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389B1 - 제초성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 - Google Patents

제초성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389B1
KR960011389B1 KR1019930006915A KR930006915A KR960011389B1 KR 960011389 B1 KR960011389 B1 KR 960011389B1 KR 1019930006915 A KR1019930006915 A KR 1019930006915A KR 930006915 A KR930006915 A KR 930006915A KR 960011389 B1 KR960011389 B1 KR 960011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erythro
general formula
propyl
fluo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황
고영관
장해성
류재욱
조인호
우재춘
구동완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강박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강박광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to KR1019930006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389B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초성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
제1도는 실시예1 화합물에 대한 X-선 결정학적 자료에 근거하여 나타낸 분자내 원자의 입체배치도이다.
제2도는 실시예9 화합물에 대한 X-선 결정학적 자료에 근거하여 나타낸 분자내 원자의 입체배치도이다.
본 발명은 제초성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이나 벼농업에 있어서 발아전 및/또는 발아후 처리 제초제로서 유용한 에리스로 입체이성체를 갖는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과 이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 및 이들 화합물을 포함하는 농업적으로 적절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P와 Q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각각 CH 또는 N을 나타내고, P와 Q를 포함하는 아로마틱환은 벤젠 또는 피리딘환을 나타내며, R은 H 또는를 나타내며, 여기서 Ra는 는 C1~C4의 알킬기, C1~C3의 할로알킬기, C2~C4의 알케닐기, C2~C4의 알키닐이고, Xa는 O, S, NH 는 NRa기를 나타내고, R'는 H 또는 CH3, X와 Y는 각각 C1~C2의 알킬기, C1~C2의 알콕시기, C1~C2의 할로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을 나타낸다.
종래에는 제초활성을 갖는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이 다수 알려져 있었는바, 예를들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1-3704호에는 다음 일반식(A)와 같은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R은 할로알킬기이고, X와 Y는 각각 CH3, OCH3, 또는 Cl등이고, Z는 CH 또는 N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1-3014호에는 다음 일반식(B)와 같은 제초성 피리딘 술폰아미드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R, X, Y 및 Z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같고, P와 Q는 N 또는 CH로서 피리딘환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들에서 R기중에 비대칭 탄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두개의 비대칭 탄소가 존재하게되므로 에리스로(Erythro-) 또는 스레오(Threo-) 입체이성체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들중 어느쪽이 직물에 대한 선택성과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제초제로서 더욱 유용한지에 대해서는 기술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이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는 에리스로 입체이성체 화합물을 새로이 규명해 냄으로서, 이들 신규화합물들이 제초활성이 매우 탁월할 뿐만 아니라 벼와 밀에 대하여 우수한 선택성을 나타내고, 수도 농업에서는 특히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뿐만아니라 기존 술포닐우레아 제초제로는 방제가 어려워 가장 문제가 되는 피를 탁월하게 방제함으로서 수도용 제초제로서 매우 유용한 새로운 술포닐우레아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I)과 같은 구조의 신규한 에리스로 입체이성체를 치환체로 갖는 술포닐우레아 화합물로서 벼 또는 밀에 대하여 선택성을 나타내는 제초성화합물 및 그들의 농업적으로 적당한 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P와 Q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각각 CH 또는 N을 나타내고, P와 Q를 포함하는 아로마틱환은 벤젠 또는 피리딘환을 나타내며, R은 H 또는를 나타내며, 여기서 Ra는 C1~C4의 알킬기, C1~C3의 할로알킬기, C2~C4의 알케닐기, C2~C4의 알키닐이고, Xa는 O, S, NH 는 NRa기를 나타내고, R'는 H 또는 CH3, X와 Y는 각각 C1~C2의 알킬기, C1~C2의 알콕시기, C1~C2의 할로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에리스로 화합물 중에서 벼와 밀에 대하여 선택성이 좋고 활성이 높은 화합물로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P와 Q가 각각 CH인 벤젠화합물, (2) P가 N이고, Q가 CH인 피리딘화합물, (3) R이 H인 화합물, (4) R'이 H인 화합물, (5) R이 아세틸인 화합물, (6) X와 Y가 메톡시인 화합물인 경우이다.
이들중에서 특히 벼농사에 문제가 되는 다년생 잡초 이외에도 피를 잘 방제함으로서, 수도용제초제 성분으로서 농업적으로 적절하게 제초하여 사용하기에 좋고 특히 벼에 대하여 선택성이 높은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에리스로-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2-(2-플루오로-1-히드록시-n-프로필)-3-피리딘술폰아미드와, 에리스로-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2-(2-플루오로-1-히드록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에리스로화합물들은 에리스로(Erythro)-스레오(Threo)혼화합물 또는 스레오(Threo)화합물에 비하여 훨씬 강력한 제초활성을 나타낼 뿐만아니라 벼와 밀에 대하여 선택성이 우수하여 수도용 또는 밀제초제로서 또는 이들이 포함된 제초제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순수에리스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방법 이외의 합성법으로서 이들 화합물은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반식(I)의 화합물중 R이 H인 화합물은 R이 아세틸과 같은 아실인 화합물을 알카리 존재하에서 가수분해 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적당한 알카리는 LiOH, KOH, NaOH, Li2CO3, K2CO3등이 모두 가능하며 이중 더욱 좋기로는 LiOH가 좋다. 또한 가수분해 반응은 물 또는 유기용매 존재하에서나 혼합용매하에서 반응시키는데, 물 이외에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등과 같이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용액중에서 선택하며, 이들은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 또는 물과 혼합한 용매하에서 반응시킬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0℃~80℃범위에서 1~24시간 이내에 반응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생성물, 즉 상기 일반식(I)화합물의 분리는 염산수용액으로 산성화하면 쉽게 유리되며, 다른 방법으로는 산성화한후 메틴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유기용매로 추출한후 농축하면 원하는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HPLC 등으로 정제하면 더욱 순수한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들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식들중에서, P, Q, R´, X 및 Y는 각각 상기 일반식(I)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은 상기 일반식(I)에서 정의한 것중 H인 경우를 제외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 화합물은 아래의 반응식과 같이 에리스로 입체구조를 갖는 다음 일반식(Ⅱ)의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들중에서, P, Q, R, R´, X, Y는 각각 상기 일반식(I)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 반응에서는 본 반응과 무관한 용매, 예를 들자면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톨루엔, 부타논, 피리딘,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소량의 강염기, 즉 DBU 또는 DABCO 등이 함께 사용되는 것이 좋으며 반응온도는 20~80℃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 반응은 미국특허 제4,443,24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서, 그 반응후에는 유럽특허 제44,80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산으로 처리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더욱 순도높은 생성물을 얻고자 할때는 HPLC로 정제하면 좋다. 여기서, DBU는 1,8-디아자바이싸이클로〔5.4.0〕-7-엔이고, DABCO는 1,4-디아자바이싸이클〔2.2.2〕옥탄을 나타내며, 이하의 설명에서도 동일하다.
