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925B1 - 영상신호 캡처(Capture)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캡처(Capture)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925B1
KR960010925B1 KR1019940005474A KR19940005474A KR960010925B1 KR 960010925 B1 KR960010925 B1 KR 960010925B1 KR 1019940005474 A KR1019940005474 A KR 1019940005474A KR 19940005474 A KR19940005474 A KR 19940005474A KR 960010925 B1 KR960010925 B1 KR 960010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data
data
signal
storage means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이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이정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Priority to KR101994000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925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 캡처(Capture)방법 및 그장치
제1도는 종래영상 신호캡처 장치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캡처 장치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되는 화소데이타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코더 20 :A/D 변환기
30 : 프레임메모리 40 : 제어부
50 : 버퍼 60 : 비데오메모리
70 : 멀티플렉서 80 : 데이터정합부
90 : 시스템제어부
본 발명은 컴퓨터상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 화면을 편집 또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영상신호 캡처(Capture)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FIFO(First IN First Out)형 버퍼를 사용하여 영상신호의 화소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신호 캡처(Capture)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처기능이라는 것은 외부로부터 TV방송신호 또는 VTR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선택하는 화면을 파일링(filing)하여 디스크 등의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하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의 편집 또는 필요시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기능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 영상신호 캡처 장치를 첨부한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영상신호 캡처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화상의 화소데이타와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디코더(10)와, 상기 디코더(10)에서 검출되어진 화소데이타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A/D 변환기(20)와, 상기 A/D 변환기(20)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하는 프레임메모리(30)에 저장되는 화소데이타를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저장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인가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영상신호 캡쳐 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아나로그 형태의 영상신호를 인가받은 디코더(10)에서 R, G, B 색상신호 또는 Y, U, V 색차신호인 화소데이타와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화소데이타는 A/D 변환기(20)에 인가하고 수평/수직 동기신호는 제어부(40)에 인가한다.
상기 A/D 변환기(20)에서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소데이타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프레임메모리(30)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코더 (10)에서 인가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인가되어 있는 화소데이타가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저낭되어 있는 화소데이타는 CPU를 통하여 마더보드(Mother B/D)상의 시스템 메모리에 특정순서에 따라 전송되어 상기 CPU측에서는 풀스크린(Full Screen)이 형성되어진후 보조 기억장치에 파일링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술한 프레임메모리(30)가 듀얼포트 비데오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RT측으로도 데이타가 전송되어 CRT상에 캡처 되어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캡처 기능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메모리(30)는 용도상 사용되는 명칭이며, 통상적으로 듀얼 포트 비데오램(VRAM)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신호 캡처 장치는 프레임메모리에 풀스크린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일차적으로 저장한 후 CPU측에서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를 캡처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메모리의 데이타 저장능력은 풀스크린을 구성하는 화소의 갯수가 640*240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최소한
640*240* (한 화소당 비트수)에 대응하는 용량이 필요하다. 즉, 캡처하고자 하는 영상의 해상도에 비례하여 프레임메모리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되는데, 프레임메모리를 구성하는 비데오램이 고가(高價)이므로 제조 원가의 상승의 부담을 감소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FIFO(First In First Out)형 버퍼를 사용하여 영상신호의 화소값을 저장하는 프레임메모리의 로드를 상기 버퍼와 분담하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메모리의 용량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신호 캡처(Capture)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비데오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컴퓨터상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 화면을 파일링하여 임의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영상 신호 캡처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화소데이타를 디지탈로 