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094U - 낚시 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094U
KR19990023094U KR2019970035405U KR19970035405U KR19990023094U KR 19990023094 U KR19990023094 U KR 19990023094U KR 2019970035405 U KR2019970035405 U KR 2019970035405U KR 19970035405 U KR19970035405 U KR 19970035405U KR 19990023094 U KR19990023094 U KR 19990023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inge
fishing
groun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0356Y1 (ko
Inventor
김진웅
Original Assignee
김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웅 filed Critical 김진웅
Priority to KR2019970035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356Y1/ko
Publication of KR19990023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0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3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대를 지면에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그 끝 부분이 침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끝 부분은 힌지 결합을 위하여 연결 구멍(21)이 형성된 제1힌지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힌지 결합부(22)의 어느 한 면에는 방사상의 요철홈(23)이 형성된 고정대(20)와; 상기한 고정대(20)이 제1힌지 결합부(22)에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 결합부(32)와, 제2힌지 결합부(32)에 이어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낚시대의 일단부를 지지해 주는 것으로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스토퍼(31)가 형성되고, 상기한 스토퍼(31)의 상부에 이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접촉되는 낚싯대 일단의 상부를 지지해 주는 홀더(33)가 형성되고, 상기한 홀더(33)에 장착되어 그 길이만큼 떨어진 부분의 낚싯대 하부(35)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34)로 이루어진 지지대(30)와; 상기한 고정대(20)에 지지대(30)를 힌지 결합시켜 주는 것으로, 그 머리 부분(41)에 상기한 고정대(20)의 제1힌지 결합부(22)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된 방사상의 요철홈(23)에 대향되는 방사상의 요철홈(42)이 형성되고, 그 중간부에 돌기(43)가 형성되어 지지대(30)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는 볼트(40)와; 상기한 볼트(40)에 장착되어 약간의 회전으로도 볼트를 조여 주는 기능을 갖는 너트(50)와; 상기한 볼트(40)와 너트(50)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6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시 받침대
본 고안은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대를 지면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지면이 약하거나 암질과 같은 지역에서도 낚싯대를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용구는 한 개의 장대 또는 다단식의 신축식, 짧은 대를 여러개 연결하여 구성되는 낚싯대와, 물고기를 잡기 위하여 미끼가 끼워지는 한 개 이상의 낚시와, 한 개 이상의 낚시를 엮어 주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고 그 일단이 낚싯대의 끝에 연결되는 낚싯줄과, 낚싯대를 받쳐 주는 장 받침대와, 단받침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낚시를 멀리 던져서 물고기를 잡는 릴낚시는 낚시, 낚싯줄, 낚싯줄이 감기는 릴과, 릴이 장착되어 낚시를 멀리 던지기 위하여 장대 또는 다단식으로 된 릴 대와, 릴 대를 지면에 세워주는 릴 대 고정대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과 관련이 있는 종래의 받침대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에 삽입되어 릴 대가 장착되는 지지대(10)와; 상기한 지지대(10)가 힌지 결합되어 지지대(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부(15)의 접합부가 요철 구조로 되어 지면에 삽입되는 고정대(17)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힌지 결합부(15)는 지지대(10)와 고정대(17)의 접합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요철홈이 서로의 접합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10)를 고정대(17) 쪽으로 밀어서 밀착시켜 주는 스프링과, 힌지 축 역할을 하는 볼트와, 상기한 스프링의 밀착력을 조절해 주며, 지지대(10)를 고정대(17)에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조이는 역할을 하는 너트로 구성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받침대는 고정대를 지면에 삽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지질이 약한 지역에서는 받침대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낚시를 할 수 있는 호수 주변의 지질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받침대를 지면에 삽입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정대 부분의 길이가 길어서 지면에 깊게 삽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고정대에 힌지 결합된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해 주는 방법이 지지대와 고정대가 서로 요철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를 풀어서 결합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에 각도를 조절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볼트를 풀기 위해서는 수십 번을 돌려서 결합 상태를 이완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낚시 받침대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낚시 받침대를 지면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지면의 상태가 약할 경우에는 별도의 지지 수단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으며, 고정대에 힌지 결합된 지지대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그 끝 부분이 침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끝 부분은 힌지 결합을 위하여 연결 구멍이 형성된 제1힌지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힌지 결합부의 양면에는 방사상의 요철홈이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한 고정대의 제1힌지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그 일단에 상기한 고정대의 제1힌지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힌지 결합부에 고정대에 형성된 방사상의 요철홈에 대향되는 방사상의 요철홈이 형성되고, 제2힌지 결합부에 