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096B1 -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096B1
KR960011096B1 KR1019930000031A KR930000031A KR960011096B1 KR 960011096 B1 KR960011096 B1 KR 960011096B1 KR 1019930000031 A KR1019930000031 A KR 1019930000031A KR 930000031 A KR930000031 A KR 930000031A KR 960011096 B1 KR960011096 B1 KR 96001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under high
high temperature
inorganic
extru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542A (ko
Inventor
이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일
이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일, 이성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일
Priority to KR101993000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096B1/ko
Publication of KR940018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06B1/28Hollow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55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제1도 (a)는 본 발명의 압출창문틀, (b)는 받침부 제거된 창문틀, (c)는 설치 상태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창문틀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문틀 2 : 고정돌기
3 : 중공부 4 : 판넬
4a : 조적벽돌구조체 5 : 몰타르층
6 : 조립턱 7 : 받침부
7a : 협소부 1a : 본 발명의 창문틀
본 발명은 유,무기질 재료와 세멘트의 혼련물을 압출하여 성형하는 연속압출식 무기질재의 성형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세대가 거주가능한 아파트먼트 또는 연립식 주택 또는 공장 등을 건축함에 있어서 내외벽을 다수의 벽돌을 날개로 조적하는 방법으로 건축하는 것이 노력이 많이 들며 그 결과 시공비앙 등, 공기지연 등의 문제가 있어서 내외벽재 또는 저면, 천장 등을 연속 압출방식으로 압출제조한 무기질재 판넬을 이용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또한 창문틀도 종래의 단순한 목재, 철재등을 가공하여 조립하는 방법이 있으나 역시 가공과정에 숙련공이 필요하며 설치후에도 부식, 부패, 내화성 부족 등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바인더 등의 유기질재료, 세멘트 등의 무기질 재료, 석면등의 보강섬유, 기타 강도보강제, 윤활제, 혼련제, 착색제 등을 물로 혼련한 다음을 다이스를 통하여 연속압출하여 일정형태로 절단후 고물고압하여 양생하여 중공부가 있는 창문틀을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시하듯이 저부중앙에 소정형상의 받침부를 함께 형성하면서 압출되도록 하고 이것을 일차 양생후 받침부를 제거하므로써 조립턱이 형성된 창문틀의 압출에 의한 성형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문틀(1a)은 하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유기물 바이더와, 세멘트, 고로슬랙, 화산회 등의 수경재와, 석면, Polypropylene섬유, 고해펄프, 아리미드섬유, 천연섬유,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의 어느 한가지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수혼련물을 소량의 경량골재류를 배합하여 금형을 통하여 연속압출한 다음 고온고압의 증기하에서 양생시켜 주는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하부는 넓고 상부 접촉부는 좁게 폭이 형성된 받침부(7)를 함께 연속압출한다음 고온고압의 증기에서 수시간 양생후에 받침부(7)를 협소부(7a)에서 본체와 분리시켜 주는 연속압출에 의한 무기질재 창문틀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협소부(7a)가 있는 받침부(7)는 필요시에는 1차 양생후에 제거하여 2차 양생에 진입할 수도 있다.
받침부(7)는 삼각단면구조외에 원형, 다각형 등의 접촉면적이 저부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압출할 수 있는 것이다.
조립턱(6)(6a)은 요철무늬가 없는 평면상이 될 수도 있으나 필요시에는 내외측에 요철무늬를 형성하여 강한 부착력을 조립후에 발생할 수 있게 할 수도 있으며 제1도(a) (b)에 소정의 요철부(6b)를 형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조립턱이 L자 형성이 되게 제1도 (b)의 은선 도시하듯이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의 압출방법에 의해 압출시의 형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생후 받침부를 쉽게 본체에서 분리제거하므로 소기의 형성을 갖는 참문틀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생산된 본 발명의 창문틀(1a)은 통상의 판넬(5) 등에별도의 몰타르층 형성없이 즉시 볼트, 너트류 또는 다른 코킹재로 용이하게 일체화할 수 있는 바, 몰타르층 양생이 될 때까지 공기가 지연되는 불편이 없고 몰타르층의 두께 차이로 인한 창문틀의 크기, 형상 변경의 오차가 발생될 우려는 전무하며, 미장기술이 전혀없는 초보자로도 쉽게 창문틀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고 다량생산된 균일한 창문틀이므로 공사현장별로 발생되는 불필요한 오차도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세멘트에 유기질 바인더, 무기질 수경재, 보강섬유 등을 물과 혼합하여 준 것을 금형을 통하여 연속압출한 다음 고온고압하의 증기에서 양생시켜주는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압출되는 창문틀의 저부에 하부는 넓고 상부 접촉부는 좁게 폭이 형성된 받침부(7)를 함께 연속압출한 다음 고온 고압의 증기에서 수시간 양생후에 받침부(7)를 협소부(7a)에서의 본체와 분리시켜주는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KR1019930000031A 1993-01-05 1993-01-05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KR960011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031A KR960011096B1 (ko) 1993-01-05 1993-01-05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031A KR960011096B1 (ko) 1993-01-05 1993-01-05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542A KR940018542A (ko) 1994-08-18
KR960011096B1 true KR960011096B1 (ko) 1996-08-20

Family

ID=1934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031A KR960011096B1 (ko) 1993-01-05 1993-01-05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579B1 (ko) * 2000-01-11 2002-11-08 주식회사 익성 세멘트재 압출성형의 창문틀의 표면쉬이트 래핑 성형장치및 그 창문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542A (ko) 199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7694A (en) Decorative tile
US4031682A (en) Prefabricated building panel and method of making
JPH048579B2 (ko)
KR200158855Y1 (ko) 건축물의 내, 외장용 판넬구조
KR960011096B1 (ko) 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KR200404410Y1 (ko) 연속압출성형식 건물 장식용 중공 몰딩
KR200399772Y1 (ko) 건축용 시멘트 패널
KR100444279B1 (ko) 건축외장용 장식판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판넬
US1630910A (en) Ornamental mantel
SK243191A3 (en) Chimney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a chimney element
KR200344290Y1 (ko) 욕실 방수층 구조
RU16288U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лита
KR200314409Y1 (ko) 바닥용 복합 패널
RU110770U1 (ru) Стро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из пенобетона
WO2008003150A2 (en) Composition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ifacturing articles made of it
FI61064B (fi) Stenkonstruktion
KR100788829B1 (ko) 방수턱 및 방수턱의 시공방법
KR960041580A (ko) 건축용 황토 벽돌 및 그 제조방법
IT201900006622A1 (it) Sistema di costruzione di un prefabbricato
JPS5814749Y2 (ja) 建築物の化粧被覆柱
JPH11179713A (ja) 無機質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SU1740196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многослойных наружных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KR19980010270U (ko) 건축물의 내, 외장용 법랑 철판판넬구조
KR20080014180A (ko) 홈이 형성된 타일
KR950028874A (ko) 발포세라믹 판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