변환하며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디지탈로 변환되어진 화소데이타에서 소정갯수씩의 화소 데이타마다 소정갯수씩의 화소데이타를 추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추출되어지지 못한 화소데이타를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상기 비데오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추출되어진 화소데이타를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제4과정 및 상기 제 3과정에서 비데오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화소데이타를 상기 제4과정에서 기억장치에 저장된 화소데이타와 믹싱하여 풀스크린 형성후 파일링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영상신호의 화소데이타와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에서 검출되어진 화소데이타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및 화소데이타를 파일링하는 CPU를 구비하고 컴퓨터상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 화면을 파일링하여 기억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영상신호 캡처 장치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기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어신호에따라 임시 저장한후 출력시키는 임시저장수단과, 상기 임시저장수단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 장하는 영상신호 저장수단과, 상기 임시저장수단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되지 않는 화소데이타를 상기 CPU에 인가하고 상기 임시저장수단에서 더 이상의 화소데이타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상기 CPU에 인가하는 데이타 전송수단 및 상기 디코딩수단에서 검출되어진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임시저장수단의 데이타 입출력 동작과 상기 임시저장수단의 데이타 출력을 인가받는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의 데이타 입출력 동작 및 상기 데이타 전송수단의 데이타 입출력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캡처 장치의 블럭 구성도로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영상신호의 화소데이타와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디코더(10)와, 상기 디코더(10)에서 검출되어진 화소데이타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A/D 변환기(20)와, 상기 A/D 변환기(20)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어신호에 따라 임시 저장한후 출력시키는 버퍼(50)와, 상기 버퍼(50)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하는 비데오메모리 (60)와, 상기 버퍼 (50)와 비데오메모리 (60)에서 인가되는 화소데이타를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70)와, 상기 멀티플렉서(70)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어신호에 따라 인가받아 평상신호 캡처를 파일링하기 위한 CPU(도시하지 않았음)에 인가하는 데이타정합부(80) 및 상기 디코더 (10)에서 검출되어진 수력/수직 통기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버퍼(50)의 데이타 입출력 동작과 상기 버퍼 (50)의 데이타 출력을 인가받는 상기 비데오메모리(60)의 데이타 입출력 동작 및 멀티플렉서 (70)의 데이타 출력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데이타정합부(80)의 데이타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90)는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중 멀티플렉서(70)와 데이타정합부(80)는 그 기능적인 관점으로는 상기 버퍼(50)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데오메모리(60)에 저장되지 않는 화소데이타를 상기 CPU에 인가하고 상기 버퍼(50)에서 더 이상의 화소데이타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데오메모리 (60)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상기 CPU에 인가하는 데이타 전송부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캡처 장치의 바람직한 동작예를 첨부한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캡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화소데이타의 예시도인데, 풀스크린을 구성하는 화소의 갯수가 640*240일 경우를 예로 든 것으로서, (a)도는 A/D 변환기(2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표시한 화소데이타의 예시도이며, (b)도는 버퍼(50)에서 출력되는 화소 데이타의 예시도이고, (c)도는 비데오메모리(60)에 저장되는 화소데이타의 예시도이다. 또한, (d)도는 멀티플렉서(70)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의 예시도이고, (e)도는 데이타정합부(80)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의 예시도이며, (f)도는 파일링되기전에 완성되어지는 풀스크린에 대한 화소데이타의 예시도이다.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신호를 인가받은 디코더(10)에서 R, G, B 색상신호 또는 Y, U, V 색차신호인 화소데이타와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화소데이타는 A/D 변환기(20)에 인가하고 수평/수직 동기신호는 시스템제어부(90)에 인가한다.
상기 A/D 변환기(20)에서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소데이타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버퍼(50)에 인가한다(제3(a)도 참조) . 이때 상기 시스템제어부(90)는 상기 디코더(10)에서 인가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제 1제어신호(A)를 상기 버퍼(50)에 인가하여 상기 버퍼(50)에 데이타를 임시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버퍼(50)는 상기 시스템제어부(90)에서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A)에 따라 상기 A/D 변환기(20)에서 인가되는 디지탈 화소데이타를 소정시간 지연 시킨후에 출력 (제3(B)도 참조)시킨다.
이때, 상기 시스템제어부(90)는 상기 비데오메모리(60)에 제 2제어신호(B)를 인가하여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상가 버퍼(50)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화소데이타를 소정갯수의 화소간격으로 하나의 화소씩 미리 설계된 스펙에 따라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비데오메모리(60)는 상기 시스템제어부(90)에서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b)에 따라 화소데이타를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화소데이타를 저장한다(제3(c)도참조).
