빈커버록
110 : 플랜지111 : 소구경슬리브
115 : 맞물림가장자리118 : 맞물림구멍
119 : 압축스프링120 : 탈락방지핀
123 : 판형 맞물림부124 : 계단면
125 : 절단부a : 와이어공급기구
b : 와이어트위스트기구c : 부하토오크 검출기구
d : 절단기구
본 발명은 보강용 철근과 같은 다수의 피결속재의 주위에 결속용 와이어를 공급하여 결속용 와이어로 하여금 피결속재의 둘레를 묶을 수 있도록 해주고, 묶은 결속용 와이어의 일부가 조여지도록 잡아 꼬아지며, 그후 결속용 와이어가 잡힌 곳으로부터 놓여지는 형태의 와이어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본국 특개소 59-39027호에 제시된 와이어 바인더는 지금까지는 상기한 형태의 일반적인 와이어 바인더로 알려져 있다.
이 와이어 바인더는 보빈 주위에 감겨있는 결속용 와이어가 보강용 철근같은 다수의 피결속재 둘레는 묶도록 하기 위해 뒷쪽으로부터 풀려나와 물건들의 교차점을 묶도록 하고 그후 둥그렇게 묶인 와이어의 일부가 피결속재를 서로 단단히 죄도록 잡아 꼬여지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의 공급, 절단, 꼬기 그리고 다른 작동은 단일 구동레버를 작동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와이어 바인더에 있어서, 작동자가 스위치를 당김으로써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캠을 구동시키며, 캠이 일회전하는 동안 와이어 바인더안의 여러 기계기구는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말하자면, 일정한 길이의 결속용 와이어가 다수의 피결속재를 묶기 위해 만곡상의 가이드부를 지나 공급되며, 그후 트위스트축이 결속용 와이어로 피결속재를 꽉 묶도록 정해진 회전수로 회전한다.
그러나, 트위스트축이 항상 주어진 회전수로 회전함으로 결속용 와이어가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약하게 묶인 곳이 발생하여 피결속재를 서로 묶는데 실패하는 일이 발생한다.
큰 직경을 갖는 결속용 와이어의 사용에 대비해 와이어 바인더는 미리 정해진 트위스트 토오크가 클러치나 트위스트 회전구동기구에 의해 도달한 후 트위스트축과 트위스트구동축 사이의 미끄러짐을 유발하도록 제공하는 기계기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변형되었다.
그러나, 이런 변형된 와이어 바인더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동안 경과한 시간은 각 바인딩 동작에는 불필요하다.
게다가 미끄러짐이 일어나는 동안 결속음이 간헐적으로 발생하여 작업상의 환경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전술한 형태의 와이어바인더가 대개 배터리를 사용하여 작동되므로 트위스트축이 미그러지며 회전할때 하나의 배터리 충전당 묶음 작업의 횟수가 감소되는 다른 기능저하가 일어난다.
일본국 특개소 59-139027호에서는 또한 볼록부가 효과적으로 모터축에 연결되는 감속기구의 출력축과 트위스트축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오목부에 부합해 연동하는 클러치기구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부하토오크검출기구를 갖는 일반적인 와이어 바인더를 소개하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부하토오크 검출기구는 트위스트동작이 규정치에 도달하면서 토오크가 일어날때, 볼록부와 오목부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해 서로 떨어지며, 출력축과 트위스트구동축 사이에 미끄럼을 유발하고, 적은 토오크가 규정치를 초과해 트위스트구동축에 영향을 못미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부하토오크검출기구에서 클러치 기구가 감속된 출력축과 트위스트구동축사이에 위치한 점을 바탕으로 대용량의 토오크는 대개 클러치기구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오목부가 볼록부가 맞물리도록 하는 스프링은 높은 강도의 탄성력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조립과 정비작업이 완벽하게 수행되어야 한다는 문제로 이어진다.
또한, 출력축과 트위스트구동축 사이에 축방향으로 설치된 가동클러치부재가 필요하여 또한 클러치를 압박하는 클러치와 스프링의 복원강도를 조절하는 기구는 가동클러치와 효과적인 관계로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기구가 크기 뿐만 아니라 중량에 있어서도 커진다는 다른 문제를 불러 일으킨다.
충전용 배터리의 도움으로 작동하는 도구의 관점에서 보면, 전기소모량이 큰 모터는 도구로서 도달할 수 있는 규정토오크 이상으로 회전하므로서 한번 충전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인딩 작업수가 감소하여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일본국 특개소 No. 59-39027호는 긴 결속용 와이어를 앞쪽으로 공급하기 위해 와이어공급기구에 연계되어 전면에 설치된 만곡상 가이드부에서 결속용 와이어를 사용하여 다수의 피결속재를 여러번 둘러 감고 그 끝부분을 X자형으로 잡아 꼬아 물건을 서로 단단히 잡아 매는 지금까지 일반적인 와이어 바인더로 알려진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방식대로 구성된 일반적인 바인더는 결속용 와이어로 피결속재를 둘러 감아서 꼬기전에 절단을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절단기구는 만곡상 가이드부의 전면부에 설치된다.
절단기구를 구동하기 위해 와이어로프는 와이어로프의 한쪽끝이 바인더의 구동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 와이어로프의 한쪽끝은 절단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부의 만곡상 형태를 따라 광범위하게 위치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에서 와이어로프를 잡아당겨 결속용 와이어를 자르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 와이어로프가 잡아 당겨질때 늘어나므로 결속용 와이어가 절단기구에 의해 확실하게 잘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또한 절단기구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이 감소된다.
게다가 와이어로프의 신장에 대처하기 위해 조절기구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며, 실제로 조절기구를 빈번히 재조절 해야한다.
그리고, 와이어로프가 가이드부의 만곡상 형태를 따라 설치되어 있으므로 절단기구는 각 절단 동작동안 큰 저항을 받는다.
또한 와이어로프가 와이어로프와 가이드부 사이에 나타나는 마찰에 영향을 받아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절단기구가 부정확하게 구동되는 일이 발생한다.
만약, 절단기구가 가이드부분의 만곡상부 전의 직선상 지역에 설치된다면 절단기구는 상기한 어떤 문제점 없이 로드를 이용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절단된 와이어의 일부가 아직 가이드부의 만곡상 부분에 남아 있으므로 결속용 와이어가 꼬아진 다음 가이드부와 결속용 와이어의 묶음부 사이에서 간섭이 일어나고 바인더의 작용 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일본국 특개평 3-60989호는 결속용 와이어를 묶기 위해 바인더에 조절가능한 트위스트축을 위한 기구를 설치한 일반적인 와이어 바인더를 소개하고 있다.
일반적인 와이어 바인더에 의하면, 그 기구는 축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부착된 척부재가 트위스트축에 연계되는 척부재의 유동에 의해 즉시 훅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여 결속용 와이어를 잡기 위한 훅이 있는 트위스트축의 표면 둘레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캠 기구가 척부재를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해 그 기구에 설치된다. 이것은 트위스트축을 바라는 대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단 이동기구의 설치를 필요로 하게 한다.
일반적인 와이어 바인더는 일련의 결속 단계의 달성후 훅이 미리 정해진 각도를 취하도록 자리잡게 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와이어 바인더에 의하면, 각 동작의 달성후 트위스트축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훅을 열기 위한 기구와 동시에 인접부재의 회전에 의해 트위스트축의 역회전을 인접부재에 훅을 맞물림으로써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의 훅의 멈춤이 바인더를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기구에 있어서, 인접부재가 묶일 다수의 피결속재 근처에 설치되므로 인접부재가 각 바인딩 작업동안 피결속재와 맞물려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만들어졌다.