상기 일반식(Ⅲ)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물질로서 기존의 방법에 따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일반식(Ⅱ)의 에리스로 화합물은 다음 반응식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들중에서, P와 Q 및 R은 각각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 반응에서 TFA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서, 상기 일반식(Ⅳ)의 화합물을 TFA를 용매로 하여 0~50℃의 온도하에서 교반하면 N-t-부틸기가 이탈하여 상기 일반식(Ⅱ)의 1급술폰아미드의 에리스로 화합물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일반식(Ⅳ)화합물은 에리스로-스레오 혼합물을 칼럼크로마토그래피나 HPLC 또는 prep-TLC 방법으로 분리하여 순수한 에리스로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Ⅳ) 화합물은 아래 일반식(Ⅴ)의 화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아실화하여 얻을 수 있다.
다음 일반식(Ⅴ) 화합물은 아래의 반응식과 같이 다음 일반식(Ⅳ)의 화합물은 아래와 반응식과 같이 다음 일반식(Ⅵ)의 화합물을 예컨대 DIBAL·H와 같은 적절한 선택 환원제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환원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상기 식들중에서, P와 Q는 각각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DIBAL·H는 Diisobutylaluminum hydride를 의미한다.
이 반응식의 경우 P가 N이고, Q가 CH일때가 더욱 좋다. 순도높은 에리스로 이성체를 얻고자 할때는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면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기 일반식(Ⅳ)의 화합물은 다음의 반응식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들중에서 P, Q는 상기 일반식(I)에서 정의한 바와같고, R은 상기 일반식(I)에서 정의한 것중 H인 경우를 제외하고, L은 알콕시, N(CH3)2, 또는 NCH3(OCH3) 등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은 대한민국특허출원 제 91-3704호, 동 제91-3014호에 이미 알려져 있는바, 일반식(Ⅶ)의 t-부틸술폰아미드에 2당량의 n-부틸리튬을 THF용액에서 -80~+30℃의 온도로 1~24시간 처리하면 dilithio 염이 생성되며 이 염을 -70~-8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를 가해주면 케톤화합물이 생성되고 이 케톤화합물을 NaBH4로 환원하고 이 히드록시화합물을 무수초산/DMAP/피리딘 반응조건에서 아실화하여 R이 아세틸인 일반식(Ⅷ)의 화합물을 얻는다.
상기 일반식(Ⅷ)의 화합물로부터 상기 일반식(Ⅳ)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은 HPLC,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prep-TLC방법 등으로 분리정제하면 쉽게 상기 일반식(Ⅳ)의 에리스로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 일반식(I) 화합물들은 적절한 염의 형태로서도 제초제로서 유용하며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산기, 알콕시드 또는 카보네이트를 가진 알카리나 알카리토금속 염기의 용액과 상기의 일반식(I)의 화합물들을 접촉시킴으로서 적절한 염을 만들 수 있고 아민화합물들로 유사한 방법으로 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I)화합물들의 염을 한가지 양이온을 다른 것으로 교환함으로서도 얻을 수 있다. 양이온 교환은 일반식(I)화합물의 한가지 염의 수용액, 예를 들자면 알카리금속 또는 4급 아민염수용액을 교환시킬 양이온을 함유하는 용액과 직접적으로 접촉시킴으로서 만들수 있다.
이 방법은 교환된 양이온을 함유하는 원하는 염이 물에 불용일때가 가장 효과적이다.
