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1632A -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632A
KR20020031632A KR1020000061880A KR20000061880A KR20020031632A KR 20020031632 A KR20020031632 A KR 20020031632A KR 1020000061880 A KR1020000061880 A KR 1020000061880A KR 20000061880 A KR20000061880 A KR 20000061880A KR 20020031632 A KR20020031632 A KR 20020031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xed
support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5435B1 (ko
Inventor
박상민
Original Assignee
박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민 filed Critical 박상민
Priority to KR10-2000-006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4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3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2Fishing rod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를 받드는 낚시받침대의 안치각도를 조절토록 하는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하여 낚싯대를 받들어 사용하는 낚시받침대를 회전 가능하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마련하여 낚싯대를 용이하게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낚시받침대(200)에 있어서, 받침관(20)의 일측에 고정·결합하며 길이방향 양측에는 회전중심을 갖는 힌지공(111)을 마련하고, 상기 힌지공(111)을 중심으로 외측둘레면에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받침관(20)을 회전토록 하는 워엄기어(112)를 마련한 회전체(120)와, 손으로 회전 및 고정됨을 조절하는 핸들(121)의 일측에 상기 워엄기어(112)와 대응되어지게 회전력을 전달하는 워엄(122)을 마련한 조절부(120)와, 상기 조절부(120)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120)의 일측에 고정·결합하고 회전체(110)의 힌지공(111)에 힌지볼트(132)를 결합·지지하기 위한 결합공(131)을 마련한 몸체(1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면에 고정하여 낚싯대를 받들어 사용하는 낚시받침대를 회전 가능하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작동구성이 간단하고 부품 및 제작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Angle regulation device for the fishing-rod}
본 발명은 낚싯대를 받드는 낚시받침대의 안치각도를 조절토록 하는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하여 낚싯대를 받들어 사용하는 낚시받침대를 회전 가능하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마련하여 낚싯대를 용이하게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낚시받침대에 대해서 ‘도8’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낚시받침대는 지면에 고정토록 마련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910)의 타측으로는 상기 고정부910)와 결합을 하도록 마련된 결합관(21)과, 상기 결합관(2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는 내측에 삽입되어져 다단으로 길이를 연장토록 하는 다수의 삽입마디(22)를 마련한 받침관(20)과,
상기 연장되어지는 삽입마디922)의 일측끝부분에는 낚지대(500)를 받드는 보조받침대(23)를 마련하였다.
이와같이 마련된 종래의 낚시받침대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6’, ‘도7’에 의해 설명하겠다.
먼저, ‘도6a’는 민물낚시에 주로 사용되는 종래의 낚시받침대(200)로서 수면의 가장자리에 낚시를 하기 용이하게 마련된 좌대(6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종래의 낚시받침대(200)의 고정부(10)를 지면에 마련할 수 없으므로 해서 상기 좌대(600)의 상부면에 다수의 탄성벤드(700)에 끼움으로 고정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삽입마디(22)의 일측에 마련된 보조받침대(23)와 받침관(20)의 외주면에 고정·결합하여 낚싯대(500)를 받들도록 하는 앞받침대(400)를 마련하여 낚싯대(500)를 지지토록 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7’에서는 수면의 가장자리인 지면(300)에 상기 고정부(10)를 꽂음 하여 고정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낚시받침대의 설치각도는 수면보다 약 10∼20°로 마련하는 것이 낚시를 하기에 가장 용이하며 주위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낚시받침대의 고정된 각도를 조절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때, 종래의 낚시받침대는 좌대에 마련하여서는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과 함께 지면에 꽂음 한 낚시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다시 뽑아서 고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선출원 되어있는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제1998-024944호 : 낚시받침대의 챔 장치)에 대해서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에 꼬질대가 착탈 가능하면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부일측에 낚시대지지부와 그 타측에 방아쇠걸림홈을 갖는 낚시대받침부가 일체로된 지지대의 중간측 하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타측에는 상부에 수용홈이 형성된 보조받침대를 일측 끝단에 회동 자유롭게 결합시킨 방아쇠가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꼬질대는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 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작동자에 상, 하로 끼워진 채 상기 몸체의 하부에 단차형성된 작동공의 후방으로부터 끼워져서 상기 몸체의 전방측 에서부터 결합되는 작동바가 결합된 고정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방아쇠는 상기 보조받침대가 결합된 그 타측에 돌출단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낚시대받침부가 이에 형성된 방아쇠걸림쇠의 걸림핀에 착탈가능하게 괘지되며, 상기 지지대의 일측 끝단과 상기 몸체의 하부일측 사이에는 인장스프링이 결합되어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된 종래고안 역시 낚싯대의 안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는 보관 및 취급함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작동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 및 제작코스트 또한 많이 드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고정하여 낚싯대를 받들어 사용하는 낚시받침대를 회전 가능하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마련된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작동구성이 간단함과 동시에 부품 및 제작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장치의 결합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요부발취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관·이송 시의 상태를 보인 요부발취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발취 작동상태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사시도.