본 발명은 단지 기동스위치의 구동에 의해 일정한 길이의 결속용 와이어를 공급하고, 규정토오크값에 도달할때까지 트위스트축을 회전시키며 초기위치로 트위스트기구를 복귀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결속 작업의 일주기를 조절하는 조절기를 구비한 와이어 바인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절기가 트위스트축을 규정토오크치에 도달할때까지 어떤 다른 모터의 구동없이 다수의 피결속재를 둘러감는 결속용 와이어의 직경에 개의치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해 와이어 바인더에 의해 결속 작업의 일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기를 갖춘 와이어 바인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번째 형태는 결속용 와이어로 다수의 피결속재 둘레를 둥그렇게 감아매기 위한 와이어공급용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부착된 와이어공급용롤러의 도움으로 결속용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는 만곡상 가이드부에 계속적으로 결속용 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공급기구를 포함하는 와이어 바인더로서 수행되는 결속작업의 일주기를 조절하는 기기를 갖춘 와이어 바인더와 와이어공급용 롤러가 정방향으로 회전할때 물건을 둘러감은 곳으로 이동되며, 또한 와이어공급용 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할때 와이어를 잡는 위치로부터 결속용 와이어를 놓아주도록 상기한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훅으로 결속용 와이어의 일부를 잡아꼬기 위한 와이어 트위스트기구와 결속용 와이어가 와이어 트위스트기구에 의해 꼬아질때 규정된 토오크치에 달하는 즉시 작동하는 트위스트구동용 모터와 와이어 트위스트기구 사이에 위치한 부하토오크검출기구, 와이어공급용롤러의 일정한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와이어공급센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공급용 모터를 구동하도록 부착된 수동스타드스위치, 부하토오크검출기구의 구동을 검출하기 위한 와이어트위스트센서, 와이어공급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해 와이어트위스트기구가 미리 정해진 대기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복귀위치검출센서, 와이어트위스트기구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해 와이어공급기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정방향으로 트위스트구동용 모터를 회전구동시키는 기기, 복귀위치검출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해 와이어트위스트구동용 모터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바꾸는 기기, 역방향으로의 트위스트구동용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기는 기기등을 제공한다.
와이어 바인더에 의해 수행되는 결속작업의 일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기에 있어서(지금부터는 간단히 조절기라 칭함) 기동스위치가 켜질때 와이어 공급용 모터로 와이어공급기구를 구동하기 위해 회전하여 결속용 와이어가 물건을 들러감도록 보빈기구로부터 만곡상 가이드부쪽으로 계속 풀려 나오도록 한다.
일정한 길이의 결속용 와이어가 공급된 후 와이어공급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해 조절기는 와이어공급용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와이어 트위스트기구를 구동한다.
그러므로 트위스트구동용 모터는 훅을 결속용 와이어가 둥글게 감긴 곳으로 이동시키도록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결속용 와이어의 일부를 잡아 꼬도록 하여 둥글게 감긴 와이어가 조여지도록 한다.
꼬는 작업중 미리 정해진 토오크값에 도달했을때 부하토오크검출기구가 작동한다. 이것은 차례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와이어트위스트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와이어트위스트센서로부터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조절기는 와이어트위스트 기구가 훅을 정해진 대기위치로 복귀할때까지 복귀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트위스트구동용 모터의 회전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와이어트위스트기구를 검출하는 복귀위치검출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해 조절기는 역방향으로의 와이어트위스트구동용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어 바인더는 결속동작의 일주기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그 이상의 목적은 감속기구의 출력측과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된 기구에서 결속용 와이어를 꼬기위한 토오크값을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결속용 와이어상에 나타난 트위스트토오크를 검출하는 기구와 또한 기구가 미리 정해진 토오크값을 검출한 후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과도한 전기 소모량을 줄이면서 모터의 출력축과 트위스트구동축 사이에서의 어떠한 미끄러짐의 발생없이 구동될 수 있는 와이어 바인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번째 형태는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위치한 태양기어, 태양기어와 각각 맞물린 다수의 유성기어, 그리고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저회전 상태에서 꼬는 작업을 가능하게 유도하는 유성기어 둘레에 설치되며, 하우징내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고 외부에서 토오크를 조절할 수 있는 스프링에 의해 일반적으로 편심되어 있는 내치기어, 내치기어의 표면에 설치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해 회전하려는 것을 검출하는 트위스트센서, 그리고 트위스트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해 구동모터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 조절기 등에 필수요소를 포함하는 감속기구와 작동관계에 있는 결속용 와이어상에 나타난 트위스트 토오크를 검출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방식대로 구성된 트위스트토오크 검출기구에 있어서, 트위스트 토오크가 트위스트기구의 트위스트구동축에 영향을 미치는 한은 일정한 값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내치기어는 회전하지 않거나 적은 각도 만큼만 회전하여 트위스트센서가 작동하지 않는다.
반대로 규정치 이상의 토오크가 트위스트구동축에 영향을 미칠때 태양기어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유성기어는 태양기어의 회전에 이어 회전한다.
규정치의 토오크가 트위스트구동축에 영향을 미치는 동안 유성기어의 회전력의 일부는 내치기어에 전달되고 이것을 내치기어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향해 회전하도록 한다.
유성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내치기어의 회전이 증가될때 트위스트센서는 내치기어의 회전을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검출신호에 응답해 조절기는 구동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작동한다. 트위스트 토오크의 값이 조절되었을때, 내치기어의 회전에 대해 저항하도록 외부로부터 받는 스프링의 편향범위를 바라는 토오크값에 일치시키기 위해 스프링의 탄성력을 적절히 조정한다.
본 발명의 그 이상의 목적은 절단기구가 로드를 이용해 절단기구를 구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의 직선부에 위치해 있는 곳에 결속용 와이어의 안내를 위한 기기와 또한 결속용 와이어의 말단부가 일단의 절단 동작의 달성후 가이드부의 만곡상 부분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기기를 갖춘 와이어 바인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방식대로 구성된 기기에 있어서, 결속용 와이어는 와이어 공급기구로부터 직선상 가이드를 지나 만곡상 홈을 따라 만곡상 가이드부에 공급된다.
그러나, 결속용 와이어의 이동은 만곡상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둥글게 말린 형상을 띄므로 결속용 와이어는 호의 형상을 유지한채 배출되며, 그후 결속용 와이어의 앞쪽을 만곡상 가이드부에서 안내편의 도움으로 가이드홈으로 안내된다.
그러므로, 로드와 같은 묶고자 하는 다수의 피결속재는 만곡상 가이드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결속용 와이어는 물건을 X형으로 묶는다.
계속하여 바인더를 물건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잡아뺄때 만곡상 가이드부에 있는 결속용 와이어는 가동부재의 전단부에 있는 경사면과 맞물려지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해 강제적으로 열림으로써 측판부로부터 경사면을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만곡상 홈은 결속용 와이어를 경사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외측면으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그외의 목적은 훅을 열거나 닫고 정해진 위치에서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즉 트위스트 훅을 조절할 수 있는 기기를 갖춘 와이어 바인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번째 형태는 와이어 공급기구의 전면에 위치한 만곡상 가이드부에 계속적으로 결속용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바인더에 있어 트위스트 훅을 조절할 수 있고 만곡상 가이드부의 선단으로부터 배출된 결속용 와이어가 다수의 피결속재 둘레를 몇회 둘러 감으며, 그 결속용 와이어의 X자형으로 감긴 부분은 감속기구를 통해 트위스트구동용 모터에 연결된 트위스트구동축이 서로 독립적으로 일반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트위스트구동축의 앞쪽에 위치한 트위스트축에 결합되어 있고 나선형으로 뻗은 홈은 트위스트구동축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리브는 트위스트축과 연계해 회전하거나 또는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방식으로 트위스트구동축과 트위스트축의 겉표면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잇다.
