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070B1 - 편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070B1
KR960011070B1 KR1019930000237A KR930000237A KR960011070B1 KR 960011070 B1 KR960011070 B1 KR 960011070B1 KR 1019930000237 A KR1019930000237 A KR 1019930000237A KR 930000237 A KR930000237 A KR 930000237A KR 960011070 B1 KR960011070 B1 KR 96001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seshoe
resin
resin layer
hole
me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014A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김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철 filed Critical 김남철
Priority to KR101993000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070B1/ko
Publication of KR94001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LSHOEING OF ANIMALS
    • A01L1/00Shoes for horses or other solipeds fastened with n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자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저면 사시도.
제2도(a)는 본 발명의 저면도, (b)는 측면도.
제3도(a)(b)(c)는 제2도(a)의 A-A선, B-B선 및 C-C선 단면도, (d)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a)(b)는 압출과 단조공정에 따른 공정개략도.
제5도(a)는 본 발명의 길이재의 압출상태의 금속편자프레임 사시도. (b)는 완성된 금속편자프레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지층 11 : 돌면
11a,11b,11c : 제1, 제2 및 제3돌부 1A : 패드수지
12 : 홀 12a : 단턱
2 : 금속프레임 21A,21B : 요홈
21C : 가이드홈 21a : 요홈
22 : 홀 24 : 돌편
25 : 홀 3 : 고정편
35 : 결합핀
본 발명은 말의 발굽에 박아 말발굽을 보호케한 편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층과 수지층과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사용기간을 길게 함과 동시에 말발굽에 고정결합시 그 착용감이 안전하며 오래 사용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은 특히 경주용 말은 그 생명이 말발굽에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1-22096호가 있으나, 이는 말발굽에 편자를 박을시 별도의 패드를 대고 박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편자 상부로 돌편이 없기 때문에 말의 화이트라인 내측에 못을 박을땐 그 위치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으며 말발굽의 센터링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92년 10월 20일자 특허출원된 92-19266호된 편자의 경우에도 측방으로의 매입공 천공이 방향상 공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충격흡수제인 수지층의 전 둘레 저면에 돌면을 두고 그 전방에 후방으로 경사진 일정길이의 제1돌부와 후방 양측단에 제2돌부를 두되 그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상호 120도 간격의 방사상 제3돌부를 형성하며, 금속프레임은 수지층과 접하는 저면 내측과 외측 각각에는 상광하협상의 단면을 가지는 길이방향의 요홈을 가지고 그 전후면에 가이드홈과 상기 요홈의 대응면인 상면에 패드수지가 매입위치되는 요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제3돌부 사이사이의 편자 외측으로 못을 박기 위한 상부 양측에 단턱을 가지는 수지성형홀과 그 일직연장상으로는 상면에 외부로 경사확대된 테이퍼부를 갖는 프레임홀을 가지고, 그 사이사이의 내측으로는 상기 패드수지와 일체감을 갖게한 홀이 천공되어 수지가 매입연결됨과 동시 수지층은 금속프레임의 전 둘레면에 입혀지되 패드수지층 쪽은 금속프레임에서 0.3mm 정도로 피복됨과 동시에 전방 중앙에 일정길이의 금속프레임으로부터 돌설된 돌편을 형성해서 된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이 충격흡수제인 수지층(1)의 전 둘레 저면에 돌면(11)을 두고 이 돌면(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진 일정길이의 제1돌부(11a)와, 후방 양측단에 제2돌부(11b)를 두되 그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상호 120도 간격으로의 방사상의 제3돌부(11c)를 형성하며, 금속프레임(2)은 수지층(1)과 접하는 저면의 내측과 외측 각각에는 상광하협상의 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21A)(21B)을 가지며 그 전후면에 자동화 공정시의 금속프레임 안내를 위한 가이드홈(21C)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21A)의 대응면인 상면에도 말발굽과의 접촉고정시 패드 역할을 하는 패드수지(1A)가 매입위치되는 요홈(21a)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편자 양측의 상기 제3돌부(11c) 사이사이의 외측 일정간격으로 못을 박기 위한 상부 양측에 단턱(12a)을 가지는 수지셩형홀(12)과 그 일직연장상으로는 상면에 외부로 경사확대된 