또한, 상기 시스템제어부(80)는 멀티플렉서(70)에 제3제어신호(D)를 인가하여 상기 버퍼(50)에서출력되는 화소데이타(제3(b)도 참조)만을 인가받아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멀티플렉서 (70)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제3(라)도의 (h)구간 참조)는 데이타정합부(80)에 인가되는데, 상기 데이타정합부(80)는 상기 시스템제어부(90)에서 상기 비데오메모리(60)에 인가하던 제2제어신호(B)중 데이타저장신호(C)를 반전상태로 인가받아 상기 멀티플렉서(70)에서 인가되는 화소데이타중 상기 비데오메모리(60)에 저장되지 않았던 신호만을 추출하여 출력(제3(e)도의 (J)영역 참조)한다.
이때, 상기 제 2제어신호(B)는 데이타 저장신호와 억세스신호 및 비데오메모리(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신호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타정합부(80)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는 CPU(도시하지 않았음)에 인가되는데, 상기 CPU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상술한 스펙에 맞추어 풀스크린을 형성한다. 즉, 풀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는 전체 데이타영역에 대하여 인가받는 화소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되, 소정갯수의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저장한 후 하나의 화소데이타가 저장될 수 있는 영역을 비워놓고 다시 소정갯수의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방식으로 인가되는 화소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동작중에 상기 시스템제어부(90)에서 수직동기신호를 상기 디코더(10)로부터 인가받는 경우 제1제어신호(A)를 사용하여 상기 버퍼(50)에서 더 이상의 화소데이타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멀티플렉서(70)에 인가하던 제3제어신호(D)의 상태를 반전시켜 상기 비데오메오리(60)에서 출력 되는 화소데이타(제3(다)도 참조)만을 인가받아 출력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비데오메모리(60)에 인가하던 데이타 저장신호는 차단하고 데이타 억세스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멀티플렉서(70)에서는 상기 비데오메모리(60)에서 억세스되어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제3(라)도의 (I)구역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상태로 출력한다.
상기 멀티플렉서(70)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인가받는 데이타정합부(80)는 상기 시스템제어부(90)에서 상기 비데오메모리(60)에 인가하던 데이타 저장신호(C)가 차단되었으므로 상기 멀티플렉서(70)에서 인가되는 화소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출력(제3(e)도의 (K)영역 참조)한다.
이때, 상기 CPU에서는 상기 데이타정합부(80)에서 출력되는 제3(마)도의 (J)구역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화소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인가받아 상술한 스펙에 따라 저장하다가 수직 동기신호가 검출되어지면, 이후 상기 데이타정합부(80)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제3(e)도의 (K)영역 참조)를 풀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하여 화소데이타를 저장하더나 데이타영역에서 화소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그러므로, 제3(f)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풀스크린을 형성하게 되고 형성되어진 화면을 파일링하여 데이타로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비데오메모리(60)에서 상기 멀티플렉서(70)에 화소데이타를 인가하기 위한 출력단 이외의 다른 출력단을 통하여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CRT측으로 화소데이타를 전송하면, CRT상에는 캡처되어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캡처기능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캡처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 캡처하고자 하는 영상의 해상도에 비례하여 프레임메모리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되며 그로 인하여 프레임메모리를 구성하는 비데오램이 고가(高價)이기 때문에 제조원가 상승의 부담을 감소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비데오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컴퓨터상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 화면을 파일링하여 임의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도륵 하는 영상신호 캡처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화소데이타를 디지탈로 변환하며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 상기 제1과정 에서 디지탈로 변환되어진 화소데이타에서 소정갯수씩의 화소데이타마다 소정갯수색의 화소데이타를 추출하는 제2과정과 , 상기 제2과정에서 추출되어지지 못한 화소데이타를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상기 비데오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 상기 제2과정에서 추출되어진 화소데이타를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제4과정 ; 및 상기 제3과정에서 비데오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화소데이타를 상기 제4과정에서 기억장치에 저장된 화소데이타와 믹싱하여 풀스크린 형성후 파일링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캡처(Capture)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을 풀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는 전체 데이타영역을 상기 기억장치에 설정하는 제1단계와 , 상기 제2과정에서 추출되어진 화소데이타를 상기 제1단계에서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 영역에 소정갯수의 화소데이타를 저장하는 제2단계와 : 상기 제2단계에서 소정갯수의 화소데이타를 저장 한후 소정갯수의 화소데이타가 저장될 수 있는 영역을 비워놓는 제3단계 ; 및 상기 제2단계와 제 3단계를 수직 동기신호가 검지될 때까지 수평 동기신호에 맞추어 반복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캡처 (Capture)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은 상기 제 3과정에서 저장되어 있는 화소데이타를 상기 제4과정에서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영역중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소정갯수씩 저장하는 제1단계와 ; 상기 제1단계를 수직 동기신호가 검지될 때까지 수평 동기신호에 맞추어 반복 수행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캡처(Capture) 방법.
