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742B1 - 낚시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시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742B1
KR960011742B1 KR1019930027467A KR930027467A KR960011742B1 KR 960011742 B1 KR960011742 B1 KR 960011742B1 KR 1019930027467 A KR1019930027467 A KR 1019930027467A KR 930027467 A KR930027467 A KR 930027467A KR 960011742 B1 KR960011742 B1 KR 960011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support
rod
fastening
fix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506A (ko
Inventor
김용쾌
Original Assignee
김용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쾌 filed Critical 김용쾌
Priority to KR101993002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742B1/ko
Publication of KR95001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받침대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측면도.
제3도는 동실시예의 횡단면도.
제4도는 동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의 평면도.
제5도는 동실시예의 또 다른 사용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받침대 10 : 매설봉
20 : 고정블록 21 : 결합흠
22 : 체결공 23 : 전방지지공
23a : 전방나사공 24 : 후방지지공
24a : 후방나사공 30 : 전방지지체
31 : 상향절곡부 40 : 후방지지체
41 : 호형굴곡부 50 : 체결고리
60 : 체결봉 70 : 체결너트
본 발명은 인위적인 힘에 의하지 않고서도 낚시대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시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낚시대의 손잡이쪽의 외주 상단과 그 앞쪽의 외주 하단을 동시에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지지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끔 구성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터에서 크고 작은 낚시대를 설치할 때는 각 낚시대마다 외주 하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낚시받침대를 지면에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낚시대의 손잡이 앞쪽을 받칠 수 있게 하는 낚시받침대만으로는 낚시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낚시대의 손잡이쪽을 받쳐줄 수 있게 하는 별도의 손잡이받침대를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즉, 종래에는 낚시를 위한 특별산 구조물이 없는 통상의 물가에서 여러대의 낚시대를 설치하고나 하는 때에 각 낚시대마다에 하나씩의 낚시받침대가 필요하였고, 아울러 각 낚시대의 손잡이부위를 얹어놓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손잡이 받침대가 있어야만 했다.
상기 종래의 낚시받침대는 대부분 직경이 다른 관상부재를 중첩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평소에는 가장 큰 직경의 관상부재속에 나머지 관상부재를 집어넣어 작은 부피로 보관하다가 사용할 때는 각 관상부재를 펼쳐내고 가장 큰 직경이 관상부재를 지면에 매설한 후 가장 작은 직경의 관상부재의 선단에 마련한 받침홈을 통해 낚시대를 받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손잡이 받침대는 대개 지면에 매설할 수 있도록 된 매설봉의 상부에 다수의 받침홈이 마련된 받침대가 횡방향으로 부착된 형태를 갖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문제는 우선 낚시장비의 휴대상의 어려움이다.
즉, 종래에는 낚시를 하기 위해서 낚시대와 관상의 낚시받침대뿐 아니라 손잡이받침대 등의 다른 낚시대 지지수단을 휴대하여야 했고, 낚시받침대도 최소한 사용할 낚시대의 수효만큼은 휴대하여야 했다.
종래에 주로 사용된 관상의 낚시받침대는 낚시대와 마찬가지로 접어서 적은 부피로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지만 최소한 그에 의해 지지되는 낚시대 이상의 부피를 갖는 것이고, 대체적으로 견고한 금속재의 것이 선호되기 때문에 그 무게도 상당한 것이어서 휴대하기가 크게 번거로웠다.
그리고 종래의 다른 문제는 낚시받침대의 설치상의 어려움이다.
즉, 종래에는 낚시대의 숫자만큼의 낚시받침대를 지면에 매설하여야 했기 때문에 그 작업이 어려웠고, 그에 따라 낚시를 위한 준비시간도 많이 소요되었다.