도 6은 종래 낚시받침대를 보인 일실시사용상태사시도.
도 7은 종래 낚시받침대를 보인 다른실시사용상태사시도.
도 8은 종래 낚시받침대의 결합되어있는 상태를 보인 요부발취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고정부11-삽입부20-받침관
21-결합관22-삽입마디23-보조받침대
100-각도조절장치110-회전체111-힌지공
112-워엄기어113-통공114-제2결합부
120-조절부121-핸들122-워엄
130-몸체131-결합공132-힌지볼트
133-통공134-제1결합부200-낚시받침대
300-지면400-앞받침대500-낚싯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면에 고정토록 마련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타측으로는 상기 고정부(10)와 결합을 하도록 마련된 결합관(2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는 내측에 삽입되어져 다단으로 길이를 연장토록 하는 다수의 삽입마디(22)를 갖는 받침관(20)을 마련한 종래의 일반적인 낚시받침대(20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에 결합하고 일측에 연결·결합하는 받침관(20)을 회전·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에 대해서 ‘도1’과 ‘도2’에 의해서 설명하겠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받침관(20)의 일측에 고정·결합하며 길이방향 양측에는 회전중심을 갖는 힌지공(111)을 마련하고, 상기 힌지공(111)을 중심으로 외측둘레면에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받침관(20)을 회전토록 하는 워엄기어(112)를 마련한 회전체(120)와,
손으로 회전 및 고정됨을 조절하는 핸들(121)의 일측에 상기 워엄기어(112)와 대응되어지게 회전력을 전달하는 워엄(122)을 마련한 조절부(120)와,
상기 조절부(120)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120)의 일측에 고정·결합하고 회전체(110)의 힌지공(111)에 힌지볼트(132)를 결합·지지하기 위한 결합공(131)을 마련한 몸체(1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110)와 몸체(130)에는 이송·보관 시 상기 받침관(20)의 삽입마디(22)가 상기 고정부(10)의 삽입부(11)로 삽입되어지기 위한 통공(113)(133)을 각각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의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의 가장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300)에 꽂아서 고정토록 일측에 예각을 갖는 테이퍼부를 마련하고 내측에는 보관·이송 시 내삽하여서 이루는 삽입부(11)를 마련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타측으로는 상기 고정부(10)와 나사식 결합을 하도록 마련된 결합관과(21),
상기 결합관(2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는 내측에 삽입되어져 설치 시 다단으로 길이를 연장토록 하는 다수의 삽입마디(22)를 마련한 받침관(20)을 마련한 종래의 일반적인 낚시받침대(200)와,
상기 낚시받침대(200)의 고정부(10)의 타측에 결합하고 일측에 연결·결합하는 받침관(20)을 회전·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마련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받침관(20)의 일측에 고정·결합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회전중심을 갖는 힌지공(111)을 마련하고, 상기 힌지공(111)을 중심으로 외측둘레면에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기 받침관(20)을 회전토록 하는 워엄기어(112)를 마련한 회전체(110)와,
손으로 상기 받침관(20)의 회전 및 고정됨을 조절하는 핸들(121)의 일측에 상기 워엄기어(112)와 대응되어지게 회전력을 전달하는 워엄(122)을 마련한 조절부(120)와,
상기 조절부(120)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10)의 일측에 고정·결합하고 회전체(110)의 힌지공(111)에 힌지볼트(132)를 결합·지지하기 위한 결합공(131)을 마련한 몸체(130)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110)에는 상기 결합관(21)과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부(114)와, 상기 몸체(13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10)와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부(134)를 더 마련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34)와 제2결합부(114)를 갖는 몸체(130)와회전체(110)에는 이송·보관 시 상기 받침관(20)의 삽입마디가 상기 고정부(10)의 삽입부(11)로 삽입·관통 되어지기 위한 통공(113)(133)을 각각 더 마련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장치(100)의 워엄기어(112)와 워엄(122)을 마련한 핸들(121)과 회전체(11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다양한 구성으로 마련할 