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894B1 - 함중석 분말 스크랩으로부터 텅스텐을 회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함중석 분말 스크랩으로부터 텅스텐을 회수하는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894B1
KR0151894B1 KR1019950055463A KR19950055463A KR0151894B1 KR 0151894 B1 KR0151894 B1 KR 0151894B1 KR 1019950055463 A KR1019950055463 A KR 1019950055463A KR 19950055463 A KR19950055463 A KR 19950055463A KR 0151894 B1 KR0151894 B1 KR 015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gsten
powder
scrap
powder scrap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315A (ko
Inventor
박영효
최효병
이건우
Original Assignee
양수제
대한중석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수제, 대한중석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수제
Priority to KR101995005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894B1/ko
Publication of KR97004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4/00Obtaining refractory metals
    • C22B34/30Obtaining 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C22B34/36Obtaining tungst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석(重石)을 함유한 분말 스크랩 (Powder Scrap)을 Na 염으로 처리하여 텅스텐 화합물 및 기타 유가금속을 고수율로 회수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중석(重石)을 함유한 분말 스크랩 (Powder Scrap)을 가열 용해시켜 용액화 한 1.0~3.0당량의 Na염(NaNO3, NaNO2, NaOH 중 1종 또는 2종이상)에 가하여 분말 스크랩을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응용융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물을 가해 텅스텐 성분이 물속에 용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용출된 용액(텅스텐 함유)과 잔사(유가 금속함유)를 공지의 수단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함중석(重石) 분말 스크랩로부터 텅스텐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함중석(重石) 분말 스크랩(Powder Scrap)으로부터 텅스턴을 회수하는 방법
본 발명은 중석(重石)을 함유한 분말 스크랩(Powder Scrap)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a 염을 이용하여 분말 스크랩 중의 텅스텐 및 기타 유가금속을 단순한 공정을 통해 고수율로 회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함중석 분말 Scrap으로는 불량 텅스텐 분말, 중석 제품 (초경합금, Heavy Alloy, W-Wire류 등) 제조시 발생하는 Dust Scrap, Forming Scrap, Champer Scrap 및 제품가공시 발생하는 가공, 연삭 Sludge 등이 있다.
종래의 처리방법은 분말 Scrap을 700℃ 이상으로 고온 하소하여 텅스텐 산화물로 산화시킨 후 다시 알칼리 고압 침출법(18Kg/C㎡, 200℃)으로 텅스텐을 침출시켜 회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처리공정이 복잡하고 분말의 완전산화가 어렵기 때문에 실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가공, 연삭 Sludge와 같은 중석 함량이 낮은 Pwwder는 처리 비용이 과다하여 그대로 폐기하는 실정이다.
한편, 본 출원인은 함중석 하드 스크랩을 Na 염으로 처리하여 텅스텐을 비롯 한 기타 유가 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을 국내 특허출원 제 94-10313 호로 제안한 바 있다.
여기서는 하드 스크랩을 600~800℃ 온도로 유지된 반응로에 넣어 가열한 후 NaNO3및 NaOH를 투입하여 녹이면서 반응시키고, 격열한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NaOH를 첨가하여 조절하였다.
그리고 텅스텐 와이어를 가하면서 반응시키고, 냉각 후 물을 넣어 분해시켜 텅스텐을 함유한 용액을 기타 유가성분을 함유한 잔사로 분리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기 출원한 바 있는 내용과는 달리 대상물이 하드 스크램이 아닌 분말 스크랩이고, 또한 NaNO3및 NaOH를 투입하여 반응시키면서 NaOH를 첨가하고 또한 텅스텐 와이어를 넣으면서 반응시키는 내용과는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은 분말 스크랩을 처리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분말 Scrap 품위에 관계없이 Na염을 직접 녹인 용융액속에 분말 스크랩을 투입함으로써 완전한 반응을 이루고 용융된 스크랩을 냉각후 물에 쉽게 분해되어 텅스템이 추출되므로 하소공정이 필요없음은 물론 알칼리 침출법에서처럼 고압용기가 필요치 않는 등 단순한 공정을 비롯한 매우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제조공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함중석(重石) 분말 스크랩(Powder Sorap)을 가열 용해시켜서 용액화 한 Na염에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응 용융액을 냉각시킨 후 물을 가해 텅스텐 성분이 물속에서 녹아 나오게 하는 단계와, 상기 분해 후 텅스텐 함유용액과 기타 유기금속을 함유하는 잔사로 분리하는 단계로하여 텅스텐을 회수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서 Na염은 NaNO3, NaNO2, NaOH 중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량은 용융시킬 분말 스크랩의 텅스텐 함량에 대한 반응 당량의 Na염을 반응로에 넣어 가열 용해시켜 용액화 한다음 분말 스크랩을 일정량씩 서서히 투입하여 반응시킨다.
분말 스크랩 종류에 따라 반응 Na염들은 총 0.5당량 내지 3당량까지 변화시킨 후 일정시간 유지하면 분말 스크랩은 모두 녹아 용융액 상태로 된다.
Na염을 사용함에 있어 0.5당량 이하일 경우는 텅스텐 추출율이 떨어지고, 3당량 이상일 경우는 사용량에 비해 텅스텐 추출율이 증진되지 않는다.
이 용융액을 식힌 후 물에 넣어 분해시키면 텅스텐 성분은 물속으로 녹아 나오게 되며, 유가금속은 잔사로 남는다.
상기 분해가 끝나면 텅스텐 함유 용액과 기타 유가 금속(Ca, Ta, Nb 등)을 함유한 잔사를 분리한 후 용액액을 화학처리 하여 필요한 텅스텐 화합물로 회수하면 된다.
이때 분말 스크랩은 종류에 따라 Na염을 적절히 조저리하여 투입시 분말의 반응 상태를 조절하여 실수율을 높일 수 있었고, 이때 반응 효율 및 실수율이 결정 되었다.
다음은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반응로 속에 NaNO31당량, NaNO2, 0.5당량과 NaOH 0.5당량을 섞어 투입한 후 시약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가열한다.
반응 시약이 완전히 녹은 후 온도를 고정유지하고 분말 Scrap을 서서히 투입한 다음, 약 1hr 정도 반응을 유지시킨다.
반응이 완료된 후 분말 Scrap의 용융액을 식힌 다음 물에 넣어 분해시킨다.
이때 시약 특성에 따라 시약 단독 사용할 때 반응이 어렵거나 혹은 폭발적 반응이 수반되어 혼합사용하는 것이 고업화가 유리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각종 함중석 분말 Scrap을 혼합시약 당량별로 시험하였고, 시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Claims (1)