  4.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영상신호의 화소데이타와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에서 검출되어진 화소데이타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및 화소데이타를 파일링하는 CPU를 구비하고 컴퓨터상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 화면을 파일링하여 기억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영상신호 캡처 장치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기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어신호에 따라 임시 저장한후 출력시키는 임시저장수단과 ; 상기 임시저장수단 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영상신호 저장수단과 ; 상기 임시저장수 단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되지 않는 화소데이타를 상기 CPU에 인가하고 상기 임시저장수단에서 더 이상의 화소데이타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상기 CPU에 인가하는 데이타 전송수단 ; 및 상기 디코딩수단에서 검출되어진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임시저장수단의 데이타 입출력 동작과 상기 임시저장수단의 데이타 출력을 인가받는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의 데이타 입출력 동작 및 상기 데이타 전송수단의 데이타 입출력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캡처 (Capture)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전송수단은 상기 임시저장수단과 저장수단에서 인가되는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임시저장수단에서 인가되는 화소데이타를 출력하고 상기 임시저장수단에서 더 이상의 화소데이타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에서 출력되는 화소데이타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 상기 시스템제어부에서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에 화소데이타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동안은 상기 시스템제어부에서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플렉서에서 인가되는 화소데이타중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되지 않는 화소데이타만을 상기 CPU에 인가하고 상기 시스템제어부에서 상기 영상신호 저장수단에 인가되는 제어신호가 차단된 경우는 인가받는 모든 데이타를 상기 CPU에 인가하는 데이타정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캡처(Capture) 장치.
KR1019940005474A 1994-03-18 1994-03-18 영상신호 캡처(Capture) 방법 및 그 장치 KR960010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474A KR960010925B1 (ko) 1994-03-18 1994-03-18 영상신호 캡처(Capture)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474A KR960010925B1 (ko) 1994-03-18 1994-03-18 영상신호 캡처(Capture)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925B1 true KR960010925B1 (ko) 1996-08-13

Family

ID=1937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474A KR960010925B1 (ko) 1994-03-18 1994-03-18 영상신호 캡처(Capture)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80B1 (ko) * 2015-05-08 2016-10-24 (주)이즈미디어 영상 캡처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80B1 (ko) * 2015-05-08 2016-10-24 (주)이즈미디어 영상 캡처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0788A (en) Compression of pixels in a reduced-size video image
US5559954A (en) Method & apparatus for displaying pixels from a multi-format frame buffer
US7705902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754209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6700625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pting image signals from a medium or source of a plurality of types to display images of a plurality of frames simultaneously on a screen
US49722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an overscanned image
EP074473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video and graphics data in a multimedia display system including a shared frame buffer
KR970019574A (ko) 더블스크린을 이용한 정보 및 외부신호 표시장치
JPH09237073A (ja) 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上にグラフィックスデータ及びビデオデータを同時に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4656516A (en) Vertical subsampling and memory synchronization system for a picture within a picture television receiver
US5627603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tilizing a conventional signal processor to process high-definition electronic camera signals
JPH10164439A (ja) 撮像装置
KR960010925B1 (ko) 영상신호 캡처(Capture) 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81891A (ko) 멀티화면 분할기
JPH10198309A (ja) 水平振幅調整回路と垂直振幅調整回路とその両調整回路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H0690435A (ja) 画像再生装置
JPH03192392A (ja) 映像信号出力装置
JPH05328127A (ja) 画像処理装置
JP2004193970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
KR100745299B1 (ko) 디지털티브이의화면동기장치및방법
JP3013826B2 (ja) デジタルデータ転送制御回路
JP3495647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
JP3333336B2 (ja) 符号化/復号化装置
KR0148892B1 (ko)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처리장치
KR100492568B1 (ko) 동영상의 정지영상 변환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