이러한 이온교환은 일반식(I)화합물의 염의 수용액, 예를들자면 알카리금속 또는 4급아민염수용액을 교환될 양이온을 함유하는 양이온교환수지로 충진된 칼럼을 통과시킴으로서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수지의 양이온이 원래 염의 양이온과 교환되며 원하는 생성물은 칼럼으로부터 흘러나온다. 이 방법은 원하는 염이 수용성일때, 즉, 소디움, 포타시움 또는 칼슘염일때가 특히 유용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I)화합물은 우레아나 아미드화합물들과 혼합물 또는 착물을 이루어 제초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되며, 이러한 혼합물 또는 착물은 통상의 기술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여러 제조방법에 관한 내용들은 간략하게 요약된 것들이지만 유기합성이나 술포닐우레아 제초제의 합성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쉽게 시행할 수 있는 내용들로서, 변형가능한 범위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는 일반식(I)의 화합물들을 좀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개개의 화합물들로 예시하여 나타내면 다음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술포닐우레아유도체 에리스로 화합물은 제초제로서 유용한 바 적용방법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도(utility)]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검정결과 발아전처리 또는 발아후처리 제초제로서 극히 고활성을 나타내며, 수도용 제초제로서는 수면처리 또는 경엽처리 제초제로서도 극히 고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활성화합물의 사용량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예를들자면 제어해야할 잡초에 따라 달라지고, 기후나 일기, 제형, 적용방법에, 잡초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성성분의 양은 ha당 1g에서 1kg수준까지이며 저약량은 유기물 함량이 적은 토양이나 사질양토 등에 사용할때이거나, 식물이 어릴때에 또는 약효의 단기간 지속이 요구될때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잡초방제에 특히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분야는 밀농사와 벼농사인데, 이들 농사에 발현하는 광염잡초나 화본과 잡초 또는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의 방제에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 피의 방제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 화합물로 방제가 가능한 잡초들은 아래의 사용가능한 잡초리스트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사용가능한 잡초]
쌍떡잎식물 잡초속 :
시나피스(Sinapis), 레피듐(Lepidium), 갈륨(Galium), 스텔라리아(Stellaria), 마트리카리아(Matricaria), 안테미스(Anthemis), 갈린소가(Galinsoga), 케노포듐(Chenopodium), 유르티카(Urtica), 세네시오(Senecio), 아마란투스(Amaranthus), 포르툴라카(Portulaca), 크산튬(Xanthium), 콘볼불러스(Convolvulus), 이포모에아(Ipomoea), 폴리고늄(Polygonum), 세스바니아(Sesbamia), 암브로시아(Ambrostia), 시르슘(Cirsium), 카르투스(Carduus), 손쿠스(Sonchus), 솔라눔(Solanum), 로리파(Rorippa), 로탈라(Rotala), 린데르니아(Lindernia), 라뮴(Lamium), 베로니카(Veronica), 아부틸론(Arbutilon), 에멕스(Emex), 다투라(Datura), 비올라(Viola), 갈레오프시스(Galeopsis), 파파베르(Papaver), 센타우레아(Centaurea).
외떡잎식물 잡초속 :
에키노클로아(Echinochloa), 세타리아(Setaria), 파니쿰(Panicum), 디지타리아(Digitaria), 플레움(Phleum), 포아(Poa), 패스투카(Festuca), 엘레우신(Eleusine), 브라키아리아(Brachiaria), 롤룸(Lolium), 브로무스(Bromus), 아베나(Avena), 사이페러스(Cyperus), 소르검(Sorghum), 아그로피론(Agropyron), 시노돈(Cynodon), 모노코리아(Monochoria), 핌브리스틸리스(Fimbristylis), 사기타리아(Sagittaria), 엘레오카리스(Eleocharis), 스프푸스(Scirpus), 파스팔륨(Paspalum), 다크틸록테늄(Dactylotenium), 아그로스티스(Agrostis), 알로페쿠러스(Alopecurus), 아페라(Apera), 헤테란테라(Heteranthera), 렙토클로아(Leptochloa).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기존에 알려진 약제들과 혼합되어 2원, 3원 또는 4원 합체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아래에 열거한 제품명이 리스트는 본 발명 화합물들과 혼합물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제초제들이다.
본 발명 화합물과 아래 제초제중의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제초제들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잡초제어에 특히 유용하다.
제품명(Common Name)
아세트클로르(acetochlor)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
AC 252,214 AC 263,499
아크롤레인(acrolein) 알라클로르(alachlor)
아메트린(ametryn) 아미트롤(amitrole)
AMS 아술람(asulam)
아수레(assure) 아트라진(atrazine)
BAS-514 바반(barban)
베네핀(benefin) 벤술퍼론메틸(bensulfuron methyl)
벤술라이드(bensulide) 벤타존(bentazon)
벤조플루오로(benzofluor) 벤조일프로프(benzoylprop)
비페녹스(bifenox) 브롬아실(bromacil)
브롬옥시닐(bromoxynil) 부타클로르(butachlor)
부티다졸(buthidazole) 부트랄린(butralin)
부틸레이트(butylate) 카코디릭애시트(cacodylic acid)
CDAA CDEC
CGA 82725 CH-83
클로르암벤(chlormben) 클로르브로뮤론(chlorbromuron)
클로리뮤론에틸(lorimuron ethyl) 클로르옥슈론(chloroxuron)
클로르포르팜(chloporpham) 클로르술퍼론(chlosulfuron)
클로르톨루론(chlortoluron) 신메티린(cinmethylin)
클레토딤(clethodim) 크로마존(clomazone)
클로프록시딤(cloproxydim) 클로피라리드(clopyralid)
CMA 시아나진(cyanazine)
사이클로에이트(cycloate) 사이클루론(cycluron)
