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813B1 - 함 중석(重石) 하드스크랩(Hard Scrap)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함 중석(重石) 하드스크랩(Hard Scrap)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813B1
KR960010813B1 KR1019940010313A KR19940010313A KR960010813B1 KR 960010813 B1 KR960010813 B1 KR 960010813B1 KR 1019940010313 A KR1019940010313 A KR 1019940010313A KR 19940010313 A KR19940010313 A KR 19940010313A KR 960010813 B1 KR960010813 B1 KR 960010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tungsten
hard
nano
equival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661A (ko
Inventor
박영효
최덕순
Original Assignee
대한중석 주식회사
나승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중석 주식회사, 나승렬 filed Critical 대한중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813B1/ko
Publication of KR950032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4/00Obtaining refractory metals
    • C22B34/30Obtaining 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C22B34/36Obtaining tungst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함 중석(重石) 하드스크랩(Hard scrap)의 처리방법
본 발명은 중석(重石)을 함유한 하드스크랩(Hard scrap)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a염을 이용하여 하드스크랩중의 중석 및 기타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함 중석 하드스크랩은 초경합금 제품, Roll 및 금형 형태의 대형 소결체, Heavy Alloy, W-Wire류와 기타 텅스텐 합금등에서 발생된다.
이런 Scrap에 대한 종래의 처리방법은 상기한 Scrap을 분쇄(Crushing)한 다음 이것을 그라인더(Grinder)로 다시 미분쇄하여 700℃ 이상의 고온에서 하소하여 산화시킨 후 알칼리 고압침출법(18kg/㎠,200℃)으로 텅스텐을 침출시켜 회수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와이어(Wire)나 중합금처럼 분쇄가 거의 불가능한 스크랩은 처리가 어렵고, 또 고강도의 초경합금을 미분쇄하는 공정이 복잡하여 분쇄비용이 과다한 점 때문에 공업화가 쉽지 않는 실정이다.
한편 원광석에서 텅스텐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원광석을 미분쇄한 후 NaOH 또는 KOH 비등용액으로 침출하여 Na2WO4를 얻고 있으나, Na염을 이용하여 하드스크랩으로부터 중석을 비롯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Na염을 이용하되 첨가 조건을 적절히 조절함과 함께 분쇄 공정을 생략함은 물론 원광석 처리방법과는 전혀 상이하고, 또한 기존의 스크랩 처리보다 추출율이 높은 경제성 있는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종 함 중석 하드스크랩을 미리 600-800℃로 예열된 반응로에 넣어 가열시킨 후 텅스텐에 대한 반을 당량의 Na염(NaNO3: 0.2∼1.5당량 및 NaOH : 0.5∼1.0)만큼 준비하여 용액이 끓어 넘치지 않을 정도로 서서히 투입하면서 반응을 촉지시킨다.
시약 투입이 끝나면 W 와이어 스크랩을 반응량 만큼 추가로 넣어 약 1-3Hr 정도 유지시켜 스크랩을 모두 녹여 용융액 상태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 용융액을 다른 용기에 받아 식힌 후 물을 첨가하면 상온에서도 아주 쉽게 분해되어 텅스텐 성분이 물속으로 녹아 나온다.
분해가 끝나면 용액과 잔사를 분리하여 용액은 화학처리를 거쳐 필요한 텅스텐 화합물로 만들고 잔사는 깨끗이 세척한 후 역시 화학처리를 거쳐 유용한 유가자원(Co,Ta,Nb 등)을 회수하면 된다.
상기 Na염에서 반응시약으로 NaNO3만 사용하면 반응이 너무 느리고, NaNO2만 사용하면 반응이 너무 결렬하므로 NaOH를 첨가하여 반응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였으며, 또한 이렇게 만든 용융물 잉코트는 상온물에 쉽게 분해되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인 W 와이어 스크랩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은 이 W 와이어 스크랩이 고품위의 텅스텐(99% 이상)이므로 강한 발열반응을 수반케 하여 융해 반응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초경합금 스크랩 1kg을 600-800℃의 온도로 유지된 반응로 속에 넣어 가열한 후 텅스텐 함량에 대한 NaNO31당량과 NaOH 0.5당량을 섞어 투입한다.
시약이 녹으면 NaNO21당량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반응시킨다.
투입이 끝나면 W 외이어 스크랩을 반응상태에 따라 적당량 추가로 첨가시키고 약 2Hr 동안 반응을 유지시킨다.
반응이 완료되어 스크랩이 용액속에 용해되면 용액을 다른 용기에 부은 후 공기 중 냉각시키면 잉고트로 된다.
