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445Y1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445Y1
KR960010445Y1 KR2019940009517U KR19940009517U KR960010445Y1 KR 960010445 Y1 KR960010445 Y1 KR 960010445Y1 KR 2019940009517 U KR2019940009517 U KR 2019940009517U KR 19940009517 U KR19940009517 U KR 19940009517U KR 960010445 Y1 KR960010445 Y1 KR 960010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t
pot stand
flow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082U (ko
Inventor
남창우
Original Assignee
남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창우 filed Critical 남창우
Priority to KR2019940009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445Y1/ko
Publication of KR950029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분 받침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고안의 일부가 절제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저수공간
12 : 받침편 13 : 간격유지편
14 : 증발통로 20 : 화분재치판
21 : 플랜지 22 : 바닥면
23 : 배수공
본 고안은 실내에서 화분을 올려 놓도록 한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급이 편리하고 실내가습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화분받침대가 안출되어 왔으나, 그중에서도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분받침대 본체(1)의 받침판(2) 중앙에 배수공(3)을 뚫어 형성하고 그 하방에 출입이 가능하도륵 한 물받이(4)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분받침대는 물받이(4)에 고여있는 물이 잘 증발되지 아니하여 물받이(4)의 물을 자주 버려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실내가습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으며 실내바닥, 특히 큐션이 좋은 고급 바닥재를 깔아놓은 경우 그 바닥면에 화분받침대 본체의 놓여졌던 자극이 생기게 되어 실내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화분받침대 본체(1)를 들어 옮김 때에 물받이(4)가 같이 옳겨지지 않기 때문에 화분받침대 본체를 먼저 옮기고 다시 물받이를 옮겨야 하는 등의 취급상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분받침대에 고여있는 물이 신속하게 증발되도록 하여 실내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고, 본체를 들어올리면 화분받침대 전체가 들어 올려지게 하여 취급이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수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배수공이 마련된 화분재치판을 구비하고 본체와 화분재치판의 사이에 저수공간이 고여있는 물이 쉽게 증발되도록 증발통로를 마련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저수공간(11)이 형성되고 이 저수공간(11)을 이루는 내주연부에는 다수의 받침편(12)과, 간격유지편(13)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간격유지편(13)에 의한 증발통로(14)가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받침편(12)에 얹혀지는 플랜지(21)가 형성되고 바닥면(22)에는 배수공(23)이 마련된 화분재치판(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화분재치판(20)은 상기 플랜지(21)와 바닥면(22)이 중앙을 향하여 하향경사되어 물이 잘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편(12)과 간격유지편(13)은 화분재치판(20)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와 같이 본채(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편(12) 상부에 화분재치판(20)의 플랜지(21)가 걸리도록 재치한 다음 화분재치판(20) 상면에 화분을 얹어 놓으면 되는 것으로, 재치판(20)의 외분연과 본체(10)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유지편(13)에 의한 증발통로(14)가 마련되어 있어 본체(10)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저수공간(11)에 고여있는 물이 증발통로(14)를 통하여 쉽게 증발되므로 실내가습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 화분받침대와 같이 본체(10)내의 물을 버려야 하는 등의 결점이 해결되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본 고안은 본체(10)을 들어올리면 화분받침대 전체가 들어올려지믈 종래의 본체를 들어도 물쟁반이 들어올려지지 아니한 것보다 훨씬 취급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저수공간(11)이 형성되고 이 저수공간(11)을 이루는 내주연부에는 다수의 받침편(12)과 간격유지편(13)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간격유지편(13)에 의한 증발통로(14)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받침편(12)에 얹혀지는 플랜지(21)가 형성되고 바닥면(22)에는 배수공(23)이 마련된 화분재치판(20)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19940009517U 1994-04-30 1994-04-30 화분 받침대 KR960010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517U KR960010445Y1 (ko) 1994-04-30 1994-04-30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517U KR960010445Y1 (ko) 1994-04-30 1994-04-30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082U KR950029082U (ko) 1995-11-17
KR960010445Y1 true KR960010445Y1 (ko) 1996-12-16

Family

ID=1938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517U KR960010445Y1 (ko) 1994-04-30 1994-04-30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4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082U (ko) 199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06262A1 (en) Ventilation filter for flowerpot
US5103587A (en) Flowerpot assembly
IE49427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ntainer
US6125579A (en) Drainage disk and reservoir system for a planter
JP3044352U (ja) 水耕栽培器
US5430973A (en) Configuration of flower pots
US4070794A (en) Plant water trough
US5044119A (en) Flowerpot bowl
KR960010445Y1 (ko) 화분 받침대
JP2007061104A (ja) 植木鉢
CA1067289A (en) Plant growing receptacle
KR101868233B1 (ko) 심지관수를 이용한 가습겸용 화분
KR20100007706U (ko) 물받이 일체형 화분
KR20160003171U (ko)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CN217336585U (zh) 一种壁挂式陶瓷花盆
KR200254374Y1 (ko) 지지부 내부 삽입식 받침대가 형성된 화분
JP3891598B2 (ja) 植木鉢
JP3038526U (ja) 植木鉢の受皿
KR910006795Y1 (ko) 화분자동 급수기
KR200367479Y1 (ko) 배수구가 바닥면으로 부터 이격된 화분
KR820000168Y1 (ko) 물받이통을 겸비한 화분 받침대
JPH10286157A (ja) 園芸植物用鉢の置き台
GB2236238A (en) Plant pot
JP3188509U (ja) 鉢受け皿用スノコ
JPH01224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