이어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낚시대의 일단부를 지지해 주는 것으로,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한 스토퍼의 상부에 이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접촉되는 낚싯대 일단의 상부를 지지해 주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한 홀더에 장착되어 그 길이만큼 떨어진 부분의 낚싯대 하부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지지대와; 상기한 고정대에 지지대를 힌지 결합시켜 주는 것으로, 상기한 제1 및 제2힌지 결합부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한 볼트에 장착되어 약간의 회전으로도 볼트를 조여 주는 기능을 갖는 너트와; 상기한 볼트와 너트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낚시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사용 상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사용 상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사용 상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사용 상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그 끝 부분이 침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끝 부분은 힌지 결합을 위하여 연결 구멍(21)이 형성된 제1힌지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힌지 결합부(22)의 어느 한 면에는 방사상의 요철홈(23)이 형성된 고정대(20)와; 상기한 고정대(20)의 제1힌지 결합부(22)에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 결합부(32)와, 제2힌지 결합부(32)에 이어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낚시대의 일단부를 지지해 주는 것으로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스토퍼(31)가 형성되고, 상기한 스토퍼(31)의 상부에 이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접촉되는 낚싯대 일단의 상부를 지지해 주는 홀더(33)가 형성되고, 상기한 홀더(33)에 장착되어 그 길이만큼 떨어진 부분의 낚싯대 하부(35)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34)로 이루어진 지지대(30)와; 상기한 고정대(20)에 지지대(30)를 힌지 결합시켜 주는 것으로, 그 머리 부분(41)에 상기한 고정대(20)의 제1힌지 결합부(22)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된 방사상의 요철홈(23)에 대향되는 방사상의 요철홈(42)이 형성되고, 그 중간부 즉, 지지대(30)의 제2힌지부(32)에 접촉되는 부분에 돌기(43, 따라서, 상기한 지지대의 제2힌지 결합부 구멍에는 이 돌기와 치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가 형성되어 지지대(30)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는 볼트(40)와; 상기한 볼트(40)에 장착되어 약간의 회전으로도 볼트를 조여 주는 기능을 갖는 너트(50)와; 상기한 볼트(40)와 너트(50)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6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는 기본적으로 고정대(20)를 지면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보통 호수의 가장자리는 물이 스며들어 지면의 상태가 무르기 때문에 고정대를 삽입하고 낚싯대를 지지시키면 지면이 약하여 제대로 받혀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지면이 암질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고정대(20)를 삽입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주된 용도는 릴 대를 지지시켜 주는 것이며, 일반 낚싯대를 지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장(긴) 받침대와 단(짧은) 받침대를 동시에 사용하여 낚싯대를 지지시켜 주어야 하므로, 이와 같이 장 받침대와 단 받침대를 지면에 삽입하여 사용하기 여의치 않을 때에는 별도의 보조 수단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한 고정대(20)를 지면에 삽입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주면서 상기한 고정대(20)와 나사(80)로 결합되며, 낚시 받침대 중에서 단 받침대(90)의 끝 부분에 나사 부분을 형성하고, 이 단 받침대(9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구멍(71)이 다수 형성된 보조 고정대(70)가 추가되어 구성된다.
이 보조 고정대(70)에 나사(80)로 결합되는 고정대(20)에는 다수의 결합 구멍(24)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 구멍(24)은 보조 고정대(70)에 고정대(20)를 결합시킬 때에 고정대(2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하기 위하여 임의의 간격을 갖도록 여러개를 형성한다.
보조 고정대(70)에 고정대(20)를 고정시켜 주는 상기한 나사(80)는 고정대를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부분과, 그 위에 다시 단받침대의 볼트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너트(8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일 때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손잡이(8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는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먼저, 릴 대를 사용할 때에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대(20)를 지면 깊숙이 삽입하거나, 지면이 약하거나 암질이어서 고정대(20)를 삽압하기 어려울 때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고정대(70)를 사용한다.
그리고, 릴 대(99)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너트(50)를 풀어서 지지대(30)의 각도를 조정하고, 다시 너트(50)를 조이면 된다. 이 때, 너트(50)는 약간의 회전에도 그 조임 정도가 심하게 변하는 스파이럴 너트(spiral nut)이기 때문에 종래의 너트와 같이 많이 돌리지 않고도 간편하게 각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지면이 약하거나 암질이어서 고정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못할 경우에는 보조 고정대(70)를 지면에 놓고, 고정대(20)와 보조 고정대(70)에 형성된 결합 구멍(24, 71)을 이용하여 나사(80)로 고정시키면 보조 고정대(70)가 지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릴 대(99)를 지지시켜도 넘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를 이용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낚싯대(97)를 지지시켜 주는 장 받침대(95) 및 단 받침대(90)를 지면에 고정시킬 때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조 고정대(7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놓는다. 그리고, 보조 고정대(70)의 전단부에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를 나사(80)로 고정시킨다. 즉, 낚시 받침대의 고정대(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구멍(24)과 보조 고정대(7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구멍(71)을 일치시켜 놓고 별도의 나사(80)로 고정시키면 된다.