사이퍼쿼트(cyperquat) 시아프라진(cyprazine)
사이프라졸(cyprazole) 시프로미드(cypromid)
달라폰(dalapon) 다조메트(dazomet)
DCPA 데스메디판(desmediphan)
데스메트린(desmetryn) 디알레이트(diallate)
디캄바(dicamba) 디클로르베닐(dichlorbenil)
디클로르프로프(dichlorprop) 디클로포프(dichlorfop)
디에타틸(diethatyl) 디펜조쿼트(difenzoquat)
디니트라민(dinitramine) 디노셉(dinoseb)
디페나미드(diphenamid) 디프로페트린(dipropetryn)
디퀴트(diquat) 디우론(diuron)
DNOC DOWCO 435 ME
DPX-M6316 DSMA
엔도탈(ethalfluralin) 에토푸메세이트(ethofumesate)
엑스프레스(express) 페낙(fenac)
페녹사프로프에틸(fenoxapropethyl) 페누론(fenuron)
페누론(fenurom)TCA 플람프로프(flamprop)
플루아지포프(fluazifop) 플루아지포프부틸(fluazifopbutyl)
플루아지포프(fluazifop)-P 플루클로라린(fluchloralin)
플루오메투론(fludmeturon) 플로오로클로리돈(fluorochloridone)
플루오로디펜(fluorodifen) 플루오로글라이코펜(fluoroglycofen)
플루리돈(fluridone) 포메사펜(fomesafen)
포사민(fosamine)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할로시포프(haloxyfop) 하르모네이(harmoney)
헥사플루레이트(hexaflurate) 헥사지논(hexazinone)
HW-52 이마자메타벤즈(imzamethabenz)
이마자피로(imazapyr) 이마자퀸(imazaquin)
이마제타피로(imazethapyr) 이옥시닐(ioxynil)
이소프로팔린(isopropalin) 이소프로투론(isoproturon)
이소우론(isouron) 이속사벤(isoxaben)
카르부티레이트(karbutilate) 락토펜(lactofen)
레나실(lenacil) 리누론(linuron)
MAA MAMA
MCPA MCPB
메코프로프(mecoprop) 메플루이다이드(mefluidide)
메탈프로파린(methalpropalin) 메타벤즈티아주론(methabenzthiazuron)
메탐(metham) 메타졸(methazole)
메톡수론(methoxuron) 메톨라클로르(metolachlor)
메트리부진(metribuzin) 메트술푸론메틸(metsulfuron methyl)
MH 몰리네이트(molinate)
모노리누론(monolinuron) 모누론(molinate)
모노룬(monuron)TCA MSMA
My-93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나프로아니리드(naproanilide) 나프타람(naptalam)
네부론(neburon) 니트탈린(nitralin)
니트로펜(nitrofen) 니트로플루오르펜(nitrofluorfen)
노레아(norea) 노르프루라존(norfrurazon)
NTN-801 오리잘린(oryzalin)
옥사디아존(oxadiazon) 옥시플루오르펜(oxyfluorfen)
파라쿼트(paraquat) 페불레이트(pebulate)
펜디메타린(pendimethalin) 페르플루이돈(perfluidone)
펜메디팜(phenmedipham) 피클로람(picloram)
PPG-1013 프레틸아크로르(pretilachlor)
프로시아진(procyazine) 프로플루랄린(profouralin)
프로메톤(prometon) 프로메트린(prometryn)
프로나미드(pronamide) 프로파클로르(propachlor)
프로파닐(propanil) 프로파진(propazine)
프로팜(propham) 프로술파린(prosulfalin)
프리나클로르(prymachlor) 피라존(pyrazon)
파라졸레이트(pyrazolate) 퀴잘로포프(quizalofop)
퀴잘로포프 에틸(quizalofop ethyl) SC-2957
섹부메톤(secbumeton) 세폭시딤(sethoxydim)
시두론(siduron) 시마진(simazine)
SL-49 술포메투론 메틸(sulfometuron methyl)
TCA 테부티우론(tebuthiuron)
테르바실(terbacil) 테르부클로르(terbuchlor)
테르부틸라진(terbuthylazine) 테르부톨(terbutol)
테르부트린(terbutryn) 티아메투론메틸(thiameturon methyl)
티오벤카브(thiobencarb) 트리알레이트(triallate)
트리클로피르(triclopyr) 트리디판(tridiphane)
트리플루라린(trifluralin) 트리메투론(trimeturon)
2,4-D 2,4-DB
베르놀레이트(vernolate) X-52
크실라클로르(xylachlor) 사탄(Saturn)
KH-218 NSK-850
피라족시펜(Pyrazoxyfen) 디멘존(Dimension)
CH-900 메페나셀(Mefenacet)
TSH-888 디무론(Dymron)
디메피퍼레이트(Dimepiperate) 이속사피리포스(Isoxapyrifos)
페노벤주론(Phenobenzuron) JC-940
에스프로캅(Esprocab) 메틸벤캅(Methylbencab)
페노필레이트(Phenopylate) 벤퓨레세이트(Benfuresate)
S-275 퀸클로락(Quinclorac)
론닥스(Londax) NC-311
TH-913 HW-52
DEH-112 SKH-301
브로모부타이드(Bromobutide) BAS517H
RE45601 RE36290
RO173664 HOE075032
ICIA6051 DPXA7881
MW801 CGA136872
DPXV9360 DPXE9636
SL950 ICIA02957
CGAI42464 MY15
MON7200 WL95481
DPXY6202 MON15100
SL160 ICIA0224
LS83556 BAS518H
CGA131036 DPXL5300
HOE70542 ICIA0604
ICIA0574 LS846215
[제제(Formulation)]
본 발명의 일반식(I)화합물의 유용한 제제는 통상적인 여러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자면 분제, 입제, 펠렛, 용액, 현탁제, 유화제, 습윤성 분말제, 유화성 농축제 등이다. 이들 중 몇가지 제제는 직접 사용할 수 있고, 스프레이용제제는 헥타당 수리터로부터 수백리터까지 적절한 매체에 희석하여 분무할 수 있다.
고강도 조제는 주로 2차 제제화를 위한 중간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광의로서 제제는 활성성분을 중량비로써 0.1%부터 98.9%까지 함유하며 적어도 다음중 하나를 포함한다. 즉, (1) 약 0.1%부터 20%까지의 계면활성제 및 (2) 약 1%부터 99.8%까지의 고체 또는 액체 불활성 희석제를 함유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들 성분은 다음 표2와 같은 대략적인 비율로 구성된다.
활성성분의 함량도는 의도하는 용도에 따라서 또는 그 화합물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서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또한 활성성분에 대하여 계면활성제가 더 높은 비율로 필요할 때도 있는데, 이는 제제화 또는 탱크 혼합시 첨가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고체 희석제는 Watkins 등이 저술한 책인 Handbook of Insecticide Dust Diluents and Carriers 2nd Ed. Dorland Books, Caldwell, N.J.,에 기술되어 있으며, 다른 고체들도 사용될 수 있다.