수 있으며, 이는 워엄기어와 푸쉬형 걸림턱 그리고, 회전체에 일정간격으로 걸림할 수 있는 걸림부를 마련하고 상기 핸들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에 탈·락하여 고정·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3’은 보관 및 이송 시에 받침관(20)의 내부에 상기 삽입마디(22)가 내삽으로 길이를 줄여서 갖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때, 상기 내삽되어지는 삽입마디(22)는 상기 결합관(21)과 각도조절장치(100)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10)의 내부에 마련된 삽입부(11)까지 연장되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회전체(110)와 몸체(130)는 상기 결합관(21)과 고정부(10)에 결합하는 제2결합부(113)와 제1결합부(134)를 마련하고 이를 내통하도록 하는 통공(133)(113)을 각각 마련하여서 상기 삽입마디(22)가 내삽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4’는 설치·사용 시 상기 삽입마디(22)를 인출하여서 상기 각도조절장치(100)에 의해 회전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이는, 상기 받침관(20)과 결합한 회전체(110)의 측면에 마련된 워엄기어(112)에 상기 몸체(130)에 마련되어 있는 핸들(121)의 워엄(122)을 회전시켜 상기 워엄(122)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110)에 전달하여서 상기 받침관(20)이 회전토록 이루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워엄기어(112)를 회전하기 위해서는 워엄(122)을 회전시키는 힘이 작어서도 이룰 수 있으며, 일정각도로 회전을 마침 상태에서는 상기 워엄(122)을 이루는 손잡이를 그냥 놓아서도 고정·지지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워엄기어(112)의 큰 회전력으로 상기 워엄(122)을 회전할 수 없는 것으로 상기 워엄기어(112)가 마련된 회전체(110) 즉, 상기 받침관(20)의 회전을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5’는 이와같이 마련된 본 발명의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의 사용되는 예시도를 보인 것이다.
먼저, 상기 고정부(10)를 지면에 고정한 후, 상기 낚시받침대(200)의 각도조절장치(100)를 사용하여서 일정각도로 마련한 후 상기 받침관(20)의 일측에 앞받침대(400)를 더 마련하여서 낚싯대(500)를 받들어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하고자 하는 낚싯대(500)의 놓여지는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려면 상기 각도조절장치(100)의 조절부(120)인 핸들(121)을 회전하여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일반적인 낚시받침대(200)의 내측에 연장하여서 마련되는 각도조절장치(100)는 따로 마련하는 불편없이 기존의 낚시받침대(200)에 쉽게 결합 가능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장치(100)는 상기 낚시받침대(200)에 결합으로 마련하여서 보관 및 운반에 따르는 불편함이 줄어드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장치(100)의 회전체(110)와 몸체(130)에 마련되는 통공(113)(133)은 상기 받침관(20)을 상기 고정부(10)의 삽입부에 수납 시 쉽게 관통하여서 수납할 수 있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워엄기어(112)와 워엄(122)으로 이루어진 회전체(110)와 조절부(120)는 적은힘으로도 상기 받침관(20)을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각도로 조절된 받침관(20)을 지지·고정하여서도 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특히, 낚시받침대(200)를 사용 시 고정부(10)를 지면(300)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쉽게 낚싯대(500)를 회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안치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작동방법이 간단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하여 낚싯대를 받들어 사용하는 낚시받침대를 회전 가능하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마련된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작동구성이 간단함과 동시에 부품 및 제작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지면에 고정토록 마련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타측으로는 상기 고정부(10)와 결합을 하도록 마련된 결합관(2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는 내측에 삽입되어져 다단으로 길이를 연장토록 하는 다수의 삽입마디(22)를 갖는 받침관(20)을 마련한 종래의 일반적인 낚시받침대(20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에 결합하고 일측에 연결·결합하는 받침관(20)을 회전·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받침관(20)의 일측에 고정·결합하며 길이방향 양측에는 회전중심을 갖는 힌지공(111)을 마련하고, 상기 힌지공(111)을 중심으로 외측둘레면에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받침관(20)을 회전토록 하는 워엄기어(112)를 마련한 회전체(120)와,