트위스트구동축의 나선형으로 뻗는 홈상에 장착된 부분인 볼받이부는 슬리브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훅 중앙에 형성된 길다란 홈상에 느슨히 꽂힌 핀은 슬리브의 전단면에 위치하고, 다수의 돌기는 원주방향으로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가 정방향(스토퍼와 맞물렸을때 슬리브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정방향 스토퍼와 돌기가 역회전 스토퍼와 맞물렸을때 슬리브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역방향 스토퍼는 슬리브의 외주면 근처에 설치되며, 트위스트구동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때 돌기는 처음위치에 위치한 슬리브의 정방향 회전을 막기 위한 정방향 스토퍼가 맞물리며 슬리브는 훅의 닫힘방향으로 슬리브를 회전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다수의 볼과 함께 트위스트구동축의 나선상으로 뻗는 홈을 따라 유동하고 슬리브가 미끄럼 이동의 마지막위치에 도달했을때 돌기는 슬리브와 트위스트구동용 모터가 정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정방향 스토퍼로부터 분리되며 트위스트구동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때 돌기는 슬리브를 최초위치로 유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역회전 스토퍼와 맞물리는 기기에 있어서, 트위스트구동용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부착된 훅에 의해 잡아꼬아지는 기기등을 갖춘 와이어 바인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방식으로 구성된 기기에 있어서, 트위스트구동용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때, 슬리브상의 돌기는 처음 위치에 자리잡는 슬리브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정방향 스토퍼와 맞물리며 그후 슬리브는 트위스트구동축 상에 나선상으로 뻗은 홈으로 구르는 볼의 도움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슬리브의 유동에 의해 핀 또한 이동되므로 트위스트축상에 지지된 훅이 다수의 물건을 X자형으로 둘러감는 부분을 잡도록 닫힘 방향으로 회전한다.
볼(ball)이 나선상으로 뻗는 홈의 끝점에 도달했을때, 슬리브는 유동의 마지막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슬리브가 마지막 언급된 끝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정방향 스토퍼나 돌기 사이의 맞물림 관계가 취소되며, 결속용 와이어가 꼬아지도록 구동축과 함께 슬리브가 회전한다.
다음에 구동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할때 트위스트구동축과 트위스트축 뿐만 아니라 슬리브 또한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때, 슬리브 상의 돌기는 슬리브의 역방향 회전을 막기 위해 역회전 스토퍼와 맞물린다.
계속하여 슬리브는 나선상으로 뻗는 홈에 있는 볼의 도움으로 초기위치에 되돌아갈때까지 미끄러져 움직인다.
핀이 같은 방향으로 변위하므로 훅이 열리고 결속용 아이어가 잡힌 곳으로부터 풀려난다.
본 발명의 그 이상의 목적은 결속 작업이 보빈상에 최소한 한번정도 작업할 양의 결속용 와이어를 남기고 달성되면 보빈커버가 자동적으로 열려 작동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깨닫게 하는 상태하에서 절단기구와 만곡상 가이드부의 출구 사이의 돌출 부위에 결속용 와이어가 잔류하지 않은 보빈기구를 갖춘 와이어 바인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섯번째 형태는 와이어 바인더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브래킷과 하나의 브래킷에 연계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지지축;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지지축, 브래킷의 안쪽지지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와이어 보빈, 한쪽 측벽이 닫힘 방향으로 지지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다른 측벽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열림 방향으로 다른 브래킷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보빈커버, 지지축으로부터 착탈되도록 부착된 보빈커버록, 와이어 보빈은 축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치우쳐 두개의 반쪽 보빈으로 나뉘어지며 보빈반쪽은 서로 주축적으로 다가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보빈 반쪽은 일반적으로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다른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반적으로 편심되고 결속용 와이어가 보빈 주위에 단단히 감겨있을 경우 떨어진채로 유지되고 보빈에 한번 정도 작업량의 코일만이 남아있을 경우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근 이동되며, 반쪽 보빈의 서로 분리된 부분이 없어지고 지지축은 보빈이 서로 벌어지거나 접근함에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되며 맞물림되는 보빈 반쪽이 떨어진 상태로 유지될때 보빈커버록에 맞물리며, 보빈이 서로 접근할때 보빈커버록으로부터 분리되어 보빈커버가 열리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빈기구에 있어서, 결속 동작이 신속하게 수행되므로 와이어 보빈 주위에 감겨있는 결속용 와이어가 풀려나와 급격히 소모된다.
마지막 결속 작업에 상당하는 양의 결속용 와이어 일부가 소비되었을때 보빈 주위에 감긴 결속 와이어에 의해 분리되었던 부분이 사라지고 보빈 반쪽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근된다.
결과적으로 지지축으로부터 돌출된 맞물림부가 보빈커버록으로부터 분리되고, 지지축이 회전할 수 있게 해주며 보빈커버가 열림방향으로 회전하게 해준다.
이때, 작업자는 결속용 철손이 완전히 소모되었음을 시각적으로 깨달을 수 있으므로 그는 작업을 멈춘다.
이것은 절단기구와 만곡상 가이드부의 출구부 사이에 결속용 와이어의 잔류를 막을 수 있다.
(실시예)
제1 및 제 2 도는 본 발명의 와이어 바인더를 나타내는 것으로, 와이어 바인더는 결속용 와이어로 다수의 피결속재 둘레를 둘러싸 묶이도록 하기 위해 결속용 와이어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부착된 만곡상 가이드부(4) 부분에 계속적으로 결속용 와이어(2)를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 공급기구(a)와, 피결속재를 둥그렇게 둘러싸 묶은 가장 앞끝의 결속용 와이어(2)의 일부분을 꼬기 위한 와이어트위스트기구(b)와, 와이어트위스트기구(b)에 일정 크기의 토오크로 작동되도록 부착된 토오크검출기구(c), 그리고 하우징(1)에서 수동을 조작되도록 부착된 가동스위치(c), 그리고 하우징(1)에서 수동을 조작되도록 부착된 기동스위치(5)등의 필수요소로 구성된다.
또한, 와이어 바인더는 상기한 각 기구에 배치된 센서로부터의 검출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력(모터)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를 포함한다.
서술은 각 기구와 조절기에 대한 관점하에서 진행될 것이다.
첫째로 그 둘레에 결속용 와이어(2)가 감겨있는 보빈기구(6)는 하우징(1)의 뒷쪽끝에 위치한다.
와이어공급기구(a)는 보빈(6) 주위에 감겨있는 결속용 와이어(2)를 와이어 공급용 모터(7a)가 규칙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와이어공급용 롤러(8)을 회전시켜 하우징(1)의 맨 앞쪽으로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와이어공급용 모터(7a)는 하우징(1)의 뒷부분에 설치되며, 와이어공급용 롤러(8)는 와이어공급기어를 통하여 와이어공급용모터(7a)의 출력축에 연결된다.
가동와이어공급용 롤러(8a)는 와이어공급용 롤러(8)의 반대편 위치에 설치한다.
가동공급용 롤러(8a)는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된 곳에서 동시에 와이어를 잡으면서 결속용 와이어(2)를 공급하기 위해 와이어공급용 롤러(8)과 맞물려 돌아간다.
직선상 가이드부(9)는 와이어공급용 롤러(8)로부터 공급된 결속용 와이어(2)의 움직임을 일직선으로 안내하기 위해 와이어공급용 롤러(8)의 하류면에서 하우징(1)의 윗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만곡상 가이드부(4)는 직선상 가이드부(9)의 하류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도 내지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상 가이드부(4)는 전면이 만곡상으로 굽어 있는 측판부(10)과 수납오목부(15a)로 마련된 한면 그리고 안내오목부(15b)로 마련된 다른면을 포함한다.
또한, 만곡상 가이드부(4)는 수납오목부(15a)에서 가동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가동부재(12)를 포함한다.
가동부재(12)는 측판부(10)의 한쪽벽의 반대편에 위치한 측벽면에서 그것이 측판부(10)에 다가가거나 멀어지도록 만곡형상의 오목홈(11)과 형성되었다.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재(12)는 일반적으로 측판부(10)과 밀착하도록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편심되어 있다.
경사면(14)는 측판부(10)으로부터 멀어지는 동안 만곡형상의 오목홈(11)에서 결속용 와이어(2)와 연통하도록 가동부재(12)의 선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안내편(16)은 안내오목부(15b)의 하단을 따라 뻗으면서 안내오목부(15b)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와이어공급용 롤러(8)의 정해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와이어공급센서(18)은 와이어공급용 모터(7a)의 감속기어(17)과 하우징(1) 사이에 위치한다.
특히, 공급센서(18)는 와이어공급용 모터(7a)의 출력축의 외면에 고정된 자석과 하우징 측면(1)에 위치한 홀소자(18b)로 구성되어 있다.