흡수성이 더 높은 희석제가 습윤성 분말제로는 좋으며, 분제로써는 더 미세할 수록 좋다. 대표적 액체 희석제와 용제는 Marsden의 저서 Solvents Guide, 2nd Ed, Interscience, New York, 1950에 기술되어 있다. 용해도가 0.1%이하인 것은 현탁농축제로서 좋으며, 용액 농축제는 0℃에서도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한 것이 좋다. McCutcheon's Detergents and Emulsifiers Annual, MC Publishing Corp., Ridgewood, N.J., 및 Sisely and Wood, Encydopedia of Surface Active Agents, Chemical Publishing Co., Inc., New York, 1964에는 계면활성제와 사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모든 제제들은 거품이나 뭉치는 것, 부식 및 미생물의 생장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량의 첨가제들이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가지 조성물을 만드는 방법들은 잘 알려져 있다. 용액은 성분들을 단순히 섞기만 하면 만들수 있고, 미세한 고체 조성물들은 혼합하여 만들고, 보통 분쇄하여 만든다. 현탁제제들은 wet milling 법(US.No.3,060,084 참조)으로 만들어 입제와 펠렛제는 미리 성형된 입제캐리어에 활성 성분을 스프레이 하거나 또는 Agglomeration 방법으로 만든다. J.E.Browning, Agglomeration Chemical Engineering, Dec. 4.1967,pp147와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5th Ed., McGraw-Hill, New York, 1973, pp.8-57ff를 참조하면 좋다.
또한 제제기술에 관해서는 다음 정보를 참고하면 좋다. US 3,235,361, US 3,309,192, US 2,891,855와 G.C.Klingman, Weed Control as a Science,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961,pp81-96 및 J.D.Fryer and S.A.Evans, Weed Control Handbook, 5th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68, pp.101-103.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불필요한 잡초들을 제거하는데에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기존의 다른 제초제들과의 합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활성화합물들의 제조와 사용에 관하여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구체적 제조방법을 다음의 대표적 실시예로서 예시한다.
[실시예 1]
에리스로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t-부틸벤젠술폰아미드 에리스로 N-t-부틸-2-(2-플루오로-1-히드록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3.5g)을 염화에틸렌 50㎖에 녹이고 여기에 무수초산(1.25㎖)와 피리딘(1.1㎖) 그리고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0.12g)을 넣는다.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후에 반응액을 염화에틸렌으로 희석하여 5% 염산수용액으로 세척한다.
분리된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농축한다. 얻어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 : 헥산=1 : 3(v/v)용액을 용축액으로 하여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정제하면 표제화합물 3.7g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134~135℃
H NMR(200MHz, CDCl) : δ 1.25(s,9H), 1.36(dd, 3H, J=6.4Hz, J=25.3Hz),
2.17(s,3H), 4.86-5.22(s,1H), 5.47(brs,1H),
6.68(dd, 1H,J=3Hz, J=18.6Hz),
7.41-7.71(m,3H), 8.04-8.12(m,1H).
IR(KBr)ν(C=O)1715㎝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에 대한 결정학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결정학적 자료(Crystal data)
분자식 : CHFNOS
측정밀도(D) : 1.3Mgm
분자량(M) : 331.4
사용한 파장(λ) : 0.71069A
결정제 : 단사정계
격자상수 측정에 사용한 회절데이타 수 : 25개
단위세포의 크기 : a=13.693(6)A
b=14.731(15)A
c=8.737(5)A
=106.51(5)A
단위세포의 궤적(V) : 1600(1)A
독립분자수(Z) : 4
계산한 밀도(Dx) : 1.303Mgm13
흡수계수(μ) : 1.74mm-1
실험온도(T) : 299K
측정에 사용한 결정의 크기 : 0.3×0.2×0.2 mm
색깔 : 무색
결정원 : 합성중에 얻음
데이타수집(Data collection)
사용한 희절계 : 네덜란드 Enraf-Nonius 회사에서 제작한 CAD-4 diffractormeter
스켄최대각도 : θmax=24°
스켄방법 : ω/2θ scans
측정한 밀러지수의 범위 : h=-15→15 k=0→16 l=0→9
흡수보정방법 : 하지않음
측정방법 : 3개의 표준데이타를 회절데이타 1000개를 측정할때마다 확인함
측정도중의 표준데이타의 변화 : 없음
측정한 데이타수 : 2549개
독립 데이타수 : 2549개
표준편차의 3배 이상인 의미있는 측정데이타수 : 2337개 [F3o(F)]
정밀화(Refinement)
정밀화에 사용한 데이타 : F
정밀화한 파라메타 :
비수소원자(non-hydrogen atom) : 원자좌표 x,y,z 및 비등방성 온도인자 uij
수소원자(hydrogen atom) : 동방성 온도인자 u
질소에 결합한 수소원자 H(N) : 원자좌표 x,y,z 및 등방성 온도인자 u
최소자승법에 의한 정밀화한 파라메터 수 : 224개
최종 신뢰도 인자(R) : 0.0598
최소자승법에 의한 정밀화과정 변수들의 일치도(S) : 3.5233
최대 차합성전자밀도(△Pmax) : 0.481 eA-3
최소 차합성전자밀도(△Pmax) : 0.349 eA-3
정밀화에 사용한 데이타수 : 2337개 〔F3o(F)〕
X-선 결정학에 사용한 원자산란인자는 다음 표 3에 나타내었고 분자내 원자의 입체배치는 제1도와 같다.