테이퍼부(22a)를 갖는 프레임홀(22)을 가지고(제3도(c) 참조) 그 사이사이 위치의 내측 일정간격으로는 상기 패드수지(1A)의 부착력과 편자 전체의 일체감을 주기 위한 수지매입홀(23)이 천공되어 수지층(1)이 연결된 구성으로 수지층(1)은 금속프레임(2)의 전 둘레면에 입혀지되, 말발굽이 닿는 상면은 패드수지(1A)층만을 제외하고 0.3mm 정도로 약간 피복된 상태이며, 금속프레임(2)의 전면 상부로는 말발굽에 세팅 안착하기 위한 일정길이의 금속프레임이 돌설된(24)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일반용 편자에 사용할시에는 수지층(1)의 높이를 더 높게 형성하여 내구성을 가지게 하는데 이때 수지층(1)의 쏠림 즉 측방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편자에서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의 3지점에 보강편을 부설하는데, 이는 그 제1 및 제2돌부(11a)(11b) 하방의 금속프레임(2)상에 홀(25)을 천공하여 일정높이의 금속편(3) 하부에 상기 홀(25)보다 약간 큰 직경의 결합핀(35)을 둔 구성으로, 수지층(1)의 성형전에 강제 매입방식으로 고정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편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저면에 요홈(21A,21B)과 상면에 요홈(21a) 및 돌편(24)과 전후면의 가이드 요홈(21C)을 갖게 알루미늄 합금재의 길이재로 압출성형한 금속프레임(2)을 천공기 또는 드릴링 미신등을 이용 상면에 외부로 경사확대된 테이퍼부(22a)를 갖는 프레임홀(22)과 수지매입홀(23)의 천공작업후 하나의 편자를 구성하기 위한 길이단위로 컷팅한후 길이재인 돌편부에서 중앙일정길이로만 돌편(24)이 형성되게 양측으로 커팅 작업을 한후, 1,2차에 걸친 말발굽 형태로의 밴징공정과, 수지성형 공정을 거쳐서 완성된다. 이때, 금속프레임(2)의 가이드요홈(21C)은 밴딩등의 공정시 안내 레일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수지성형 공정시에는 편자프레임(2)에 샌딩표면처리와 불연성 세척제를 이용한 세척작업 및 성형기로써 반고체 상태의 수지를 놓고 약 150∼160℃의 온도에서 약 150kg/cm2정도의 고압으로 10-12분 성형하여서 된다.
한편, 상기 제조공정에서 경주용이 아닌 일반용 편자를 위한 제조방법으로는 수지층이 보다 높게 즉 두껍게 성형하되 그 전단계에서 프레임의 전방과 후단 양측의 즉 제1 및 제2돌부(11a)(11b) 빅상부 위치의 금속프레임(2)에 홀(25)을 천공하는 공정과 고정편(3)을 때려 박는 강제 부착공정을 추가로 가질 수 있으며, 금속프레임(2)의 단조공정시에는 홀(22)과 수지매입홀(23) 또는 금속편 강제결합홀(25)등의 천공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돌편(24)도 양측으로의 절단작업이 필요없이 단조공정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제조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제2도(a)에서와 같이 편자 저면의 3부위 즉 중앙전방부와 후방 양측에 비교적 넓은 면적의 제1 및 제2돌부(11a)(11b)를 둠으로서 말의 하중을 받을시 3지점으로 힘을 고르게 분산시켜 받을 수 잇게 하며, 특히 양측의 제3돌부(11c)는 120도 간격의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말의 측방 미끄럼방지에 효과적으로 대처되게 한다.
또한 요홈(21A)(21b)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홀(23)은 수지층(1)의 금속프레임(2)과의 안전한 결합력으로 일체감을 갖게 작용되며, 수지성형홀(12) 하부로의 홀(22)은 테이퍼부(22a)를 가짐으로써 말발굽에 대고 못을 박을시 발굽면을 보다 넓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말마다 틀린 말발굽의 화이트라인 안쪽으로 박기위한 관찰 및 박음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전방 중앙의 돌편(24)을 망치등으로 때려서 굽혀줌으로써 말발굽 전방 상명의 경사부에 알맞게 굽혀서 밀착되므로써 보다 안전한 편자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금속프레임(2)의 상면에 얇게 씌워지고 요홈(21a)에 충진된 수지패드(1A)는 말발굽 보호측면으로 덧대는 별도의 패드가 필요없이 말발굽을 그대로 박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는 경주용 편자에 대한 설명으로 특이하게 일반 편자는 잦는 주기로 갈아주기가 여려운 만큼 경주용 편자에 비해 수지층(1)의 성형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데 이때 높은 수지층의 측방으로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3도(d)에서와 같이 전방 제1돌부(11a)와 후방 양측의 제2돌부(11b) 직상부의 금속프레임(2)요홈(21B)상에 일정길이와 높이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고정편(3)을 금속프레임(2)상에 홀(25)을 천공한 상태에서 결합핀(35)을 강제 삽입 결합하는 방식으로 매입하여 수지층(1)을 성형하므로써 말이 가장 힘을 만이 받는 3지점에서의 버팀응력 및 수지층의 쏠림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조공정에서 금속프레임(2)의 길이재로의 압출공정에 따른 대량생산공정을 가능케 하며, 특히 단조공정시에는 홀등의 천공과 돌편 양측방으로의 커팅 작업이 필요없이 보다 빠른 작업공정을 실현할 수 있게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조되는 편자는 그 내구성이 뛰어나 사용기간을 길게 함은 물론 말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말발굽의 보호적 측면에서 매우 특출난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 및 자동화 제조공정을 가질 수 있는 매우 특출한 발명이다.