절단기구(c)는 절단용날의 한끝이 직선상 가이드부(9)의 전방에 배치된 와이어가이드(10a)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도록 지지되며, 그 다른쪽 끝은 연결판(20a)와 함께 직선상 가이드에 따라서 배치된 로드(20)의 한끝에 연결되고, 로드(20)의 다른 끝은 측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링크판(21)에 연결되며, 해당 링크판(21)에 작동편(22)를 형성하며, 작동편(22)를 구동해서 링크판(21)과 로드(20)을 작동시켜 전단용 커터(19)를 회전구동함으로써 홈(11)과 직선상 가이드부(9)의 사이에서 와이어를 절단하는 것이며 상기한 와이어(2)가 피결속재(3)의 주위에 소정횟수가 감긴 다음 작동하는 와이어 트위스트기구(b)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것은 전단용 커버(19)이 와이어가이드(10a)를 위한 와이어통과구멍(19a)와 와이어 통로(9)사이의 연결부를 차단함으로써 만곡상 가이드부(4)의 바로 앞에서 절단될 수 있도록 뒷족으로 로드(2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와이어통과구멍(19a)는 와이어가이드(10a)에 있는 와이어 통로(9a)와 나란히 전단용 커터(19)를 지나 형성되고, 전단용 커터(19)는 와이어삽입구(19a)를 지나는 결속용 와이어(2)의 움직임을 적절히 안내하기 위한 방향의 자세를 잡도록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편심된다.
이러한 구조로 결속용 와이어가 만곡상 가이드부(4)에 공급되므로 그것은 만곡형상의 오목홈(11)을 따라 움직이고, 오목홈(11)의 형성과 일치하는 만곡상 모양을 취하면서 결속용 와이어(2)의 움직임을 적당하게 안내하려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결속용 와이어(2)는 환상으로 묶기 위해 만곡형상을 띄면서 가이드로부터 배출된다.
둥글게 묶는 결속용 와이어(2)의 가장 앞쪽은 결속용 와이어(2)가 안내오목부(15b)에서 둥글게 묶이도록 안내오목부(15b)안으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철근이 묶여질 여러개의 피결속재가 만곡상 가이드부(4)에 위치했을때 결속용 와이어(2)는 피결속재(3)의 둘레를 둥글게 묶는다.
이때, 와이어공급용롤러(8)의 회전수는 와이어공급센서(18)에 의해 검출되며 뒤이어 와이어(2)가 보빈(6)으로부터 풀려나와 물거을 감싸고 미리 정해진 공급량에 달했을때(와이어공급용롤러의 회전수가 정해진 수에 도달했때) 검출신호가 와이어공급센서(18)로부터 출력된다.
피결속재(3)이 결속용 와이어(2)의 일부가 와이어트위스트기구(b)와 작동적인 결합에 있는 절단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잘라진뒤 작동자의 손으로 와이어 바인더로부터 강제로 분리될때 만곡형상의 오목홈(11)에 수용된 결속용 와이어(2)의 맨 앞끝은 초기로 경사면(14)와 접촉하여지며 만약 가동부재(12)가 작동자의 손으로 트위스트 동작 수행에 의해 억지로 열리면 스프링(13)의 탄력에 대항에 가동부재(12)가 측판부(10)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한다.
뒤이어 만곡형상의 오목홈(11)이 밖으로 노출되고 만곡형상의 오목홈(11)에 있는 결속용 와이어가 뒤쪽으로부터(7도 참조)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해준다.
다음에 와이어트위스트기구(b)는 결속용 와이어(2)를 잡는 훅(36)이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의 작동에 의해 미리 정해진 잡는 점이나 대기점에 옮겨지고 피결속재(3)의 둘레를 둥글게 묶는 결속용 와이어는 정방향으로 구동되는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에 의해 작동되는 훅(36)에 의해 잡아 꼬여진 다음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트위스트구동용 모터에 의해 훅으로부터 놓여진다.
특히, 와이어 트위스트기구(b)는 감속기어를 통해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에 연결된 트위스트구동축(24)와 트위스트구동축과 동일 축상에서 앞에 위치한 트위스트축(25)을 포함한다.
또한, 훅(36)은 트위스트축(2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슬리브(26)는 트위스트구동축(24)와 트위스트축(25)(제 9 도 a와 b 참조)에 고정된다.
게다가, 정회전 스토퍼(27)와 역회전 스토퍼(28)는 슬리브(26)(제10도 참조)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나선형으로 뻗은 나선홈(29)는 트위스트구동축(24)의 표면 둘레에 형성되며 트위스트구동축(24)와 트위스트축(25)는 일반적인 축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위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훅(36)의 기단부는 트위스트축(25)에 중추적으로 지지되며 가늘고 긴 구멍은 뒷쪽의 중심부에서 훅(36)을 통해 형성된다.
슬리브(26)는 핀(도시생략)으로 각각이 결합된 내, 외측 슬리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26)은 트위스트구동축(24)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트위스트구동축(24)와 트위스트축(25)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배열된다.
볼받이부(39)는 나선형으로 뻗은 나선홈(29)안에 고정된 각 부분이 볼(31)을 받도록 하기 위해 슬리부(26)의 한쪽면에 형성되며 가늘고 긴 구멍(30)을 통해 느슨하게 고정된 핀(32)는 슬리브(26)의 앞쪽 끝부분에 설치된다.
훅(36)이 회전하여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잘린 부분(33)을 슬리브(26)의 상하의 반대되는 벽을 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돌기(34)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슬리브(36)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34)는 길이가 긴 돌기(34a)와 수직방향에 보이는 길이가 짧은 돌기(34b)로 나뉘어진다.
정회전 스토퍼(27)는 역회전 스토퍼(28)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그것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동안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슬리브(26)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된다.
두 스토퍼(27)과 (28)은 슬리브(36)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나오면서 슬리브(26)의 외주면의 부호에 위치한 지지받침쇠(35)에 배열된다.
각각의 스토퍼(27)과 (28)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일반적으로 편심되어 있으며,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트위스트구동축(24)가 정방향으로 회전할때 돌기(34)중의 하나가 정방향 회전으로부터 최초위치에 있는 슬리브(26)을 보호하기 위해 회전 스토퍼(24)과 맞물리며 또한 나선형으로 뻗은 나선홈(29)에서 받는 볼(31)과 함께 후방으로 슬리브(26)을 미끄러져 옮기며 훅(36)를 근접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다.
슬리브(26)가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 정회전 스토퍼(27)는 슬리브(26)와 트위스트구동축(24)이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돌기(34)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트위스트구동축(24)가 역방향으로 회전할대 돌기(34)중의 하나가 슬리브로 하여금 그것이 초기위치에 도달할때까지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역회전 스토퍼(28)에 맞물린다.
방사방향에서 슬리브(26)으로부터 돌출된 달아낸 판(37)의 뒷쪽이 기관에서 슬리브(26)에 견고히 고정되고 자석(38a)는 달아낸 판(37)의 윗벽에 부착된다.
한편, 감속기구의 커버(40)의 저면에는 홀소자(38a)가 설치되고 자석(38a)와 홀소자(38b)에 의해 트위스트기구(b)가 소정의 복귀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복귀위치검출센서(38)이 구성되어 있다.
달아낸 판(37)은 절단기구(d)을 구성하는 로드(20)상의 작동편과 연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방식으로 구성된 와이어트위스트기구에 있어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는 결속용 와이어(2)가 보빈으로부터 와이어공급기구에 의해 일정길이로 풀려 나와 피결속재를 둘러감은 다음 정방향으로 회전할때, 트위스트구동축(24)가 정방향으로 규칙적으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에 의해 회전력은 트위스트구동축(24)의 표면에 나선홈(29)와 슬리브(26)상의 볼받이부(39)에 느슨하게 장착된 볼(31)을 통해 슬리브(26)에 전달된다.