더우기 많은 낚시터에서 지형조건이 열악한 관계로 수중에 들어가서 낚시받침대를 설치하여야 할 경우가 많은 것을 감안한다면 다수의 낚시받침대를 힘들게 취급하는 것은 어지간히 어려운 작업이 아닐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휴대와 보관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설치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낚시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낚시받침대(1)는 제1도와 같이 지면에 매설할 수 있게 하는 매설봉(10)과, 체결수단을 통해 매설봉(10)에 결합되는 고정블록(20)과, 낚시대(2)의 손잡이부위의 외주 상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지지체(30)와, 낚시대(2)의 손잡이부위 전방의 외주 하단 받칠 수 있게 하는 전방지지체(40)를 구비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장방형으로 된 고정블록(20)은 그의 일측에 매설봉(10)이 안정적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하는 반원형의 결합홈(21)이 형성되고, 그에 가로방향으로 체결수단을 투입할 수 있게 하는 한쌍의 체결공(22)이 형성되며, 일측 전방에 전방지지체(30)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수개의 전방지지공(23)이 형성되고, 후방 일측 상부에 후방지지체(40)를 결합할 수 있게 하는 후방지지공(24)이 형성되는 형태를 갖는다.
아울러 고정블록(20)은 체결수단이 투입되는 각 체결공(22) 일측에 비교적 큰 직경의 공구삽입홈(22a)이 마련되고, 전방지지공(23)에 투입된 전방지지체(30)를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전방나사공(23a)이 전방 일측에 각 전방지지공(2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후방지지공(24)에 투입된 후방지지체(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나사공(24a)이 상부 후방 일측의 후방지지공(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블록(20)을 매설봉(10)에 결합하는 체결수단은 제1도 및 제3도, 그리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단부에 각각 수나사부(51)를 마련한 U자형 체결고리(50)나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단에 수나사부(61)를 마련한 일자형 체결봉(60), 또는 그밖의 예측가능한 다른 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고정블록(20)의 고정은 그의 각 체결공(22)을 관통한 상기 체결수단(50)(60)의 수나사부(51)(61)에 체결너트(7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지지체(30)는 일측에 상향절곡부(31)가 마련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고정블록(20)의 전방지지공(23)에 좌우로 이송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나사공(23a)에 결합되는 전방멈춤나사(23b)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후방지지체(40)는 상향으로 절곡된 일측 상부에 호형굴곡부(61)가 마련된 형태를 갖으며, 고정블록(20)의 후방지지공(24)에 전후방으로 이송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후방나사공(24a)에 결합되는 후방멈춤나사(24b)에 의해 고정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80은 체결공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정블록(20)에 결합되는 전,후방지지체(30)(40)을 통해 다른 보조수단없이도 낚시대(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매설봉(10)에 다수개의 고정블록(20)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한꺼번에 여러대의 낚시대(2)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인 바, 이하 그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낚시받침대(1)는 매설봉(10)에 사용할 낚시대(2)만큼의 고정블록(20)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블록(20)의 조립에 있어서 제1도 및 제3도, 제5도와 같이 U자형 체결고리(50)를 사용하는 경우에의 조립은 우선 고정블록(20)의 결합홈(21)을 매설봉(10)에 밀착시킨 후 체결고기(50)를 고정블록(20)의 각 체결공(22)에 끼워넣고, 체결공구(80)를 통해 체결고리(50)의 수나사부(51)에 체결너트(70)를 결합하면 된다.
그리고 전방지지체(30) 및 후방지지체(40)의 조립은 고정블록(20)의 전방지지공(23) 및 후방지지공(24)에 그들의 일측을 밀어넣고 투입길이를 조정한 후, 전방나사공(23a) 및 후방나사공(24a)에 각각 멈춤나사(23b)(24b)를 결합하여 그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면 된다.