Claims (6)

  1. 충격흡수제인 수지층(1)의 전 둘레 저면에 돌면(11)을 두고 그 전방에 후방으로 경사진 일정길이의 제1돌부(11a)와 후방 양측단에 제2돌부(11b)를 두되 그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상호 120도 간격의 방사상 제3돌부(11c)를 형성하며, 금속프레임(2)은 수지층(1)과 접하는 저면 내측과 외측 각각에는 상광하협상의 단면을 가지는 길이방향의 요홈(21A)(21B)을 가지고 그 전후면에 가이드홈(21C)과 상기 요홈(21A)의 대응면인 상면에 패드수지(1A)가 매입위치되는 요홈(21a)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제3돌부 사이사이의 편자 외측으로 못을 박기 위한 상부 양측에 단턱(12a)을 가지는 수지성형홀(12)과 그 일직연장상으로는 상면에 외부로 경사확대된 테이퍼부(22a)를 갖는 프레임홀(22)을 가지고, 그 사이사이의 내측으로는 상기 패드 수지(1A)와 일체감을 갖게한 홀(23)이 천공되어 수지가 매입연경됨과 동시 수지층(1)은 금속프레임(2)의 전 둘레면에 입혀지되, 패드수지층 쪽은 금속프레임에서 0.3mm로 피복됨과 동시에 전방 중앙에 일정길이의 금속프레임으로부터 돌설된 돌편(2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편자.
  2. 제1항에 있어서, 보다 높은 수지층을 갖는 제1돌부(11a)와 후방 양측단의 제2돌부(11b) 각각의 저부 금혹프레임(2) 위치에 홀(25)을 형성하여 일정높이의 금속고정편(3) 하부의 결합핀(35)을 강제 매입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편자.
  3. 저면에 요홈(21A,21B)과 상면에 요홈 및 돌편(21a,24)과 전후면의 가이드 요홈(21C)을 갖게 길이재로 압출성형한 금속프레임(2)을 테이퍼부(22a)를 갖는 홀(22)과 수지매입을 위한 홀(23)의 천공작업한 후, 하나의 편자를 구성하기 위한 길이 단위로 컷팅한 후, 길이재인 돌편부에서 중앙 일정길이로만 돌편(24)이 형성되게 양측으로의 커팅작업후 1,2차에 걸친 말발굽형태로의 밴딩공정과 수지성형공정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 편자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길이재의 금속프래임(2)을 단조공정으로 형성하여 홀(22,23)의 천공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돌편(24)이 단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편자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말발굽형태로 1,2차에 걸친 밴딩 공정후 제1돌부와 제2돌부 대응위치에 홀(25)로 금속고정편(3) 저부의 결합핀(35)을 강제 매입방식으로 고정한후 수지성형 공정을 거쳐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 편차 제조방법.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엇, 수지성형 공정은 편자프레임(2)에 샌딩표면처리와 불연성 세척제를 이용한 세척작업 및 성형기로써 반고체상태의 수지를 놓고 약 150∼160℃의 온도에서 약 150kg/cm2정도의 압력으로 10-12분 성형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 편자 제조방법.
KR1019930000237A 1993-01-09 1993-01-09 편자 및 그 제조방법 KR96001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237A KR960011070B1 (ko) 1993-01-09 1993-01-09 편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237A KR960011070B1 (ko) 1993-01-09 1993-01-09 편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014A KR940018014A (ko) 1994-08-16
KR960011070B1 true KR960011070B1 (ko) 1996-08-20

Family

ID=1934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237A KR960011070B1 (ko) 1993-01-09 1993-01-09 편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51936A1 (en) * 2011-09-21 2021-02-25 Equinovum Bv Dividable horsesho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638B1 (ko) 2019-01-22 2021-05-26 주식회사 미래인 편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51936A1 (en) * 2011-09-21 2021-02-25 Equinovum Bv Dividable horseshoes
US11864545B2 (en) * 2011-09-21 2024-01-09 Bartek Equine Llc Dividable horsesho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014A (ko) 199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71223A (en) Racket for tennis and batting gam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960011070B1 (ko) 편자 및 그 제조방법
US5343957A (en) Horseshoe made of resilient material, horseshoeing system and method
US5213014A (en) Closed back shovel and method of assembly
EP3479968A1 (en) Grip component for a hand tool
US5353878A (en) Horseshoe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CA2518788C (en) Formwork support
CA2421822A1 (en) Process for making a toothbrush
KR940020904A (ko) 편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84790B1 (ko) 파이프 연결구의 제조방법
JP2002147423A (ja) ファスナー用の連結具
WO2019122996A1 (en) Method for joining belts
EP0127780B1 (en) An improved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S6041132Y2 (ja) 野球靴のスパイク
EP1469975B1 (en) Element with very high mechanical resistance and high vibration absorption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JP4184913B2 (ja) ヘルメット
KR100845123B1 (ko) 이젝트핀 및 그 제조방법
KR200345058Y1 (ko) 건축용 목재
US20030183399A1 (en) Horseshoe with spik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pikes
KR100799370B1 (ko)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JP3833919B2 (ja) 麺棒、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MI930323U1 (it) Attrezzo per la pulizia degli zoccoli di cavalli
KR200325333Y1 (ko) 안전모 걸이대
CN104588745B (zh) 一种一体式开孔器
JPH04389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