이 잉코트에 상온의 물을 부으면 잉코트는 쉽게 분해되어 W은 용액속에 녹아 나오고 기타 유가성분은 잔사로 남게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각종 함 중석 하드스크랩을 시험하였고 시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결과에 의하면 반응시 W 와이어 스크랩을 첨가하면 반응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반응시 약으로 NaOH를 첨가하면 잉고트 분해시 80℃로 가열하지 않아도 상온수에 쉽게 분해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종 스크랩을 처리하되, NaNO와, NaNO사용량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aNO를 2당량 첨가하면 반응시간은 줄일 수 있으나 추출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NaNO및 NaNO를 각각 1당량 첨가했을 경우 추출율이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중석(重石)을 함유한 하드스크랩(Hard Scrap)[초경함금류, Roll 및 Die류, 중합금(Heavy Alloy), wire류, 함 중석 소결체류]을 600∼800℃ 온도로 예열시키는 제1공정과, 상기한 하드스크랩에 Na염(하드스크랩 중의 텅스텐에 대한 NaNO3를 0.2-1.5당량, NaOH를 0.5∼2.0당량)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제2공정과, 이어서 하드스크랩 중의 텅스텐에 대한 NaNO2를 0.5∼2.0당량 첨가후 텅스텐 wire 스크랩을 가하면서 상기 제2공정을 촉진시키는 제3공정과, 상기 용해된 용융액을 냉각시킨 후 물을 가해 텅스텐 성분이 물속에 녹도록 용출시키는 제4공정과, 상기 용출후 용액(텅스텐 화합물 함유)과 잔사(유가 금속함유)로 분리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함 중석(重石) 하드스크랩(Hard Scrap)의 처리방법.
KR1019940010313A 1994-05-11 1994-05-11 함 중석(重石) 하드스크랩(Hard Scrap)의 처리방법 KR960010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313A KR960010813B1 (ko) 1994-05-11 1994-05-11 함 중석(重石) 하드스크랩(Hard Scrap)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313A KR960010813B1 (ko) 1994-05-11 1994-05-11 함 중석(重石) 하드스크랩(Hard Scrap)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661A KR950032661A (ko) 1995-12-22
KR960010813B1 true KR960010813B1 (ko) 1996-08-09

Family

ID=1938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313A KR960010813B1 (ko) 1994-05-11 1994-05-11 함 중석(重石) 하드스크랩(Hard Scrap)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8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661A (ko)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8103B1 (en)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precious metals from concentrates thereof
US4338126A (en) Recovery of tungsten from heavy metal alloys
JPH0156128B2 (ko)
US4188362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platinum group metals and gold
KR100426561B1 (ko) 텅스텐산나트륨의 제조방법
KR960010813B1 (ko) 함 중석(重石) 하드스크랩(Hard Scrap)의 처리방법
US2485175A (en) Method of recovering hard metal carbides from sintered masses
JPH1030130A (ja) 超硬合金の再生方法
JPH03199314A (ja) 鉄屑脱銅法
JP3290929B2 (ja) 超硬合金の再生処理方法
JP2000226601A (ja) タングステン系合金スクラップからの再生タングステン原料粉末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ングステン基焼結重合金の製造方法
DE2758205A1 (d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magnesiumoxid aus feuerfestaltmaterial
US2407752A (en) Process of separating hard constituents from sintered hard metals
JP2000072430A (ja) 使用済み超硬合金部品の錫含浸法による再粉化技術
JP2001335852A (ja) Nd系希土類磁石合金廃粉末の回収方法
US4173467A (en) Process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s from superalloy scrap
KR101811856B1 (ko) 니켈계 내열합금의 침출반응성 향상을 위한 전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유가금속 회수방법
CN109371262B (zh) 一种利用铝液回收钛合金废料中钛元素的方法
US2778725A (en) Method for making powdered vanadium metal
KR100321520B1 (ko) 함중석 스크랩의 융해에 의한 처리방법
KR0151894B1 (ko) 함중석 분말 스크랩으로부터 텅스텐을 회수하는 방법
RU2020175C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вольфрама, скандия, железа и марганца из вольфрамсодержащего сырья
KR100191281B1 (ko) 함중석 용액중의 불순물 제거 방법
FI65811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homogen inmatningsprodukt fraon nickelhaltiga sulfidskaerstenar
WO1999007905A1 (en) Method of disintegrating sintered hard metal carbide bodies and recovering hard metal carbide pow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