  1. 중석(重石)을 함유한 분말 스크랩(Powder Scrap)을 가열 용해시켜 용액화 한 1.0~3.0당량의 Na염(NaNO3, NaNO2, NaOH 중 1종 또는 2종이상)에 가하여 분말 스크랩을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응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물을 가해 텅스텐 성분이 물속에 용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용출된 용액(텅스텐 함유)과 잔사(유가 금속함유)를 공지의 수단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함중석(重石) 분말 스크랩으로부터 텅스텐을 회수하는 방법.
KR1019950055463A 1995-12-23 1995-12-23 함중석 분말 스크랩으로부터 텅스텐을 회수하는 방법 KR0151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463A KR0151894B1 (ko) 1995-12-23 1995-12-23 함중석 분말 스크랩으로부터 텅스텐을 회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463A KR0151894B1 (ko) 1995-12-23 1995-12-23 함중석 분말 스크랩으로부터 텅스텐을 회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315A KR970043315A (ko) 1997-07-26
KR0151894B1 true KR0151894B1 (ko) 1998-11-16

Family

ID=19443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5463A KR0151894B1 (ko) 1995-12-23 1995-12-23 함중석 분말 스크랩으로부터 텅스텐을 회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8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315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9532A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gold from carbonaceous ores
EP0011475B1 (en) Recovery of tungsten values from tungsten-bearing materials
US4233063A (en) Process for producing cobalt powder
EP2450312A1 (en) Recovery of tungsten from waste material by ammonium leaching
US5078786A (en) Process for recovering metal values from jarosite solids
JPH07252548A (ja) 廃触媒からの有価金属の回収方法
CA2993331C (en) Recovery of rare earths from concentrates containing fluorine
EP3768869A1 (en) Method for the selective recovery of tin and a reactor for use in said method
JPS6254843B2 (ko)
US4144056A (en) Process for recovering nickel, cobalt and manganese from their oxide and silicate ores
US4077800A (en) Method for the recovery of platinum from spent catalysts
CA1038170A (en) Recovery of silver from silver salts
KR101645431B1 (ko) 탄탈륨 또는 탄탈륨/니오븀의 회수 방법
US3252791A (en) Separation of metal carbonyls by forming a cobalt complex salt that is insoluble in liquid nickel and iron carbonyl
EP0106456B1 (en) Tungsten recovery
US4167555A (en) Extraction of tungsten from ores
JP3641190B2 (ja) タンタル/ニオブ含有原料の処理方法
KR0151894B1 (ko) 함중석 분말 스크랩으로부터 텅스텐을 회수하는 방법
Bautista Processing to obtain high-purity gallium
JP3102331B2 (ja) Ni廃触媒からの有価金属回収方法
US2829962A (en) Method of producing tungsten sponge or powder of high purity
KR19980076556A (ko) 다이아몬드 공구스크랩으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KR100277503B1 (ko) 석유탈황 폐촉매로부터 니켈 및 바나디움과 몰리브덴의 분리, 회수방법
KR100942518B1 (ko) 코발트 스크랩으로부터 코발트의 회수 방법
JP2002316822A (ja) タンタル/ニオブ含有の炭化物系原料からのタンタル/ニオブの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