그러나, 그 이상의 슬리브(26)의 회전을 동력전달의 만료시 정회전 스토퍼(27)에 슬리브(26)상의 돌기중의 하나가 삽입됨으로써 방지되므로 슬리브(26)이 도면 제10도(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홈(29)에 받아들여진 볼(31)의 도움으로 축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슬리브(26)이 유동함으로써 슬리브(26)에 의해 지지된 핀(32)는 슬리브(26)과 함께 이동되며, 트위스트축(25)에 지지된 훅(36)이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여 피결속재의 둘레에 감긴 와이어의 한부분을 훅(36)의 앞쪽부분으로 움켜지도록 한다.
달아낸 판(37)이 슬리브(26)의 미끄럼운동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절단기구(d)를 구성하는 로드(20)의 가동편(22)은 달아낸 판에 의해 슬리브(26)의 미끄럼이동 방향으로 밀린다.
이것은 전단용 커터(19)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됨으로서 절단기구(d)가 구동된다.
그러므로 결속용 와이어(2)는 와이어가이드(10a)의 와이어통로(9a)와 와이어삽입구(19a)의 연결이 지지되면서 만곡상 가이드부(4)의 상류쪽에서 절단된다.
나선홈(29)에 있는 볼(31)이 뒷부분에 있는 종착점에 도달했을때, 슬리브(26)는 도면 제11도(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러짐 운동의 종착점에 다다르며 정방향 스토퍼는 슬리브(26)이 비틀림 구동축(24)와 함께 돌도록 돌기(34)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슬리브(26)이 회전방향으로 훅(36)과 합쳐지므로써 결속용 와이어를 쥐고 있는 훅(36)은 결속용 와이어(2)를 꼬기위해 회전구동된다.
이때, 역회전 스토퍼(28)은 일명 배출방향으로 회전하는 돌기(34)중의 하나와 맞물린다.
다음에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며 슬리브(26)은 트위스트구동축(24)와 트위스트축(25)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지만 슬리브(26)상의 돌기중의 하나가 역회전으로부터 뒷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역회전 스토퍼(28)에 삽입된다(제12도a와 b도 참조).
여기서, 다수의 돌기(34)는 역방향에서 슬리브(26)의 회전각을 적게 하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슬리브(26)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만약, 슬리브(26)의 회전각이 크게 고정되어 있다면 결속용 와이어의 꼬임부가 느슨해진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슬리브(26)의 역회전이 저지되는 동안 슬리브(26)는 나선홈(29)와 볼(31)의 작용에 의해 복귀 위치로 미끄러져 움직인다(제13도a와 b, 제14도a와 b참조).
동시에 핀(32)가 같은 방향으로 빠지므로 훅(36)은 잡고 있는 결속용 와이어(2)를 놔주도록 회전하여 열린다.
슬리브(26)이 도면 제15도 (a)와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위치로 복귀했을 때 이것은 차례로 방향신호를 내보내는 복귀위치검출센서(38)에 의해 검출된다.
슬리브(3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중의 하나는 길이가 긴 돌기(34a)이며, 짧은 돌기는 슬리브(26)의 미끄럼 이동방향에서 역회전 스토퍼(28)로 부터 분리되면 훅(36)이 다시 회전하지만 역회전 스토퍼(28)이 긴 돌기(34a)와 맞물릴때 훅의 회전은 정지된다.
긴 돌기(34a)가 역회전 스토퍼(28)와 맞물린 곳의 위치는 훅(36)의 일반 멈춤위치(최초위치)라고 한다.
다음에 토오크검출기구(c)는 와이어트위스트기구(b)가 구동될때 나타나는 토오크를 받는 즉시 구동된다.
부하토오크검출기구(c)는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와 와이어트위스트기구(b)의 사이에 배치된 2단 감속기구(41a)와 (41b)중 하나인 첫째단 감속기구(41a)에 설치된다.
특히,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기구(41a)는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의 출력축에 고정 장착된 태양기어(43)와, 이와 맞물리는 다수의 유성기어(44) 그리고 유성기어(44) 주위에 배치된 내치기어 등으로 구성된다.
내치기어(45)는 자체의 회전속도가 회전력의 증폭량을 와이어트위스트기구의 트위스트구동축에 전달하도록 감속기구의 2번째단에 대해 점차 감속되기 위해 2번째 단의 감속기구의 태양기어의 축에 이런 구조로 출력축(42)의 회전속도는 큰 회전력을 트위스트구동축(24)에 전달하기 위해 양 감속기구(41a)와 (41b)에 의해 대폭 감소된다.
첫째단에서 감속기어(41a)의 내치기어(45)는 하우징(1)내에서 정해진 각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며, 돌출부(46)은 내치기어(45)의 표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프링(48)은 내치기어(45)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코일을 탄성력에 의해 내치기어(45)를 편심시키도록 하우징(1)의 벽을 관통한 스프링받이 나사축(47)과 돌출부(46) 사이에 놓아진다.
스프링받이 나사축(47)의 머리부(47a)은 작동자의 손으로 머리부(47a)를 돌림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트위스트센서(49)는 내치기어(45)가 스프링(48)의 복원력에 저항해 회전하는 것을 검출할 목적으로 내기기어(45)의 표면과 하우징(1)의 사이에 설치된다.
와이어 트위스트센서(49)는 자석(49a)와 홀소자(49b)로 구성되며, 자석(49a)이 돌기(46)의 끝에 붙어 있고 스프링에 저항하는 돌기의 회전에 의한 일정거리에 대응해 홀소자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방식대로 구성된 토오크검출기구(c)에 있어 와이어 트위스트기구(6)의 트위스트구동축(24)에 부과된 토오크하중이 적정치에 달하지 않을 때 내치기어(45)는 전혀 회전하지 않거나 약간 회전한다.
이 경우, 와이어 트위스트센서(49)는 작동하지 않는다.
트위스트구동축(24)에 부과된 하중이 적정치를 초과할때 태양기어(43)과 유성기어(44)는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로부터 출력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적정치의 토오크가 트위스트구동축(24)에 이미 주어졌으므로 유성기어(44)에 의해 주어진 회전력의 일부는 내치기어(45)에 전달되고 내치기어가 제16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향해 회전하도록 한다.
내치기어(45)가 회전함으로서 돌출부(46)의 끝부분에 부착된 자석(49a)가 홀소자(49b)에 도달하면 내치기어의 회전을 와이어 트위스트센서(49)가 검출하여 부하토오크검출기구(c)가 구동된다.
계속하여 와이어트위스트센서(49)는 조절기 쪽으로 검출신호를 낸다.
기동스위치(5)는 하우징(1)의 손잡이에 위치하며, 레버(50)이 당겨졌을때 기동스위치(5)가 커지며 와이어에 공급기구(a)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어서, 와이어공급센서(18)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조절기가 와이어공급용모터(7a)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뒤이어 슬리브(26)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검출하는 복귀위치검출센서(38)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조절기는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러한 방식으로 조절기는 결속작업의 한주기를 조절한다.
조절기는 하우징(1)내에 설치된 필수요소로서 마이크로컴퓨터 팁(도시생략)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바인더에 있어서 결속작업의 일주기는 결속 와이어(3)에 의해 수행된다.
특히, 레버(50)이 스위치를 켜도록 당겨졌을때 와이어공급기구(a)는 와이어공급용 모터(7a)를 구동한다.
결속용 와이어(3)가 보빈기구(6)으로부터 풀려나와 피결속재(3)의 주위를 감도록 만곡상 가이드부(4)에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결속용 와이어(3)가 정해진 길이 만큼 공급되는 것을 와이어공급센서(18)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조절기가 와이어공급용 모터(7a)를 정지시키고 와이어트위스트기구(b)를 구동시킨다.
그래서,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는 결속용 와이어(3)가 물건을 둘러 감을 곳으로 옮겨지도록 정방향으로 회전하며, 결속용 와이어의 일부가 훅(36)에 의해 잡힌다.
이어서, 슬리브(26)이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감긴 와이어가 조여진다.
이와같이 와이어가 조여짐으로써 토오크가 적정값에 달할때 토오크검출기구(c)가 구공되며, 이것은 차례로 조절기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트위스트검출센서(49)에 의해 검출된다.
전술한 트위스트검출센서(49)로부터의 검출신호 출력에 응답하여 조절기는 와이어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와이어트위스트기구(b), 훅(36)이 대기위치에 되돌아 올때까지 구동된다.