[실시예 2]
스레오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t-부틸벤젠술폰아미드 스레오 N-t-부틸-2-(2-플루오로-1-히드록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6g)으로 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 6.4g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126~127℃
H NMR(200MHz, CDCl) : δ 1.23(s,9H), 1.36(dd, 3H, J=6.4Hz, JF=23.6Hz),
2.18(s,3H), 4.73-5.11(m,1H), 5.54(brs,1H),
6.49(dd, 1H,J=3.8Hz, J=21.6Hz),
7.41-7.69(m,3H), 8.02-8.11(m,1H).
IR(KBr)ν(C=O)1715㎝
[실시예 3]
에리스로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 에리스로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t-부틸벤젠술폰아미드(3.7g)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0㎖)에 녹이고 실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한다.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여액을 염화메틸렌으로 희석하고 5% NaHCO수용액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농축한다. 농축액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을 용출액으로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면 포제화합물 2.3g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105~107℃
H NMR(200MHz, CDCl) : δ1.33(dd, 3H, J=6.4Hz, J=24.6Hz),
2.18(s,3H), 4.85-5.23(m,1H), 5.55(brs,2H),
6.49(dd, 1H,J=3.8Hz, J=21.6Hz),
6.53-6.68(m,1H), 7.46-7.75(m,3H),
8.06-8.13(m,1H).
[실시예 4]
스레오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 스레오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t-부틸벤젠술폰아미드(6.4g)으로 부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 3.9g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126~128℃
H NMR(200MHz, CDCl) : δ1.36(dd, 3H, J=6.4Hz, J=24.2Hz),
2.18(s,3H), 4.75-5.12(m,1H), 5.57(brs,2H),
6.38-6.53(m,1H), 7.46-7.66(m,3H),
8.06-8.13(m,1H).
[실시예 5]
에리스로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4,6-디에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벤젠술폰아미드〔화합물 4〕
에리스로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2.3g)을 20㎖의 아세트니트릴에 녹이고 여기에 2.3g의 페닐(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바메이트를 실온에서 넣는다.
1㎖의 DBU를 서서히 주입한다. 반응액을 30분간 교반하고 염화메틸렌 100㎖로 희석한다. 50㎖의 5% 염산수용액과 물 50㎖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농축한다. 여액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에틸에테르로 처리하여 표제화합물 2.9g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191~193℃
H NMR(200MHz, CDCl) : δ 1.33(dd, 3H, J=6.4Hz, J=24.6Hz),
2.04(s,3H), 3.96(s,6H), 4.86-5.259m,1H),
5.80(s,1H), 6.70-6.82(m,1H), 7.18-7.70(m,4H),
8.30-8.40(m,1H), 13.15(bs,1H).
[실시예 6]
스레오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4.5-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벤젠술폰아미드〔화합물 5〕
스레오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 3.9g으로 부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5.3g을 표제화합물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194~196℃
H NMR(200MHz, CDCl) : δ 1.33(dd, 3H, J=6.4Hz, J=24.6Hz),
2.04(s,3H), 3.96(s,6H), 4.80-5.14(m,1H),
5.80(s,1H), 6.42-(6.62(m,1H), 7.23-7.70(m,4H),
8.27-8.37(m,1H), 12.95(bsr,1H).
[실시예 7]
에리스로 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2-(2-플루오로-1-히드록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화합물 1〕
에리스로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 아미노카르보닐)벤젠술폰아미드(2.9g)를 테트라히드로푸란 60㎖에 녹히고 여기에 수산화리튬 0.9g과 물 10㎖를 넣는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후에 0℃에서 염산으로 산성화한다. 반응액을 100㎖의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1회 세척한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이 잔사를 에틸에테르와 헥산으로 잘 처리하면 표제화합물 2.3g이 백색고체로 얻어진다.
m.p. : 166~168℃
H NMR(200MHz, CDCl) : δ 1.33(dd, 3H, J=6.4Hz, J=24.6Hz),
3.08(brs,1H), 3.96(s,6H), 4.86-5.25(m,1H),
5.80(s,1H), 5,89-6.07(m,1H), 7.36-8.24(m,5H),
12.82(brs,1H).
IR(KBr)ν(C=O)1715㎝
[실시예 8]
스레오 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2-(2-플루오로-1-히드록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화합물 2〕
스레오 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벤젠술폰아미드(3.7g)으로부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 표제화합물 3.0g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189~191℃
H NMR(200MHz, CDCl) : δ 1.36(dd, 3H, J=6.4Hz, J=24.2Hz),
3.0(brs,1H), 3.96(s,6H), 4.78-5.11(m,1H),
5.80(s,1H), 5,79-5.91(m,1H), 7.22-7.78(m,4H),
8.13-8.22(m,1H), 12.75(brs,1H).
IR(KBr)ν(C=O)1691㎝
[실시예 9]
에리스로-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3-피리딘술폰아미드 5.0g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에 녹인후 35℃에서 12시간 교반후 반응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염화메틸렌으로 녹인후 중탄산나트륨으로 씻어준 다음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와 헥산으로 결정화하면 순수한 표제화합물 3.0g을 고체로 얻는다.
m.p. : 141~143℃
H NMR(200MHz, CDCl) : δ 1.55(dd, 3H, J=6.5Hz, J=25Hz),
2.18(s,3H), 4.93-5.29(m,1H), 5.68(brs,2H),
6,55-6.62(m,1H), 7.43-7.50(m,1H),
8.35-8.38(m,1H), 8.82-8.85(m,1H).
상기 실시예 9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에 대한 결정학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결정학적 자료(Crystal data)
분자식 : CHONS
결정계 : 삼사정계
공간군 : P1
단위격자내 분자수(Z) : 2
a=8.529, b=10.270, c=8.528,=110.09,=99.28,=110.08
독립회절데이타 수 : 1953개
최종 신뢰도인자 : 6.19%
X-선 파장 : 1.5405
X-선 결정학에 사용한 원자 산란인자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고, 분자내 원자의 입자배치는 제2도와 같다.