상기의 각 고정블록(20)은 설치시에 그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설치후에도 각 체결너트(70)를 살짝 푼 후에 원하는 회전시키면 그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4도와 같이 한쌍의 고정블록(20)을 맞대어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고정블록(20)의 결합홈(21)을 매설봉(10)에 밀착시킨 후 각 고정블록(20)의 체결공(22)에 일자형 체결봉(60)을 삽입하고 각 체결봉(60)의 양측에 체결너트(70)를 결합하는 것을 간편하게 조립을 마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고정블록(20)의 조립을 마친 매설봉(10)을 지면에 설치한 후에는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고정블록(20)에 조립된 전방지지체(30)를 통해 낚시대(2)의 손잡이 전방 외주 하단을 받치고 후방지지체(40)를 통해 자중에 의해 상승하는 손잡이쪽 외주 상단을 받치게 되면 낚시대(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낚시를 마친 후에는 각 체결너트(70)를 조금만 풀고 매설봉(10)의 상부로 고정블록(20)을 인출해내면 매설봉(10)과 고정블록(20)을 손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되는 바, 전방지지체(30)와 후방지지체(40), 그리고 U자형 체결고리(50)가 모두 조립된 상태의 고정블록(20)과 매설봉(10)을 따로이 휴대할 수 있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각 멈춤나사(23b)(24b)를 살짝 풀어 전방지지체(30)와 후방지지체(40)도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효과는 우선 낚시받침대(1)의 휴대가 간편하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낚시대(2)를 한 매설봉(10)에 조립되는 복수의 고정블록(20)을 통해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여러대의 낚시대(2)를 휴대하더라도 하나의 매설봉(10)과 낚시대(2)의 숫자만큼의 고정블록(20) 및 지지체(30)(40)만 소지하면 되고, 이들 고정블록(20)이나 지지체(30)(40)는 상당히 작은 부피를 갖는 것이어서 그 휴대가 극히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터에서의 설치가 극히 간편하다는 잇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지지체(30)(40)가 조립된 복수의 지지블록(20)을 하나의 매설봉(10)에 고정하여 지면에 매설하면 되므로 여러개의 낚시받침대를 매설하여야 했던 종래에 비해 짧은 시간내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낚시준비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낚시를 마친 후에도 더욱 신속하게 장비를 거둘 수 있게 된다.
그밖에도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대(2)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휴대 및 설치상의 편의에 의한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매설봉(10)의 외주에 체결수단(50)(60)을 통해 고정블록(20)을 설치하고, 이 고정블록(20)의 일측면 후방과 후단면에 후방지지체(30)와 전방지지체(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블록(20)은 매설봉(10)에 안정적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도록 하는 반원형의 결합홈(21)을 일측에 마련하고, 체결수단(22)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22)을 일측면 양측에 마련하며, 전방지지체(30)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전방지지공(23)을 일측면 후방에 마련하는 동시에 후방지지체(4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지지공(24)을 후면 상부에 형성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KR1019930027467A 1993-12-13 1993-12-13 낚시받침대 KR960011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467A KR960011742B1 (ko) 1993-12-13 1993-12-13 낚시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467A KR960011742B1 (ko) 1993-12-13 1993-12-13 낚시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506A KR950016506A (ko) 1995-07-20
KR960011742B1 true KR960011742B1 (ko) 1996-08-30

Family

ID=1937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467A KR960011742B1 (ko) 1993-12-13 1993-12-13 낚시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054B1 (ko) * 1997-11-17 2000-05-15 강무웅 개량 온돌 흙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506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815A (en) Rod rest supporting device
KR960011742B1 (ko) 낚시받침대
EP0889248B1 (en) Coupling for connecting two perpendicular rods
KR20200002449U (ko) 선상 낚시 거치대 고정 장치
KR20060012496A (ko) 낚싯대용 팔 받침대
GB2200021A (en) Fishing rod rest
KR900001191Y1 (ko) 낚시대 받침 고정틀
KR102216017B1 (ko) 낚시대 거치구
KR200249343Y1 (ko) 낚시받침대
KR970001151Y1 (ko) 낚시받침대
KR0132522Y1 (ko) 낚시용 받침대의 받침통
JP2011065867A (ja) ソーラーランプ用支柱
KR20090035334A (ko) 낚싯대용 받침대
KR100367018B1 (ko) 수납부를 갖는 낚시 받침대
GB2205351A (en) Angling and other equipment
KR200260491Y1 (ko) 낚싯대 받침장치
KR20020031632A (ko)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KR200217504Y1 (ko)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KR910003370Y1 (ko) 첼로 받침구
KR200361593Y1 (ko) 낚시 받침대
KR200377032Y1 (ko) 척추고정기구
KR200303950Y1 (ko) 줌 기능을 갖는 낚시용구의 대 구조
KR19990023094U (ko) 낚시 받침대
US6604718B1 (en) Display stand
KR200249323Y1 (ko) 낚시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