이렇게 낚시 받침대(90, 95)를 보조 고정대(70)에 고정시켜 놓고 장 받침대(95)를 지지대(30)에 장착시키면 된다. 이 때, 일반적으로 장 받침대(95)의 끝 부분은 지면에 직접 삽입할 수 있도록 침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침형 부분이 지지대(30)의 스토퍼(31)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지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단 받침대(90)를 보조 고정대에(70)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단 받침대(90)의 끝 부분에 볼트형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고정대(20)를 보조 고정대(7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하였던 나사(80)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 부분(82)에 단받침대(90)의 볼트 부분을 결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는 지면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지면의 상태가 약할 경우에는 별도의 지지 수단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으며, 고정대에 힌지 결합된 지지대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릴 대 및 일반 낚싯대를 장소의 지면 상태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지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그 끝 부분이 침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끝 부분은 힌지 결합을 위하여 연결 구멍(21)이 형성된 제1힌지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힌지 결합부(22)의 어느 한 면에는 방사상의 요철홈(23)이 형성된 고정대(20)와; 상기한 고정대(20)이 제1힌지 결합부(22)에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 결합부(32)와, 제2힌지 결합부(32)에 이어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낚시대의 일단부를 지지해 주는 것으로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스토퍼(31)가 형성되고, 상기한 스토퍼(31)의 상부에 이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접촉되는 낚싯대 일단의 상부를 지지해 주는 홀더(33)가 형성되고, 상기한 홀더(33)에 장착되어 그 길이만큼 떨어진 부분의 낚싯대 하부(35)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34)로 이루어진 지지대(30)와; 상기한 고정대(20)에 지지대(30)를 힌지 결합시켜 주는 것으로, 그 머리 부분(41)에 상기한 고정대(20)의 제1힌지 결합부(22)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된 방사상의 요철홈(23)에 대향되는 방사상의 요철홈(42)이 형성되고, 그 중간부에 돌기(43)가 형성되어 지지대(30)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는 볼트(40)와; 상기한 볼트(40)에 장착되어 약간의 회전으로도 볼트를 조여 주는 기능을 갖는 너트(50)와; 상기한 볼트(40)와 너트(50)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대(20)를 지면에 삽입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주면서 상기한 고정대(20)와 나사(80)로 결합되며, 낚시 받침대 중에서 단 받침대(90)의 끝 부분에 나사 부분을 형성하고, 이 단 받침대(9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구멍(71)이 다수 형성된 보조 고정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KR2019970035405U 1997-12-03 1997-12-03 낚시 받침대 KR200180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405U KR200180356Y1 (ko) 1997-12-03 1997-12-03 낚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405U KR200180356Y1 (ko) 1997-12-03 1997-12-03 낚시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094U true KR19990023094U (ko) 1999-07-05
KR200180356Y1 KR200180356Y1 (ko) 2000-06-01

Family

ID=1951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405U KR200180356Y1 (ko) 1997-12-03 1997-12-03 낚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3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99Y1 (ko) * 2011-10-10 2013-10-04 전윤신 낚시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356Y1 (ko)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815A (en) Rod rest supporting device
CA2499989A1 (en) Fishing rod holder mount
US20030053858A1 (en) Connectors
KR200180356Y1 (ko) 낚시 받침대
KR20050122191A (ko) 수납선반용 결속구
KR101961403B1 (ko) 낚싯대 받침용 지지구
KR20100000337U (ko) 낚시받침대
WO2007091861A1 (en) A support for fishing rod
KR200349652Y1 (ko) 낚싯대용 받침대
KR20220041423A (ko)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KR200174189Y1 (ko) 낚시대의 버트캡
KR960011742B1 (ko) 낚시받침대
US6215056B1 (en) Adjustable foot structure for hi-hat cymbal
KR200440167Y1 (ko) 낚싯대 고정구
EP1072738B1 (fr) Collier d'assemblage, en particulier pour mobilier urbain
KR200334536Y1 (ko) 독서대
KR20090035334A (ko) 낚싯대용 받침대
CN113685063B (zh) 一种具有坍塌防护机构的钢结构支撑装置
KR200249343Y1 (ko) 낚시받침대
KR200235432Y1 (ko) 낚시용 받침대
CN217284544U (zh) 钓台快拆式外挂配件固定架
KR102216017B1 (ko) 낚시대 거치구
KR200411163Y1 (ko) 낚시받침대 고정구
CN220209262U (zh) 一种馈源支杆卡托及馈源
CN214382105U (zh) 一种用于园林设计的辅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