이어서, 와이어 트위스트기구(b)가 미리 정해진 대기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복귀위치검출센서(38)로부터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조절기가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리하여 조절기는 와이어 바인더의 결속 작업의 일주기를 끝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기는 일정 길이의 결속용 와이어 공급, 적정 하중값에 달할때까지의 트위스트축의 회전, 그리고 원래 위치로 와이어트위스트기구의 복귀를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부하토오크검출기구는 다수의 피결속재를 둘러 감는 결속용 와이어의 직경에 상관없이 트위스트축이 규정 토오크량에 도달할때까지 회전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동일한 강도로 물건을 결속할 수 있으며, 전력의 소모도 조절기와 연결된 모터가 불필요한 구동을 하지 않으므로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바인더에 있어서, 하기의 보빈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제17도 내지 22도).
제17도는 와이어 바인더의 후미에 위치한 본 발명과 부합하는 보빈기구의 단면도이다.
보빈기구(6)은 와이어 바인더의 하우징(101)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브래킷(102)와 (103)과 브래킷(102)에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미끄럼 회전하도록 지지된 지지축(104)과 브래킷(102)와 (103)사이에 위치한 지지축(104)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보빈(105), 보빈(105)를 덮도록 브래킷(102)과, (103)의 외측에 설치된 보빈커버(106), 그리고 보빈커버를 고정하도록 부착된 보빈커버록(107)등의 요소를 포함한다.
와이어 보비빈(105)는 결속용 와이어(108)을 감기 위한 와이어 감김슬리브의 반대편에 플랜지(110)이 부착된 H자형 단면으로 설계되었다.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보빈(105)는 축방향으로 두개의 보빈(105a), (105b)로 나누어진다.
소구경 슬리브(111)은 나머지 보빈반쪽(105b)의 와이어감김슬리브(9b)로 불어 착탈이 가능하도록 보빈반쪽(105a)의 와이어감김슬리브(9b)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와이어보빈(105)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반분된 두개의 보빈(105a), (105b)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반쪽 보빈(105b)의 와이어감김슬리브(9b)는 그 주위에 적어도 한 회전이상의 와이어가 감기기에 충분한 길이로 되어 있다.
반쪽 보빈(105a)의 와이어감김슬리브(9a)의 소구경 슬리브(111)의 가장자리가 다른 반쪽의 보빈(105b)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작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결속용 와이어(108)은 보빈(105a)와 (105b)가 서로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동안 양 플랜지(110) 사이의 보빈(105)에 단단히 감긴다.
결속용 와이어(108)의 일부는 양 보빈(105a)와 (105b)가 지지축 상에서 약간 떨어져 지지되도록 보빈 반쪽(105a)의 소구경 슬리브(111)에 환상홈(114)의 주위에 감긴다.
환상홈 주위에 감긴 결속용 와이어의 부분에 뒤이은 시말면 상의 결속용 와이어(108)의 일부(w)는 최소한 한회전이상의 감김으로 다른 반쪽보빈(105b)의 와이어감김슬리브상에 감겨있다.
대신에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05)의 환상홈(14)는 반쪽 보빈(105a)의 감김슬리브(9a)의 선단과 다른 반쪽 보빈(105b)의 플랜지(110) 사이에 형성될 것이다.
이 경우 결속용 와이어의 시작부는 최소 2회전 이상의 감김으로 환상홈 주위에 감겨 있다.
보빈(105)는 브래킷(102)와 (103)의 내부에 설치되며 브래킷(1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지지축(104)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축(104)는 단축의 형태이며, 축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브래킷(102)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축(104)의 외관(4a)는 비원형 다면형을 나타내도록 설계되었다(제19도 참조).
또한, 지지축(104)는 맞물림 가장자리(115)가 반쪽보빈(105a)의 외벽상의 중심부에 형성된 맞물림구멍(116)에 연결되도록 그 끝에 맞물림 가장자리(115)를 가지고 있다.
한편, 원통형의 맞물림돌기(117)은 반쪽보빈(105a)의 내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맞물림구멍(118)에 맞물림되도록 지지축(104)와 중심이 일치되어 다른 브래킷(103)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와이어 보빈(105)는 지지축(104)와 맞물림돌기(11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압축스프링(119)는 브래킷(102)와 지지축(104)의 맞물림 가장자리(115)주위의 환상돌기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지축(104)는 축방향으로 반쪽보빈(105b)로부터 다른 반쪽보빈(105a)의 앞뒤 이동에 따라서 변위되는 두 보빈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일반적으로 편심된다.
탈락 방지편(120)은 보빈커버(106)으로부터 지지축(104)의 분리를 막기 위해 지지축(104)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보빈커버(106)는 실질적으로 U형 단면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커버(106)의 한쪽벽은 다른쪽벽이 단축편(12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맞물림돌기(117)과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한 단축편(1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후자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축(104)에 완전히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축(104)의 비원형단(4a)에 부착된다.
지지축(104)는 보빈커버(106)과 함께 회전가능하며,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스프링(122)는 한쪽은 브래킷(103)에 물려있고, 다른 한쪽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편심된 보빈커버(106)에 물려있는 식으로 단축편(121) 주위에 감겨있다.
보빈버커(106)은 보빈커버록(107)에 의해 고정된다.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빈버커록(107)은 단원통 부재의 반쪽(7a)가 두께가 두껍게 고안되었다.
특히, 지지축(104)는 보빈커버(106)과 브래킷(102)의 한쪽 측벽을 관통해 돌출되며 보빈커버록(107)는 두꺼운 부분이 브래킷(102)안쪽에 위치하도록 브래킷(102)에 고정된다.
게다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형 맞물림부(123)은 지지축(104)의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맞물림부(123)은 보빈커버록(107)의 두꺼운 부분에 대해 오른쪽에 돌출된 계단면(124)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지지축(104)가 보빈(105)의 두부분(105a)(105b)이 서로 떨어지면서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향해 축방향으로 밀려 나올때, 맞물림부(123)는 보빈커버록(107)와 맞물려진다. 이때 보빈커버(106)는 닫힌 상태로 지지된다.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102)는 지지축(104)가 내측 축방향으로 이동할때 절단부(125)가 맞물림부(123)을 받아 들이도록 보빈커버록(107)에 대응한 위치에 절단부를 형성한다.
절단부(125)는 지지축(104)가 대개 오른쪽으로 회전할때 보빈커버(106)이 열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한다.
상기한 방식으로 구성된 보빈기구에 있어 지지축(104)로부터 돌출된 맞물림부(123)은 지지축(104)의 회전이 없어도 보빈커버록(107)의 계단면(124)에 맞물린다. 그러므로 보빈커버(106)는 일반적으로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
결속작업이 수행될때, 보빈(105) 주위에 감겨있는 결속용 와이어(108)은 하우징(1)안의 와이어 공급기구(133)가 구동됨으로써 만곡상 가이드부(136)의 돌출부(136)으로 전달된다.
와이어가 물건을 둘러 감아진 다음 절단기구(135)의 구동에 의해 절단되고 절단된 결속용 와이어(108)의 앞부분은 물건이 묶여질때까지 트위스트축(134)의 회전에 의해 꼬여진다.
상기한 결속 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보빈(105)주위에 감겨있는 결속용 와이어(108)은 성공적으로 풀려나와 점점 소비된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반쪽보빈(105a)의 소구경 원주부분(111)의 환상홈(114) 주위에 감긴 마지막 권선이 소비되면 양쪽 보빈(105a)와 (105b)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의 효과로 와이어 감겨 벌어져 있던 두보빈 사이가 좁혀진다.
이것은 지지축(104)가 축방향 내측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맞물림부(123)이 브래킷(102)의 절단부(125)에 받아들여질때까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제21도 참조).
이때 맞물림부(123)는 보빈커버록(107)로부터 분리되며 보빈커버(106)이 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 열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 지지축(104)가 회전가능하게 해준다(제19도에 접선으로 나타낸 부분).
보빈커버(106)이 회전함으로써 지지축(104)로부터 돌출된 맞물림부(123)은 보빈커버(106)의 과도한 회전을 억제하는 절단부(125)의 반대편 끝에 의해 멈춰진다.