    손으로 회전 및 고정됨을 조절하는 핸들(121)의 일측에 상기 워엄기어(112)와 대응되어지게 회전력을 전달하는 워엄(122)을 마련한 조절부(120)와,
    상기 조절부(120)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120)의 일측에 고정·결합하고 회전체(110)의 힌지공(111)에 힌지볼트(132)를 결합·지지하기 위한 결합공(131)을마련한 몸체(1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10)와 몸체(130)에는 이송·보관 시 상기 받침관(20)의 삽입마디(22)가 상기 고정부(10)의 삽입부(11)로 삽입되어지기 위한 통공(113)(133)을 각각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KR10-2000-0061880A 2000-10-20 2000-10-20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KR100395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880A KR100395435B1 (ko) 2000-10-20 2000-10-20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880A KR100395435B1 (ko) 2000-10-20 2000-10-20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419U Division KR200217504Y1 (ko) 2000-10-23 2000-10-23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632A true KR20020031632A (ko) 2002-05-03
KR100395435B1 KR100395435B1 (ko) 2003-08-27

Family

ID=1969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880A KR100395435B1 (ko) 2000-10-20 2000-10-20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0191A (zh) * 2022-03-11 2022-06-14 荣成市海洋经济发展中心(荣成市渔业技术推广站) 一种海上养殖施肥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98Y1 (ko) * 2009-05-06 2012-03-22 이진우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
KR20210109852A (ko) 2020-02-28 2021-09-07 김해광 각도조절용 관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0191A (zh) * 2022-03-11 2022-06-14 荣成市海洋经济发展中心(荣成市渔业技术推广站) 一种海上养殖施肥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5435B1 (ko)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1179A (en) Dual fishing pole holders attached to portable fish bucket
US6568122B1 (en) Fishing rod holder apparatus
US6813789B2 (en) Bed transfer assist method and apparatus
US20080083172A1 (en) Multi-purpose anchoring apparatus and method
US6178684B1 (en) Collapsible fishing net mechanism
US7527330B2 (en) Kit for securing a pole to a sport chair
US5219081A (en) Clothes tree
KR20020031632A (ko)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KR200217504Y1 (ko)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US5228227A (en) Fishing apparatus
JP2009240309A (ja) ハンドネット
EP0889248B1 (en) Coupling for connecting two perpendicular rods
KR20200002449U (ko) 선상 낚시 거치대 고정 장치
US6543960B1 (en) Camming coupler for a music desk
KR200285682Y1 (ko) 릴낚싯대용 받침대
CN210610769U (zh) 一种便于携带的鱼竿
KR101036615B1 (ko) 낚싯대 받침장치
WO2003022044A1 (en) A support for a fishing rod
US7077367B2 (en) Display stand
JP2583552Y2 (ja) フック付ロープ緊張金具
KR200152599Y1 (ko) 총구 소제용 꼬질대
JPS5975017A (ja) 人造クリスマスツリ−
CA2420753C (en) Collapsible display stand with supporting tension cables
KR870003045Y1 (ko) 낚시용 앞받침대
CN211721570U (zh) 用于钓鱼绕线轮的安装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