[실시예 10]
스레오-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3-피리딘단술폰아미드 3.0g을 실시예 9의 방법으로 표제화합물 1.6g을 얻는다.
m.p. : 164~165℃
H NMR(200MHz, CDCl) : δ 1.17(dd, 3H, J=6.5Hz, J=23.9Hz),
2.16(s,3H), 5.03-5.38(m,1H), 5.79(brs,2H),
6,54-6.64(m,1H), 7.43-7.49(m,1H),
8.35-8.40(m-1H), 8.80-8.83(m,1H).
[실시예 11]
에리스로-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3-피리딘술폰아미드〔화합물 10〕
에리스로-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3-피리딘술폰아미드 3.9g으로 부터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5.1g의 표제화합물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218~220℃
H NMR(200MHz, CDCl) : δ 1.46(dd, 3H, J=6.4Hz, J=24.9Hz),
2.04(s,3H), 3.96(s,6H), 4.98-5.26(m,1H),
5.78(s,1H), 6,55-6.62(m,1H), 7.2(brs,1H),
7.45-7.51(m-1H), 8.60-8.65(m,1H),
8.80-8.83(m,1H), 13.23(brs,1H).
[실시예 12]
스레오-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3-피리딘술폰아미드〔화합물 11〕
스레오-2-(아세톡시-플루오로-n-프로필)-3-피리딘술폰아미드 2.3g으로부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2.9g의 표제화합물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190~192℃
H NMR(200MHz, CDCl) : δ 1.28(dd, 3H, J=6.4Hz, J=23.9Hz),
2.01(s,3H), 3.97(s,6H), 5.08-5.38(m,1H),
5.79(s,1H), 6,49-6.60(m,1H), 7.20(brs,1H),
7.46-7.53(m-1H), 8.64-8.69(m,1H),
8.82-8.85(m,1H), 13.08(brs,1H).
[실시예 13]
에리스로-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2-(2-플루오로-1-히드록시-n-프로필)-3-피리딘술폰아미드〔화합물 7〕
에리스로-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3-피리딘술폰아미드 3.0g으로 부터 실시예 7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 2.1g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151~153℃
H NMR(200MHz, CDCl) : δ 1.37(dd, 3H, J=6.2, J=24.8Hz),
3.95(s,6H), 4.11(d,1H), 4.66-4.95(m,1H),
5,57-5.69(m,1H), 5.78(s,1H), 7.33(brs,1H),
7.46-7.53(m-1H), 8.62-8.67(m,1H),
8.79-8.82(m,1H), 12.98(brs,1H).
[실시예 14]
스레오-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2-(2-플루오로-1-히드록시-n-프로필)-3-피리딘술폰아미드〔화합물 8〕
스레오-2-(아세톡시-플루오로-n-프로필)-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3-피리딘술폰아미드 1.0g으로부터 실시예 7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 0.7g을 백색고체로 얻는다.
m.p. : 173~175℃
H NMR(200MHz, CDCl) : δ 1.48(dd, 3H, J=6.3Hz, J=24.2Hz),
3.97(s,6H), 4.40(d,1H), 4.90-5.30(m,1H),
5,31-5.55(m,1H), 5.82(s,1H), 7.3(brs,1H),
7.49-7.55(m-1H), 8.58-8.63(m,1H),
8.82-8.85(m,1H), 13.0(brs,1H)
[실시예 15]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초효과는 온실시험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발아전 처리시험]
활성화합물 1중량부를 아세톤 5중량부와 유화제로써 알킬아릴 폴리글리콜에테르 1중량부에 섞고 녹인후 물로 원하는 농도로 희석하여 적절한 제제를 만든다.
시험할 식물의 씨앗을 통상의 토양에 심고 2시간 후에 활성화합물을 함유한 제제를 뿌려준다. 이때 단위면적당 뿌려주는 물의 양을 일정하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제에 포함된 활성화합물의 농도는 중요하지 않으며, 단지 단위면적당 뿌려주는 활성화합물의 양이 중요하다. 약제처리 3주후에 식물의 손상정도를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손상 %로 평가하여 나타낸다.
평가수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0%=무효력(약제처리 하지 않은 것과 같음)
20%=약간의 효과
70%=제초효과
100%=전면(안전고사)
이 시험에서 예를들자면 실시예에 있는 일반식(I)화합물은 단자엽이나 쌍자엽 잡초를 제어하는데에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발하후 처리시험]
활성화합물 1중량부를 5중량부의 아세톤과 중량부의 실시예 26의 유화제의 혼합물에 녹이고 물로 원하는 농도로 희석하여 적절한 제제를 만든다.
키가 5~15㎝되는 시험식물에 활성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의 제제를 스프레이로 단위면적당 활성화합물의 양이 원하는 양이 되도록 뿌려준다. 스프레이하는 액제의 활성성분 농도는 헥타당 물2000ℓ로 뿌렸을때 활성화합물의 양이 원하는 특정 양이 되도록 선택한다. 3주 후에 식물의 손상 정도를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손상 %로 평가하여 나타낸다. 평가수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0%=무효과(약제처리 하지 않은 것과 같음)
20%=약간의 효과
70%=제초효과
100%=전멸(안전고사)
이 시험에서 예를들자면 실시예에 있는 일반식(I) 화합물은 단자엽이나 단자엽이나 쌍자엽 잡초를 제어하는 데에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담수처리시험]
60㎤ 또는 140㎤의 원형포트에 비료를 소량 넣고 곤죽상태의 멸균된 논흙을 5㎝ 깊이로 담는다. 논피, 알방동산이, 사마귀풀, 물달개비, 마다꽃, 여뀌바늘, 올챙이고랭이, 말뚝외풀 등의 종자와 너돔방동산이, 올미 등의 다년생 영양채를 토양표층에 혼입 또는 재식하고 미리 육묘해 둔 벼의 묘(2~3염기)를 폿트당 1본씩 2㎝깊이로 심는다.