결과적으로 보빈커버(106)는 절단부(125)의 반대편 끝쪽에 해당하는 위치에 열린채로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속용 와이어(108)의 잔량은 급격히 줄어들며 보빈커버(106)은 지지축(104)에 대해 열림 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지막 결속작업의 달성후 작업자는 보빈(105)에 결속용 와이어(108)의 잔량이 없음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자가 그의 작업을 멈추었을때 절단기구(135)와 만곡상 가이드부(136)의 도출부 사이 영역에 결속용 와이어의 일부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없다.
때때로 결속용 와이어(108)의 끝부분이 와이어보빈(105)의 환상홈(114)안에 남아있는 경우가 발생하여 지지축(104)가 축방향으로부터 부적당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보빈커버(106)가 회전하여 열리는데 실패를 초래한다.
이것은 결속용 와이어(108)의 마지막 감김 와이어 보빈(105)의 다른 반쪽보빈(105b)의 와이어감김슬리브(9b) 주위에 남아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마지막 결속 작업의 완료후 작업자가 와이어보빈(105)상에 결속용 와이어가 남아 있지 않음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스스로 보빈커버(106)을 연다.
결과적으로 결속용 와이어(108)의 일부가 절단기구(136)과 만곡상 가이드부(131)의 돌출부(136) 사이에 남아있어도 고장이 일어나지 않는다.
제23도는 본 발명의 와이어 바인더에 채용할 수 있는 결속용 와이어의 끝(E)에 인접한 부분을 도시한다.
결속용 와이어의 끝(E)은 보빈기구의 릴(R)에 연결되고 결속용 와이어(2)는 릴(R)에 감긴다.
끝(E)에 인접한 부분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소구경부로 형성된 부분 또는 소구경부(2a)의 직경이 와이어 지지롤러(8)과 가동 와이어 공급롤러(8a) 사이에 규정된 와이어 클램핑 챔버의 내경보다 작은 방식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소구경부(2a)는 결속용 와이어(2)가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소모된 후 롤러(8)과 (8a) 사이에 도달했을때 롤러(8)과 (8a)가 소구경부(2a)를 죄는게 불가능하므로 결속용 와이어(2)의 공급 작용은 롤러(8)과 (8a)가 회전하더라도 중단된다.
또한,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구경부(2a)의 선단(F)로부터 결속용 와이어(2)의 끝까지 거리 L1는, 롤러(8)과 (8a)의 접촉점과 하우징(1)의 끝표면에 열린 와이어 삽입구(1a) 사이의 거리 L2보다 작으므로 결속용 와이어의 끝(E)는 소구경부(2a)가 롤러(8)과 (8a)사이에 도달해 잔류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 삽입구로 결코 들어가지 않는다.
결속용 와이어(2)의 운동이 결속작업중 롤러(8)과 (8a)사이에 소구경부(2a)가 도달함으로서 멈출 경우, 와이어 결속기의 결속 작업을 와이어 바인더의 1주기 작동이 끝날때까지 계속된다.
이 주기작동에서 결속용 와이어는 직선상 가이드부(9)의 바로앞에 형성된 절단기구의 전단용 커터(19)에 의해 절단된다.
따라서, 직선상 가이드부(9)에 잔류한 결속형 와이어는 잔류한 결속용 와이어를 결속용 바이어의 끝(E)쪽으로 잡아 당겨서 쉽게 제거 가능하다.
또한,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2)의 소구경부(2a)를 끝(E)부까지 늘이는 방식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끝이 와인딩어 바인더의 내측으로 삽입되기전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와이어 공급을 멈출수가 있다.
끝부분에 잔류한 와이어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를 제거하기 위해 바인더나 와이어 가이딩 기구를 분해할 필요가 없다.
더우기, 일반적으로 와이어에 있어서는 와이어의 끝부분이 바인더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결속작업도중 릴에 감린 결속용 와이어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소구경부를 갖는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잔량을 체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와이어 바인더에서의 문제점들이 절대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과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우선적인 단일 개략의 관점으로만 상기 되었으나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항에 규정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하여 만들 수 있다.

Claims (9)

  1. 와이어공급용 모터(7a)와 그 모터(7a)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와이어공급용 롤러(8)를 포함하며, 와이어공급용 롤러(8)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결속용 와이어(2)를 피결속재(3)의 주위에 환상으로 두루 감기도록 안내하는 만곡상 가이드부(4)와를 포함하는 와이어공급기구(a)와, 상기 만곡상 가이드부(4)에 배치된 커터를 포함하며, 와이어(2)의 환상으로 두루감긴 부분을 후속부분부터 잘라내는 와이어 절단수단(19)과,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와 그 모터(7b)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훅(36)을 포함하고,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의 정방향회전에 의해 훅(36)을 피결속재(3)의 주위에 두루감긴 와이어(2)의 환상부위치로 이동하고 그 일부를 파지에서 비틀고, 역방향회전에 의해 훅(36)이 와이어(2)를 해방하여 대기위치로 퇴피시키는 훅제어기구를 가지는 와이어 트위스트기구(b)와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와 와이어트위스트기구(b)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트위스트기구(b)에 의한 와이어트위스트시에 가해지는 소정부하토오크에 의해 작동되는 부하토오크검출기구(c)와, 와이어공급용 모터(7a)를 기동시키는 수동조작 가능한 기동스위치(5)와를 구비한 와이어 바인더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공급용 롤러(8)의 소정회전수를 검출해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공급센서(18)와, 상기 부하토오크검출기구(c)의 작동을 검출해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트위스트센서(49)와, 상기 트위스트기구(b)가 소정의 대기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해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복귀위치검출센서(38)와를 구비하되, 상기 공급센서(18)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와이어공급용 모터(7a)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를 정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며, 상기 트위스트센서(49)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를 역방향 회전구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트위스트 위치검출센서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를 정지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바인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와이어가이드수단이 상기 결속용 와이어(2)의 움직임을 직선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직선상 가이드부(9)와 상기 결속용 와이어(2)가 상기 피결속재(3) 둘레를 동그렇게 둘러싸도록 하는 만곡상 가이드부(4)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공급기구(a)가 와이어공급용 모터(7a)에 의해 주기적으로 구동되도록 부착된 와이어공급용 롤러(8)의 도움으로 상기 결속용 와이어(2)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제공된 상기 만곡상 가이드부(4)에 상기 결속용 와이어(2)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공급기구(a)를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정방향 회전을 하고 있을때 상기 결속용 와이어(2)의 일부를 훅(36)으로 잡아 꼬기 위해 상기 결속용 와이어(2)가 피결속재를 둘러 감은 곳으로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공급기구(a)가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때,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결속용 와이어(2)를 놔주도록 대기위치로 훅(36)를 이동시키는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트위스트토오크검출수단은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와 와이어트위스트기구(b) 사이에 위치해 상기 결속용 와이어(2)가 상기 트위스트기구(b)에 의해 꼬아질때 일정량의 토오크를 받는 즉시 구동하는 트위스트검출기구(c)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공급용 모터(7a)를 수동적으로 구동하도록 부착된 기동스위치(5)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와이어 바인더에 의해 수행되는 결속작업의 일주기를 조절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와이어공급용 롤러(8)의 규정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와이어공급센서(18)와, 상기 와이어트위스트기구(b)가 상기 공급센서(18)로부터 출력신호에 응답해 미리 정해진 대기위치에서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고 복구위치검출센서(38)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와이어공급용 모터(7a)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상기 와이어트위스트센서(49)의 출력신호에 응답해 상기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를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축회전시키며 복귀위치검출센서(38)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해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의 역방향회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바인더.
  3. 제 1 항에 있어서, 감속기구는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의 출력축에 장착된 태양기어(43)와, 상기 태양기어(43)과 맞물리는 다수의 유성기어(44)와, 상기 모터(7b)의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저속에서 결속용 와이어(2)를 꼬도록 하기위해 감속시키는 유성기어(44) 주위에 설치된 내치기어(45)와, 상기 트위스트 토오크 검출수단이 상기 감속기구와 관련된 결속용 와이어(2)에 나타난 토오크의 검출을 위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치기어(45)는 하우징(1)안에서 규정된 각도범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치기어(45)는 내치기어(45)가 규정된 방향으로 구동될때, 토오크가 상기 내치기어(45)에 역방향을 미치는 방향으로 밖에서 조절할 수 있는 스프링에 의해 편심되어 있으며, 상기 트위스트센서(49)는 상기 내치기어(45)의 표면과 상기 내치기어(45)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해 회전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트위스트센서(49)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모터(7b)의 회전정지의 목적을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바인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수단은 상기 결속용 와이어(2)의 이동을 직선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직선상 가이드부(9)와 상기 결속용 와이어(2)을 묶도록 하기 위한 만곡상 가이드부(4)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상 가이드부(9)는 앞쪽으로 결속용 와이어(2)를 성공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공급기구(a)과 관련된 전면에 위치하고, 전면이 만곡상으로 굽어있는 상기 만곡상 가이드부(4)는 상기 직선상 가이드부(9)의 하류쪽에 위치하며, 상기 만곡상 가이드부(4)의 선단으로부터 배출된 결속용 와이어(2)가 피결속재(3)의 둘레를 여러번 감아 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바인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절단수단(d)의 상기 직선상 가이드부(9)와 상기 만곡상 가이드부(4) 사이의 미리 정해진 곳에 위치하여 상기 결속용 와이어(2)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바인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상 가이드부(4)가 전면이 만곡상으로 굽어진 측판부(10)가 상기 측판부(10)의 한쪽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표면상에 움푹 들어간 만곡형상의 오목홈(11)을 갖는 가동부재(12)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부재(12)가 상기 측판부(10)로부터 변위 가능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반적으로 측판부(10)쪽으로 편심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형상의 오목홈(11)내에 결속용 와이어(2)와 연동되도록 부착된 경사면(14)는 상기 측판부(10)로부터 가동부재(12)가 떨어지도록 상기 가동부재(12)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바인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트위스트수단을 양측이 서로 분리되어 일반적인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트위스트구동축(24)의 앞쪽에 위치한 트위스트축(25)에 연결된 감속기구(41a)(41b)를 통해 트위스트구동용 모터(7b)에 효과적으로 연결된 트위스트구동축(24)을 포함하며, 나선형으로 뻗는 나선홈(29)이 상기 트위스트구동축(24)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훅(36)의 기단부가 상기 트위스트축(25)에 개방 가능하게 지지되며, 슬리브(26)는 상기 트위스트구동축(24)과 연동해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트위스트축(25)과 상기 트위스트구동축(24)의 표면에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트위스트축(25)과 연동해 축방향으로 유동되고, 상기 훅(36)의 중심부에 형성된 핀(32)을 느슨하게 꽂은 가늘고 긴 구멍은 상기 슬리브(26)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돌기가 상기 슬리브(26)의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정회전 스토퍼(27)와 연동할때 정방향 회전으로부터 슬리브(26)를 보호하기 위한 정회전 스토퍼(27)와 상기 돌기가 역회전 스토퍼(28)와 연동할때 역방향 회전으로부터 슬리브(26)를 보호하기 위한 역회전 스토퍼(28)는 상기 슬리브(26)의 외주면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위스트구동축(24)이 정방향으로 회전할때 상기 돌기는 초기위치에 위치한 상기 슬리브(26)의 정방향 회전을 막기위해 상기 정회전 스토퍼(27)와 연동하고, 상기 슬리브(26)는 상기 훅(36)의 닫힘 방향으로 슬리브(26)를 회전시키기 위해 앞쪽으로 다수의 볼(31)과 함께 상기 트위스트구동축(24)의 나선홈(29)를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며, 상기 슬리브(26)가 유동점의 끝에 도달하면 상기 돌기(34)는 상기 슬리브(26)와 상기 트위스트구동축(24)이 정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정회전 스토퍼(27)에 연동된 곳으로부터 놓아지고 상기 트위스트구동축(24)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돌기(34)는 상기 슬리브(26)가 초기위치로 유동할 수 있도록 역회전 스토퍼(28)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바인더.
  8. 제 1 항에 있어서, 보빈기구는 상기 와이어 바인더의 하우징(1)으로부터 각 돌출된 한쌍의 브래킷(102)(103)과 한쪽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지지축(104)과 상기 브래킷의 내측지지축(104)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보빈(105)과 한쪽벽이 회전방향으로 지지축(104)과 함께 상기 지지축(104)에 대해 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측벽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열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다른 브래킷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보빈커버(106)와 상기 지지축(104)에 돌출된 맞물림부(123)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부착되어 보빈커버록(107)가 맞물림부에 맞물렸을 때 닫힘위치로 보빈커버(106)를 유지하는 보빈커버록(107)으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보빈(105)은 축방향으로 오른쪽에서 두개로 나뉘어지며, 상기 보빈반쪽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빈반쪽(105b)은 다른 반쪽보빈(105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다른 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 일반적으로 편심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반쪽(105b)은 결속용와이어(2)가 상기 보빈(105b)에 팽팽히 감겨 있을 때 떨어진 채로 유지되고, 상기 보빈반쪽(105b)은 마지막 결속작업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결속용 와이어의 일부가 와이어보빈(105)로 부터 풀려나왔을때 상기 스프링(122)의 복원력에 의해 서로 근접이동되며, 상기 보빈반쪽의 분리부가 없어지게 되고, 상기 지지축(103)은 상기 보빈반쪽이 다른 반쪽에 대해 서로 변위하므로 축방향으로 변위되며, 맞물림부(123)는 상기 보빈반쪽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보빈커버록(107)와 맞물리고, 상기 맞물림부(123)가 상기 보빈반쪽이 서로 근접할 때 상기 보빈록(107)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보빈커버(106)가 열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바인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용 와이어(2)는 다른부분보다 적은 직경의 소구경부(2a)를 가지고 있어 상기 소구경부(2a)가 와이어 공급수단(a)에 도달하였을 때 결속와이어(2)가 공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바인더.
KR1019930003073A 1993-03-02 1993-03-02 와이어 바인더 KR960013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073A KR960013081B1 (ko) 1993-03-02 1993-03-02 와이어 바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073A KR960013081B1 (ko) 1993-03-02 1993-03-02 와이어 바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081B1 true KR960013081B1 (ko) 1996-09-30

Family

ID=1935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073A KR960013081B1 (ko) 1993-03-02 1993-03-02 와이어 바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6604A (zh) * 2021-04-25 2021-06-04 烟台南山学院 一种建筑铁丝捆扎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6604A (zh) * 2021-04-25 2021-06-04 烟台南山学院 一种建筑铁丝捆扎机
CN112896604B (zh) * 2021-04-25 2022-07-05 烟台南山学院 一种建筑铁丝捆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5829C1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US5279336A (en) Wire binder
EP1418124B1 (en) Reinforcing steel bar tying machine
JP3604695B2 (ja) 駆動機構を備えたワイヤ結束具
KR100293322B1 (ko) 물품의 매듭방법 및 매듭장치
JP6922221B2 (ja) 結束機
EP2243898B1 (en)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WO2017014276A1 (ja) 結束機
US20180148943A1 (en) Binding machine
WO1996025330A1 (fr) Procede et appareil pour lier un article
EP0886020B1 (en) A wire twisting device for use in a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US11898359B2 (en) Binding machine
JPH10250703A (ja) 鉄筋結束機
JPH07275983A (ja) 鉄筋結束機
KR960013081B1 (ko) 와이어 바인더
JP2570696Y2 (ja) 結束機の捩りフックの作動機構
JPH05330507A (ja) 結束機のワンサイクル制御装置
JPH0748931A (ja) 鉄筋結束装置
JPH10250708A (ja) 鉄筋結束機
JPH07284870A (ja) 鉄筋結束機
US20240075517A1 (en) Binding machine
US20240001430A1 (en) Binding device
JP6953979B2 (ja) 結束機
JPH10252270A (ja) 鉄筋結束機
JPH0834406A (ja)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