이식한 후 2㎝ 깊이로 담수하여 1일간 둔 다음 밭조건내에서와 같이 조제된 약제를 골고루 점적처리한다(4㎏/ha수준일 경우는 표트당 4㎎). 약제 처리후 2주째 밭조건과 동일한 조사기준에 의하여 제초활성을 조사한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대표적 예로써 설명된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표현된 특정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이고 상세한 여러 설명들은 이 방면에 기술있는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시사적으로 가르쳐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아전후 처리실험에 사용한 활성화합물들의 구조식은 다음 표 4에 나타내었고, 활성화합물에 대한 제초활성효과는 다음 표 5~7에 나타내었다.
* 이양벼 : 2엽기의 모를 이양후 6 DAT처리
조사 : 약제처리후 30일에 지상부 생체중 비교

Claims (13)

  1.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에리스로 입체이성체를 치환제로 갖는 술포닐우레아유도체.
    여기서, P와 Q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각각 CH 또는 N 을 나타내고, P와 Q를 포함하는 아로마틱환은 벤젠 또는 피리딘환을 나타내며, R은 H 또는를 나타내며, 여기서 Ra는 C1~C4의 알킬기, C1~C3의 할로알킬기, C2~C4의 알케닐기, C2~C4의 알키닐기이고, Xa는 O, S, NH 는 NRa기를 나타내고, R´는 H 또는 CH3, X와 Y는 각각 C1~C2의 알킬기, C1~C2의 알콕시기, C1~C2의 할로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H 또는 아세틸기이고, P 및 Q는 CH 또는 N이며, R'이 H 그리고 X, Y는 메톡시인 상기 일반식(I)의 술포닐우레아유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은 에리스로-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2-(2-플루오로-1-히드록시-n-프로필)-벤젠술포닐아미드인 것.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은 에리스로-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벤젠술폰아미드인 것.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은 에리스로-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2-(2-플루오로-1-히드록시-n-프로필)-3-피리딘술폰아미드인 것.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은 에리스로-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3-피리딘술폰아미드인 것.
  7. 다음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에리스로 입체이성체를 갖는 중간체 화합물.
    여기서 R, P 및 Q는 각각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Ⅱ)의 화합물은 에리스로-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인 것.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Ⅱ)의 화합물은 에리스로-2-(1-아세톡시-2-플루오로-n-프로필)-3-피리딘술폰아미드인 것.
  10.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술포닐우레아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잡초제어용 제초제 조성물.
    상기식에서, P, Q, R, R', X 및 Y는 각각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의 술포닐우레아유도체는 치환기중 R이 H 또는 아세틸기이고 Q가 CH이며, P가 CH 또는 N이며 R'이 H, X와 Y는 메톡시인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의 술포닐우레아유도체가 에리스로-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2-(1-히드록시-2-플루오로-n-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인 것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의 술포닐우레아유도체가 에리스로-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2-(1-히드록시-2-플루오로-n-프로필)-3-피리딘술폰아미드인 것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KR1019930006915A 1993-04-24 1993-04-24 제초성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 KR960011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915A KR960011389B1 (ko) 1993-04-24 1993-04-24 제초성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915A KR960011389B1 (ko) 1993-04-24 1993-04-24 제초성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389B1 true KR960011389B1 (ko) 1996-08-22

Family

ID=1935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915A KR960011389B1 (ko) 1993-04-24 1993-04-24 제초성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3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5739B (zh) * 2004-12-17 2013-01-02 株式会社Lg生命科学 增效除草组合物
WO2019098755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초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5739B (zh) * 2004-12-17 2013-01-02 株式会社Lg生命科学 增效除草组合物
CN106689174A (zh) * 2004-12-17 2017-05-24 株式会社Lg生命科学 增效除草组合物
CN106689174B (zh) * 2004-12-17 2019-11-19 株式会社Lg化学 增效除草组合物
WO2019098755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초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9044C (en) Acylated aminophenylsulfonylurea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JP3276634B2 (ja) 複素環式基ニ置換スルホニルアミノ(チオ)カルボニル化合物
KR930009507B1 (ko) 피리딘술포닐우레아 유도체
JP3464237B2 (ja) N−ヘテロアリール−n’−(ピリド−2−イル−スルホニル)尿素類、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除草剤および植物生長調整剤としての用途
US5696053A (en) Nitrogen-substituted phenylsulfonylurea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KR960011389B1 (ko) 제초성 술포닐우레아유도체 화합물
CA2203011C (en) Herbicidal sulfonyl urea derivatives
AU706001B2 (en) Formylaminophenylsulfonylureas, preparation processes and use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CA2247398C (en) Herbicidal sulfonamide derivatives
AU669658B2 (en) Thiophenesulfonylurea derivatives
US5847146A (en) N-heteroartyl-n'-(pyrid-2yl-sulfonyl) urea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KR0140020B1 (ko) 제초성 술폰아미드 유도체
US5714436A (en) N-heteroaryl-N'-(pyrid-2-ylsulfonyl)urea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US5736628A (en) Benzenesulfonylurea derivatives
CA2151498A1 (en) Benzoylcyclohexenon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JP3074354B2 (ja) 除草活性スルホンアミド誘導体
US5663118A (en) Fluoromethylsulfonyl-substituted pyridylsulfonylureas as herbicid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WO1995013276A1 (en) Novel thiophenesulfonylurea derivatives and herb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A2191759C (en) Formylaminophenylsulfonylureas, preparation processes and use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CA2239123A1 (en) 5-acylamino-2-alkoxycarbonylphenylsulfonylureas as selective herbic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